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991Y1 - 완전자동텐트 - Google Patents

완전자동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991Y1
KR200432991Y1 KR2020060025301U KR20060025301U KR200432991Y1 KR 200432991 Y1 KR200432991 Y1 KR 200432991Y1 KR 2020060025301 U KR2020060025301 U KR 2020060025301U KR 20060025301 U KR20060025301 U KR 20060025301U KR 200432991 Y1 KR200432991 Y1 KR 2004329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coupled
cap
fully automatic
automatic 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례
Original Assignee
문종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종례 filed Critical 문종례
Priority to KR20200600253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9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9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9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8Umbrella type 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2Supporting means, e.g. frames external type, e.g. frame outside cover
    • E04H15/425Flexible suppor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방식의 완전자동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캡의 외측으로 결합되어지는 폴대는 중공형의 제 1폴대와 탄성부재가 내장된 제 2폴대가 이음부재에 의하여 결합구성되고 상기 제 2폴대의 내측에는 제 3폴대가 탄성부재와 결합되어지며 상기 제 3폴대의 단부에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상기 캡의 하부에 위치한 작동부재와 와이어연결되어진 완전자동텐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완전자동텐트는 접이식으로 보관시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보관함으로서 보관이 용이하며 상기 보관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을 해지하면 자동으로 탄성부재의 탄성구동에 의하여 제 3폴대가 제 2폴대의 외측으로 신속하게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 3폴대의 단부에 결합되어진 와이어가 팽창하게 되며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어진 작동부재가 캡의 위치까지 상승하게 되는 원터치 방식으로 설치가능한 것이며 접이식으로 보관시는 상기 작동부재의 하부에 위치한 손잡이링을 하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손잡이링과 연결된 작동부재가 하강하면서 상기 작동부재와 결합된 와이어가 제 3폴대의 단부를 잡아당기게 되어 외측방향의 제 3폴대가 제 2폴대의 내측으로 슬라이드이동되면서 접이식으로 보관되어지며 상기 접이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수단을 제 1폴대와 연결된 연결부재에 체결하면서 고정되어지는 신개념 원터치방식의 완전자동텐트를 고안한 것이다.

Description

완전자동텐트{omitted}
도 1은 종래의 텐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펼쳐진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접이상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접이식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텐트 1-캡
2-폴대 3-이음부재
4-회동부재 5-작동부재
6-연결부재 21-제 1폴대
22-제 2폴대 23-제 3폴대
221-마감부 231-고정공
232-스토퍼 233-탄성부재
234-마감링 W-와이어
본 고안은 캡의 외측에 다수의 폴대가 와이어에 의한 연결구조 및 탄성부재에 의한 신속한 복원이 가능한 완전자동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캡의 외측으로 결합되어지는 폴대는 중공형의 제 1폴대와 탄성부재가 내장된 제 2폴대가 이음부재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캡의 외측방향에 형성된 제 1폴대 외주연에는 회동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캡의 하부에서 승강작동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가 연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되, 상기 제 2폴대의 내측에는 제 3폴대가 탄성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제 3폴대의 단부에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상기 제 1폴대와 캡을 관통하여 작동부재 및 작동부재 하부의 손잡이링과 결합되어진 완전자동텐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완전자동텐트는 접이식으로 보관시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보관함으로서 보관이 용이하며 상기 보관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을 해지하면 자동으로 탄성부재의 탄성구동에 의하여 제 3폴대가 제 2폴대의 외측으로 신속하게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 3폴대의 단부에 결합되어진 와이어가 팽창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어진 작동부재가 캡의 위치까지 상승하게 되는 원터치 방식으로 설치가능한 것이며 접이식으로 보관시는 상기 작동부재의 하부에 위치한 손잡이링을 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작동부재와 연결된 와이어가 제 3폴대의 단부를 잡아당기게 되어 외측방향의 제 3폴대 가 제 2폴대의 내측으로 슬라이드이동되면서 접이식으로 보관되어지며 상기 접이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수단을 제 1폴대와 연결된 연결부재에 체결하면서 고정되어지는 신개념 원터치방식의 완전자동텐트를 고안한 것이다.
주지되는 바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어지는 텐트는 주로 중앙에 지주와 결합되어지는 캡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외측으로 다수의 폴대가 절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캡을 승하강시 상기 절첩식으로 구성된 폴대가 펼쳐지면서 자동으로 텐트가 설치되어지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텐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사용한 후 원위치로 복원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자동텐트의 사용방법이었으나 근래에는 상기 텐트에 구성되는 폴대에 탄성력을 부여하거나 또는 상기 폴대의 내측으로 와이어와 같은 연결수단을 결합함으로서 보다 폴대의 신속한 설치 및 보관시 상기 폴대의 분실등을 방지하도록 구성하고자 다양한 방식의 자동텐트가 안출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의하여 안출된 것이 국내에 선 출원된 실용신안 출원 제 1989-18347호 텐트용 지주가 고안되었으며 상기와 같이 고안된 실용신안의 경우 양단에 구멍이 뚫린 팽출부로 된 캡과 구멍이 뚫린 요입부로 된 캡을 고정한 여러개의 토막지주에 스프링을 개재시킨 와이어를 관통시키고 세일 끝 토막지주의 외측에는 지지원통관의 나사부에 연결부 및 침부를 형성한 작동봉의 나사부를 나사결합하고 작동봉의 돌출에는 안내돌기는 지지원통관의 수직안내홈에 끼워지게 고리를 형성한 와이어체결링을 끼워 와셔 및 핀으로 빠지지 못하게 고정하고 고리에는 와이어를 고정시킨 후 캡을 지지원통관에 고정시켜서 설치되어지는 텐트용지주를 고안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고안된 텐트용 지주의 경우 고안된 내용에서와 같이 다양한 부품간의 결합구성을 필수적으로 수반하게 되는 것은 물론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과정상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설치가 복잡하며 특히, 다수의 폴대를 결합하여 일직선상으로 펼치는데 불필요하게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캡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에 제 1폴대와 제 2폴대가 이음부재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되, 상기 제 2폴대의 내측에는 제 3폴대가 결합되어져 상기 제 3폴대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공에 와이어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되어진 와이어가 제 1폴대를 관통하여 캡의 하부에 위치한 작동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작동부재와 연결되어진 손잡이링을 잡아당김으로서 제 3폴대가 긴밀하게 절첩결합되어진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 3폴대의 단부에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제 3폴대가 긴밀하게 제 2폴대의 내측에서 슬라이드 구동되어지는 것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캡(1)을 중심으로 외측에 다수의 폴대(2)가 결합되어 절첩식으로 개폐되어지는 완전자동텐트(A)에 있어서, 상기 캡(1)의 외측으로 결합되어지는 폴대(2)는 중 공형의 제 1폴대(21)와 탄성부재(233)가 내장된 제 2폴대(22)가 이음부재(3)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캡(1)의 외측방향에 형성된 제 1폴대(21) 외주연에는 회동부재(4)가 결합되어 상기 캡(1)의 하부에서 승강작동되는 작동부재(5)와 상기 회동부재(4)가 연결부재(6)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되, 상기 제 2폴대(22)의 내측에는 제 3폴대(23)가 탄성부재(233)와 결합되고 상기 제 3폴대(23)의 단부에는 와이어(W)가 연결되어 상기 제 1폴대(21)와 캡(1)을 관통하여 작동부재(5)와 결합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완전자동텐트(A) 캡(1)의 외측으로 절첩결합되어지는 다수의 연결부재(6)에 고정수단(7)이 결합되어 상기 완전자동텐트(A)가 접이식으로 보관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상기 제 3폴대(23)의 단부에는 스토퍼(232)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232)에 의하여 제 3폴대(23)가 제 2폴대(22)의 마감부(221) 내측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3폴대(23)가 타측 단부에는 마감링(234)이 결합되어 상기 마감링(234)에 의하여 제 3폴대(23)가 제 2폴대(22)의 마감부(221) 내측으로 인입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텐트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텐트의 천막 내부에는 별도의 폴대가 각각 이음구조로 연결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펼쳐진 상태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도면상 캡(1)을 중심으로 일측 폴대(2)부분만 도시하였으며 상기와 같이 제 1폴대(21)와 제 2폴대(22) 및 상기 제 2폴대(22)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구동되는 제 3폴대(23)가 각각 슬라이드식으로 절첩개방되어지는 것이며 일측의 확대도는 상기 도면상 요부확대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임의로 확대도시한 것이다.
상부 우측에 도시된 것이 회동부재(4)부분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회동부재(4)는 제 1폴대(21)의 외주연을 따라 슬라이드 구동되며 상기 작동부재(5)와 결합되어지도록 상기 제 1폴대(21)의 외주연에는 연결부재(6)가 결합되어진 것이며 상부 좌측에 도시된 것이 이음부재(3)의 연결부분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이음부재(3)를 중심으로 제 1폴대(21)와 제 2폴대(22)가 회전결합되어지는 것이며 하부 좌측에 도시된 것이 제 2폴대(22)와 제 3폴대(23)간의 결합구성을 확대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 3폴대(23)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공에 와이어(W)가 결합되어 탄성작동하는 것이며 상기 제 3폴대(23)의 단부에는 스토퍼(232)가 형성되어 상기 제 3폴대(23)가 제 2폴대(22)의 마감부(221) 내측에서 지지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 3폴대(23)의 외측에는 마감링(234)이 결합되어 상기 제 3폴대(23)가 탄성결합에 의하여 제 2폴대(22)의 내측으로 전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접이상태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일측에 확대도시된 것과 같이 제 3폴대(23)의 단부에는 탄성부재(233)가 결합되어 와이어(W)와 고정공(231)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는 제 3폴대(23)의 결합구성 및 탄성구성을 보조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접이식 사시도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캡(1)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다수의 폴대(2)가 각각 결합되어진 것을 도시한 바 도 면상 폴대(2)의 결합구성을 도시하고자 천막부분은 생략한 것이며 한편 미설명 부호 7은 본 고안에 결합되어지는 고정수단을 나타낸 것이고 51은 손잡이링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이식으로 보관된 상태에서 고정수단만 해지함으로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텐트가 자동으로 펼쳐져 신속한 텐트설치가 가능하며 보관시는 상기 작동부재 하부의 손잡이링을 캡방향의 하부로 당겨줌으로서 작동부재가 하강하게 되어 탄성부재가 수축되어 신속한 원터치 접이가 가능한 것으로서 일반초보자들도 상기와 같은 간단한 고정수단의 해지 및 손잡이링의 하강작동에 의하여 텐트를 편리하게 절첩가능하여 별도의 기술이 불필요한상태에서 편리하게 사용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원터치 방식에 의하여 절첩되어짐으로서 각 폴대와 와이어등 부품간의 분실을 방지하여 사용상 불편함을 해소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그에 관한 최선의 구성상태를 열거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이전까지 서술된 구성예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4)

  1. 캡을 중심으로 외측에 다수의 폴대(2)가 결합되어 절첩식으로 개폐되어지는 완전자동텐트에 있어서,
    상기 캡(1)의 외측으로 결합되어지는 폴대(2)는 중공형의 제 1폴대(21)와 탄성부재(233)가 내장된 제 2폴대(22)가 이음부재(3)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캡(1)의 외측방향에 형성된 제 1폴대(21) 외주연에는 회동부재(4)가 결합되어 상기 캡(1)의 하부에서 승강작동되는 작동부재(5)와 상기 회동부재(4)가 연결부재(6)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되, 상기 제 2폴대(22)의 내측에는 제 3폴대(23)가 탄성부재(233)와 결합되고 상기 제 3폴대(23)의 단부에는 와이어(W)가 연결되어 상기 제 1폴대(21)와 캡(1)을 관통하여 작동부재(5)와 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자동텐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1)의 외측으로 절첩결합되어지는 다수의 연결부재(6)에 고정수단(7)이 결합되어 상기 완전자동텐트(A)가 접이식으로 보관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자동텐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폴대(23)의 일측 단부에는 스토퍼(232)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232)에 의하여 제 3폴대(23)가 제 2폴대(22)의 마감부(221) 내측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자동텐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폴대(23)가 타측 단부에는 마감링(234)이 결합되어 상기 마감링(234)에 의하여 제 3폴대(23)가 제 2폴대(22)의 마감부(221) 내측으로 인입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자동텐트
KR2020060025301U 2006-09-20 2006-09-20 완전자동텐트 KR2004329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301U KR200432991Y1 (ko) 2006-09-20 2006-09-20 완전자동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301U KR200432991Y1 (ko) 2006-09-20 2006-09-20 완전자동텐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104 Division 2006-09-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991Y1 true KR200432991Y1 (ko) 2006-12-07

Family

ID=41781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301U KR200432991Y1 (ko) 2006-09-20 2006-09-20 완전자동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9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5208B2 (en) Canopy tent
WO2006136066A1 (fr) Dispositif de fixation supérieure destiné à une charpente de tente semi-circulaire pliable
WO2006101288A1 (en) The tent and frame for automatic umbrella style canopy tent
JP2008516114A (ja) テントフレーム
KR101106270B1 (ko)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KR20110026833A (ko) 우산살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KR100784765B1 (ko) 자동개폐용 우산
KR200432991Y1 (ko) 완전자동텐트
KR200437933Y1 (ko) 자동 우산
US6202660B1 (en) Upright shade
CN109505454B (zh) 一种具有自动挑檐结构的折叠帐篷
CN206025460U (zh) 一种反开式遮阳伞
KR101195096B1 (ko) 슬라이드 방식의 접이식 우산
KR20090132764A (ko)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CN104414056A (zh) 全自动开收伞
KR200437932Y1 (ko) 자동우산
KR20160000285U (ko) 절첩식 텐트의 상부 프레임
KR200491009Y1 (ko) 원터치 자동 텐트
CN202980478U (zh) 伞结构
JP3205300U (ja) 折り畳みテント
KR200339799Y1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102427295B1 (ko) 접이식 우산
KR200432922Y1 (ko) 자동우산
KR200376333Y1 (ko) 접이식 파라솔
JP3162118U (ja) 凧用自動折畳み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