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555B1 - 거꾸로 접혀지며 역풍에도 안전한 우산 - Google Patents

거꾸로 접혀지며 역풍에도 안전한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555B1
KR101848555B1 KR1020160096505A KR20160096505A KR101848555B1 KR 101848555 B1 KR101848555 B1 KR 101848555B1 KR 1020160096505 A KR1020160096505 A KR 1020160096505A KR 20160096505 A KR20160096505 A KR 20160096505A KR 101848555 B1 KR101848555 B1 KR 101848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folded
rib
tap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2667A (ko
Inventor
강병남
김정숙
강다래
강모래
Original Assignee
강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남 filed Critical 강병남
Priority to KR1020160096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555B1/ko
Publication of KR2018001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2Devices for increasing the resistance of umbrellas to win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2019/008Umbrellas having upward pointing rib ends when closed, i.e. the lower dry side of the cover facing the outside when closed

Abstract

본 발명은 비가올 때 사용되는 우산에 관한 것으로써 기존의 1단 2단 3단우산의 사용후에 접혀지는 방식의 반대방향으로 펼쳐지고 접혀지게 하여서 우산사용 후에 접었을때에 우산의 내부에 젖지않은 부분을 외부로 노출시켜서 접어지게 함으로써 손에 물기를 묻지않도록 하여 보관이동이 쉽도록 하여 역풍이 강하게 불어고 우산이 뒤집혀지면서 파손이 생기지 않도록 구조된 발명이다.

Description

거꾸로 접혀지며 역풍에도 안전한 우산{Backwards folded umbrella and safe from head wind}
본 발명은 기존의 1단식 2단식 3단식 우산이 우산을 접을 때는 어쩔 수 없이 우산천의 젖은 부분이 손에 닿아서 손이 젖게 되고 또한 건물안으로 들어갈때는 빗물이 흘러서 비닐커버에 씌워야하는 불편한 상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강한 바람이 우산을 펼친 반대방향쪽에서 불어오면 우산이 뒤집혀지면서 우산살대가 파손되어 못쓰게 되므로 우산의 수명이 단축되게 되는 구조로 되어져 있다.
삭제
이에 본 발명은 우산의 빗물처리와 함께 바람에 뒤집혀도 우산살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여 우산의 사용기간을 연장코져 하는 것이다.
종래의 우산들은 모두 1단식, 2단식, 3단식으로 구성되어져서 사용되는데 사용후에는 빗물이 우산의 외부 우산천에 묻은 상태로 접게되어서 보관하거나 이동시에 상당한 불편을 겪고 있다. 또한 강한 바람이 우산을 펼친 반대방향쪽에서 불어오면 우산이 뒤집혀지면서 우산살대가 파손되어 못쓰게 되어서 우산의 수명이 단축되게 되는 구조로 되어져 있다.
이러한 우산천에 묻어져있는 물기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여서 사용의 편리함을 도모하며 바람에 뒤집혀도 우산이 파손되지 않게 하여서 우산의 사용기간을 연장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삭제
우산을 접을 때 기존의 우산은 모두 손잡이쪽으로 접혀지는데 이 접혀지는 방식을 바꾸어서 우산의 꼭지쪽으로 접혀지게 함으로써 우산의 내부천쪽이 바깥쪽으로 노출되게 하여 손에 물기를 묻히지 않게 하였고, 역풍에도 저절로 젖혀질 수 있도록 우산살대를 구조하여서 우산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였다.
기존의 모든 우산은 사용 후 빗물처리가 되지않아서 이동과 보관시에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우산의 접혀지는 방식을 기존과는 반대방식인 위쪽으로 접히게 함으로써 우산을 접어서 감싸쥐어도 손에는 빗물이 묻지않게 하여서 보관이동이 깔끔히 되게 되었으며 사용시에 강한 역풍에도 우산이 저절로 젖혀지면서 우산살대가 부서져서 우산을 폐기하는 것을 방지하는 우산형태를 구조하여서 우산의 수명을 연장하게 되었다.
제 1도는 제품사시도
제 2도는 부품분해도
제 3도는 작동사시도
제 4도는 작동사시도
제 5도는 작동사시도
[부품의 간단한 설명]
1. 우산대 꼭지 1a. 꼭지 살대 링고정 구멍 1b. 꼭지 스프링걸이 홈
1c. 꼭지 살대 고정홈 1d. 우산대 꼭지 내부벽
2. 우산대 2a. 2b. 스토퍼 홈 2c. 2d. 우산대 내부벽
3. 우산살대뭉치 3a. 우산살대뭉치 링고정 구멍 3b. 스토퍼 홈
3c. 우산살대 고정 홈 3d. 우산살대 뭉치 내부벽
4. 손잡이 4a. 손잡이 내부벽
5. 꼭지 살대 5a. 5b. 꼭지 살대구멍
6. 받침살대 6a. 6b. 받침살대 구멍
7. 펼침살대 7a. 7b. 7c. 펼침살대 구멍
8. 인장스프링 8a. 8c. 스프링 고리
9. 연결 지지대 9a. 9b. 연결 지지대 고리
10. 중앙 연결 몸체 10a. 10b. 10c. 중앙 연결몸체 구멍
10d. 중앙연결몸체 내부벽
11. 11a. 우산살 고정링
12. 12a. 스토퍼
13. 13a. 고정체결핀
14. 우산천
제 1도 조립사시도에서 보면-
우산대 꼭지(1)와 우산대(2)가 체결되어져 있고 우산대(2)의 아래쪽으로는 우산살대뭉치(3)가 스토퍼(12a)에 걸려져 있으며 우산대(2)하단부는 손잡이(4)에 고정되어 있다.
우산살대뭉치(3)의 우산살대 고정홈(3c)에 받침살대(6)가 연결되며 그 한쪽끝에는 중앙연결몸체(10)와 체결되고 중앙연결몸체(10)에는 각각 인장스프링(8)과 연결지지대(9)가 체결되어있으며 연결 지지대(9)의 다른끝에는 펼침살대(7)가 연결되고 펼침살대 구멍(7a)에는 꼭지살대(5)가 연결되고 꼭지살대(5)는 인장스프링(8)을 관통하여서 우산대 꼭지살대 고정홈(1c)에 체결되어져서 그림 제 1-1의 상태로 되어져 있다.
제 2도의 부품 사시도를 근거로 구조를 살펴보면
우산대 꼭지(1)에는 꼭지살대 고정홈(1c)이 있어서 여기에 우산 꼭지살대(5)의 구멍(5a)을 맞추고 우산살 고정링(11)을 끼워서 체결하도록 되어져 있으며 우산살 고정링(11)은 꼭지살대링 고정홈(1a)에 삽입하도록 된다.
우산대 꼭지 내부벽(1d)에는 우산대(2)의 상부 부분이 끼워져서 고정체결되며 우산대 내부벽(2c. 2d)으로는 스토퍼(12. 12a)가 각각 위아래로 끼워져서 우산대 내부벽(2c. 2d)에 장창되어지고 스토퍼(12. 12a)는 우산대 스토퍼홈(2a. 2b)에 체결된다.
우산살대 뭉치(3)는 우산살대뭉치(3)의 내부벽(3d)으로 우산대(2)를 통과시키면서 상하로 이동되게끔 조립되며 우산대(2)의 가장 아래 하단부(2f)는 손잡이 내부벽(4a)속으로 끼워져서 고정체결된다.
우산살대뭉치(3)의 우산살대 고정홈(3c)으로 받침살대(6)의 받침살대구멍(6a)이 우산살대뭉치링 고정구멍(3a)으로 통과되어 들어온 우산살 고정링(11a)에 의해서 받침살대(6)는 우산살대뭉치(3)와 체결되며
우산대 꼭지(1)의 꼭지살대고정홈(1c)에 체결된 꼭지살대(5)의 아래쪽 꼭지살대구멍(5b)으로 인장스프링(8)과 중앙연결몸체(10)를 관통시키고 인장스프링(8)의 스프링고리(8b)를 우산대 꼭지(1)의 꼭지스프링걸이 홈(1b)에 걸고 다른쪽 끝의 스프링고리(8c) 인장스프링(8)과 함께 관통된 중앙연결몸체(10)의 몸체구멍(10c)에 걸도록 된다.
중앙연결몸체구멍(10b)에는 우산살대뭉치(3)의 우산살대 고정홈(3c)에 체결된 받침살대(6)의 한쪽끝인 받침살대구멍(6b)과 고정체결핀(13a)으로 고정연결되며- 중앙연결몸체(10)의 남은 중앙연결몸체구멍(10a)에는 연결지지대(9)의 한쪽끝인 연결지지대고리(9a)가 체결되며 꼭지살대(5)의 한쪽끝인 꼭지살대구멍(5b)에는 펼침살대(7)의 펼침살대구멍(7a)이 고정체결핀(13)으로 체결되며 펼침살대(7)의 한쪽끝인 펼침살대구멍(7b)에는 연결지지대(9)의 한쪽끝인 연결지지대 고리(9b)가 걸려저서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졌다.
이러한 구조를 도면에 의해서 그 작용을 설명하면-
제 1-1도의 상태는 손잡이(4)와 가장 근접한 상태로 우산살대뭉치(3)가 스토퍼(12a)에 의해서 정지된 상태이며 이때 위쪽의 인장스프링(8)의 상태는 인장력이 최대의 상태로 되어져 있다.
우산살대뭉치(3)에 연결된 받침살대(6)의 반대편 한쪽 끝(6b)은 중앙 연결 몸체(10)의 중앙연결몸체구멍(10b)에 연결되어있어서 중앙연결몸체구멍(10c)에 연결된 인장스프링(8)의 스프링고리(8c)를 손잡이(4)쪽으로 최대한 당기면 꼭지스프링걸이 홈(1b)에 고정된 스프링고리(8b)를 가진 인장스프링(8)은 손잡이(4)쪽으로 최대한 늘어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이 상태는 인장력이 최대이다.
이 상태에서 스토퍼(12a)를 풀면 인장스프링(8)은 인장력을 발생시켜서 스프링고리(8c)에 연결된 중앙연결몸체(10)를 우산대 꼭지(1)쪽으로 이동시키고 중앙연결몸체(10)에 연결된 연결지지대(9)를 통하여서 펼침살대(7)의 펼침살대구멍(7b)를 당기게 되면서 펼침살대(7)는 꼭지살대구멍(5b)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을 하여서 도면 제3도에 이어서 연속으로 도면 제4도의 상태가 된다.
이때 우산사용자가 손으로 우산살대뭉치(3)를 우산대 꼭지(1)쪽으로 이동시키면 우산살대(5, 7)는 우산대 꼭지(1)쪽으로 최대한 직선으로 펼쳐지면서 기능이 완료되고 우산살대뭉치(3)는 위쪽 스토퍼(12)에 의해서 지금까지 작용방향의 반대방향으로는 움직임이 차단된다.
도면 5-3도는 사용중에 역풍이 작용될때의 상태도이다.
도면 5-1의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역풍이 작용되게되면 우산에 작용되는 바람의 세기가 원넓이 면적에 비례하므로 꼭지살대(5)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넓이보다 펼침살대(7)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넓이 면적이 훨씬 크게 된다.(약 3배)
그러므로 도면 5-3에서처럼 펼침살대(7)를 바람이 강하게 화살표(↑)방향으로 작용하면 꼭지살대(5)의 꼭지살대구멍(5b)은 펼침살대(7)가 화살표(↑)방향으로 힘을 작용할때에 지렛대의 받침점이 되게 되면서 펼침살대구멍(7b)은 연결지지대(9)를 통해서 인장스프링(8)을 당기면서 도면 5-3의 상태가 되며 우산에 작용하는 역풍의 75%정도는 줄여서 우산살대를 보호하게 된다.
사용후의 우산을 접을때의 작동방식은 지금까지 작동한 원리의 역순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3)

  1. 거꾸로 접혀지며 역풍에도 안전한 우산에 있어서,
    우산대꼭지(1);
    상기 우산대꼭지(1)에 결합되는 우산대(2);
    상기 우산대꼭지(1)에 형성되어 있는 꼭지살대고정홈(1c)에 끼워지는 우산꼭지살대(5);
    상기 우산꼭지살대(5)의 외경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중앙연결몸체(10);
    상기 우산꼭지살대(5)의 외경에 끼워지며 그 양단에는 상기 중앙연결몸체(10)와 상기 우산대꼭지(1)에 각각 고정되는 스프링고리(8b, 8c)를 가지는 인장스프링(8);
    상기 우산대(2)의 외경에 끼워지는 우산살대뭉치(3) ;
    상기 우산살대뭉치(3)와 상기 중앙연결몸체(10)를 연결하는 받침살대(6) 및 ;
    상기 중앙연결몸체(10)와 연결지지대(9)로 연결 구성되고 또한 상기 우산꼭지살대(5)와 고정체결핀(13)으로 연결 구성되어, 상기 고정체결핀(13)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며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되는 펼침살대(7)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 접혀지며 역풍에도 안전한 우산.

  2. 삭제
  3. 삭제
KR1020160096505A 2016-07-27 2016-07-27 거꾸로 접혀지며 역풍에도 안전한 우산 KR101848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505A KR101848555B1 (ko) 2016-07-27 2016-07-27 거꾸로 접혀지며 역풍에도 안전한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505A KR101848555B1 (ko) 2016-07-27 2016-07-27 거꾸로 접혀지며 역풍에도 안전한 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667A KR20180012667A (ko) 2018-02-06
KR101848555B1 true KR101848555B1 (ko) 2018-05-29

Family

ID=61228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505A KR101848555B1 (ko) 2016-07-27 2016-07-27 거꾸로 접혀지며 역풍에도 안전한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5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3867A (ko) 2022-06-20 2023-12-27 김승연 원심력을 이용해 표면의 물기를 털어 낼 수 있는 우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38579U (zh) * 2011-03-16 2011-08-24 郑正国 伞具
CN205018448U (zh) * 2015-09-30 2016-02-10 秀裕工业股份有限公司 反向折收伞具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38579U (zh) * 2011-03-16 2011-08-24 郑正国 伞具
CN205018448U (zh) * 2015-09-30 2016-02-10 秀裕工业股份有限公司 反向折收伞具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667A (ko)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1528B1 (ko) 개선된 샤프트와 리브 조립체를 갖는 우산
US8151811B2 (en) Protective mechanism for automatic umbrella
US9486044B1 (en) Reverse folding umbrella
US10016033B2 (en) Adjustable canopy umbrella with auditory pin locking and centering system
KR200470587Y1 (ko) 접이식 자동 우산
US20120160283A1 (en) Umbrella rib assembly and foldable umbrella
US20100319739A1 (en) Retrieving structure adapted for a protective device in a collapsible umbrella
US9282793B2 (en) Control mechanism of full-automatic multi-folded umbrella
GB2466707A (en) Collapsible umbrella with secure retraction device.
US20030051747A1 (en) Automatic bending-angle changing structure for umbrella
KR101848555B1 (ko) 거꾸로 접혀지며 역풍에도 안전한 우산
US9844250B1 (en) Anti-turning umbrella frame
WO1999056579A1 (en) Tilting umbrella
EP3338587A1 (en) Anti-turning umbrella frame
KR101255844B1 (ko) 우산
FR3012728A1 (fr) Pare-soleil, parapluie ou analogues
TWM522603U (zh) 自動多折反收傘
KR101868080B1 (ko)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
KR20190127131A (ko) 역방향으로 접히는 살없는 내장형 우산
KR200495190Y1 (ko) 구형 관절형태의 우산살 및 방수포 고정장치
KR200454808Y1 (ko) 자동 접기가 가능한 우산(양산)의 중간 대 제어 장치
KR101791814B1 (ko) 간편하게 접을 수 있는 우산
KR102427295B1 (ko) 접이식 우산
WO2012037712A1 (zh) 具有防收伞回弹装置的自动开收伞
KR200415943Y1 (ko) 회전형 걸림수단이 구비된 우산 살대의 지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