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434B1 -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434B1
KR100934434B1 KR1020080004085A KR20080004085A KR100934434B1 KR 100934434 B1 KR100934434 B1 KR 100934434B1 KR 1020080004085 A KR1020080004085 A KR 1020080004085A KR 20080004085 A KR20080004085 A KR 20080004085A KR 100934434 B1 KR100934434 B1 KR 100934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oupling
groove
unfolded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8238A (ko
Inventor
송주홍
Original Assignee
송주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주홍 filed Critical 송주홍
Priority to KR1020080004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434B1/ko
Publication of KR20090078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45B25/08Devices for fastening or lock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1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0Umbrella crowns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의 받침살이 결합되는 승강관의 상부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우산살을 고정하는 고정구 하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우산을 펼칠 때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긴밀히 삽입되도록 하여 스프링 같은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구성에 의해 우산의 펼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우산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은, 손잡이(11)를 갖는 우산대(10)의 상부에 우산천(23)이 쓰워진 다수 개의 우산살(22)이 고정구(20)에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우산대(10)에 끼워진 승강관(30)과 우산살(22)을 연결하는 받침살(32)이 다수 개 형성된 우산(1)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20)의 하부에는 중앙에 절결홈(26)이 형성되고 양측면으로 걸림턱(27)이 형성된 결합돌기(25)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관(30)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돌기(25)와 대응되게 걸림홈(34)이 형성된 결합홈(33)이 형성되어 우산(1)을 펼쳤을 때 결합돌기(25)가 결합홈(33)에 끼워져 우산(1)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우산, 결합돌기, 결합홈

Description

우산{A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우산의 받침살이 결합되는 승강관의 상부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우산살을 고정하는 고정구 하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우산을 펼칠 때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긴밀히 삽입되도록 하여 스프링 같은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구성에 의해 우산의 펼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다수개의 우산살과 이들 우산살에 의해 펼쳐지는 다각형의 우산천이 구비되며 이들 우산살이 펼쳐진 상태에서 접히지 않도록 각 우산살을 받쳐주는 받침살로 구성된다.
우산은 보통 자동우산과 수동우산으로 구분되는데 자동우산의 경우 우산살이 펼쳐지려는 쪽으로 힘을 받도록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어서 접어진 우산의 구속을 해제시키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우산이 자동으로 펼쳐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우산의 경우 스프링이 다수 개 구비되고 또한 펼칠 때만 자동으로 펼쳐지고 접을 때는 손으로 잡아당겨야 됨으로 완전 자동이라고 할 수 없으며 완전 자동우산의 경우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함으로 우산이 비싼 단점이 있었다.
또한 수동우산의 경우 우산을 밀어 펼칠 때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각 우산살이 최대한 휘어져 우산천이 펼쳐지도록 한 것이나 우산을 펼쳐주기 위해 스프링이 필요함으로 부품이 증가되고 구성이 복잡한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우산의 받침살이 결합되는 승강관의 상부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우산살을 고정하는 고정구 하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우산을 펼칠 때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긴밀히 삽입되도록 하여 스프링 같은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구성에 의해 우산의 펼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우산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손잡이(11)를 갖는 우산대(10)의 상부에 우산천(23)이 씌워진 다수 개의 우산살(22)이 고정구(20)에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우산대(10)에 끼워진 승강관(30)과 우산살(22)을 연결하는 받침살(32)이 다수 개 형성되고, 고정구(20)의 하부에는 중앙에 절결홈(26)이 형성되고 양측면으로 걸림턱(27)이 형성된 결합돌기(25)가 형성되며, 승강관(30)의 상부에는 결합돌기(25)와 대응되게 걸림홈(34)이 형성된 결합홈(33)이 형성되어 우산(1)을 펼쳤을 때 결합돌기(25)가 결합홈(33)에 끼워져 우산(1)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되도록 한 우산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25)의 걸림턱(27)과 결합홈(33)의 걸림홈(34)이 결합돌기(25)와 결합홈(33)의 양측면에 형성되지 않고 결합돌기(25)의 전면상에 걸림턱(27a)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결합홈(33)의 면상에 걸림홈(34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승강관(30)에 형성된 결합홈(33)과 고정구(20)에 형성된 결합돌기(25)의 결합으로 우산(1)이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게 한 것으로서 결합돌기(25)와 결합홈(33)의 결합만으로 우산(1)을 펼쳐지면 각 받침살(32)들이 임의로 흘러내리지 않고 우산살 들을 지탱해 줌으로 별도의 스프링 없이도 우산을 펼칠 수 있어 구성이 간소화되고 조립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우산(1)은 손잡이(11)를 갖는 우산대(10)가 형성되고 우산대(10)의 상단에는 우산살힌지부(21)가 형성된 고정구(20)가 형성되며 우산살힌지부(21)를 통하여 우산대(10)에 연결되는 우산살(22)이 방사상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20)의 하부에는 중앙에 절결홈(26)이 형성되고 양측으로 걸림턱(27)이 형성된 결합돌기(25)가 형성된다.
그리고 우산대(10)에 끼워져 승강되는 승강관(30)이 형성되고 이 승강관(30)의 외주면에는 각 우산살(22)과 대응되도록 다수 개의 받침살(32)이 받침살힌지부(31)를 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승강관(30)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돌기(25)의 걸림턱(27)과 대응되는 걸림홈(34)이 형성된 결합홈(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살(32)의 끝단은 해당 우산살(22)과 연결힌지부(35)를 통하여 연결되어 각 받침살(32)이 펼쳐지는 동안 해당 우산살(22) 들이 함께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우산(1)은 각 우산살(22)에 의해 펼쳐지는 우산천(23)이 형성되며 우산천(23)은 다각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우산천(23)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천연결구(24)가 구비되고 이들 천연결구(24)에 해당 우산살(22)의 끝단이 끼워져 우산살(22)이 펼쳐지는 동안 우산천(23)이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25)의 걸림턱(27)과 결합홈(33)의 걸림홈(34)이 결합돌기(25)와 결합홈(33)의 양측면에 형성되지 않고 결합돌기(25)의 전면상에 걸림턱(27a)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결합홈(33)의 면상에 걸림홈(34a)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우산(1) 전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손잡이(11) 쪽에 있는 승강관(30)을 우산대(10)의 상측으로 밀어 올리면 각 받침살(32)이 해당 우산살(22) 쪽으로 근접되면서 각 우산살(22)이 우산살힌지부(21)를 중심으로 펼쳐진다.
그리고 승강관(30)을 우산대(10)의 상측으로 더 밀어 올리면 승강관(30) 상부의 결합홈(33)에 상기 고정구(20)의 결합돌기(25)가 끼워져 결합돌기(25)와 결합홈(33)의 결합으로 우산(1)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돌기(25)와 결합홈(33)의 결합은 결합돌기(25)가 결합홈(33)에 끼워지면서 결합돌기(25)의 절결홈(26)이 좁혀지면서 결합홈(33)에 끼워지다가 결합 돌기(25)의 걸림턱(27)이 결합홈(33)의 걸림홈(34)의 위치에 오면 절결홈(26)의 자체 탄력으로 벌어지면서 걸림턱(27)이 걸림홈(34)에 끼워져 고정되어 우산(1)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우산(1)을 접을 때는 승강관(30)을 우산대(10) 하부로 당기면 상기 우산(1)을 펼칠 때와는 같이 절결홈(26)이 좁혀지면서 걸림홈(34)에 걸림턱(27)이 이탈되면서 결합홈(33)에 끼워졌던 결합돌기(25)가 결합홈(33)에서 이탈되면서 우산(1)이 접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걸림턱(27a)과 걸림홈(34a)이 결합돌기(25)와 결합홈(33)의 면상에 위치 한 경우도 상기와 같은 작용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도면상에서는 결합돌기(25)와 결합홈(33)을 두 개로 도시하였으나 결합돌기(25)와 결합홈(33)을 다수 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중요부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중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중요부 작동설명도,
도 5a,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중요부 작동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우산 10 : 우산대
11 : 손잡이 20 : 고정구
21 : 우산살힌지부 22 : 우산살
23 : 우산천 24 : 천연결구
25 : 결합돌기 26 : 절결홈
27, 27a : 걸림턱 30 : 승강관
31 : 받침살힌지부 32 : 받침살
33 : 결합홈 34, 34a : 걸림홈

Claims (2)

  1. 삭제
  2. 손잡이(11)를 갖는 우산대(10)의 상부에 우산천(23)이 씌워진 다수 개의 우산살(22)이 고정구(20)에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우산대(10)에 끼워진 승강관(30)과 우산살(22)을 연결하는 받침살(32)이 다수 개 형성되고, 고정구(20)의 하부에는 중앙에 절결홈(26)이 형성되고 양측면으로 걸림턱(27)이 형성된 결합돌기(25)가 형성되며, 승강관(30)의 상부에는 결합돌기(25)와 대응되게 걸림홈(34)이 형성된 결합홈(33)이 형성되어 우산(1)을 펼쳤을 때 결합돌기(25)가 결합홈(33)에 끼워져 우산(1)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되도록 한 우산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25)의 걸림턱(27)과 결합홈(33)의 걸림홈(34)이 결합돌기(25)와 결합홈(33)의 양측면에 형성되지 않고 결합돌기(25)의 전면상에 걸림턱(27a)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결합홈(33)의 면상에 걸림홈(34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KR1020080004085A 2008-01-14 2008-01-14 우산 KR100934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085A KR100934434B1 (ko) 2008-01-14 2008-01-14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085A KR100934434B1 (ko) 2008-01-14 2008-01-14 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238A KR20090078238A (ko) 2009-07-17
KR100934434B1 true KR100934434B1 (ko) 2009-12-29

Family

ID=41336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085A KR100934434B1 (ko) 2008-01-14 2008-01-14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4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411B1 (ko) * 2010-09-10 2010-12-22 (주)대영엔지니어링 결합구조가 간단하며 녹슬지 않고 오래 쓰는 우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813U (ja) * 1993-10-25 1995-05-16 有限会社相模原書類管理システム 傘の摺動ろくろ停止構造
JP2004057475A (ja) * 2002-07-29 2004-02-26 Showa O 傘の骨組み
KR200376163Y1 (ko) * 2004-11-18 2005-03-11 방상혁 일회용 안전주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813U (ja) * 1993-10-25 1995-05-16 有限会社相模原書類管理システム 傘の摺動ろくろ停止構造
JP2004057475A (ja) * 2002-07-29 2004-02-26 Showa O 傘の骨組み
KR200376163Y1 (ko) * 2004-11-18 2005-03-11 방상혁 일회용 안전주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238A (ko) 200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8356B1 (ko)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WO2018028105A1 (zh) 多功能便携式可收折固定支撑座
US6588439B2 (en) Wind-protecting skeleton for folding umbrella
KR20110026833A (ko) 우산살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KR100934434B1 (ko) 우산
KR101131203B1 (ko) 양산
KR100643157B1 (ko)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KR20050117718A (ko) 원터치 절첩식 텐트
WO2014073770A1 (ko) 유격 없이 견고한 대형 캐노피
KR200339799Y1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100742157B1 (ko) 우산
KR20050045217A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200304876Y1 (ko) 다용도 파라솔
KR20160000285U (ko) 절첩식 텐트의 상부 프레임
KR101195096B1 (ko) 슬라이드 방식의 접이식 우산
KR200229481Y1 (ko) 우산
JP3667309B2 (ja) 折り畳み支持脚及びこれを用いたテーブル
KR100735013B1 (ko)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KR20060133162A (ko)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KR200181838Y1 (ko) 이중파라솔
KR101011804B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 장치
KR200213389Y1 (ko) 우산식 텐트
KR102094643B1 (ko) 역접힘이 가능한 우산
KR200446065Y1 (ko) 파라솔
KR200490283Y1 (ko)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