KR200229481Y1 -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481Y1
KR200229481Y1 KR2020010002239U KR20010002239U KR200229481Y1 KR 200229481 Y1 KR200229481 Y1 KR 200229481Y1 KR 2020010002239 U KR2020010002239 U KR 2020010002239U KR 20010002239 U KR20010002239 U KR 20010002239U KR 200229481 Y1 KR200229481 Y1 KR 2002294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hatch
umbrellas
unfolded
critical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2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홍
Original Assignee
송주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주홍 filed Critical 송주홍
Priority to KR20200100022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4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4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481Y1/ko

Link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천을 펼쳐주는 다수개의 우산살과 이들 우산살을 받쳐주는 받침살로 이루어진 우산을 펼치는 과정에서 각 받침살이 해당 우산살과의 임계각을 넘어 우산살에 근접되면 각 우산살이 최대한 휨변형 되고 우산천이 펼쳐지면서 각 받침살이 흘러내리지 않음으로 별도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우산의 펼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구성이 간소화되는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잡이를 갖는 우산대의 상부에 우산천이 씌워진 다수개의 우산살이 방사상으로 구비되고 우산대에 끼워진 승강구와 우산살을 연결하는 받침살이 다수개 구비된 우산에 있어서, 각 받침살은 펼쳐지는 과정에서 해당 우산살과의 사이에 임계각을 갖도록 구비되어 승강구를 강하게 밀어 임계각을 넘기면 각 받침살이 해당 우산살 쪽으로 근접되어 승강구가 임의로 하강되지 않고 우산천이 펼쳐지도록 구비되며, 우산대의 하부에는 승강구에 형성된 걸림구멍이 끼워져 걸리면 우산이 임의로 펼쳐지지 않도록 볼과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우산{Umbrella}
본 고안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천의 형태에 맞게 방사상으로 구비된 다수개의 우산살과 이 우산살을 펼쳐 지탱하는 다수개의 받침살로 이루어진 우산이 펼쳐지는 과정에서 각 우산살이 최대로 휨변형되고 우산천이 최대한 펼쳐지면 각 받침살이 흘러내리지 않고 해당 우산살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프링 같은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구성에 의해 우산의 펼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는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다수개의 우산살과 이들 우산살에 의해 펼쳐지는 다각형의 우산천이 구비되며 이들 우산살이 펼쳐진 상태에서 접히지 않도록 각 우산살을 받쳐주는 받침살로 구성된다.
우산은 보통 자동우산과 수동우산으로 구분되는데 자동우산의 경우 우산살이 펼쳐지려는 쪽으로 힘을 받도록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어서 접어진 우산의 구속을해제시키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우산이 자동으로 펼쳐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우산의 경우 스프링이 다수개 구비되고 또한 펼칠때만 자동이고 접을때는 손으로 잡아당겨야 됨으로 완전 자동이라고 할 수 없으며 완전 자동우산의 경우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함으로 우산이 비싼 단점이 있었다.
수동우산의 경우 우산을 밀어 펼칠 때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각 우산살이 최대한 휘어져 우산천이 펼쳐지도록 한 것이나 우산을 펼쳐주기위해 스프링이 필요함으로 부품이 증가되고 구성이 복잡한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우산천을 펼쳐주는 다수개의 우산살과 이들 우산살을 받쳐주는 받침살로 이루어진 우산을 펼치는 과정에서 각 받침살이 해당 우산살과의 임계각을 넘어 우산살에 근접되면 각 우산살이 최대한 휨변형 되고 우산천이 펼쳐지면서 각 받침살이 흘러내리지 않음으로 별도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우산의 펼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구성이 간소화되는 우산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 우산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우산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우산의 접은 상태의 일부를 발췌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우산의 펼친 상태의 일부를 발췌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우산대
1a : 손잡이
1b : 볼
1c : 스프링
2 : 승강구
2a : 걸림구멍
3 : 우산살
4 : 받침살
5 : 우산살힌지부
6 : 천연결구
7 : 우산천
8 : 받침살힌지부
9 : 연결힌지부
α : 임계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손잡이를 갖는 우산대의 상부에 우산천이 씌워진 다수개의 우산살이 방사상으로 구비되고 우산대에 끼워진 승강구와 우산살을 연결하는 받침살이 다수개 구비된 우산에 있어서, 각 받침살은 펼쳐지는과정에서 해당 우산살과의 사이에 임계각을 갖도록 구비되어 승강구를 강하게 밀어 임계각을 넘기면 각 받침살이 해당 우산살 쪽으로 근접되어 승강구가 임의로 하강되지 않고 우산천이 펼쳐지도록 구비되며, 우산대의 하부에는 승강구에 형성된 걸림구멍이 끼워져 걸리면 우산이 임의로 펼쳐지지 않도록 볼과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우산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 우산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다. 본 고안의 우산은 손잡이(1a)를 갖는 우산대(1)가 구비되고 우산대(1)의 상단에는 우산살힌지부(5)를 통하여 우산대(1)에 연결되는 우산살(3)이 방사상으로 다수개 구비된다.
그리고 우산대(1)에 끼워져 승강되는 승강구(2)가 구비되고 이 승강구(2)의 외주면에는 각 우산살(3)과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받침살(4)이 받침살힌지부(8)를 통하여 구비된다. 또한 이들 받침살(4)의 끝단은 해당 우산살(3)과 연결힌지부(9)를 통하여 연결되어 각 받침살(4)이 펼쳐지는 동안 해당 우산살(3) 들이 함께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우산은 각 우산살(3)에 의해 펼쳐지는 우산천(7)이 구비되며 우산천(7)은 다각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우산천(7)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천연결구(6)가 구비되고 이들 천연결구(6)에 해당 우산살(3)의 끝단이 끼워져 우산살(3)이 펼쳐지는 동안 우산천(7)이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우산대(1)에는 손잡이(1a) 쪽으로 볼(1b)과 스프링(1c)이 구비되고 승강구(2)에는 볼(1b)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구멍(2a)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우산을 접으면 승강구(2)의 걸림구멍(2a)이 볼(1b)에 끼워지고 스프링(1c)이 볼(1b)을 지속적으로 밀고 있음으로 우산이 임의로 펼쳐지지 않는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의 우산 전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손잡이(1a) 쪽에 있는 승강구(2)를 우산대(1)의 상측으로 밀어 올리면 각 받침살(4)이 해당 우산살(3) 쪽으로 근접되면서 각 우산살(3)이 우산살힌지부(5)를 중심으로 펼쳐진다. 그리고 각 받침살(4)이 해당 우산살(3)과 이루는 임계각(α)에 도달되면 승강구(2)에 부하가 걸려 더 이상 올라가지 않는다.
연결힌지부(9)를 기준으로 할 때 받침살힌지부(8) 까지의 받침살(4) 길이보다 우산살힌지부(5) 까지의 우산살(3)이 더 길기 때문에 우산이 펼쳐지는 과정에서 각 받침살(4)이 어느정도 펼쳐지면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는 임계각(α)이 발생된다.
따라서 힘을 주어 승강구(2)를 밀어 올리면 각 받침살(4)이 해당 우산살(3)을 휨변형 시키면서 각 받침살(4)이 임계각(α)을 넘어 우산살(3)쪽으로 최단거리로 근접된다.
본 고안의 우산살(3)과 받침살(4)은 휨변형이 가능하도록 합성수지로 구성되며 각 받침살(4)이 임계각(α)을 넘어서 우산살(3) 쪽으로 근접되면 각 우산살(3)이 최대한 휨변형 되어 활처럼 휜 상태로 우산천(7)이 펼쳐진다. 그리고 각 받침살(4)은 해당 우산살(3) 쪽으로 근접된 상태에서 임계각(α)을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펼쳐진 우산이 임의로 접혀지지 않는다.
우산을 접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승강구(2)를 손잡이(1a) 쪽으로 강하게 잡아당기면 각 받침살(4)이 임계각(α)을 벗어나 우산대(1)에 포개지는 방향으로 접어지고 이때 우산살(3)과 우산천(7)이 접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방사상으로 구비된 다수개의 받침살을 밀어 올리면 이들 받침살과 연결된 다수개의 우산살이 펼쳐지면서 우산천이 펼쳐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받침살이 올라가는 과정에서 해당 우산살과 이루는 임계각에 도달되면 받침살이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게 되는데 이때 받침살 들이 연결된 승강구를 강하게 밀어 올리면 각 받침살 들이 임계각을 넘어 해당 우산살 쪽으로 근접되면서 우산이 완전히 펼쳐진다.
그리고 우산이 펼쳐지면 각 받침살 들이 임의로 흘러내리지 않고 우산살 들을 지탱해 줌으로 별도의 스프링 없이도 우산을 펼칠수 있어 구성이 간소화되고 조립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손잡이(1a)를 갖는 우산대(1)의 상부에 우산천(7)이 씌워진 다수개의 우산살(3)이 방사상으로 구비되고 우산대(1)에 끼워진 승강구(2)와 우산살(3)을 연결하는 받침살(4)이 다수개 구비된 우산에 있어서,
    각 받침살(4)은 펼쳐지는 과정에서 해당 우산살(3)과의 사이에 임계각(α)을 갖도록 구비되어 승강구(2)를 강하게 밀어 임계각(α)을 넘기면 각 받침살(4)이 해당 우산살(3) 쪽으로 근접되어 승강구(2)가 임의로 하강되지 않고 우산천(7)이 펼쳐지도록 구비되며,
    우산대(1)의 하부에는 승강구(2)에 형성된 걸림구멍(2a)이 끼워져 걸리면 우산이 임의로 펼쳐지지 않도록 볼(1b)과 스프링(1c)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우산.
KR2020010002239U 2001-01-31 2001-01-31 우산 KR2002294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239U KR200229481Y1 (ko) 2001-01-31 2001-01-31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239U KR200229481Y1 (ko) 2001-01-31 2001-01-31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481Y1 true KR200229481Y1 (ko) 2001-07-03

Family

ID=73095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239U KR200229481Y1 (ko) 2001-01-31 2001-01-31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4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4645A (en) Collapsible sunshade
US5884646A (en) Foldable tent frame for coupling tent cloth with tent frame in integral form
US6588439B2 (en) Wind-protecting skeleton for folding umbrella
US6058952A (en) Simplified flat top umbrella
TWI548362B (zh) 具有改良之中棒及傘骨總成的傘
WO2002046553A1 (en) Canopy tent with automatic umbrella-type collapsible frame
WO2006101288A1 (en) The tent and frame for automatic umbrella style canopy tent
EP1809137A2 (en) Asymmetric umbrella
KR20110026833A (ko) 우산살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US5048550A (en) Structure of triple-folding umbrella skeleton
US5394896A (en) Umbrella with rounded rib terminals
KR200229481Y1 (ko) 우산
US5158102A (en) Umbrella frame having folding ear structures
KR200445169Y1 (ko) 우산
KR100742157B1 (ko) 우산
KR20050117718A (ko) 원터치 절첩식 텐트
KR100934434B1 (ko) 우산
KR20050045217A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101195096B1 (ko) 슬라이드 방식의 접이식 우산
KR200339799Y1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EP0049226A2 (en) Improvements in and/or related to umbrellas and large umbrellas
KR20100029614A (ko) 자동우산
KR200271431Y1 (ko) 뒤집힘이 방지되게 한 우산
KR200315843Y1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100634320B1 (ko) 파라솔의 그늘막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