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808Y1 - 자동 접기가 가능한 우산(양산)의 중간 대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접기가 가능한 우산(양산)의 중간 대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808Y1
KR200454808Y1 KR2020090016257U KR20090016257U KR200454808Y1 KR 200454808 Y1 KR200454808 Y1 KR 200454808Y1 KR 2020090016257 U KR2020090016257 U KR 2020090016257U KR 20090016257 U KR20090016257 U KR 20090016257U KR 200454808 Y1 KR200454808 Y1 KR 2004548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rotating plate
umbrella
hand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090U (ko
Inventor
티엔-청 천
썬-펑 성
Original Assignee
샤먼 밍호 브라더스 엠에프지.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09201381819U external-priority patent/CN201431049Y/zh
Priority claimed from CN2009201396706U external-priority patent/CN201468251U/zh
Application filed by 샤먼 밍호 브라더스 엠에프지.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샤먼 밍호 브라더스 엠에프지.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000110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0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8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8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45B25/143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6Automatic openers, e.g. frames with sp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 Y10T74/18832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flexible drive connector [e.g., belt, chain, strand, etc.]
    • Y10T74/1884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flexible drive connector [e.g., belt, chain, strand, etc.] with pulley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접기가 가능한 우산(양산)의 중간 대(bar)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장치는 우산 손잡이의 손잡이 받침 상에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장치의 걸림부는 가동적으로 상기 손잡이 받침 내로 뻗어 들어가고, 그중 상기 손잡이 받침 상부에는 걸림부를 이용해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 받침 하부에 손잡이 받침과 대응하여 반지름 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판 형상의 회전판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의 원주벽 상에 다수 개의 래치트 톱니와 전체 원주벽을 둘러싸고 있는 권선홈이 형성되며, 만곡 스프링의 한 끝은 손잡이 받침 상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한 끝은 상기 회전판 상에 고정되어 회전판을 회전시킬 수 있는 탄성 구동력을 형성하며, 상기 제어 기구 하방의 손잡이 받침 상에 흔들거리는 당김체가 설치되고, 상기 당김체는, 토션 스프링(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언제나 상기 회전판과 접촉하는 비트는 힘(Torque)을 갖출 수 있게 제어되며, 또한 상기 회전판의 래치트 톱니에 의해 걸림 제어되고, 회전판 당김줄의 한 끝은 상기 회전판 상에 고정 설치된 후, 상기 회전판의 권선홈 상에 감기게 되며, 또 다른 한 끝은 상기 제어 기구 및 손잡이 받침을 관통하여 우산의 머리부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기 시작하면서 상기 회전판 당김줄을 되감아 수납하게 되고, 그 결과 자동으로 우산을 접을 때 상기 중간 대는 임의의 위치에 멈춰설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우산을 접는 과정에서 중간 대가 스프링의 원상 복원력에 의해 순식간에 빠른 속도로 다시 펼쳐져 사용자에게 상 해를 입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Figure R2020090016257
제어기, 걸림부, 제어기 내부심, 회전판, 당김체, 스프링, 회전판 당김줄, 래치트 톱니, 권선홈

Description

자동 접기가 가능한 우산(양산)의 중간 대 제어 장치{CONTROL DEVICE ADAPTED FOR COLLAPSIBLE UMBRELLA}
본 고안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펼치기와 접기가 가능한 우산의 중간 대 제어 장치를 말한다.
우산(양산)은 현재 사람들의 생활 필수품 중 하나이며, 자동 우산(양산)은 자동으로 펼치기와 접기가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특히 자동으로 접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대중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현재 자동 펼치기와 접기가 가능한 우산에 사용되는 펼치기 및 접기 제어부품은 우산 손잡이, 하단부, 걸림부, 당김줄 탄력판, 우산손잡이 상에 설치된 손잡이받침 및 버튼, 중간 대 상에는 설치된 스프링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완성된 제어부품을 이용해 우산을 접을 경우, 상기 중간 대가 짧아지면서 펼침 스프링을 압축시키게 되고, 이어서 걸림부가 손잡이받침 내로 회수된 후, 탄력판 등의 부품이 상기 걸림부를 걸어서 고정시키면 우산이 완전히 접히게 된다.
즉, 다시 말하면 상기 자동 우산(양산)은 자동 접기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우산을 펼칠 때 사용되는 상기 스프링이 탄력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중간 대를 수축시켜 하단부가 우산 손잡이 내로 완전히 걸림 고정되어진 후에야 자동 접기 과정이 끝나게 된다. 그러나 압력을 사용해 중간 대를 아래로 내리는 과정에 반드시 일정한 압력을 가해야 하고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켜야만 한다. 정확한 위치에 중간 대를 고정시키지 못할 경우 일단 손을 놓게 되면 우산 중간 대가 상기 스프링의 원상 복원력에 의해 매우 큰 힘으로 신속하게 펼쳐지게 되고, 그 결과 종래의 기술로 제작된 자동 우산(양산)은 접는 과정에서 안전 상의 문제가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사고의 위험이 존재하고 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 우산(양산)에서 자동 접기를 진행하는 과정 중에 하단부가 임의의 위치에 멈춰설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안전성을 높인 자동접기가 가능한 우산(양산)의 중간 대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해결을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접기가 가능한 우산의 중간 대(bar) 제어장치는, 우산 손잡이의 손잡이 받침 상에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의 걸림부는 가동적으로 상기 손잡이 받침 내로 뻗어 들어가고, 상기 손잡이 받침 상부에는 걸림부를 이용해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 받침 하부에 손잡이 받침과 대응하여 반지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의 원주벽 상에 다수 개의 래치트 톱니와 전체 원주벽을 둘러싸고 권선홈이 형성되며, 만곡 스프링의 한 끝은 손잡이 받침 상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한 끝은 상기 회전판 상에 고정되어 회전판을 회전시킬 수 있는 탄성 구동력을 형성하며, 상기 제어 기구 하방의 손잡이 받침 상에 흔들거리는 당김체가 설치되고, 상기 당김체는, 토션 스프링(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언제나 상기 회전판과 접촉하는 비트는 힘(Torque)을 갖출 수 있게 제어되며, 또한 상기 회전판의 래치트 톱니에 의해 걸림 제어되고, 회전판 당김줄의 한 끝은 상기 회전판 상에 고정 설치된 후, 상기 회전판의 권선홈 상에 감기게 되며, 또 다른 한 끝은 상기 제어 기구 및 손잡이 받침을 관통하여 우산의 머리부에 연결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기구는 제어기 및 제어기 내부심(芯)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손잡이 받침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 내부심(芯)은 가동적으로 상기 제어기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어기 상부로 뻗어 들어가 상기 제어기 내부심(芯)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제어기 내부심(芯) 하단은 가동(可動)적으로 상기 당김체에 떠받혀져 지지된다.
상기 손잡이 받침 상부에는 축방향으로 통공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반지름 방향으로 회전축이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이 상기 회전축을 덮어 씌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의 끝단은 우산을 펼칠 때 사용되는 당김줄에 연결되고, 상기 걸림부의 머리 부위에는 버튼이 걸리게 되는 걸림목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의 머리 끝부위에는 앞으로 뻗어나온 밀핀(ejector pin)이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는 관형(튜브형) 부품이며, 그 중간 부위에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中空) 도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기의 한 측벽 상에는 버튼이 뻗어 들어와 걸림부에 걸릴 수 있게 하는 개구(開口)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기의 또 다른 한 측벽 상에는 측벽 전체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판 당김줄이 통과할 수 있게 설계된 오목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어기 상부 오목홈의 끝단은 관통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과 제 어기의 중공 도관은 서로 연결되어 통해있다.
상기 오목홈의 양 끝은 균일하게 가이드 아크(ark)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공 도관 하부 내벽 상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제어기 내부심(芯)의 외벽 상에는 상기 가이드 홈과 함께 이용되는 가이드 돌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어기 내부심(芯)은 가동적으로 상기 제어기 중공 도관 하부에 설치되는 관형(튜브형) 부품이고, 그 측벽 상에는 긴 막대형 구멍이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 내부심(芯)은 두부(頭部) 막대, 미부(尾部) 본체,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두부 막대와 미부 본체는 스프링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중간 부위가 세로 방향으로 압축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두부 막대에는 반지름 방향으로 긴 막대형 구멍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판은 중간 부위에 함몰 홈을 갖춘 원판형 부품이며, 상기 회전판은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상기 손잡이 받침 하부에 돌출되어 설치된 회전축 상에 덮어 씌워지고, 상기 만곡 스프링은 상기 회전판 중간 부위의 원형 함몰 홈 내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만곡 스프링의 양 끝은 각각 상기 회전축과 상기 회전판의 함몰 홈의 홈 벽상에 걸려 연결된다.
상기 당김체는 두 개의 프리 앤디드(free-ended)의 조각체가 형성되며, 그 중 상부에 위치한 프리 앤디드(free-ended)와 상기 제어기 하부를 관통하여 나온 제어기 내부심(芯)의 하단면은 서로 맞대어 기대있고, 상기 당김체의 하부에 위치한 프리 앤디드(free-ended)는 상기 회전판의 원주벽 상에 기대어 접해 있고 상기 원주벽 상의 래치트 톱니와 서로 맞물려 연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접기가 가능한 우산(양산)의 중간 대 제어장치는, 우산 손잡이 중의 손잡이 받침 하부에 회전이 가능한 회전판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판은 우산 머리부에 연결되는 회전판 당김줄을 휘어 감을 수 있으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 동작은 걸림부가 제어 기구를 제어하여 당김체를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당김체가 상기 회전판의 원주벽 상의 래치트 톱니와 결합함으로써 완성된다. 상기 회전판이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판 당김줄을 되감기 시작하고, 그 결과 자동으로 우산을 접을 때 상기 중간 대는 임의의 위치에 멈춰설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우산을 접는 과정에서 중간 대가 스프링의 원상 복원력에 의해 순식간에 빠른 속도로 다시 펼쳐져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기 내부심(芯)은 두부 막대, 미부 본체 및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중간 부위가 세로 방향으로 압축 변형될 수 있는 형태의 부품(스프링)으로 설계된다. 이때 상기 두부 막대와 미부 본체는 스프링을 통해 하나로 연결되어, 세로 방향으로 압축 변형이 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내부심(芯)을 조립 할 때, 상기 제어기 및 걸림부의 사이즈를 아주 정밀하게 설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량율 역시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 측벽 오목홈의 끝단은 관통홈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관 통홈과 상기 제어기의 중공 도관이 서로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판 당김줄이 상기 관통홈 안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되어, 상기 오목홈 끝 테두리와 서로 마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회전판 당김줄이 도중에 걸리거나 혹은 닳아서 끊어지는 현상을 대폭적으로 낮출 수 있다.
본 고안에 관해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와 도면을 함께 사용하여 본 고안의 구조 및 그 기술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자동 접기가 가능한 우산(양산)의 중간 대(bar)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어 장치는 우산 손잡이의 손잡이 받침(1) 상에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의 걸림부(2)는 가동(可動)적으로 상기 손잡이 받침(1) 내로 뻗어 들어간다. 또한 상기 손잡이 받침(1) 상부에는 걸림부(2)를 이용해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 기구는 제어기(3) 및 제어기 내부심(芯)(4)을 포함하며, 상기 우산 중간 대(bar) 제어 장치는 또한 당김체(5), 토션 스프링(비틀림 스프링)(6), 회전판(7), 만곡 스프링(8)과 회전판 당김줄(9)을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 받침(1)은 상기 우산 손잡이 중에 고정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축방향(세로방향)으로 통공(11)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반지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12)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 받침(1)의 앞부분에는 반지름 방향으로 버튼에 활용될 수 있는 활용부와 우산 하단부에 활용될 수 있는 위치 고정부 등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내용은 본 고안의 중점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걸림부(2)의 끝단은 우산을 펼칠 때 사용되는 당김줄(101)(도 8 참조)이 연결되고, 상기 우산을 펼칠 때 사용되는 당김줄(101)의 다른 한 끝은 우산 하단부에 고정 연결되며(본 고안의 중점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걸림부(2) 머리 부위에는 버튼이 걸리게 되는 걸림목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2)의 머리 끝부위에는 앞으로 뻗어나온 밀핀(ejector pin)(21)이 설치된다. 이처럼 설계하는 목적은 다음에 설명할 제어기 내부심(芯)(4)과 더욱 우수하게 접촉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기(3)는 관형(튜브형) 부품이다. 상기 제어기(3)는, 상기 손잡이 받침(1)의 세로 방향의 통공(11)내로 끼워져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 받침(1) 상부에 설치되며, 그 중간 부위에는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中空) 도관(31)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 도관(31)을 통해 상기 걸림부(2)가 아래에 기술할 제어기 내부심(芯)(4) 내로 뻗어 들어가 수납된다. 상기 제어기(3)의 한 측벽 상에는 버튼 제어부가 뻗어 들어와 걸림부(2)에 걸릴 수 있게 하는 개구(35)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기(3)의 또 다른 한 측벽 상에는 측벽 전체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판 당김줄(9)이 통과할 수 있게 설계된 오목홈(33)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우산을 펼칠 때 사용되는 스프링(10)과 접촉하는 오목홈(33)의 끝단은 관통홈(331)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홈(331)과 제어기(3)의 중공 도관(31)은 서로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판 당김줄(9)이 상기 관통홈(331) 안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되어, 상기 오목홈(33) 끝테두리와 서로 마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회전판 당김줄(9)이 도중에 걸리거나 혹은 닳아서 끊어지는 현상을 대폭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 당김줄(9)이 닳아서 훼손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오목홈(33)의 양 끝은 균일하게 가이드 아크(ark)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 도관(31) 하부 내벽 상에는 가이드 홈(311)이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 내부심(芯)(4)은 가동적으로 상기 제어기(3)의 중공 도관(31) 하부에 설치되는 관형(튜브형) 부품이다. 상기 제어기 내부심(芯)(4)은 두부(頭部) 막대(41), 미부(尾部) 본체(42), 스프링(43)으로 구성되고, 중간 부위가 세로 방향으로 압축 변형될 수 있는 형태의 부품으로 설계된다. 상기 두부 막대(41)와 미부 본체(42)는 스프링(43)을 통해 하나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 내부심(芯)(4)을 조립할 때, 상기 제어기(3) 및 걸림부(2)의 사이즈를 아주 정밀하게 설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량율 역시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두부 막대(41)에는 반지름 방향으로 긴 막대형 구멍(411)이 형성 되어 고정핀이 상기 긴 막대형 구멍(411)을 관통하여 상기 제어기 내부심(芯)(4)의 위치를 상기 제어기(3) 내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긴 막대형 구멍(411)을 이용해 상기 제어기(3) 내에서 내부심(芯)(4)의 위치를 전ㆍ후로 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 내부심(芯)(4)의 두부(頭部) 막대(41)의 외벽 상에는 상기 가이드 홈(311)과 함께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 돌기부(412)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기 내부심(芯)(4)을 상기 제어기(3) 내에 조립할 때의 정확도와 편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판(7)은 중간 부위에 원형의 함몰 홈(71)을 갖춘 원판형 부품이며, 상기 회전판(7)의 원주벽 상에 4개 혹은 4개 이상의 래치트 톱니(72)와 전체 원주벽을 둘러싸고 권선홈(73)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7)은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손잡이 받침(1) 하부에 돌출되어 설치된 회전축(12) 상에 덮어 씌워지고, 상기 만곡 스프링(8)은 상기 회전판(7) 중간 부위의 원형 함몰 홈(71) 내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만곡 스프링(8)의 양 끝은 각각 상기 회전축(12)과 상기 회전판 함몰 홈(71)의 홈 벽상에 걸려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7)을 구동시켜 상기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탄성 구동력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당김체(5)는, 두 개의 프리 앤디드(free-ended)의 조각체가 형성되며, 중간 부위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부위의 통공으로 핀축(51)을 통과시켜 흔들거릴 수 있는 형태로 상기 손잡이 받침(1)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3)의 하 부(32)와 회전판(7)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당김체(5)와 핀축(51) 상에 토션 스프링(비틀림 스프링)(6)을 씌워 연결하여 상기 당김체(5)로 하여금 상기 회전판(7)과 접촉하는 비트는 힘(Torque)을 항상 갖출 수 있게 한다. 상기 당김체(5)의 상부에 위치한 프리 앤디드(free-ended)와 상기 제어기(3)의 하부(32)를 관통하여 나온 제어기 내부심(芯)(4)의 하단면은 서로 맞대어 기대있고, 상기 당김체(5)의 하부에 위치한 프리 앤디드(free-ended)는 상기 회전판(7)의 원주벽 상에 기대어 접해 있고 상기 원주벽 상의 래치트 톱니(72)와 서로 맞물려 연결된다. 즉 상기 회전판(7)의 래치트 톱니(72)에 의해 걸림 제어된다.
상기 회전판 당김줄(9)의 한 끝은 상기 회전판(7) 상에 고정 설치된 후, 상기 회전판(7)의 권선홈(73) 상에 감기게 되며, 또 다른 한 끝은 상기 제어기(3)의 오목홈(33)을 관통하여 우산의 머리부에 연결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마디로 형성된 상기 중간 대(102) 하단에 위치고정 틈(1021)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제어기(3) 하부의 외벽 상에 위치고정 돌기물(34)이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3)가 상기 중간 대(102)에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이 접히지 않았을 경우, 윗 마디의 중간 대(102)가 상기 손잡이 받침(1) 내로 삽입되지 않으며, 상기 당김체(5)의 아래 프리 앤디드(free-ended)는 상기 회전판(7)의 원주벽 상에 기대어 접해있고, 상기 원주벽 상의 래치트 톱니(72)와 서로 맞물려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7)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이 접혔을 경우, 상기 중간 대(102)가 상기 손잡이 받침(1) 내로 삽입되며, 상기 걸림부(2)가 상기 제어기(3)의 중공 도관(31)의 상부를 관통하고, 상기 밀핀(ejector pin)(21)의 하단면이 상기 제어기(3)의 중공 도관(31) 내로 관통되어 설치된 제어기 내부심(芯)(4)의 미부(尾部) 본체(42)의 상단면에 대해 아래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기 내부심(芯)(4)의 두부 막대(41)이 아래로 이동하면서 상기 당김체(5)의 상부 프리 앤디드(free-ended)를 아래로 밀어 이동시키면 지렛대 작용으로(핀축(51)을 중심으로 당김체(5)가 회전) 상기 당김체(5)의 하부 프리 앤디드(free-ended)는 위로 솟아 오르며 상기 회전판(7)의 원주벽 상의 래치트 톱니(72)에서 분리되고, 상기 회전판(7)은 상기 만곡 스프링(8)의 작용 하에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회전판 당김줄(9)이 상기 회전판(7)의 권선홈(73) 상에 감기며 수납된다. (도 1 참조) 또한 상기 중간 대(102)를 일단 반까지 누른 후 멈추게 되면, 상기 중간 대(102)에 우산을 펼칠 때 사용되는 스프링(10)의 원상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어 상기 걸림부(2)가 제어기(3)에서 빠져나오고, 상기 당김체(5)는 지지력을 상실하게 되어 토션 스프링(비틀림 스프링)(6)의 작용 하에 다시 상기 회전판(7) 원주벽 상의 래치트 톱니(72)에 걸리기 때문에 상기 중간 대(102)가 빠른 속도로 원상복원이 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중간 대(102)는 우산을 접을 때 임의의 위치에 멈춰설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우산을 접는 과정에서 중간 대(102)가 스프링(10)의 원상 복원력에 의해 순식간에 빠른 속도로 다시 펼쳐져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게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2 는 본 고안에 따른 제어 기구의 입체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어기와 회전판 당김줄의 배합 관계를 도시한 배합 관계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합 상태를 도시한 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합 상태를 해부한 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라 우산을 접으려고 할 때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라 우산을 접을 때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중간 대와 같이 사용된 구조를 나타낸 구조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손잡이 받침 2: 걸림부
3: 제어기 4: 제어기 내부심(芯)
5: 당김체 6: 토션 스프링(비틀림 스프링)
7: 회전판 8: 만곡 스프링
9: 회전판 당김줄 10: 스프링
11: 통공 12: 회전축
101: 당김줄 102: 중간대
21: 밀핀(ejector pin) 31: 중공 도관
32: 하부 33: 오목홈
34: 돌기물 35: 개구
41: 두부 막대 42: 미부 본체
43: 스프링 71: 함몰 홈
72: 래치트 톱니 73: 권선홈
311.가이드 홈 331: 관통홈
411: 긴 막대형 구멍 412: 가이드 돌기부
1021: 위치고정 틈

Claims (12)

  1. 자동접기가 가능한 우산의 중간 대(bar)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우산 손잡이의 손잡이 받침 상에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상기 제어 장치는,
    가동적으로 상기 손잡이 받침 내로 뻗어 들어가 설치되는 걸림부;
    상기 손잡이 받침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걸림부를 이용해 제어되는 제어 기구;
    원판 형상으로 상기 손잡이 받침 하부에 설치되어 손잡이 받침과 대응하여 반지름 방향으로 회전하며, 원주벽 상에는 다수개의 래치트 톱니와 전체 원주벽을 둘러싸고 권선홈이 형성되는 회전판;
    한 끝은 상기 손잡이 받침 상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한 끝은 상기 회전판 상에 고정되어 회전판을 회전시킬 수 있는 탄성 구동력을 형성하는 만곡 스프링;
    상기 제어 기구 하방의 손잡이 받침 상에 흔들거리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의 래치트 톱니에 의해 걸림 제어되는 당김체;
    상기 당김체가 상기 회전판과 접촉하는 비트는 힘(Torque)를 갖추게 제어하는 토션 스프링;
    한 끝은 상기 회전판 상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의 권선홈 상에 감기게 되며, 다른 한 끝은 상기 제어 기구 및 손잡이 받침을 관통하여 우산의 머리부에 연결되는 회전판 당김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기가 가능한 우산 의 중간 대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구는 제어기 및 제어기 내부심(芯)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손잡이 받침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 내부심(芯)은 가동적으로 상기 제어기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어기 상부로 뻗어 들어가 상기 제어기 내부심(芯)을 지지하고, 상기 제어기 내부심(芯) 하단은 가동적으로 상기 당김체의 상부에 위치한 프리 앤디드(free-ended)와 접하여 지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기가 가능한 우산의 중간 대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받침 상부에는 축방향으로 통공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반지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이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이 상기 회전축을 덮어 씌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기가 가능한 우산의 중간 대 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끝단은 우산을 펼칠 때 사용되는 당김줄에 연결되고, 상기 걸림부의 머리 부위에는 버튼이 걸리게 되는 걸림목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의 머리 끝부위에는 앞으로 뻗어나온 밀핀(ejector pin)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기가 가능한 우산의 중간 대 제어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관형(tube) 부품이며, 그 중간 부위에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 도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기의 한 측벽 상에는 버튼이 뻗어 들어와 걸림부에 걸릴 수 있게 하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기의 또 다른 한 측벽 상에는 측벽 전체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판 당김줄이 통과할 수 있게 설계된 오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기가 가능한 우산의 중간 대 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오목홈의 끝단은 관통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과 제어기의 중공 도관은 서로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기가 가능한 우산의 중간 대 제어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의 양 끝은 균일하게 가이드 아크(ark)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기가 가능한 우산의 중간 대 제어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도관 하부 내벽 상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제어기 내부심(芯)의 외벽 상에는 상기 가이드 홈과 함께 이용되는 가이드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기가 가능한 우산의 중간 대 제어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내부심(芯)은 관형 부품으로 가동적으로 상기 제어기 중공 도관 하부에 설치되고, 그 측벽 상에 긴 막대형 구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기가 가능한 우산의 중간 대 제어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내부심(芯)은 두부 막대, 미부 본체,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두부 막대와 미부 본체는 스프링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중간 부위가 세로 방향 으로 압축 변형되고, 상기 두부 막대에는 반지름 방향으로 긴 막대형 구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기가 가능한 우산의 중간 대 제어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중간 부위에 원형의 함몰 홈을 갖춘 원판형 부품이며, 상기 회전판은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상기 손잡이받침 하부에 돌출되어 설치된 회전축 상에 덮어 씌워지고, 상기 만곡 스프링은 상기 회전판 중간 부위의 원형 함몰 홈 내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만곡 스프링의 양 끝은 각각 상기 회전축과 상기 회전판 함몰 홈의 홈 벽상에 걸려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기가 가능한 우산의 중간 대 제어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체는 두 개의 프리 앤디드(free-ended)의 조각체가 형성되며, 그 중 상부에 위치한 프리 앤디드(free-ended)와 상기 제어기 하부를 관통하여 나온 제어기 내부심(芯)의 하단면은 서로 맞대어 기대있고, 상기 당김체의 하부에 위치한 프리 앤디드(free-ended)는 상기 회전판의 원주벽 상에 기대어 접해 있으며 상기 원주벽 상의 래치트 톱니와 서로 맞물려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기가 가능한 우산의 중간 대 제어장치.
KR2020090016257U 2009-05-04 2009-12-14 자동 접기가 가능한 우산(양산)의 중간 대 제어 장치 KR20045480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20138181.9 2009-05-04
CN2009201381819U CN201431049Y (zh) 2009-05-04 2009-05-04 收伞中棒控制装置
CN2009201396706U CN201468251U (zh) 2009-07-23 2009-07-23 收伞中棒控制装置的改进结构
CN200920139670.6 2009-07-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090U KR20100011090U (ko) 2010-11-12
KR200454808Y1 true KR200454808Y1 (ko) 2011-07-29

Family

ID=4302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257U KR200454808Y1 (ko) 2009-05-04 2009-12-14 자동 접기가 가능한 우산(양산)의 중간 대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61760B2 (ko)
KR (1) KR20045480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55522A1 (en) * 2009-05-15 2012-03-08 Chin Keng Huang Automatic Safety Device for an Umbrell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979Y1 (ko) * 1986-06-16 1989-04-10 서의영 자동개폐 양산(우산)
KR200266430Y1 (ko) * 2001-11-23 2002-02-28 김종운 우산
US20020062850A1 (en) * 2000-11-30 2002-05-30 Shih-Shin Kuo Multiple folding collapsible umbrella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32448B2 (en) * 1991-07-26 1992-12-24 Day, Sheng-Tong Lightly operable fully automatic umbrella
US5174319A (en) * 1992-06-17 1992-12-29 Dat, Sheng-Tong Longer effective automatic umbrella
US6196243B1 (en) * 1999-10-15 2001-03-06 Ming Ho Umbrella Industry Co., Ltd. Automatic umbrella control mechanism
US6481450B2 (en) * 2001-03-15 2002-11-19 Ming Ho Umbrella Industry Co., Ltd. Handle mechanism for an automatic multiple-folded umbrella
US6684893B2 (en) * 2001-10-01 2004-02-03 Shih-Shin Kuo Simplified controlling apparatus of an automatic umbrella
US6561205B1 (en) * 2001-10-03 2003-05-13 Tien-Cheng Chen Control mechanism for folding jump umbrellas
CN101438877B (zh) * 2007-11-23 2010-08-18 厦门福太洋伞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功能的自动开合伞
CN201303659Y (zh) * 2008-11-10 2009-09-09 陈秀惠 自动收折伞的安全装置
CN101785596B (zh) * 2009-06-22 2013-05-01 厦门福太洋伞有限公司 一种自动开合伞防护装置的收线改良结构
US20110226295A1 (en) * 2010-03-17 2011-09-22 Tzu-Chien Lo Safety central shaft extension and contraction control structure of self-opening/closing umbrella
US8225805B2 (en) * 2010-03-29 2012-07-24 Tsun-Zong Wu Protective member for automatic open close umbrella with anti-springing effec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979Y1 (ko) * 1986-06-16 1989-04-10 서의영 자동개폐 양산(우산)
US20020062850A1 (en) * 2000-11-30 2002-05-30 Shih-Shin Kuo Multiple folding collapsible umbrella structure
KR200266430Y1 (ko) * 2001-11-23 2002-02-28 김종운 우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75706A1 (en) 2010-11-04
US8261760B2 (en) 2012-09-11
KR20100011090U (ko) 201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892B1 (ko) 안전 작동 손잡이 장치
KR102321528B1 (ko) 개선된 샤프트와 리브 조립체를 갖는 우산
KR20110026833A (ko) 우산살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GB2466707A (en) Collapsible umbrella with secure retraction device.
PT827701E (pt) Guarda-chuva de abertura e fecho automatico encurtavel para o formato de bolsa
KR200454808Y1 (ko) 자동 접기가 가능한 우산(양산)의 중간 대 제어 장치
EP2289363A1 (en) Safety device for an automatically openable umbrella
RU2466668C1 (ru) Полу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зонт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 убираемым центральным стержнем
JP5302349B2 (ja) 折畳傘のハンドル装置
KR101012349B1 (ko)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US20110048479A1 (en) Control structure for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umbrella
KR101255844B1 (ko) 우산
CN108926173A (zh) 一种床体折叠收拢机构及其游戏床
KR20110025312A (ko) 안전형 자동우산
CN108244787B (zh) 远离身体全自动收合之手开折伞
KR101848555B1 (ko) 거꾸로 접혀지며 역풍에도 안전한 우산
KR200432922Y1 (ko) 자동우산
CN201822096U (zh) 具有防收伞回弹装置的自动开收伞
CN220631302U (zh) 自动开收多折伞的控制装置
CA2043209A1 (en) Automatic umbrella
CN109247676B (zh) 机械伞
KR20100029614A (ko) 자동우산
KR101289940B1 (ko) 자동 접이식 우산
KR101743370B1 (ko) 핸즈프리 안전 우산
JP3159177U6 (ja) 自動開閉傘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