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295B1 - 접이식 우산 - Google Patents

접이식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295B1
KR102427295B1 KR1020220058451A KR20220058451A KR102427295B1 KR 102427295 B1 KR102427295 B1 KR 102427295B1 KR 1020220058451 A KR1020220058451 A KR 1020220058451A KR 20220058451 A KR20220058451 A KR 20220058451A KR 102427295 B1 KR102427295 B1 KR 102427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stand
meat
flesh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김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현 filed Critical 김재현
Priority to KR1020220058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06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telescopic r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08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접이식 우산을 개시하며, 긴 봉형상이 다단으로 길이 조절되고 하단에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우산대와, 상기 우산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러너와, 상기 우산대의 상부고정쇠와 상기 러너에 연결되며 상기 우산대에서 방사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상살과 중살, 끝살 및 받침살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펼침부재와, 상기 우산대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끝살에 결합되어 상기 펼침부재의 펼침 작동에 따라 다단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우산살부와, 상기 우산살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우산천 및 상기 우산천의 단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4절링크가 절첩됨과 동시에 상기 우산살부의 접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우산천이 상기 우산대를 중심으로 포개어지는 상기 우산살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우산천수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우산{FOLDING TYPE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었을 때 우산천이 노출되지 않는 접이식 우산에 관한 것이다.
대체적으로 우산은, 금속재 살이나 대오리살에 방수천 또는 유지(油紙)를 발라 비가 올 때 손에 펴 들고 머리 위를 가려서 비를 막는 도구로서, 구조는 크게 사용자가 하단을 파지하기 위한 우산대, 방수재질로 이루어져 비 또는 바람을 막아주는 우산천, 우산천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우산살과, 우산살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중간살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직접 우산을 펼치지 않고도 자동으로 펼쳐지는 자동우산이 제안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자동우산은 우산대 내부에 실과 같은 연결부재 또는 다수의 기어열을 설치하고 손잡이 부분에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를 설치하여, 버튼에 의해 구동모터가 작동되는 방법으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0953호(2014.01.14. 등록)는 버튼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우산이 펼쳐지도록 구현한 자동우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자동우산은, 누름버튼이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내부에 고정되어 2단으로 형성되는 우산대와 상기 우산대를 따라 위아래로 움직이는 승강슬라이더와 상기 승강슬라이더를 우산대 상부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우산대 상부를 씌우는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에 고정되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외곽살과 상기 외곽살과 연결대로 연결되는 우산살대와 상기 연결대에 연결되어 우산살대와 외곽살을 지탱하고 지지하도록 이중으로 구성하는 보조살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자동우산 외에도 점점 내구성, 효율성, 심미성, 경제성, 안전성, 기능성 등의 기준으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지만 우산의 구조를 튼튼하도록 부가적인 보조수단을 구비해 내구성은 좋지만 그로 인해 가볍지 않아 효율성이 떨어지거나 효율성을 좋도록 경량화하였지만 그로 인해 내구성이 부족해 안전하지 못한 문제가 생기는 등의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우산이 개발되고 있어도 우산을 접었을 때 우산천이 외부로 노출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며, 보관시 미관이 좋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포개지는 우산살 내부로 우산천이 위치되어 노출이 방지될 수 있는 접이식 우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우산살이 다단으로 접히고, 손잡이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컴팩트한 사이즈로 휴대가 용이한 접이식 우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접이식 우산은, 긴 봉형상이 다단으로 길이 조절되고 하단에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우산대와, 상기 우산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러너와, 상기 우산대의 상부고정쇠와 상기 러너에 연결되며 상기 우산대에서 방사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상살과 중살, 끝살 및 받침살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펼침부재와, 상기 우산대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끝살에 결합되어 상기 펼침부재의 펼침 작동에 따라 다단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우산살부와, 상기 우산살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우산천 및 상기 우산천의 단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4절링크가 절첩됨과 동시에 상기 우산살부의 접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우산천이 상기 우산대를 중심으로 포개어지는 상기 우산살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우산천수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펼침부재는, 상기 상부고정쇠에 결합된 상기 상살에는 상기 러너에 결합된 상기 받침살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살에 결합된 보조받침살과 상기 상살은 상기 중살에 설치되며, 상기 중살의 단부에는 상기 끝살이 설치되고, 상기 끝살과 상기 보조받침살의 사이에는 중간보조살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우산살부는, 상기 상부고정쇠의 상단에 5각형 형태로 설치되는 펜타곤고정체와, 상기 펜타곤고정체의 각 변을 따라 설치되는 제1우산살과, 상기 제1우산살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상기 제1우산살로부터 인출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제2우산살과, 상기 제2우산살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상기 제2우산살로부터 인출되고 단부측에 상기 끝살과 연결되는 제3우산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우산천수납부재는, 상기 4절링크는 제1조인트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한 쌍의 제1링크절과 상기 제1링크절의 각 단부측에 제2조인트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한 쌍의 제2링크절로 구성되며, 상기 우산살부를 향하는 상기 제2링크절의 단부측에 고정핀이 설치되고, 상기 우산살부의 측벽으로는 상기 제2링크절의 단부측이 관통되고 삽입 위치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손잡이부는, 상기 우산대를 중심으로 상기 우산살부가 수직하게 접혔을 때, 상기 우산살부의 하단에 근접 위치되고, 회전 작동으로 상기 우산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자동 인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우산에서는, 우산천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우산천의 내구성과 우산 전체의 심미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우산살이 다단으로 접히고, 손잡이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컴팩트한 사이즈로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우산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우산의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우산에서 펼침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우산에서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펼침 작동을 보여주는 일부 저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우산에서 우산천수납부재를 보여주는 확대 저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우산천수납부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우산에서 손잡이부를 보여주는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손잡이부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A-A선 단면도이고,
도 11은 손잡이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손잡이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전방", "후방"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우산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우산의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우산에서 펼침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우산에서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펼침 작동을 보여주는 일부 저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우산에서 우산천수납부재를 보여주는 확대 저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우산천수납부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우산에서 손잡이부를 보여주는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손잡이부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A-A선 단면도이고, 도 11은 손잡이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손잡이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접이식 우산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다단으로 길이 조절되는 우산대(100)와, 우산대(10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러너(120)와, 우산대(100)에서 방사방향으로 펼쳐지는 펼침부재(130)와, 펼침부재(130)에 의하여 펼쳐지는 우산살부(140)와, 우산살부(140)의 사이에 설치되는 우산천(150) 및 우산을 접었을 때 우산천(150)을 포개지는 우산살부(140)의 내부로 위치시키는 우산천수납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우산대(100)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측에는 상부고정쇠(110)가 설치되고, 하단에는 손잡이부(170)가 마련된다.
상기 우산대(100)는, 상기 손잡이부(17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부측부터 일정 직경으로 형성된 제1우산봉(102)과, 제1우산봉(102)보다 적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내부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제1우산봉(102)에 연결되는 제2우산봉(104)과, 제2우산봉(104)보다 적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우산봉(104)의 내부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제2우산봉(104)에 연결되는 제3우산봉(106)으로 이루어진 텔레스코픽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1우산봉(102)과 제2우산봉(104) 및 제3우산봉(106)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제1우산봉(102)과 제2우산봉(104) 2단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우산대(100)에 마련되는 손잡이부(170)는 제3우산봉(106)으로부터 회전 작동에 의하여 자동으로 인출되고 장입되는 형태일 수 있다.
손잡이부(170)는 하기에서 도 8을 참고하여 다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산대(100) 상에 설치되어 승강 되는 러너(120)는, 우산대(100)로부터 위쪽으로 밀어 올리면 우산이 펼쳐지고 반대로 아래로 내리면 접혀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러너(120)는 우산에서 널리 사용되는 부품으로 압축스프링(미도시)이 내장 설치되어, 우산을 접을 때 압축된 상기 압축스프링의 팽창력에 의해 하기에서 설명하는 펼침부재(130)와 러너(120)가 동반 상승하여 펼침부재(130)의 연동 작용에 의하여 우산이 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반대로 우산을 사용 후 접을 때 우산대(100)의 상단부에 위치한 러너(120)를 손으로 잡고 펼 때 팽창된 압축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손잡이부(170) 쪽으로 당겨 내려 손잡이부(170) 위쪽에 설치된 걸림쇠(108)에 걸어 접는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러너(120)가 중공이 마련된 단일 부재로 구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하부로 구성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펼침부재(130)는 도 3 또는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펼침부재(130)는 우산대(100)의 상부고정쇠(110)와 러너(120)에 연결되며 우산대(100)에서 방사방향으로 펼쳐지도록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펼침부재(130)는 다시 상살(131)과 중살(132), 끝살(134) 및 받침살(136)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고정쇠(110)에 일측단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측단 인접부에는 상향으로 장방공(131a)이 형성된 하부가 개방된 상살(131)과, 상살(131)과 힌지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된 중살()과, 단부가 소정각도 절곡 형성되어 중살(132)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는 끝살(134)과, 러너(120)와 상살(131)의 중앙을 연결하는 받침살(136)로 구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중살(132)의 끝단 부분으로 돌출편(132a)이 형성되어 중살(132)의 단부와 결합되고, 타측은 받침살(136)의 끝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보조받침살(137)이 더 설치되고, 장방공(131a)을 관통하여 일측이 끝살(134)에 연결되고, 타측은 보조받침살(137)의 돌출편(132a)에 결합하도록 연결된 강선(138)으로 구성된다.
상기 펼침부재(130)를 조립하는 바, 상살(131)과 중살(132) 및 끝살(134)을 순차적으로 조립하고, 상살(131)의 중앙에 받침살(136)을 결합하며, 받침살(136)과 중살(132)을 연결하도록 보조받침살(137)을 조립한 후, 강선(138)을 끝살(134)과 보조받침살(137)을 연결하도록 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펼침부재(130)는 우산살부(140)를 펼치기 위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방사방향으로 5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우산살부(140)는 단부측에 끝살(134)에 결합되어 펼침부재(130)의 펼침 작동에 따라 다단으로 길이가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우산살부(140)는, 다시 도 1 또는 도 4에서와 같이, 상부고정쇠(110)의 상부측 즉, 돌출된 우산대(100)의 상단에 5각형 형태의 펜타곤고정체(142)가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펜타곤고정체(142)의 각 변에 마주하여 위치되는 제1우산살(144)과, 제1우산살(144)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상기 제1우산살(144)로부터 인출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제2우산살(146)과, 상기 제2우산살(146)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상기 제2우산살(146)로부터 인출되는 제3우산살(148)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우산살(144)은 우산이 접혔을 때 전체 길이에 해당하며, 제1우산살(144)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제2우산살(146)과 제3우산살(148)을 내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우산살(144)로부터 인출되는 제2우산살(146)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1우산살(144)의 단부에는 내측 방향을 향하는 "ㄴ"자 형상의 제1걸림턱(144a)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2우산살(146)에는 상기 제1걸림턱(144a)에 대응되도록 "ㄱ"자 형상의 제2걸림턱(146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우산살(146)에도 제3우산살(148)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타단부에 제2걸림턱(146a)이 형성되고, 제3우산살(148)에는 대응되는 제3걸림턱(148a)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우산살(148)의 단부측에는 펼침부재(130)의 끝살(134)과 결합되어 끝살(134)의 펼침 작동에 의하여 차례로 제1우산살(144)로부터 제2우산살(146)과 제3우산살(148)이 인출되는 길이 연장으로 펼쳐질 수 있다.
그리고 우산살부(140)가 접혔을 때에는 차례로 제1우산살(144)의 내측으로 제2우산살(146)이 인입되고, 제2우산살(146)의 내측으로는 제3우산살(148)이 인입되고, 펼침부재(130)에 의하여 펜타곤고정체(142)을 중심으로 수직하게 접혀지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끝살(134)의 타단부로는 제2우산살(146)이 연결되어 인출을 도울 수 있다.
상기 우산살부(140)의 사이 사이에 우산천(150)이 설치된다.
우산천(150)은 우산살부(140)의 사이 사이에 배치되기에 우산살부(140)와 같이 바람직하게 5개 정도가 구비되고, 부채꼴 형상 또는 삼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산천(150)은, 방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우산천(150)을 접었을 때 우산살부(140)의 내부에 위치시키도록 우산천수납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산천수납부재(160)는 도 6 또는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우산천수납부재(160)는, 우산천(150)의 단부 폭방향 즉, 우산살부(140)의 사이에 바 형태의 4절링크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4절링크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제작되며, 중앙에 제1조인트(16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한 쌍의 제1링크절(162)과 제1링크절(162)에서 우산살부(140)를 향하여 제2링크절(164)이 제2조인트(165)로 연결되어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인트(161)는 단방향 링크로 우산의 바깥쪽을 향하여 회동될 수 있으며, 제2조인트(165)는 제1조인트(161)와는 반대 방향 즉, 우산대(100)를 향하여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제1조인트(161)를 중심으로 한 쌍의 제1링크절(162)이 겹치도록 절첩되고, 제1링크절(162)의 외측으로 제2조인트(165)를 중심으로 회동된 제2링크절(164)이 절첩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우산살부(140)를 향하는 각 제2링크절(164)의 단부에는 고정핀(166)이 연결 설치되고, 고정핀(166)은 우산살부(140)의 제3우산살(148)의 측벽을 관통하여 제3우산살(148)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66)은 제3우산살(148)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나, 피벗조인트 형태로 제2링크절(164)과 같이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고정핀(166)이 관통되도록 제3우산살(148)에는 장공(149)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장공(149)은 각 제2우산살(146)과 제3우산살(148)에도 형성될 수 있다.
장공(149)은 우산살부(140)의 양측벽에 설치되며, 제1우산살(144)과 제2우산살(146)이 제3우산살(148)로 인입되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장공(149)에는 우산천(150)과 같이 상기 제1링크절(162)과 제2링크절(164)이 절첩되었을 때 제2링크절(164)이 우산천(150)와 ƒˆ이 장공(149)의 내부로 일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170)는 우산대(100)의 내부로 일부 인입되어 있다가 필요시 일정 길이만큼 인출되어 파지가 용이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손잡이부(170)는 우산대(100)를 중심으로 우산살부(140)가 수직하게 접혔을 때는 일부가 인입되어 우산살부(140)의 하단에 근접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8 또는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손잡이부(170)는, 손잡이(174)와 손잡이(174)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손잡이대(172)와 우산대(100)의 내부에서 손잡이(174)에 의하여 압축되는 스프링(17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대(172)는 파지한 손을 하면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손잡이(174)에는 외주연으로 너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대(172)와는 나사 체결로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174)는 우산대(100)의 내부 직경과 같으며, 우산대(100)의 내부로 인입되었다가 인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손잡이(174)의 상단부에는 마주하는 한 쌍의 돌기턱(174a)이 형성되며, 우산대(100)의 내부로는 돌기턱(174a)에 대응되도록 가이드홀(109)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서와 같이, 우산대(100)의 내부로는 돌기턱(174a)이 끝나는 지점으로 동일 면상에 가이드턱(109a)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74)의 돌기턱(174a)이 가이드홀(109)을 따라 승강한 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기턱(174a)이 가이드턱(109a)에 안착되어 하방으로는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손잡이(172)를 잡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기턱(174a)이 가이드턱(109a)으로부터 빠져나와 가이드홀(109)에 위치되어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74)의 상단에는 스프링(176)이 위치되며, 손잡이(174)의 승강시에 스프링(176)이 압축되어 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우산의 작동은, 다시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우산이 접혔을 때에는 우산살부(140)가 5각형의 펜타곤고정체(142)를 중심으로 수직하게 접히게 되며, 손잡이부(170)도 손잡이(174)가 우산대(100)의 내부에서 스프링(176)을 압축한 상태에서 돌기턱(174a)이 가이드턱(109a)에 위치되어 고정된 상태이다.
그리고 포개어진 우산살부(140)의 내부로는 우산천(150)이 위치되어 도 2와 같이 5각형 형태로 포개진 상태가 될 수 있다.
계속해서 우산을 펼치고자 하면, 먼저, 스프링(176)을 압축하면서 우산대(100)에 인입되어 있던 손잡이부(170)를 인출하게 된다.
손잡이(174)를 파지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기턱(174a)이 가이드턱(109a)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스프링(176)의 팽창에 의하여 돌기턱(174a)이 가이드턱(109a)을 따라 우산대(100)로부터 인출되어 진다.
다음으로, 손잡이(174) 및/또는 손잡이대(172)를 잡고 우산대(100)를 잡아당기면, 제1우산봉(102)과 제2우산봉(104) 및 제3우산봉(106)이 차례로 연장되어 진다.
그리고 걸림쇠(108)에 걸려있던 러너(120)를 우산대(100)의 상부고정쇠(110)를 향하여 승강시키면, 절첩되어 있던 펼침부재(130)가 펼쳐지게 된다.
도 4 또는 도 5에서와 같이, 받침살(136)이 상살(131)을 밀어 올려 주는 동시에 보조받침살(137)을 통해 중살(132)의 일측을 당겨 주게 된다.
위로 올려지는 상살(131)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된 강선(138)과 중살(132)의 일측이 상살(131)과 보조받침살(137)에 의해 당겨지면서 아래쪽으로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중살(132)과 강선(138)에 의해 끝살(134)이 위쪽으로 펼쳐지면서 다단의 우산살부(140)과 같이 우산천(150)을 펼치게 된다.
끝살(134)이 펼쳐짐에 따라 제3우산살(148)이 제2우산살(146)로부터 인출되고, 제2우산살(146)은 제1우산살(144)로부터 인출되어진다.
그리고 우산천(150)은 제3우산살(148)의 인출에 따라 절첩되어 있던 제2링크절(164)과 제1링크절(162)이 펼쳐지면서 같이 우산살부(140)의 사이에서 펼쳐지게 된다.
다시 우산을 접을 때에는, 러너(120)를 걸림쇠(108) 방향을 잡아당기게 되며, 펼침부재(130)의 끝살(134)이 접어지면서 제3우산살(148)이 차례로 제2우산살(146)과 제1우산살(144)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와 동시에 제1조인트(161)와 제2조인트(165)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링크절(162)과 제2링크절(164)이 우산천(150)과 같이 접히게 되며, 제2링크절(164)와 우산천(150)의 일부는 우산살부(140)에서 연통된 장공(149)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우산천(150)은 우산대(100)를 중심으로 5각형 형태로 접힌 우산살부(140)의 내부에 위치되어 노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우산천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우산천의 내구성과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우산살이 다단으로 접히고, 손잡이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컴팩트한 사이즈로 휴대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손잡이부(17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동일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손잡이(174)의 직경보다 손잡이대(172)의 직경에 확대되며, 우산대(100)를 중심으로 접힌 우산살부(140)의 외경보다 확대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확대 형성된 손잡이대(172)에는 상방이 개구되는 환형홈(173)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환형홈(173)에는 링 형상의 흡수부재(177)가 삽입 위치될 수 있다.
흡수부재(177)는 스펀지의 종류일 수 있으며, 우산을 접었을 때 우산살부(140)를 타고 흐르는 빗물이 흡수부재(177)에 흡수되도록 하였다.
또한, 도 12에서는 또 다른 손잡이부(170)를 도시하였으며, 도 11에서와 같이 직경이 확대된 손잡이대(172)의 상단에 빗물제거링(178)이 포함될 수 있다.
우산을 접었을 때 빗물제거링(178)을 우산살부(140)를 향하여 이동시키면서 우산살부(140)에 잔존하는 빗물을 털어 낼 수 있다.
빗물제거링(178)은 고무재가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우산대 102 : 제1우산봉
104 : 제2우산봉 106 : 제3우산봉
108 : 걸림쇠 109 : 가이드홀
109a : 가이드턱 110 : 상부고정쇠
120 : 러너 130 : 펼침부재
131 : 상살 131a : 장방공
132 : 중살 132a : 돌출편
134 : 끝살 136 : 받침살
137 : 보조받침살 138 : 강선
140 : 우산살부 142 : 펜타곤고정체
144 : 제1우산살 144a : 제1걸림턱
146 : 제2우산살 146a : 제2걸림턱
148 : 제3우산살 148a : 제3걸림턱
149 : 장공 150 : 우산천
160 : 우산천수납부재 161 : 제1조인트
162 : 제1링크절 164 : 제2링크절
165 : 제2조인트 166 : 고정핀
170 : 손잡이부 172 : 손잡이대
173 : 환형홈 174 : 손잡이
174a : 돌기턱 176 : 스프링
177 : 흡수부재 178 : 빗물제거링

Claims (5)

  1. 긴 봉형상이 다단으로 길이 조절되고 하단에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우산대와,
    상기 우산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러너와,
    상기 우산대의 상부고정쇠와 상기 러너에 연결되며 상기 우산대에서 방사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상살과 중살, 끝살 및 받침살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펼침부재와,
    상기 우산대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끝살에 결합되어 상기 펼침부재의 펼침 작동에 따라 다단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우산살부와,
    상기 우산살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우산천, 및
    상기 우산천의 단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4절링크로 형성된 우산천수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우산살부의 접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우산천수납부재가 절첩되고, 동시에 상기 우산천이 상기 우산대를 중심으로 포개어져 상기 우산살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인, 접이식 우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부재는,
    상기 상부고정쇠에 결합된 상기 상살에는 상기 러너에 결합된 상기 받침살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살에 결합된 보조받침살과 상기 상살은 상기 중살에 설치되며,
    상기 중살의 단부에는 상기 끝살이 설치되고,
    상기 끝살과 상기 보조받침살의 사이에는 강선이 설치되는, 접이식 우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살부는,
    상기 우산대의 상단에 5각형 형태로 설치되는 펜타곤고정체와,
    상기 펜타곤고정체의 각 변에 마주하여 설치되는 제1우산살과,
    상기 제1우산살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상기 제1우산살로부터 인출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제2우산살과,
    상기 제2우산살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상기 제2우산살로부터 인출되고 단부측에 상기 끝살과 연결되는 제3우산살,
    을 포함하는 접이식 우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천수납부재의 상기 4절링크는, 제1조인트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한 쌍의 제1링크절과 상기 제1링크절의 각 단부측에 제2조인트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한 쌍의 제2링크절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2링크절 각각에서 인접한 상기 우산살부를 향하는 말단에는, 상기 제2링크절의 상기 우산살부측 말단을 상기 우산살부의 연장 방향 말단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핀이 설치되고,
    상기 우산살부의 측벽에는, 상기 제2링크절의 상기 우산살부측 말단이 삽입 위치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는 것인, 접이식 우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우산대를 중심으로 상기 우산살부가 수직하게 접혔을 때, 상기 우산살부의 하단에 근접 위치되고,
    회전 작동으로 상기 우산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자동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우산.
KR1020220058451A 2022-05-12 2022-05-12 접이식 우산 KR102427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451A KR102427295B1 (ko) 2022-05-12 2022-05-12 접이식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451A KR102427295B1 (ko) 2022-05-12 2022-05-12 접이식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295B1 true KR102427295B1 (ko) 2022-07-29

Family

ID=82606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451A KR102427295B1 (ko) 2022-05-12 2022-05-12 접이식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2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9396A (ko) * 2006-09-27 2006-10-20 신창균 3단 접철식 우산
JP2007209593A (ja) * 2006-02-10 2007-08-23 Fukui Yogasa:Kk フォールディング洋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9593A (ja) * 2006-02-10 2007-08-23 Fukui Yogasa:Kk フォールディング洋傘
KR20060109396A (ko) * 2006-09-27 2006-10-20 신창균 3단 접철식 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1528B1 (ko) 개선된 샤프트와 리브 조립체를 갖는 우산
CA2743173C (en) Canopy tent
JP4125343B2 (ja) ワンタッチ式の折り畳みテント
US7509967B2 (en) Tent and frame for automatic umbrella style canopy tent
US10653218B1 (en) Umbrella with projector lighting device
AU2020331883B2 (en) Arthritic-aiding triple-sail wind-rotating umbrella
ES2900127T3 (es) Armadura de carpa con un mecanismo de apertura
US10016033B2 (en) Adjustable canopy umbrella with auditory pin locking and centering system
US20030192580A1 (en) Canopy support frame for a sunshade
JP4628368B2 (ja)
JP2008516114A (ja) テントフレーム
MX2007006511A (es) Sombrilla plegable que tiene mecanismo de apertura y cierre operado electronicamente.
JPS6134803B2 (ko)
KR102427295B1 (ko) 접이식 우산
KR200437933Y1 (ko) 자동 우산
CN209732806U (zh) 一种遮阳伞
TWM522603U (zh) 自動多折反收傘
KR101195096B1 (ko) 슬라이드 방식의 접이식 우산
JP3538604B2 (ja) オーニング
CN217089834U (zh) 一种自动收伞的伞具结构
KR100913419B1 (ko) 휴대용 콤팩트 우산
CN212545974U (zh) 一种手动开收直骨伞具
CN211632050U (zh) 自动伞蜂巢和自动伞
KR200432991Y1 (ko) 완전자동텐트
KR20100029614A (ko) 자동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