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430Y1 -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430Y1
KR200266430Y1 KR2020010036109U KR20010036109U KR200266430Y1 KR 200266430 Y1 KR200266430 Y1 KR 200266430Y1 KR 2020010036109 U KR2020010036109 U KR 2020010036109U KR 20010036109 U KR20010036109 U KR 20010036109U KR 200266430 Y1 KR200266430 Y1 KR 2002664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pole
fixed
slider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1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운
김종대
Original Assignee
김종운
김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운, 김종대 filed Critical 김종운
Priority to KR2020010036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4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4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43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어린이, 여성, 노인 등과 같이 비교적 힘이 약한 노약자의 적은 힘으로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우산을 폐산시킬 수 있도록 한 우산을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손잡이(2) 및 고정원반편(3)이 각각의 말단에 구비된 폴대(4)와, 상기 폴대(4)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고정원반편(3)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우산천(5)과 우산살부재(6)를 절첩시키는 서포트부재(7)를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원반편(8)과, 상기 원반편(8)의 하방으로 압축스프링(9)이 개재되어 이격 위치하며 상기 서포트부재(8)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당김부재(10)의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폴대(4)를 슬라이딩하게 마련된 슬라이더(11)와, 상기 폴대(4)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슬라이더(11)를 잡아주는 고정후크(12)와 상기 슬라이더(11)를 상기 고정후크(12)로 부터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버튼(13)을 가지는 통상의 우산에 있어서, 상기한 손잡이(2)는 내부에 공간부(14)를 가지고, 상기 공간부(14)에는 와이어(15)가 권취된 원통상의 드럼(16)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드럼(16)의 일측부에는 태엽스프링(17)이 축설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15)의 종단은 상기 원반편(8)의 일단에 고정되어있는 우산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우산{umbrella}
본 고안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을 접을 때 적은 힘으로 편리하게 접을 수 있도록 된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눈, 비, 바람 또는 태양광선을 피하기 위해 개산시 방사형 구조로 펼쳐지며, 폐산시 간편하게 접혀지는 구조를 가지는 우산은 폴대와, 폴대를 중심으로 대략 반원의 영역을 차지하는 우산천과, 상기 우산천을 신축시키기 위한 서포트부재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폴대는 하단에 손잡이가 마련되고 상단에 고정원반편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에 근접된 폴대에는 개산버튼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개산버튼은 고정후크와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원반편에는 우산살부재가 고정 설치되며 이 우산살부재에 우산천이 고정되어 폴대를 중심으로 대략 반원 형태의 영역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부재는 우산천의 개산 및 폐산시 우산천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절첩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서포트부재에는 우산살부재가 회동되게 설치 되어있고 우산살부재에 우산천이 고정되어 우산살의 접힘과 펴짐에 의해 우산천이 접히거나 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서포트부재는 폴대를 슬라이딩하는 원반편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기 원반편의 하방에 위치하는 슬라이더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당김부재와 축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반편과 슬라이더 사이에는 압축스프링이 개재되어 있어 원반편과 슬라이더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되어 있어 항상 서포트부재를 펼치려는 힘을 가지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우산은 폴대의 고정후크에 의해 슬라이더가 고정되어 서포트부재, 우산살부재 및 우산천이 접혀진 상태로 보관 및 관리를 하고, 필요시 개산버튼을 눌러 슬라이더를 고정후크로부터 해제시키면 압축스프링에 의해 슬라이드와 원반편을 서로 이격시키므로 원반편이 폴대에서 상승을 하게 되고 서포트부재는 펼쳐지어 우산살부재와 우산천을 고정원반편을 중심으로 펴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우산을 폐산시에는 상기 슬라이드를 폴대의 하방으로 당기어 고정후크에 고정을 시키면 되는데 이때에는 슬라이더에 고정된 당김부재가 서포트부재를 상방으로 당기어 원반편을 하강시켜 슬라이더부재에 근접시키고 압축스프링을 압축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우산은 폐산시 압축스프링을 압축하여 슬라이더를 하강시키는데 힘이 많이 소요되어 힘이 약한 어린이, 여성, 노인 등과 같은 노약자의 적은 힘으로는 우산을 폐산시키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어린이, 여성, 노인 등과 같이 비교적 힘이 약한 노약자의 적은힘으로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우산을 폐산시킬 수 있도록 한 우산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우산은 손잡이 및 고정원반편이 각각의 말단에 구비된 폴대와, 상기 폴대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원반편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우산천과 우산살부재를 절첩시키는 서포트부재를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원반편과, 상기 원반편의 하방으로 압축스프링이 개재되어 이격 위치되며 상기 서포트부재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당김부재의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폴대를 슬라이딩하게 마련된 슬라이더와, 상기 폴대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슬라이더를 잡아주는 고정후크와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고정후크로 부터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버튼을 가지는 통상의 우산에 있어서, 상기한 손잡이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고, 상기 공간부에는 와이어가 권취된 원통상의 드럼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드럼의 일측부에는 태엽스프링이 축설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의 종단은 상기 원반편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우산을 보인 간략예시도,
도 2는 동 우산을 펼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동 우산을 접은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동 우산의 요부를 보인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보인 간략 예시도 이다.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우산, 2 : 손잡이,
3 : 고정원반편, 4 : 폴대,
5 : 우산천, 6 : 우산천살대,
7 : 서포트부재, 8 : 원반편,
9 : 압축스프링, 10 : 당김부재,
11 : 슬라이더, 12 : 고정후크,
13 : 버튼, 14 : 공간부,
15 : 와이어, 16 : 드럼,
17 : 태엽스프링, 18 : 요홈,
19 : 장공, 20 : 제동편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보인 것으로 본 실시예의 우산(1)은 손잡이(2) 및 고정원반편(3)이 각각의 말단에 구비된 폴대(4)와, 상기 폴대(4)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고정원반편(3)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우산천(5)과 우산살부재(6)를 절첩시키는 서포트부재(7)를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원반편(8)과,상기 원반편(8)의 하방으로 압축스프링(9)이 개재되어 이격 위치하며 상기 서포트부재(8)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당김부재(10)의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폴대(4)를 슬라이딩하게 마련된 슬라이더(11)와, 상기 폴대(4)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슬라이더(11)를 잡아주는 고정후크(12)와 상기 슬라이더(11)를 상기 고정후크(12)로 부터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버튼(13)을 가지는 통상의 우산에 있어서, 상기한 손잡이(2)는 내부에 공간부(14)를 가지고, 상기 공간부(14)에는 와이어(15)가 권취된 원통상의 드럼(16)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드럼(16)의 일측부에는 태엽스프링(17)이 축설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15)의 종단은 상기 원반편(8)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와이어(15)의 종단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11)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반편(8)의 일단에 고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폴대(4)는 외주면에 수직상의 요홈(18)이 형성되며 이 요홈(18)을 통해 상기 와이어(15)의 종단이 상기 원반편(8)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한 와이어(15)는 상기 버튼(13)의 일단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장공(19)을 가지는 제동편(20)의 장공(19)에 내삽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우산(1)은 슬라이더(11)가 고정후크(12)에 고정되어 우산살부재(6)와 우산천(5)이 폴대(4)에 접힌 상태로 보관 및 관리를 하며 필요시 우산천(5)을 개산할 경우에는 버튼(13)을 눌러 슬라이더(11)를 고정후크(12)로 부터 해제시켜 압축스프링(9)에 의해 원반편(8)과 슬라이더(11)를 서로이격시키도록 하여 원반편(8)을 폴대(4)의 상부로 상승시키고 원반편(8)에 고정된 서포트부재(7)에 고정된 당김부재(10)에 의해 슬라이더(11) 또한 폴대(4)를 슬라이딩하여 폴대(4)의 상부로 상승하게 하여 서포트부재(7), 우산살부재(6) 및 우산천(5)을 펼쳐 사용을 하게 된다.
이때 원반편(8)의 일단에 와이어(15)의 종단이 고정되어 있어 와이어(15)는 드럼(16)을 회전시키면서 풀리게 되며 드럼(16)의 일측에 축설된 태엽스프링(17)은 압축하게 된다.
그리고 우산의 사용을 완료하여 우산천(5)을 접을 때에는 슬라이더(11)를 폴대(4)의 하방으로 잡아당겨 고정후크(12)에 고정하면 되는데 이때 당김부재(10)가 폴대(4)쪽으로 접혀지면서 서포트부재(7)를 폴대(4)의 상방향으로 접히게 되고 이에 따라 우산살부재(6)와 우산천(5)은 폴대(4)의 하방으로 접히게 되며 원반편(8)과 슬라이더(11)는 서로 근접을 하게 되고 압축스프링(9)은 압축을 하게 된다.
이때 와이어(15)는 태엽스프링(17)의 압축력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16)에 의해 드럼(16)에 권취되는데 태엽스프링(17)이 압축되어 있어 태엽스프링(17)이 풀리면서 외어어(15)를 드럼(16)에 강한 힘으로 권취되게 한다.
그래서 태엽스프링(17)은 와이어(15)를 일정한 힘으로 당기게 되므로 원반편(8)이 하방으로 하강할 때 태엽스프링(17)의 압축력이 보강을 하게 되어 있다.
상기에서 우산의 개산시에 원반편(8)이 폴대(4)의 상부에 위치하여 와이어(15)가 최장으로 풀려져 있을 경우 압축된 태엽스프링(17)에 의해와이어(15)가 당겨져서 원반편(8)을 폴대(4)의 하방으로 하강시키지 못하도록 제동편(20)의 장공(19)이 와이어(15)를 잡아 와이어(15)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며 원반편(8)을 하강시켜 우산을 폐산시킬 때에는 버튼(13)을 눌러 와이어(15)를 제동편(20)의 장공(19)에서 자유로이 해제시켜 와이어(15)가 드럼(16)에 권취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압축된 태엽스프링(17)에 의해 원반편(8)이 하방으로 손쉽게 하강을 할 수 있어 슬라이더(11)를 하강시킬 때에는 적은 힘으로 하강을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슬라이더 및 원반편을 상승시켜 우산을 펼칠 때 와이어가 권취된 드럼의 일측에 축설된 태엽스프링을 감아 일정한 압축력을 가지게 하고 슬라이더를 폴대의 하방으로 하강시켜 우산천을 접을 때 상기 압축된 태엽스프링의 압축력을 슬라이더 및 원반편을 하강시킬 때 슬라이더를 당기는 힘에 보강하도록 하여 적은 힘으로 슬라이더를 당기어 우산천을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을 고안의 요지로 하고 있다.
물론 도면 또는 설명에서는 편의상 1단으로 접히고 펴지는 우산을 중심으로 도시 또는 설명을 하였으나 본 고안을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2단으로 접히거나 펴지는 우산에서도 간단한 설계변경을 통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것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부언하는 바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우산은 폴대의 하방으로 슬라이더를 하강시켜 우산천을 접을 때 슬라이더 및 원반편의 상승에 의해 압축된 태엽스프링을 압축력을 슬라이더 및 원반편을 하강시킬 때 슬라이더를 당기는 힘에 보강하도록 하여 적은 힘으로 슬라이더를 당기어 우산천을 접을 수 있도록 하여 노약자가 적은 힘으로 손쉽게 우산을 폐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손잡이 및 고정원반편이 각각의 말단에 구비된 폴대와, 상기 폴대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원반편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우산천과 우산살부재를 절첩시키는 서포트부재를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원반편과, 상기 원반편의 하방으로 압축스프링이 개재되어 이격 위치하며 상기 서포트부재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당김부재의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폴대를 슬라이딩하게 마련된 슬라이더와, 상기 폴대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슬라이더를 잡아주는 고정후크와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고정후크로 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된 버튼을 가지는 통상의 우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고, 상기 공간부에는 와이어가 권취된 원통상의 드럼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드럼의 일측부에는 태엽스프링이 축설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의 종단은 상기 원반편의 일단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와이어의 종단은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폴대는 외주면에 수직상의 요홈이 형성되어 이 요홈을 통해 상기 와이어의 종단이 상기 원반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와이어는 상기 버튼의 일단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장공을 가지는 제동편의 장공에 내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KR2020010036109U 2001-11-23 2001-11-23 우산 KR2002664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109U KR200266430Y1 (ko) 2001-11-23 2001-11-23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109U KR200266430Y1 (ko) 2001-11-23 2001-11-23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430Y1 true KR200266430Y1 (ko) 2002-02-28

Family

ID=7307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109U KR200266430Y1 (ko) 2001-11-23 2001-11-23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4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808Y1 (ko) * 2009-05-04 2011-07-29 샤먼 밍호 브라더스 엠에프지. 코., 엘티디. 자동 접기가 가능한 우산(양산)의 중간 대 제어 장치
CN113261761A (zh) * 2021-06-07 2021-08-17 江苏大学 一种可实现雨伞自动撑开和自动收拢的全自动雨伞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808Y1 (ko) * 2009-05-04 2011-07-29 샤먼 밍호 브라더스 엠에프지. 코., 엘티디. 자동 접기가 가능한 우산(양산)의 중간 대 제어 장치
CN113261761A (zh) * 2021-06-07 2021-08-17 江苏大学 一种可实现雨伞自动撑开和自动收拢的全自动雨伞
CN113261761B (zh) * 2021-06-07 2024-04-09 江苏大学 一种可实现雨伞自动撑开和自动收拢的全自动雨伞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825B1 (ko) 우산살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KR100649607B1 (ko) 자동 절첩식 텐트
US6058952A (en) Simplified flat top umbrella
KR200470587Y1 (ko) 접이식 자동 우산
KR100982792B1 (ko) 우산
US4941494A (en) Lightly-operating automatic umbrella for preventing false operation
KR200266430Y1 (ko) 우산
KR200437933Y1 (ko) 자동 우산
CA2033520C (en) Self opening umbrella
US7311110B2 (en) Automatic close umbrella with automatic resetting feature
CN210407398U (zh) 一种手推遮阳伞
KR200437932Y1 (ko) 자동우산
KR200432921Y1 (ko) 자동 접이식 우산
KR20090132764A (ko)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KR100587832B1 (ko) 원터치 절첩식 텐트
CN213205180U (zh) 一种沙滩帐篷伞
KR101255473B1 (ko) 접힘 시 펼침을 방지하는 안전형 자동우산
CN113995210A (zh) 收合方便且安全性佳的拐杖椅
KR200432922Y1 (ko) 자동우산
KR20110025312A (ko) 안전형 자동우산
KR100963663B1 (ko) 정자형 파라솔
KR970005967Y1 (ko) 자동 개폐식 우산
CN214759557U (zh) 一种伞的伞顶布连接结构
KR101366756B1 (ko) 우산
KR102153231B1 (ko)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