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232Y1 - 우산 절첩 전개장치 - Google Patents

우산 절첩 전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232Y1
KR200411232Y1 KR2020050036624U KR20050036624U KR200411232Y1 KR 200411232 Y1 KR200411232 Y1 KR 200411232Y1 KR 2020050036624 U KR2020050036624 U KR 2020050036624U KR 20050036624 U KR20050036624 U KR 20050036624U KR 200411232 Y1 KR200411232 Y1 KR 200411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hole
rod
piece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한위
Original Assignee
천한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한위 filed Critical 천한위
Priority to KR20200500366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2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2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45B25/08Devices for fastening or lock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살설치구가 상단에 고정된 우산대의 상단부에는 고정공을 뚫어주고, 우산대에는 승강봉의 상단에 받침살설치구가 일체로 형성된 받침살설치승강구를 삽입시키되, 승강봉에는 상측탄성걸이편과 하측탄성걸이편을 절개부에 의해 탄발되도록 동일 수직선상의 상하로 형성하며, 승강봉의 외측에는 크기가 큰 상측공과 크기가 작은 하측공이 연통되게 뚫어진 튜브링을 결합시켜서 된 우산살 절첩 전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튜브링과 함께 받침살설치승강구를 상승시키면 받침살설치승강구이 우산대의 고정공에 삽입되어 우산살이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고, 튜브링과 함께 받침살설치승강구를 하향시키면 상측탄성걸이편이 고정공을 벗어고 승강봉의 하단에 형성된 환상돌편에 튜브링이 걸리면서 튜브링과 받침살설치승강구가 함께 하향하여 전개된 우산살을 절첩시키므로, 절첩 및 전개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조 및 생산을 용이하게 실시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받침살설치승강구를 단순하게 상승 또는 하향시켜 주므로 손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우산을 전개 또는 절첩 시킬 수 있다.
우산대. 받침살설치승강구. 승강봉. 상측탄성걸이편. 튜브링.

Description

우산 절첩 전개장치{A FOLDING UNFOLDING DEVICE OF UMBRELLA}
도 1은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우산을 보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우산 절첩 전개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및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절첩 전개장치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절첩 전개장치를 결합하여 설치한 상태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절첩 전개장치의 작동관계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우산 2: 우산대 3: 우산살설치구
4: 승강통 6: 우산살 7: 받침살
10.20: 우산절첩전개장치 11: 고정봉 12: 탄발당접편
14.21: 받침살설치승강구 15.22: 승강봉 18: 탄발압착편
19.30: 튜브링 24: 상측탄성걸이편 25: 하측탄성걸이편
27: 환상돌편 28: 걸림단턱 31: 상측공
32: 하측공 33: 상측단턱 34: 하측단턱
본 고안은 우산대의 외측에 결합(설치) 되어 승/하강하면서 우산살 및 받침살을 절첩 및 전개시켜 주도록 하는 우산살 절첩 전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단에 우산살설치구가 고정된 우산대의 상단부에는 고정공을 뚫어주고, 우산대에는 승강봉의 상단에 받침살설치구가 일체로 형성된 받침살설치승강구를 삽입시키되, 승강봉에는 상측탄성걸이편과 하측탄성걸이편을 절개부에 의해 탄발되도록 동일 수직선상의 상하로 형성하며, 승강봉의 외측에는 크기가 큰 상측공과 크기가 작은 하측공이 연통되게 뚫어진 튜브링을 결합시켜서 된 것으로, 튜브링과 함께 받침살설치승강구를 상승시키면 튜브링의 크기가 작은 하측공이 승강봉을 따라 약간 상승하면서 받침살설치승강구을 내측으로 눌러 주면 받침살설치승강구이 우산대의 고정공에 삽입되어 우산살이 전개되고, 튜브링과 함께 받침살설치승강구를 하향시키면 크기가 작은 하측공이 상측탄성걸이편을 벗어나면서 압착상태를 해제하여 상측탄성걸이편이 고정공을 벗어나 크기가 큰 상츠공에 위치하도록 하고 승강봉의 하단에 형성된 환상돌편(걸림단턱)이 튜브링의 내부 하단에 형성된 하단단턱에 걸리면서 튜브링과 받침살설치승강구가 함께 하향하여 전개된 우산살을 절첩시켜 주도록 된 우산살 절첩 전개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우산(1)에서 천(커버)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예시 사시도이다.
우산(1)은 우산대(2)의 상단에 우산살설치구(3)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우산살(6)이 일정한 간격(각도)으로 설치되어 있고, 우산대(2)에 결합된 승강통(4)에는 받침살(7)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받침살(7)의 선단이 우산살(6)의 중간부에 굴대 설치되어 있으며, 우산대(2)의 상측부에는 버튼(5)이 스프링으로 탄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우산(1)은 절첩된 상태에서 승강통(4)을 상승시켜 버튼(5)에 걸리도록 하면 절첩되어 있던 우산살(6)과 받침살(7)이 전개되고, 버튼(5)을 눌러 억류상태를 해제시키면서 승강통(4)을 하향시키면서 전개되어 있던 우산살(6)과 받침살(7)이 절첩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고 작동(절첩/전개)되는 종래 우산(1)의 우산살 절첩 전개장치는, 우산(1)을 펴고 접을 때에 버튼(5)을 눌러주면서 실시하여야 하므로 버튼(5)을 누르는 손가락의 살이 버튼(5)과 승강통(4)의 사이에 끼거나 우산대(2)와 승강통(4)과의 사이에 끼어 상처를 입는 무제가 있고, 특히 전개된 상태에서 절첩하기 위하여 버튼(5)을 누르면서 승강통(4)을 하향시킬 때에 상기와 같은 상처를 많이 받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상승하는 승강통(4)을 억류시키기 위하여 우산대(2)의 상단에 구멍을 내어 버튼(5)을 스프링에 의해 외측으로 탄발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다소 나마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는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은 우산절첩전개장치(10)가 알려져 있다.
이는, 상단에 우산살설치구(3)가 일체형으로 고정된 우산대(2)의 외측 상단부에는 고정봉(11)을 삽입하여 핀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형으로 고정시키되 고정봉(11)의 하단부에는 ∩형으로 된 절개홈(13)에 의해 탄발당접편(12)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하측에서 우산대(2)에는 승강봉(15)의 상단에 받침살설치구(16)가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받침살설치승강구(14)가 결합 되어 있는데 승강봉(15)에서 상측 부분에는 ∩형으로 된 절개홈(17)에 의해 탄발압착편(1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상봉(15)에는 삽입소공(19-1)과 삽입대공(19-2)이 상하로 뚫어진 튜브링(19)이 끼워진 상태에서 캡링(15-1)에 의해 억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우산절첩전개장치(10)는, 튜브링(19)을 밀어 받침살설치승강구(14)를 상승시켜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정봉(11)의 하단부에 까지 상승시키면 승강봉(15)의 탄발압착편(18)이 고정봉(11)의 탄발당접편(12)의 하단을 내측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탄발당접편(12)이 우산대(2)의 외면에 밀접하게 당접된 상태를 유지하고 캡링(15-1)이 튜브링(19)을 받쳐 지지하게 되므로 우산살(6)과 받침살(7)은 전개된(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와 같이 우산(1)이 펼쳐진 상태에서 튜브링(19)과 함께 받침살설치구(16)를 하향시키게(아래로 끌어당기게) 되면 승강봉(18)의 탄발압착편(18)이 캡링(15-1)과 함께 받침살설치승강구(14)가 하향하면서 탄발압착편(18)이 고정봉(11)의 탄발당접편(12)의 지지(받침)상태를 해제시키면서 하향하게 되므로 전개된 우산살(6)과 받침살(7)은 절첩(접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고 작동되는 종래의 우산절첩전개장치(10)는 구조가 복잡 하여 용이하게 제작하고 조립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고, 받침살설치승강구(14)를 상승시켰을 때에 탄발압착편(18)이 고정봉(11)의 탄발당접편(12)의 밑면을 단순히 받쳐 지지하므로 지지력(받침력)이 약한 문제가 있으며, 바람이 강하게 불어 천을 밀어주게 되면 압착상태가 해제되면서 받침살설치승강구(14)가 하향하여 우산이 스스로 접혀지는 문제가 있으며, 받침살설치승강구(14)를 너무 강하게 상승시켜 탄발압착편(18)이 탄발당접편(12)의 상측으로 상승하여 걸리게 되면 이를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우산살 절첩 전개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단에 우산살설치구가 고정된 우산대의 상단부에는 고정공을 뚫어주고, 우산대에는 승강봉의 상단에 받침살설치구가 일체로 형성된 받침살설치승강구를 삽입시키되, 승강봉에는 상측탄성걸이편과 하측탄성걸이편을 절개부에 의해 탄발되도록 동일 수직선상의 상하로 형성하며, 승강봉의 외측에는 크기가 큰 상측공과 크기가 작은 하측공이 연통되게 뚫어진 튜브링을 결합시켜서 된 우산살 절첩 전개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튜브링과 함께 받침살설치승강구를 상승시키면 튜브링의 크기가 작은 하측공이 승강봉을 따라 약간 상승하면서 받침살설치승강구을 내측으로 눌러 주면 받침살설치승강구이 우산대의 고정공에 삽입되어 우산살이 전개되고, 튜브링과 함께 받침살설치승강구를 하향시키면 크기가 작은 하측공이 상측탄 성걸이편을 벗어나면서 압착상태를 해제하여 상측탄성걸이편이 고정공을 벗어나 크기가 큰 상측공에 위치하도록 하고 승강봉의 하단에 형성된 환상돌편(걸림단턱)이 튜브링의 내부 하단에 형성된 하단단턱에 걸리면서 튜브링과 받침살설치승강구가 함께 하향하여 전개된 우산살을 절첩 되도록 하여, 절첩 및 전개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된 우산살 절첩 전개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제조 및 생산을 용이하게 실시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받침살설치승강구를 단순하게 상승 또는 하향시켜 줌으로서 손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우산을 용이하게 전개 또는 절첩 시킬 수 있으며, 받침살설치승강구를 상승시켰을 때에 고정력(지지력)을 강화시켜 우산살이 우산 천을 받쳐 지지하는 지지강도를 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록 된 우산살 절첩 전개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우산살설치구(3)가 상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우산대(2)의 외측에는 승강보(22)의 상단에 받침살설치구(29)가 일체로 형성된 받침살설치승강구(21)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며, 받침살설치승강구(21)를 형성하는 승강보(22)의 외측에 튜브링(30)을 끼워 결합시킨 것에 있어서,
상기 우산대(2)의 상단부에서 우산살설치구(3)의 하측에 고정공(29)을 뚫어 준 것과;
상기 우산대(2)의 외측에 끼워 결합되는 받침살설치승강구(21)는 승강봉(22)의 외면에 상측탄성걸이편(24)과 하측탄성결이편(25)을 절개부(23)(26)에 의해 각 각 탄발되도록 하면서 상하로 이격시켜 상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하고, 승강봉(22)의 외주 하단에는 걸립단턱(28)이 형성되도록 환상돌편(27)을 형성한 것과;
받침살설치승강구(21)의 승강봉(22)에 끼워 결합되는 튜브링(30)의 내부에는 구멍을 뚫어주되 내부 상측단부에 형성되는 상측단턱(33)에 의해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고 작은 상측공(31)과 하측공(32)이 형성되도록 하고, 외주에는 장구홈(35)을 형성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절첩전개장치(20)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할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절첩전개장치(20)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절첩전개장치(20)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설치한 상태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작동관계 설명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우산절첩전개장치(20)는, 우산대(2)의 외측에 끼워 결합되는 받침살설치승강구(21)와, 상기 받침살설치승강구(21)를 형성하는 승강봉(23)의 외측에 끼워 결합되는 튜브링(30)으로 크게 형성하였다.
우산대(2)의 상단에는 우산살설치구(3)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우산살(6)을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고, 우산살설치구(3)의 하측에서 우산대(2)의 상단부에는 고정공(29)을 뚫어주어서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받침살설치승강구(21)의 상측탄성걸이편(24)을 수용(삽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우산대(2)는 2단 또는 3단과 같이 다단으로 분할하여 결합시킬 수 있으며,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1단우산대(2-1)의 내부에는 하단에서 2단우산대(2-3)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되, 우산을 전개시켰을 때에 2단우산대(2-2)의 상단에 설치되는 탄발고정편(2-3)이 1단우산대(2-1)의 하단에 뚫어진 탄발공으로 삽입(결합)되도록 하였고, 절첩시에는 탄발고정편(2-3)이 2단우산대(2-2)의 내부로 장전(삽입)되도록 하였는데, 이와 같은 구성은 통상의 다단 우산대에 설치되는 결합장치와 동일한 것이므로 결합장치의 보다 구성과 작동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우산대(2) 또는 1단우산대(2-1)의 외측에 끼워 결합 되는 받침살설치승강구(21)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승강봉(22)의 상단에는 통상의 받침살설치구(29)를 일체로 형성하였고, 승강봉(22)에서 동일 수직선상의 상측과 하측에는 상측탄성걸이편(24)과 하측탄성걸이편(25)을 상측과 하측을 향하고 절개부(23)(26)에 의해 탄발되도록 형성하였고, 승강봉(22)의 외주 하단에는 황상돌편(27)을 외향으로 형성하여 걸림단턱(28)이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승강봉(22)에 형성되는 상기 상측탄성걸이편(24)의 상단 내면과 외면에는 내측돌편(24-1)과 외측돌편(24-2)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였다.
상기 받침살설치승강구(21)의 승강봉(22)에 끼워 결합되는 튜브링(30)는, 내부에 구멍을 뚫어주되 상측단부에 형성되는 상측단턱(33)에 의해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고 작은 상측공(31)과 하측공(32)이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튜브링(30)의 외주 면에는 중간이 내측으로 만곡되도록 장구홈(35)을 형성하였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우산절첩전개장치(20)의 사용상태(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우산절첩전개장치(20)는, 도 4 내지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우산대(2)의 상단에 장착된 우산살설치구(3)에는 우산살(6)을 설치하고, 우산대(2)에 받침살설치구(21)를 끼워 결합시킨 상태에서 받침살설치구(29)에는 받침살(7)을 설치하며, 받침살(7)의 단부를 우산살(6)의 중간부에 축으로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우산대(2)에 끼워 결합된 받침살설치구(21)의 승강봉(22)에는 튜브링(30)을 끼워 결합시켰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우산절첩전개장치(20)를 우산대(2)에 설치(결합)한 상태에서, 튜브링(30)의 장구홈(35)을 파지하여 우산절첩전개장치(20)를 상승시키게 되면 튜브링(30)과 함께 받침살설치구(21)이 상승하게 된다.
튜브링(30)과 함께 받침살설치구(21)를 상승시키게 되면 접혀져 있던 받침살(7)이 펼쳐지면서 우산살(6)을 밀어 올려 주게 되므로 우산살(6)은 자연스럽게 펼쳐지게 되고, 승강봉(21)에 형성된 상측탄성걸이편(24)의 내측돌편(24-1)이 우산대(2)의 상단에 뚫어진 고정공(29)에 삽입되면서 상승이 정지되며, 상측탄성걸이편(24)의 내측돌편(24-1)이 우산대(2)의 고정공(29)에 삽입되어 받침살설치승강구(21)의 상승이 정지된 상태에서 튜브링(30)이 상승하는 힘에 의해 조금 더 상승하게 되면 상측탄성걸이편(24)의 외측돌편(24-2)이 튜브링(30)의 하측공(32)으로 삽입된다.
상측탄성걸이편(24)의 외측돌편(24-2)이 튜브링(30)의 하측공(32)으로 삽입 되면 고정공(29)에 삽입된 상측탄성걸이편(24)은 억류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우산살(6)과 받침대(7)는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우산살(6)과 받침대(7)가 전개된 상태에서 절첩시키고자 할 때에는 튜브링(30)의 장구홈(35)을 파지하여 다소 강한 힘으로 하측으로 당기게 되면, 튜브링(30)이 먼저 하향하면서 하측공(32)이 상측탄성걸이편(24)의 외측돌편(24-2)을 벗어나 억류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억류상태가 해제된 상측탄성걸이편(24)은 자체의 탄발력에 의해 외측으로 탄발되므로 내측돌편(24-1)은 우산대(2)의 고정공(29)을 벗어나 억류상태가 해제되는데, 외측으로 탄발되는 외측돌편(24-2)이 튜브링(30)의 상측공(31)측으로 유입되면서 억류상태가 완전히 해제된다.
상측탄성걸이편(24)의 억류상태가 해제된 튜브링(30)을 계속 하측으로 당기게 되면 튜브링(30)의 하단에 환상돌편(27)의 걸림단턱(28)에 걸린 상태에서 하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따라서 하측으로 당겨지는 튜브링(30)과 함께 받침살설치승강구(21)가 하향하게 되며, 튜브링(30)과 함께 받침살설치승강구(21)가 하향하면서 받침살(7)을 당기게 되므로 펼쳐져 있던 우산살(6)은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연스럽게 접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우산살절첩전개장치(20)는 튜브링(30)과 함께 받침살설치승강구(21)를 상승시키거나 하향시켜 줌으로서, 별도의 보조 수단 없이 승강봉(22)의 상측탄성걸이편(24)이 우산대(2)의 고정공(29)에 삽입시키거나 이탈(분리)시키면서 우산살(6)과 받침살(7)을 전개 또는 절첩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고안이 특정한 실시 예에 대하여만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보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우산살 절첩 전개장치는, 상단에 우산살설치구가 고정된 우산대의 상단부에는 고정공을 뚫어주고, 우산대에는 승강봉의 상단에 받침살설치구가 일체로 형성된 받침살설치승강구를 삽입시키되, 승강봉에는 상측탄성걸이편과 하측탄성걸이편을 절개부에 의해 탄발되도록 동일 수직선상의 상하로 형성하며, 승강봉의 외측에는 크기가 큰 상측공과 크기가 작은 하측공이 연통되게 뚫어진 튜브링을 결합시켜서 된 것으로서, 튜브링과 함께 받침살설치승강구를 상승시키면 튜브링의 크기가 작은 하측공이 승강봉을 따라 약간 상승하면서 받침살설치승강구을 내측으로 눌러 주면 받침살설치승강구이 우산대의 고정공에 삽입되어 우산살이 전개되고, 튜브링과 함께 받침살설치승강구를 하향시키면 크기가 작은 하측공이 상측탄성걸이편을 벗어나면서 압착상태를 해제하여 상측탄성걸이편이 고정공을 벗어나 크기가 큰 상측공에 위치하도록 하고 승강봉의 하단에 형성된 환상돌편(걸림단턱)이 튜브링의 내부 하단에 형성된 하단단턱에 걸리면서 튜브링과 받침살설치승강구가 함께 하향하여 전개된 우산살을 절첩 되도록 하여, 절첩 및 전개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제조 및 생산을 용이하게 실시하고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받침살설치승강구를 단순하게 상승 또는 하향시켜 줌으로서 손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우산을 용이하게 전개 또는 절첩 시킬 수 있으며, 받침살설치승강구를 상승시켰을 때에 고정력(지지력)을 강화시켜 우산살이 우산 천을 받쳐 지지하는 지지강도를 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우산살설치구(3)가 상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우산대(2)의 외측에는 승강보(22)의 상단에 받침살설치구(29)가 일체로 형성된 받침살설치승강구(21)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며, 받침살설치승강구(21)를 형성하는 승강보(22)의 외측에 튜브링(30)을 끼워 결합시킨 것에 있어서,
    상기 우산대(2)의 상단부에서 우산살설치구(3)의 하측에 고정공(29)을 뚫어 준 것과;
    상기 우산대(2)의 외측에 끼워 결합되는 받침살설치승강구(21)는 승강봉(22)의 외면에 상측탄성걸이편(24)과 하측탄성결이편(25)을 절개부(23)(26)에 의해 각각 탄발되도록 하면서 상하로 이격시켜 상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하고, 승강봉(22)의 외주 하단에는 걸립단턱(28)이 형성되도록 환상돌편(27)을 형성한 것과;
    받침살설치승강구(21)의 승강봉(22)에 끼워 결합되는 튜브링(30)의 내부에는 구멍을 뚫어주되 내부 상측단부에 형성되는 상측단턱(33)에 의해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고 작은 상측공(31)과 하측공(32)이 형성되도록 하고, 외주에는 장구홈(35)을 형성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절첩 전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받침살설치승강구(21)의 승가봉(22)에 형성되는 상측탄성걸이편(24)은;
    그 상측탄성걸이편(24)의 상단에는 내측돌편(24-1)과 외측돌편(24-2)을 일체 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절첩 전개장치.
KR2020050036624U 2005-12-28 2005-12-28 우산 절첩 전개장치 KR200411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624U KR200411232Y1 (ko) 2005-12-28 2005-12-28 우산 절첩 전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624U KR200411232Y1 (ko) 2005-12-28 2005-12-28 우산 절첩 전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232Y1 true KR200411232Y1 (ko) 2006-03-15

Family

ID=4176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624U KR200411232Y1 (ko) 2005-12-28 2005-12-28 우산 절첩 전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2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803B1 (ko) 2008-12-16 2011-12-01 시아-후이 첸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CN109222358A (zh) * 2018-11-07 2019-01-18 深圳市优美而耐洋伞有限公司 两折反向伞的伞骨弯曲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803B1 (ko) 2008-12-16 2011-12-01 시아-후이 첸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CN109222358A (zh) * 2018-11-07 2019-01-18 深圳市优美而耐洋伞有限公司 两折反向伞的伞骨弯曲结构
CN109222358B (zh) * 2018-11-07 2023-10-20 惠州市元通伞业有限公司 两折反向伞的伞骨弯曲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6833A (ko) 우산살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KR20050035848A (ko) 자동 우산식 프레임 구조를 갖는 캐노피 텐트
CN101766388A (zh) 吊饰安装结构及具该吊饰安装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KR200411232Y1 (ko) 우산 절첩 전개장치
WO2018068492A1 (zh) 遮蔽物结构
KR101022598B1 (ko) 자동으로 접을 수 있는 다단 우산 접이 구조
KR101012349B1 (ko)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KR20110102782A (ko) 양산
KR20160000285U (ko) 절첩식 텐트의 상부 프레임
KR200454463Y1 (ko) 우산
KR100587832B1 (ko) 원터치 절첩식 텐트
JP2011032072A (ja) 吊り具
WO2016104929A1 (ko) 우산
EP1426478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clothes driers
JP3205300U (ja) 折り畳みテント
CN101176817B (zh) 一种折叠式跑步机
KR200255853Y1 (ko) 복절식 자동 우산
KR100844122B1 (ko) 자동 접철식 텐트용 캐노피
KR100742157B1 (ko) 우산
KR100934434B1 (ko) 우산
KR100735013B1 (ko)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KR200368889Y1 (ko) 조립식 행거용 서포트
KR200229481Y1 (ko) 우산
KR102096251B1 (ko) 크레인의 안전용 후크장치
EP1270792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clothes dri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