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5312A - 안전형 자동우산 - Google Patents

안전형 자동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5312A
KR20110025312A KR1020090083311A KR20090083311A KR20110025312A KR 20110025312 A KR20110025312 A KR 20110025312A KR 1020090083311 A KR1020090083311 A KR 1020090083311A KR 20090083311 A KR20090083311 A KR 20090083311A KR 20110025312 A KR20110025312 A KR 20110025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umbrella
middle rod
moving rod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우
Original Assignee
이은우
골든레인 엔터프라이즈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우, 골든레인 엔터프라이즈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이은우
Priority to KR1020090083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5312A/ko
Publication of KR20110025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45B25/143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04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telescopic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1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45B25/08Devices for fastening or lock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2Devices for holding umbrellas closed, e.g. magne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6Automatic openers, e.g. frames with spring mechanism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우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제1외곽살, 제2외곽살, 제3외곽살 및 뻗침살을 갖는 우산살과, 상호 인출입 가능하게 2단 이상으로 마련되되, 일단에는 상기 상부캡이 고정되는 제1중봉과 타단에는 손잡이가 결합되는 제2중봉을 포함하는 자동우산에 있어서, 중앙으로 상기 제1중봉이 끼워져 상기 제1중봉의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중걸쇠와, 상기 제1중봉 및 제2중봉의 내부를 관통하여 마련되되, 양단이 상기 상부캡과 상기 제2중봉 하단에 고정되는 인장스프링과, 일단이 상부캡에 고정되고, 상기 중걸쇠를 경유하여 상기 제1중봉 및 제2중봉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손잡이 내부로 연장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손잡이에 마련되며, 회전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부재가 감기는 순방향으로 회전력을 갖는 회전롤과, 상기 손잡이에 마련되는 버튼부와, 상기 회전롤과 버튼부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의해서만 상기 회전롤의 역방향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손잡이 인출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인장스프링을 압축하여 우산을 접는 과정에서 압축력이 해제되더라도 상기 우산살이 펼쳐지거나 손잡이가 되튕겨져 나오지 않으므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형 자동우산{ SAFETY TYPE AUTOMATIC UMBRRELLA}
본 발명은 자동우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인장스프링을 압축하여 우산을 접는 과정에서 압축력이 해제되더라도, 상기 인장스프링의 압축력 반대방향으로 상기 우산살이 펼쳐지거나 손잡이가 되튕겨져 나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안정성을 향상시킨 안전형 자동우산에 관한 것이다.
우산은 비가 내릴때 신체가 비에 젖지 않도록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바, 일반적으로 우산대, 신체를 비로부터 보호하는 우산피복재 및 상기 우산피복재를 지지하는 우산살로 구성된다.
한편, 우산은 그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우산살을 접고 펼치는 수동우산, 손잡이에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우산살이 펴지거나 또는 접히기 까지 하는 자동우산등이 있다.
또한, 상기 자동우산의 기능에 더하여, 휴대성 및 소형화 경향에 따라, 우산대 및 우산살이 2단 또는 3단으로 접철되는 접이식 자동우산도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접이식 우산의 경우, 그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직접 2단 또는 3단으로 분리된 우산에 힘을 가하여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을 압축 시켜야했다.
이 과정에서, 우산대를 놓치는 등의 이유로 일시적으로 압축력이 해제되는 경우에, 압축된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우산살이 펼쳐지거나 손잡이가 되튕겨져 나오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큰 상해를 입히거나 인접한 물건을 크게 파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을 압축하여 우산을 접는 과정에서 압축력이 해제되더라도, 우산살이 펼쳐지거나 손잡이가 사용자를 향하여 되튕겨져 나오지 않게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형 자동우산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부캡(10)과, 상부캡(1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제1외곽살(21), 제2외곽살(23), 제3외곽살(25) 및 뻗침살(27)을 갖는 우산살(20)과, 상호 인출입 가능하게 2단 이상으로 마련되되, 일단에는 상부캡(10)이 고정되는 제1중봉(30)과 타단에는 손잡이(60)가 결합되는 제2중봉(50)을 포함하는 자동우산에 있어서, 중앙으로 제1중봉(30)이 끼워져 제1중봉(30)의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중걸쇠(70)와, 제1중봉(30) 및 제2중봉(50)의 내부를 관통하여 마련되되, 양단이 상부캡(10)과 제2중봉(50) 하단에 고정되는 인장스프링(80)과, 일단이 상부캡(10)에 고정되고, 중걸쇠(70)를 경유하여 제1중봉(30) 및 제2중봉(50)의 내부로 인입되어 손잡이(60) 내부로 연장되는 연결부재(110)와, 손잡이(60)에 마련되며, 회전스프링을 구비하여 연결부재(110)가 감기는 순방향으로 회전력을 갖는 회전롤(120)과, 손잡이(60)에 마련되는 버튼부(151)와, 회전롤(120)과 버튼부(151) 사이에 마련되되, 버튼부(151)의 작동에 의해서만 회전롤(120)의 역방향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손잡이 인출방지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걸쇠(70)와 제1중봉(30) 사이에 마련되되 중걸쇠(70)를 제1중봉(30) 일측에 고정하여 우산살이 접힌상태를 유지시키는 우산살 펼침방지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우산살 펼침방지부(100)는, 일단이 중걸쇠(7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제1중봉(30) 하단 일측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리(101)와, 제2중봉(50) 일측에 마련되어 우산의 완전 접힘상태에서 걸림고리(101)를 해제하는 걸림고리 해제부(41)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 인출방지부(130)는, 회전롤(120)의 일측에 마련되며 회전롤(120)의 순방향으로는 경사면(137)이, 영박향으로는 걸림턱(135)이 형성되어 회전롤(120)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판(131)과, 일측은 제2중봉(50)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경사면(137)을 향하여 연장되어, 회전롤(120)의 순방향 회전시 경사면(137)을 순차적으로 넘어가고, 회전롤(120)이 역방향 회전시 걸림턱(135)에 걸림되는 이동로드(133)와, 이동로드(133)의 회동 후 이동로드(133)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복원스프링(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복원스프링(140)은, 제2중봉(50)과 이동로드(133)를 둘러싸며 제 2중봉(50)에 고정되는 원형 판스프링(141)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부(151)는, 버튼부(151)와 일체로 형성되어 우산이 완전 접힘상태에서 제1중봉(30) 하단 일측에 걸림고정되어 제1중봉(30)을 손잡이(60)에 고정하는 걸림돌기(155)와, 버튼부(151)의 인입시 버튼부(151)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제2복원스프링(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로드(133)와 버튼부(151)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우산의 완전 펼침 상태에서만 버튼부(151)의 누름을 선택적으로 이동로드(133)에 전달하는 이동로드 회동부(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링형상으로 마련되어 중앙으로 제2중봉(50)이 끼움되며, 제1중봉(30)과 탄성스프링(200) 사이에서 버튼부(151) 하단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는 링형 이동로드 회동부(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중봉(30)과 제2중봉(50) 사이에 마련되는 제3중봉(40)과, 제3중봉(40) 하단 일측에 마련되되 우산이 완전 접힘 상태에서 제1중봉(30) 끝단 일측에 걸림고정된 걸림고리(101)를 제1중봉(30)에서 해제하는 걸림고리 해제부(41)를 더 포함하여 우산이 완전 접힘된 경우, 이동로드 회동부(153)가 걸림고리 해제부(41)에 의해 회동되어 이동로드(133)에서 이격됨으로써, 버튼부(151)가 눌러져도 이동로드(133)의 회동이 수행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중봉(50)에 삽입되어, 우산살만 접힌 중간접힘 상태에서 완전접힘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버튼부(151)가 눌림으로써 이동로드 회동부(153)가 이동로드(133)를 회동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로드 회동 방지부(210)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로드 회동 방지부(210)는, 제2중봉(50)에 삽입되는 본체(211)와, 일단이 본체(211)에 고정된 채로 이동로드 회동부(153)와 이동로드(133) 사이로 연장되며 제2중봉(50)의 외부로 돌출된 제1돌기(213) 및 이동로드 회동부(153)에 대응하게 마련되어 제2중봉(50) 내외부로 인출입되는 제2돌기(214)를 갖는 연장부(215)와, 우산을 중간접힘 상태에서 완전접힘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제1돌기(213)에 작용하는 제3중봉(40)의 가압력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제5복원스프링(217)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로드 회동부(153)가 접촉하는 제2돌기(214)의 접촉부에는, 이동로드 회동부가(153) 제2돌기(214)를 가압하여 이동로드(133)를 회동하는 과정에서 제5복원스프링(217)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이동로드(133)를 회동시키지 못한 채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스프링을 압축시키는 과정에서 압축력이 해제되더라도, 우산살이 펼쳐지거나 손잡이가 되튕겨져 나오지 않아 사용자의 안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장스프링을 압축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기타 압력에 의해 버튼부가 눌려지더라도 버튼부의 눌림이 이동로드로 전달되지 않아 우산살이 펼쳐지거나 손잡이가 되튕겨져 나올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인장스프링을 한번에 압축하여 고정할 필요 없이, 압축하는 데 필요한 힘을 분산하여 점진적으로 조금씩 압축할 수 있어, 힘이 약한 노약자, 여성 및 어린이들도 범용적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최적화된 구성을 손잡이에 집약적으로 마련함으로써, 생상비용이 절감되고, 손잡이의 크기를 최대한으로 줄여 우산의 사용이 용이할 뿐 아니라 심미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자동우산(1)은 편의상 제1중봉(30), 제2중봉(50) 및 제3중봉(40)으로 구성되는 3단형 안전형 자동우산(1)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2단 안전형 자동우산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자동우산(1)의 우산살만 접힌 중간접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는 우산의 완전 접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우산살(20)의 완전 펼침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안전형 자동우산(1)의 각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중간 접힘상태는, 우산을 사용한 후 우산을 완전 펼침상태에서 완전 접힙상태로 초기화 하기위한 중간 상태로서, 인장스프링(80)의 탄성력은 최소인 상태이며, 연결부재(110)가 최장으로 연장된 상태이다.
도 3에 도시된 완전 접힘상태는, 상기 중간 접힘상태에서 인장스프링(80)을 가압하여 제3중봉(40) 및 제2중봉(50)이 제1중봉(3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손잡이(60)에 고정되고, 제3중봉(40) 및 제2중봉(50)이 제1중봉(30)에 인입된 이동길이에 대응하여 연결부재(110)가 회전롤(120)에 감겨져 있는 상태이다.
도 5에 도시된 완전 펼침상태는, 상기 완전 접힘상태에서 고정이 해제되어 인장스프링(80)의 탄성력에 의해 우산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이고, 중걸쇠(70)가 제1중봉(30)의 상단으로 위치이동한 길이에 대응하여 연결부재(110)가 회전롤(120)에 감겨져 있는 상태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자동우산(1)은, 상부캡(10), 우산살(20), 제1중봉(30), 제3중봉(40), 제2중봉(50), 손잡이(60), 중걸쇠(70), 인장스프링(80), 우산살 펼침방지부(100), 연결부재(110), 회전롤(120), 손잡이 인출방지부(130)를 포함한다.
우산살(20)은 제1외곽살(21), 제2외곽살(23), 제3외곽살(25) 및 뻗침살(27)을 포함한다.
여기서, 우산살(20)은 제1외곽살(21), 제2외곽살(23), 제3외곽살(25), 뻗침살(27) 및 중걸쇠(70)가 우산피복재(미도시)의 저면을 지지하는 우산살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제1외곽살(21)은 일단이 상부캡(10) 외주연에 힌지결합되어 상부캡(1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진다.
제1외곽살(21)의 타단에서는 제2외곽살(23) 및 제3외곽살(25)이 순차적으로 힌지결합되고, 상부캡(1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진다.
제1외곽살(21) 내지 제3외곽살(25)은 우산피복재(미도시)의 저면부를 지지 고정한다.
뻗침살(27)은 일단이 제1외곽살(21)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중걸쇠(70)의 외주연에 힌지결합된다.
이에, 우산이 완전 접힘상태에서 완전 펼침상태로 작동되는 경우, 중걸쇠(70)가 상부캡(10)을 향하여 이동되면서 중걸쇠(70)에 결합된 뻗침살(27)이 밀려올라가 상호 힌지결합된 제1외곽살(21), 제2외곽살(23), 제3외곽살(25)을 펼치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상기 우산살(20)이 힌지결합되는 방법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중봉은 상호 인출입 되는 2단 또는 3단으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는 상부캡(10)이 고정되는 제1중봉(30), 타단에 손잡이(60)가 결합되는 제2중봉(50) 및 제1중봉(30)과 제2중봉(50) 사이에 마련되는 제3중봉(40)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중봉(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는 상부캡(10)이 고정되고, 내측에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상으로 마련된다.
제1중봉(30)은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들어,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3중봉(40) 및 제2중봉(50)은 각각 순차적으로 제1중봉(30)의 하단 개구와, 제3중봉(40)의 하단 개구를 통하여 내외부로 인출입된다.
여기서, 제3중봉(40) 및 제2중봉(50)은 수용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제1중봉(30)의 내외부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제1중봉(30)에 대응하는 단면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중봉(50)은 하단에 손잡이(60)가 장착된다.
여기서, 제1중봉(30), 제3중봉(40) 및 제2중봉(50)은 다양한 재질로 마련가능한 바, 예를들어, 알루미늄이 사용될 수 있다.
중걸쇠(70)는 중앙으로 제1중봉(30)이 끼워져 제1중봉(30)의 상하로 슬라이딩된다.
중걸쇠(70)는 제1중봉(30)의 상하로 슬라이딩되되, 중걸쇠(70)가 제1중봉(30)의 상부로 슬라이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걸쇠(70)에 힌지결합된 뻗침살(27)이 제1외곽살(21)을 밀어올려 우산살(20)이 완전히 펼쳐지게 된다.
또한, 안전형 자동우산(1)의 완전 접힘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걸쇠(70)가 제1중봉(30)의 하단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중걸쇠(70)에 힌지결합된 뻗침살(27)이 제1외곽살(21)을 끌어 내려 우산살(20)이 접혀지게 된다.
인장스프링(80)은 제1중봉(30), 제3중봉(40) 및 제2중봉(50)의 내부를 관통하여 마련되되, 양단이 상부캡(10)과 제2중봉(50) 하단에 고정된다.
인장스프링(8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이 큰 하나의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단면 직경이 작고 탄성력이 작은 복수개의 코일스프링이 장착될 수도 있다.
인장스프링(8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형 자동우산(1)의 중간 접힘상태 및 완전 펼침상태에서는 최소의 탄성력을 가지며, 도 3에 도시된 안전형 자동우산(1)의 완전 접힘상태에서 최대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연결부재(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부캡(10)에 고정되고, 중걸쇠(70)를 경유하여 제1중봉(30), 제3중봉(40) 및 제2중봉(50)의 내부로 인입되어 손잡이(60) 내부로 연장된다.
연결부재(110)는 상부캡(10)과 후술할 회전롤(120) 사이에 고정되어, 각각 상호 내외부로 인출입되는 제1중봉(30), 제3중봉(40) 및 제2중봉(50)을 인장스프링(80)에 대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연결부재(110)의 길이는 자동우산의 접힘 및 펼침 동작을 수행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되므로, 도 1에 안전형 자동우산(1)의 정상상태를 기준으로 정확한 길이로 마련되어야 한다.
연결부재(110)의 길이가 기준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결부재(110)가 느슨하게 풀리게 되어, 자동우산이 펼쳐지고 접혀지는데 필요한 각 구성의 상대적 작용이 불가능하여 우산이 자동으로 펼쳐지고 접혀지지 않게 된다.
연결부재(110)가 중걸쇠(70)를 경유하여 손잡이(60) 내부로 연장되는 방법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철사등을 사용하여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도르래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110)는 인장스프링(80)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압축력이 해제되는 경우, 우산살(20)과 손잡이(60)가 인장스프링(80)에 가압되는 압축력의 반 대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핵심구성으로 작용되므로, 연결부재(110)의 이동시 마찰저항을 적게하여 쉽게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도르래(161)와 움직도르래(163)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부캡(10) 하단 및 회전롤(120) 상부 일측에는, 연결부재(110)가 제1제2중봉(30), 제3중봉(40) 및 제2중봉(50) 내부에서 엉키거나 인장스프링(80)에 끼이지 않도록 안내도르래(16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재(110)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쉽게 끊어지거나 늘어나지 않는 낚시줄이나 여러겹이 꼬여져 마련되는 나일론실이 사용될 수 있다.
연결부재(110)를 상부캡(10)과 회전롤(120)에 고정하는 방법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마련될 수 있는 바, 체결공(미도시)을 형성하여 연결부재(110)를 내측으로 인입한 후 매듭을 지어 고정할 수 있다.
회전롤(120)은 손잡이(6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회전스프링(미도시)을 구비하여 연결부재(110)가 감기는 순방향으로 회전력을 갖는다.
따라서, 안전형 자동우산(1)의 중간 접힘상태에서 상부캡(10)을 향하여 손잡이(60)를 가압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롤(120)이 연결부재(110)가 감기는 순방향(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장스프링(80)의 압축거리만큼 연결부재(110)를 감게 된다.
여기서, 회전스프링(미도시)은 공지된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들어, 달팽이관과 같이 원형(예를들어, 줄자를 잡아 당겼다가 놓았을때 원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스프링)으로 말려있는 회전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60)는 제2중봉(50) 하단에 마련된다.
손잡이(60)는 공지된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 가능한 바, 후술할 구성에 적합하도록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60) 내부에는, 손잡이(60) 내외부로 인출입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버튼부(151)와, 버튼부(151)와 일체로 형성되어 우산이 완전 압축되는 경우, 제1중봉(30) 하단 일측에 걸림고정되어 제1중봉(30)을 손잡이(60)에 고정하는 걸림돌기(155)와, 버튼부(151)의 인입시 버튼부(151)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제2복원스프링(170)이 마련될 수 있다.
버튼부(15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손잡이(60) 외부로 돌출되어, 우산의 펼침 및 접힘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되며, 타측은 손잡이(60) 내외부로 인출입 가능하게 마련된다.
버튼부(15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이 손잡이(60) 내외부로 인출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바, 손잡이(60)에 대응하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마련되고 버튼부(151) 중앙에는 제2중봉(50)이 고정된다.
버튼부(151)는 인입시 버튼부(151)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제2복원스프링(170)이 마련된다.
제2복원스프링(17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151) 타측과 손잡이(6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걸림돌기(155)는 버튼부(151)와 일체로 형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이 완전히 압축되는 경우, 제1중봉(30) 하단 일측에 걸림고정되어 제1중봉(30)을 손잡이(60)에 고정한다.
걸림돌기(155)는 제1중봉(30) 하단 일측에 마련되는 제1관통공(31)에 걸림고정된다.
걸림돌기(155)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이 완전히 압축된 상태에서 제1중봉(30)에 끼움고정되고, 버튼부(151)를 가압하는 경우에는 제1중봉(30)에서 완전히 해제된다.
손잡이 인출방지부(130)는, 회전롤(120) 일측에 회전롤(120)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도록 마련되어, 인장스프링(80)을 압축하는 과정에서 압축력이 해제되는 경우, 연결부재(110)가 풀리면서 인장스프링(80)에 의해 손잡이(60)가 상부캡(10)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손잡이 인출방지부(130)는, 경사면(137)과 걸림턱(135)이 형성된 회전판(131), 이동로드(133) 및 제1복원스프링(140)으로 마련될 수 있다.
회전판(13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롤(120) 일측에 마련된다.
회전판(13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롤(120)과 일체로 회전되며, 회전롤(120)의 순방향으로는 경사면(137)이, 역방향으로는 걸림턱(135)이 마련된다.
경사면(137)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롤(120)의 순회전 방향으로 하향경사면으로 마련된다.
경사면(137)과 경사면 사이(즉, 경사면(137)이 시작되는 부분과 이웃한 경사면(137)이 끝나는 부분)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걸림턱(135)이 형성된다.
걸림턱(135)은 후술할 이동로드(133)가 걸림되어 회전롤(120)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한다.
걸림턱(135)은 회전롤(120)의 역회전시, 이동로드(133)가 걸림턱(135)을 넘어가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충분한 깊이로 마련될 수 있다.
걸림턱(135)이 형성되는 개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바, 걸림턱(135)을 촘촘히 마련하는 경우에는, 인장스프링(80)을 가압하는데 힘이 부족한 사용자(특히, 여성과 어린이)가 점진적으로 힘을 분산하여 가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경사면(137)과 걸림턱(135)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동로드(133)는 일측이 제2중봉(50)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경사면(137)을 향하여 연장되어, 회전롤(120)의 순방향 회전시 경사면(137)을 순차적으로 넘어가고, 회전롤(120)이 역방향 회전시 걸림턱(135)에 걸림된다.
이동로드(133)는,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중봉(50)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일측은 제2중봉(50) 하단에 마련되는 제2관통공(51)에 인입되고, 타측은 경사면(137)을 향하여 연장되어 걸림턱(135)에 걸림된다.
따라서, 인장스프링(80)을 압축하는 과정에서 압축력이 해제되더라도, 이동로드(133)가 걸림턱(135)에 걸림고정됨으로써 회전롤(120)의 역회전을 방지하여 연결부재(110)가 풀리지 않고 고정되어 인장스프링(80)의 탄성에너지로부터 우산살(20)이 펼쳐지는 것과 손잡이(60)가 되튕겨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동로드(133)는 회전롤(120)의 순방향 회전시 경사면을 타고넘되, 회전롤(120)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걸림턱(135)에 걸림되어야 한다.
이에, 이동로드(133)는 이동로드(133)의 회동 후 이동로드(133)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복원스프링(140)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복원스프링(140)은 이동로드(133)를 초기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마련되는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중봉(50)과 이동로드(133)를 둘러싸며 제2중봉(50)에 고정되는 원형 판스프링(141)으로 마련될 수 있다.
원형 판스프링(141)은 공지된 다양한 종류와 방법을 통하여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일측 단부가 제2중봉(50)에 먼저 끼움결합되고, 이동로드(133) 및 제2중봉(50)을 둘러싼 후 타측 단부를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동로드(1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로드 회동부(153)에 의해 누름됨으로써 이동로드(133)가 회동되어 걸림턱(135)에서 해제된다.
이동로드 회동부(153)는 버튼부(151)와 이동로드(133)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동로드 회동부(153)는, 우산이 완전 압축되는 과정에서 제3중봉(40)에 마련된 걸림고리 해제부(41)에 의해 회동되어 이동로드(133)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버튼부(151)가 눌러져도 이동로드(133)의 회동이 수행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이동로드 회동부(153)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의 완전 압축상태에서는 걸림고리 해제부(41)에 의해 회동되므로 버튼부(151)를 눌러도 이동 로드(133)를 회동시킬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이동로드 회동부(153)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고리 해제부(41)와 버튼부(151)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유지되어야 한다.
걸림고리 해제부(41)와 버튼부(151) 사이에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버튼부(151)를 가압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억지 가압하더라도 제1중봉(30)에 걸림된 걸림돌기(155)를 해제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걸림돌기(155)가 제1중봉(30)에서 완전히 이탈될 수 있는 거리에 대응하여 걸림고리 해제부(41)와 버튼부(151) 사이에 소정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동로드 회동부(153)는 버튼부(151) 하단에 마련되되,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이 완전 압축상태에서는 이동로드 회동부(153)가 뒤로 젖혀지고, 휴대상태에서 사용상태로 전환한 경우에는 이동로드(133)를 회동시킬 수 있는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제3복원스프링(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안전형 자동우산(1)이 완전압축되는 경우, 걸림고리 해제부(41)에 의해 회동되어 버튼부(151)를 눌러도 이동로드 회동부(153)에 의해 이동로드(133)가 회동되지 않게 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151)를 가압하여 안전형 자동우산(1)이 완전 펼침상태로 전환된 경우에는 제3복원스프링(180)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되어, 이동로드(133)를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동로드 회동부(153)는 안전형 자동우산(1)이 완전 펼침상태에서 중간 접힘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에서만 버튼부(151)의 누름을 선택적으로 이동로드(133)에 전달하여 이동로드(133)를 회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이동로드 회동부(153)의 형상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이동로드 회동부(153)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링형 이동로드 회동부(154)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으로 제2중봉(50)이 끼움되고, 탄성스프링(200)에 의해 버튼부(151) 하단에서 소정거리 압축 및 인장되며 버튼부(151)의 누름을 선택적으로 이동로드(133)에 전달한다.
링형 이동로드 회동부(15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의 중간 접힘상태에서 완전 접힘상태로 전환될때, 제3중봉(4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탄성스프링(200)이 압축되며 이동로드(133)측으로 소정거리 이동하되 후술할 이동로드 눌림 방지홈(159)에 대응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때, 이동로드(13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 이동로드 회동부(154) 일측에 마련되는 이동로드 수용홈(158)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안전형 자동우산(1)의 이동로드 회동부(153)가 링형 이동로드 회동부(154)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링형 이동로드 회동부(154)에 대응하여 도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버튼부(151`)가 마련될 수 있다.
버튼부(151`)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60) 내측을 향하여 계단형으로 마련되되, 이동로드(133) 측으로는 링형 이동로드 회동부(154)가 인출입 가능한 눌림 방지홈(159)이 마련되고, 이동로드(133)의 반대방향으로는 가압턱(157)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우산을 완전 펼침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버튼부(151`)를 가압하여도 이 동로드(133)가 삽입된 링형 이동로드 회동부(154)가 버튼부(151`)의 눌림방지홈(159)에 삽입됨으로써 이동로드(133)를 회동 시키지 않고 우산을 완전히 펼침상태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우산이 완전 펼침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 이동로드 회동부(154)를 가압하던 제3중봉(40)의 가압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압축된 탄성스프링(200)이 인장되어 링형 이동로드 회동부(154)가 버튼부(151`)의 가압턱(157)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우산을 완전펼침상태에서 중간접힘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버튼부(151`)를 가압하는 경우, 가압턱(157)에 의해 링형 이동로드 회동부(154)가 눌림되어 이동로드(133)를 회동시켜 우산을 중간접힘상태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손잡이 인출방지부(130)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중봉(50)에 삽입되어, 우산살(20)만 접힌 중간접힘 상태에서 완전접힘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버튼부(151)가 눌림으로써 이동로드 회동부(153)가 이동로드(133)를 회동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로드 회동 방지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안전형 자동우산(1)은 우산을 압축하는 과정에서 압축력이 해제되더라도 손잡이(60) 및 우산살(20)이 되튕겨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그러나, 우산의 중간 접힘상태에서 완전 접힘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에서, 사용자 또는 기타 압력에 의해 버튼부(151)가 눌림되는 경우, 고정된 회전롤(120)이 역회전되어 손잡이(60) 및 우산살(20)이 되튕겨져 나올 수 있으므로, 본원발명에 따른 안전형 자동우산(1)은 이동로드 회동 방지부(210)를 더 포함하므로써 안정성을 더욱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이에, 이동로드 회동 방지부(210)는, 본체(211)와, 제1돌기(213) 및 제2돌기(214)를 갖는 연장부(215)와, 제5복원스프링(217)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21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중봉(50)에 삽입된다.
본체(211)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2 원통(211a)(211b)과, 제1,2 원통(211a)(211b) 사이에 구비되어 연결된 연결대(212)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2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원통(211a)에 일측이 고정된 채로 이동로드 회동부(153)와 이동로드(133) 사이로 연장되는 연장부(215)를 포함한다.
본체(2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을 중간접힘상태에서 완전접힘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후술할 제1돌기(213)에 작용하는 제3중봉(40)의 가압력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제5복원스프링(217)에 고정 결합된다.
연장부(215)는 일측이 제1원통(211a)에 고정되나 타측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므로 우산의 작동 과정에서 상하로 회동될 수 있다.
연장부(215)는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15) 끝단이 이동로드 회동부(153)와 이동로드(133) 사이를 선택적으로 인출입된다.
연장부(215)는 제2중봉(50)의 외부로 돌출된 제1돌기(213) 및 이동로드 회동부(153)에 대응하게 마련되어 제2중봉(50) 내외부로 인출입되는 제2돌기(214)를 포 함한다.
제1돌기(213)는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중봉(5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제2중봉(50)의 제1절개홈(53) 사이에서 위치이동 된다.
즉, 제1돌기(213)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을 완전 접힘상태로 전환할때 제1돌기(213)가 제3중봉(40)에 걸림되어 밀려서 제1절개홈(53)에서 이동로드(133)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돌기(214)는 연장부(215)에 제1돌기(213)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된다.
제2돌기(214)는 제2중봉(50)의 내외부로 인출입되되,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을 완전 접힘상태로 전환될때, 연장부(215)가 이동로드 회동부(153)와 이동로드(133) 사이로 인입되면서 제2절개홈(55)으로 인출되고, 우산을 완전펼침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로드 회동부(153)가 회동되면서 제2돌기(214)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제5복원스프링(217)의 탄성력은 제2돌기(214)가 제2중봉(50)에서 인출되어 제2절개홈(55)에 걸림됨으로써 고정된다.
여기서,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개홈(53)은 제1돌기(213)가 제3중봉(40)에 걸림되어 밀려 이동하되, 제2돌기(214)가 제2절개홈(55)에 인출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가지며, 제2절개홈(55)은 제2돌기(214)가 인출입 가능하게 제2돌기(214)에 대응하는 길이로 마련된다.
제2돌기(214)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이동로드 회동부(153) 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로드 회동부(153)가 접촉하는 제2돌기(214)의 접촉부에는,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로드 회동부가(153) 제2돌기(214)를 가압하여 이동로드(133)를 회동하는 과정에서 제5복원스프링(217)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이동로드(133)를 회동시키지 못한 채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방지부(220)는 이동로드 회동부(153)가 제2돌기(214)를 가압하면 제2돌기(214) 하단에 접촉된 이동로드(133)가 회동되는 데, 이동로드 회동부(153)가 제2돌기(214)를 가압하는 순간 이동로드 회동 방지부(210)는 제5복원스프링(217)의 압축된 탄성력에 의해 이동로드(133)를 회동시키지 못하고 튕겨져 나갈 수 있으므로,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로드 회동부(153)에 걸림되어 압축된 탄성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동로드 회동 방지부(22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동로드 회동 방지부(220)는 우산을 완전 접힘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중봉(40)이 제1돌기(213)를 가압함으로써 연장부(215)가 이동로드 회동부(153)와 이동로드(133) 사이에 위치 되면서 제2돌기(214)가 제2절개홈(55)에 돌출된다.
여기서, 이동로드 회동부(153)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로 젖혀져 회동된 상태이므로 버튼부(151)를 가압하여도 이동로드(133)를 회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우산이 완전히 접힘상태에서 완전 펼침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버튼 부(151)를 가압하면, 제1중봉(30)이 걸림턱(135)에서 빠지며 압축된 인장스프링(80)에 의해 우산이 완전히 펼쳐지게 되고, 이동로드 회동 방지부(220)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로드 회동부(153), 제2돌기(214) 및 이동로드(133)가 같은 축선 상에 놓이게 된다.
다음, 우산의 완전 펼침상태에서 중간 접힘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버튼부(151)를 가압하게 되면, 이동로드 회동부(153)가 제2돌기(214)를 가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연장부(215) 끝단이 이동로드(133)를 가압 회동시켜 우산이 중간접힘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이때, 이동로드 회동 방지부(210)는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된 제5복원스프링(217)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 올라가게 되고, 제2돌기(214)는 제2중봉(50) 하부로 인입되면서 연장부(215) 끝단이 이동로드(133)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우산을 압축하는 과정에서 버튼부(151)가 가압되어도 이동로드 회동부(153)는 이동로드(133)를 회동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우산을 압축하는 과정에서 타 압력에 의해 버튼부(151)가 눌려지더라도 상기 버튼부의 눌림이 이동로드(133)로 전달될 수 없어 우산의 안정성을 완전하게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우산살 펼침방지부(100)는 중걸쇠(70)와 제1중봉(30) 사이에 마련되어 인장스프링(80)을 압축하는 과정에서 압축력이 해제되는 경우, 중걸쇠(70)가 상부캡(10)을 향하여 이동되어 우산살(20)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우산살 펼침방지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중걸쇠(7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제1중봉(30) 하단 일측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리(101)로 마련될 수 있다.
걸림고리(101)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103)에 걸림고정된 걸림고리(101)의 타측을 제4복원스프링(190)이 가압하게 마련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외부 압력에서도 걸림고리(101)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제1중봉(30) 하단 일측에는 걸림고리(101)가 걸림고정되는 고정홈(103)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홈(103)은 걸림돌기(155)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되, 제1중봉(30) 하단에서 상부를 향하여 소정길이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걸림고리(10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을 정상상태에서 휴대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인장스프링(80)을 압축하는 경우, 제3중봉(40) 하단 일측에 마련되는 걸림고리 해제부(41)에 의해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걸림돌기 해제부(4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중봉(40) 하단 일측에 걸림고리(101)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걸림고리(101)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상태에서 사용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걸림돌기 해제부(41)에 의해 걸림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걸림고리(101)는, 도 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형 자동우산(1)의 휴대상태와 사용상태에서는 고정홈(103)에서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형 자동우산(1)을 사용상태에서 정상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만 고정홈(103)에 걸림고정된다.
따라서, 안전형 자동우산(1)을 정상상태에서 휴대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인장스프링(80)을 압축하는 경우, 사용자가 우산살(20)측의 압축력을 해제하더라도 걸림고리(101)에 의해 중걸쇠(70)가 제1중봉(30) 하단에 고정되므로 중걸쇠(70)가 상부캡(10)을 향하여 이동되지 않아 우산살(20)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구성에 의한 안전형 자동우산(1)의 펼쳐지고 졉혀지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접힘상태에서 완전접힘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인장스프링(80)을 압축하되, 상부캡(10) 및 손잡이(60)를 제3중봉(40)의 중심부를 향하여 가압한다.
이때, 중걸쇠(70) 일측에 마련된 우산살 펼침방지부(100)는 제1중봉(30) 하단에 걸림고정된 상태로 제3중봉(40)이 제1중봉(30)의 내부로 인입되게 되며, 동시에, 하단에 손잡이(60)가 마련된 제2중봉(50)이 제3중봉(40)의 내부로 인입되게 된다.
중걸쇠(70)는 우산살 펼침방지부(100)에 의해 제1중봉(3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중걸쇠(70)를 경유하여 내부로 인입되는 연결부재(110)의 길이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제3중봉(40)과 제2중봉(50)이 각각 제1중봉(30)에 인입되는 이동되는 길이만큼 연결부재(110)가 회전롤(120)에 감기게 된다.
이때, 제1중봉(30)과 손잡이(60)는 각각 제3중봉(40)의 중심 반대방향(인장스프링을 가압하는 반대방향)으로 인출되려는 탄성에너지를 받게 된다.
여기서, 회전롤(120)이 역회전 하는 경우에는 연결부재(110)가 풀리며 제1중봉(30)과 손잡이(60)가 인장스프링(80)을 가압하는 반대방향으로 되튕겨져 나가게 되는데, 회전롤(120) 일측에 마련된 이동로드(133)가 회전롤(120)의 순방향으로는 경사면(137)을 타고 넘어가되 역회전하는 경우에는 걸림턱(135)에 걸림되게 마련된다.
따라서, 제1중봉(30) 및 손잡이(60)는 연결부재(110)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인장스프링(80)을 가압하던 압축력이 해제되더라도 제1중봉(30) 및 손잡이(60)가 인장스프링(80)의 탄성에너지에 의해 인출되지 않게되어 우산살(20) 및 손잡이(60)가 사용자를 향하여 되튕겨져 나오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중봉(30)과 손잡이(60)를 계속적으로 압축시키게 되면 제3중봉(40)과 제2중봉(50)이 제1중봉(30)에 인입되는 길이만큼 연결부재(110)가 회전롤에 감기게 되며, 제1관통공(31)이 걸림돌기(155)에 고정된다.
이때, 제3중봉(40)에 마련된 걸림고리 해제부(4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고리(101)를 고정홈(103)에서 해제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이동로드 회동부(153)를 회동시켜 이동로드(133)로 부터 이격시키게 되며, 안전형 자동우산(1)의 휴대상태로 전환이 완료하게 된다.
다음으로, 안전형 자동우산(1)을 완전 접힘상태에서 완전 펼침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형 자동우산(1)의 휴대상태에서는 인장스프링(80)이 최대 탄성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며, 제1관통공(31)에 걸림고정된 걸림돌기(155)에 의해 휴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우산을 사용하기 위해, 버튼부(151)를 눌러 걸림돌기(155)를 제1관통공(31)에서 해제하는 경우, 압축된 인장스프링(80)의 탄성에너지에 의해 제1중봉(30) 및 제3중봉(40)이 제2중봉(50)으로부터 인출되어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로드 회동부(153)는 걸림고리 해제부(41)에 의해 회동된 상태이므로, 버튼부(151)를 가압하여도 이동로드(133)는 걸림턱(135)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회전롤(120)에는 연결부재(110)가 풀리지 않은 상태로 감겨져 있게 된다.
따라서, 중걸쇠(70)를 경유하여 상부캡(10)에 고정된 연결부재(110)에 의해 중걸쇠(70)를 제1중봉(3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고, 중걸쇠(70)가 제1중봉(30)의 상단에 이동하며 중걸쇠(70)에 결합된 뻗침살(27)이 밀려올라가며 우산살(20)을 펼쳐 완전 펼침상태로 전환 되게 된다.
이때, 걸림고리 해제부(41)에 의해 회동된 이동로드 회동부(153)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로드(133)를 향하여 초기상태로 복귀되어 이동로드(133)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어 안전형 자동우산(1)의 완전 펼침상태에서 중간접힘상태로의 전환을 준비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버튼부(151)를 눌러 이동로드 회동부(153)를 작동시키게 되면, 회전롤(120)에 감겨있던 연결부재(110)가 풀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부캡(10)과 회전롤(120) 사이에 고정된 연결부재(110)의 균형이 잃게된다.
이때, 제1외곽살(21)과 뻗침살(27) 사이에 마련된 압축스프링(90)의 압축력에 의해 우산살(20)이 접히게 되고, 뻗침살(27)에 결합된 중걸쇠(70)가 제1중봉(30)의 하부로 끌어내려져 걸림고리(101)가 제1관통공(31)에 고정되어 안전형 자동우산(1)의 중간접힘 상태로의 전환이 완료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자동우산의 우산살만이 접혀진 중간접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자동우산의 손잡이를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자동우산의 인장스프링이 압축되어 고정된 완전 접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자동우산의 손잡이 인출방지부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자동우산이 완전히 펼쳐진 완전 펼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자동우산의 이동로드 회동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자동우산의 이동로드 회동 방지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자동우산의 이동로드 회동 방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자동우산의 이동로드 회동방지부 작동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안전형 자동우산:1,
상부캡: 10, 우산살: 20,
제1외곽살: 21, 제2외곽살: 23,
제3외곽살: 25, 뻗침살: 27,
제1중봉:30, 제1관통공: 31,
제3중봉:40, 걸림고리 해제부:41,
제2중봉:50, 제2관통공:51,
제1절개홈: 53, 제2절개홈: 55,
손잡이:60, 중걸쇠:70,
인장스프링: 80, 압축스프링: 90,
우산살 펼침방지부:100, 걸림고리: 101,
고정홈:103, 연결부재:110,
회전롤:120, 손잡이 인출방지부: 130,
회전판: 131, 이동로드: 133,
걸림턱: 135, 경사면: 137,
제1복원스프링:140, 원형판스프링: 141,
버튼부:151,151` , 이동로드 회동부:153,
링형 이동로드 회동부: 154 가압턱: 157,
이동로드 수용홈: 158, 눌림방지홈: 159,
걸림돌기: 155, 고정도르래:161,
움직도르래: 163, 안내도르래: 165,
제2복원스프링: 170, 제3복원스프링 : 180,
제4복원스프링 : 190, 탄성스프링 : 200,
이동로드 회동방지부 : 210, 본체: 211,
제1원통: 211a 제2원통: 211b,
연결대: 212, 제1돌기 : 213,
제2돌기: 214, 연장부: 215,
제5복원스프링 : 217 이동방지부: 220.

Claims (12)

  1.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제1외곽살, 제2외곽살, 제3외곽살 및 뻗침살을 갖는 우산살과, 상호 인출입 가능하게 2단 이상으로 마련되되, 일단에는 상기 상부캡이 고정되는 제1중봉과 타단에는 손잡이가 결합되는 제2중봉을 포함하는 자동우산에 있어서,
    중앙으로 상기 제1중봉이 끼워져 상기 제1중봉의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중걸쇠와;
    상기 제1중봉 및 제2중봉의 내부를 관통하여 마련되되, 양단이 상기 상부캡과 상기 제2중봉 하단에 고정되는 인장스프링과;
    일단이 상부캡에 고정되고, 상기 중걸쇠를 경유하여 상기 제1중봉 및 제2중봉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손잡이 내부로 연장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손잡이에 마련되며, 회전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부재가 감기는 순방향으로 회전력을 갖는 회전롤과;
    상기 손잡이에 마련되는 버튼부와;
    상기 회전롤과 버튼부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의해서만 상기 회전롤의 역방향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손잡이 인출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자동우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걸쇠와 상기 제1중봉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중걸쇠를 상기 제1중봉 일측에 고정하여 상기 우산살이 접힌상태를 유지시키는 우산살 펼침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자동우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살 펼침방지부는, 일단이 상기 중걸쇠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중봉 하단 일측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리와, 상기 제2중봉 일측에 마련되어 우산의 완전 접힘상태에서 상기 걸림고리를 해제하는 걸림고리 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자동우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인출방지부는, 상기 회전롤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롤의 순방향으로는 경사면이, 영박향으로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롤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판과, 일측은 상기 제2중봉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경사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회전롤의 순방향 회전시 상기 경사면을 순차적으로 넘어가고, 상기 회전롤이 역방향 회전시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이동로드와, 상기 이동로드의 회동 후 상기 이동로드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자동우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원스프링은, 상기 제2중봉과 이동로드를 둘러싸며 상기 제2중봉에 고정되는 원형 판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자동우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버튼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우산이 완전 접힘상태에서 상기 제1중봉 하단 일측에 걸림고정되어 상기 제1중봉을 상기 손잡이에 고정하는 걸림돌기와, 상기 버튼부의 인입시 상기 버튼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제2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자동우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드와 버튼부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우산이 완전 펼침 상태에서만 상기 버튼부의 누름을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로드에 전달하는 이동로드 회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자동우산.
  8. 제4항에 있어서,
    링형상으로 마련되어 중앙으로 상기 제2중봉이 끼움되며, 상기 제1중봉과 탄성스프링 사이에서 상기 버튼부 하단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는 링형 이동로드 회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자동우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봉과 제2중봉 사이에 마련되는 제3중봉과, 상기 제3중봉 하단 일측에 마련되되 우산이 완전 접힘 상태에서 상기 제1중봉 끝단 일측에 걸림고정된 상기 걸림고리를 상기 제1중봉에서 해제하는 걸림고리 해제부를 더 포함하여, 우산이 완전 접힘된 경우 상기 이동로드 회동부가 상기 걸림고리 해제부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이동로드에서 이격됨으로써 상기 버튼부가 눌러져도 상기 이동로드의 회동이 수행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자동우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봉에 삽입되어 우산살만 접힌 중간접힘 상태에서 완전접힘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상기 버튼부가 눌림으로써 상기 이동로드 회동부가 상기 이동로드를 회동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로드 회동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자동우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드 회동 방지부는, 제2중봉에 삽입되는 본체와, 일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된 채로 상기 이동로드 회동부와 이동로드 사이로 연장되며 상기 제2중봉의 외부로 돌출된 제1돌기 및 상기 이동로드 회동부에 대응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2중봉 내외부로 인출입되는 제2돌기를 갖는 연장부와, 우산을 중간접힘 상태에서 완전접힘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돌기에 작용하는 상기 제3중봉의 가압력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제5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 전형 자동우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드 회동부가 접촉하는 상기 제2돌기의 접촉부에는, 상기 이동로드 회동부가 상기 제2돌기를 가압하여 이동로드를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5복원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상기 이동로드를 회동시키지 못한 채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자동우산.
KR1020090083311A 2009-09-04 2009-09-04 안전형 자동우산 KR20110025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311A KR20110025312A (ko) 2009-09-04 2009-09-04 안전형 자동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311A KR20110025312A (ko) 2009-09-04 2009-09-04 안전형 자동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312A true KR20110025312A (ko) 2011-03-10

Family

ID=43932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311A KR20110025312A (ko) 2009-09-04 2009-09-04 안전형 자동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531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473B1 (ko) * 2011-11-11 2013-04-16 김창원 접힘 시 펼침을 방지하는 안전형 자동우산
WO2014030970A2 (ko) * 2012-08-23 2014-02-27 Lee Boo Il 우산
KR101595890B1 (ko) * 2014-11-12 2016-03-07 김진호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473B1 (ko) * 2011-11-11 2013-04-16 김창원 접힘 시 펼침을 방지하는 안전형 자동우산
WO2014030970A2 (ko) * 2012-08-23 2014-02-27 Lee Boo Il 우산
WO2014030970A3 (ko) * 2012-08-23 2014-05-08 Lee Boo Il 우산
KR101595890B1 (ko) * 2014-11-12 2016-03-07 김진호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825B1 (ko) 우산살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US8522805B2 (en) Structure of self-opening/closing umbrella
CA2015959C (en) Lightly-operating automatic umbrella for preventing false operation
KR20110025312A (ko) 안전형 자동우산
US8161988B2 (en) Central shaft control structure of self-opening/closing umbrella
US20040129304A1 (en) Automatic folding umbrella
US5036872A (en) Self-opening and self-closing umbrella
KR101012349B1 (ko)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KR200437933Y1 (ko) 자동 우산
KR101255473B1 (ko) 접힘 시 펼침을 방지하는 안전형 자동우산
KR200437932Y1 (ko) 자동우산
US20110048479A1 (en) Control structure for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umbrella
KR200432922Y1 (ko) 자동우산
JP3213849U (ja) 自動折り畳み傘の弾性緩衝構造
KR200465105Y1 (ko) 자동개폐우산의 개량된 안전한 제어구조
KR20120040606A (ko) 우산
KR20100029614A (ko) 자동우산
KR200454808Y1 (ko) 자동 접기가 가능한 우산(양산)의 중간 대 제어 장치
CN115088927B (zh) 伞棒可任意收合的自动折叠伞
KR101485799B1 (ko) 우산 손잡이
US8215324B1 (en) Control structure for automatically folding and unfolding umbrella
CN218185617U (zh) 一种便于收纳的自动伞
CN210539375U (zh) 自动伞的安全防护结构、伞柄和自动伞
CN218571605U (zh) 设有安全装置的自动开收伞
KR20180001731U (ko) 반대로 펴는 우산의 우산 접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