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9396A - 3단 접철식 우산 - Google Patents

3단 접철식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9396A
KR20060109396A KR1020060094229A KR20060094229A KR20060109396A KR 20060109396 A KR20060109396 A KR 20060109396A KR 1020060094229 A KR1020060094229 A KR 1020060094229A KR 20060094229 A KR20060094229 A KR 20060094229A KR 20060109396 A KR20060109396 A KR 20060109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lasp
meat
coupled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3132B1 (ko
Inventor
신창균
Original Assignee
신창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창균 filed Critical 신창균
Priority to KR1020060094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132B1/ko
Publication of KR20060109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1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45B25/08Devices for fastening or locking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단 접철식 우산에 관한 것으로, 하걸쇠의 형태가 스위치의 형태로 제작되어 우산을 접을 때 용이하도록 하며, 받침살의 형태를 원통형으로 제작하여 우산을 펼 때 손가락을 다치지 않도록 하고, 중봉이 상부로 향할수록 단계적으로 굵어지는 형태로 제작되어 전체적인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 구성되는바, 상살(110)과 중살(120), 끝살(130), 받침살(140), 고리살(150) 및 강선(160)이 일체로 연결구성되되, 받침살(130)의 중 · 하부가 원통의 형태로 라운드지게 가공된 우산살부(100)와, 상기 상살(110)의 일측단과 결합되어 우산의 최상단에 고정되는 상걸쇠(210)와 상기 받침살(140)의 일측단과 결합되어 중봉(300)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하걸쇠(220)로 구성된 걸쇠부(200)와, 육각봉 형태로 구성되되, 상부로 향할수록 단계적으로 굵어지는 3단 봉 형태로 형성되며, 최상단 봉에는 사각형태의 요홈(310)이 형성된 중봉(300)으로 구성되어, 우산을 용이하게 펴고 접을 수 있도록 한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중봉의 상부에 사각 요홈을 형성하고, 중봉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하걸쇠에 스위치의 형태로 걸림쇠를 설치하여 우산을 접을 때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하며, 받침살의 중하부의 형태를 원통형으로 제작하여 우산을 펼칠 때 손가락을 다치지 않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중봉의 형태가 상부를 향할수록 단계적으로 굵은 형태로 제작되어 많은 하중이 걸리는 우산의 상부를 보강하여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한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우산, 양산, 3단 우산, 접철식 우산, 우산살, 걸쇠

Description

3단 접철식 우산 { THREE-FOLDING UMBRELLA }
도 1은 종래 3단 접철식 우산의 우산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우산살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걸쇠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걸쇠부의 분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우산살부 10, 110: 상살
12, 111: 장방공 20, 120: 중살
22, 121, 32, 131: 두발 24, 122: 고정링
30, 130: 끌살 40, 140: 받침살
50, 150: 고리살 52, 151: 돌출편
60, 160: 강선 200: 걸쇠부
210: 상걸쇠 220: 하걸쇠
221: 결합홈 222: 원형홈
223: 사각통공 224: 누름버튼
225: 걸림쇠 226: 스프링
227: 핀 300: 중봉
310: 요홈 320: 결착돌부
본 발명은 3단 접철식 우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걸쇠의 형태가 스위치의 형태로 제작되어 우산을 접을 때 용이하도록 하며, 받침살의 형태를 원통형으로 제작하여 우산을 펼 때 손가락을 다치지 않도록 하고, 중봉이 상부로 향할수록 단계적으로 굵어지는 형태로 제작되어 전체적인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한 3단 접철식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단 접철식 우산의 살대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봉의 최상부에 고정장착된 상걸쇠에 일측종단이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타측 종단인접부에는 상향으로 장방공(12)이 형성된 하부가 개방된 상살(10)과, 도중이 상살(10)과 힌지결합되어 소정각도 절곡형성된 선단부가 상기 장방공(12)내에 위치되는 두발(22)이 선단부에 장착되고 도중에 고정링(24)이 삽착된 상부가 개방된 중살(20)과, 선단부가 소정각도 절곡형성되어 그 도중이 중살(20)의 타단과 힌지결합되는 두발(32)이 선단부에 장착된 끝살(30)과, 중봉의 도중에 상하왕복가능 하도록 설치 된 하걸쇠와 상살(10)의 도중을 연결하는 받침살(40)과, 중살(20)측 종단부분에 상향으로 소정높이의 돌출편(52)이 장착되어 중살(20)의 두발(22) 선단부와 받침살(40)에 양종단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살(10)에 수평이 되는 고리살(50)과, 도중이 상기 장방공(12)과 고정링(24) 내주를 관통하여 양종단이 끝살(30)에 장착된 두발(32)의 선단부에 장착된 핀과 고리살(50)의 돌출편(52)사이에 결합된 핀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강선(6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3단 접철식 우산은, 받침살의 단면 형태가 'U'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우산을 펼 때, 손가락을 베일 우려가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으며, 중봉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쇠 또한 원호형태의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우산을 접을 때 사용자가 손으로 걸림쇠를 눌러야 함으로 인해 손을 다치거나 상당한 고통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중봉이 상부는 가늘고 하부로 향할수록 가늘어 지는 형태로 제작되어, 우산을 펴고 접을 때와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많은 힘을 받는 상부의 중봉이 빈번하게 휘거나 부러지는 문제가 있어서 우산의 수명을 저해시키는 또 다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중봉의 상부에 사각 요홈을 형성하고, 중봉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하걸쇠에 스위치의 형태로 걸 림쇠를 설치하여 우산을 접을 때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하며, 받침살의 중하부의 형태를 원통형으로 제작하여 우산을 펼칠 때 손가락을 다치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중봉의 형태가 상부를 향할수록 단계적으로 굵은 형태로 제작되어 많은 하중이 걸리는 우산의 상부를 보강하여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3단 접철식 우산에 관한 것으로, 하걸쇠의 형태가 스위치의 형태로 제작되어 우산을 접을 때 용이하도록 하며, 받침살의 형태를 원통형으로 제작하여 우산을 펼 때 손가락을 다치지 않도록 하고, 중봉이 상부로 향할수록 단계적으로 굵어지는 형태로 제작되어 전체적인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 구성되는바, 상살(110)과 중살(120), 끝살(130), 받침살(140), 고리살(150) 및 강선(160)이 일체로 연결구성되되, 받침살(130)의 중 · 하부가 원통의 형태로 라운드지게 가공된 우산살부(100)와, 상기 상살(110)의 일측단과 결합되어 우산의 최상단에 고정되는 상걸쇠(210)와 상기 받침살(140)의 일측단과 결합되어 중봉(300)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하걸쇠(220)로 구성된 걸쇠부(200)와, 육각봉 형태로 구성되되, 상부로 향할수록 단계적으로 굵어지는 3단 봉 형태로 형성되며, 최상단 봉에는 사각형태의 요홈(310)이 형성된 중 봉(300)으로 구성되어, 우산을 용이하게 펴고 접을 수 있도록 한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예시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우산살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 걸쇠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 걸쇠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우산의 형태로 형성되는바, 우선, 우산살부(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3단으로 접힐 수 있도록 상살(110)과 중살(120) 및 끝살(130)을 기본구성으로 하여, 받침살(140)과 고리살(150) 및 강선(160)에 의해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후술하는 상걸쇠(210)에 일측단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측단 인접부에는 상향으로 장방공(111)이 형성된 하부가 개방된 상살(110)과, 상살(110)과 힌지 결합되어 소정각도 절곡형성된 선단부가 상기 장방공(111)내에 위치되는 두발(121)이 선단부에 장착되고 도중에 고정링(122)이 삽착된 상부가 개방된 중살(120)과, 끝단부가 소정각도 절곡형성되어 중살(120)의 타단과 힌지결합되는 두발(131)이 선단부에 장착된 끝살(130)과, 중봉(300)의 상에 상하왕복 가능하도록 설치된 후술하는 하걸쇠(220)와 상살(110)의 중앙을 연결하는 받침살(140)과, 중살(120)의 끝단 부분으로 돌출편(151)이 형성되어 중살(120)의 두발(121) 끝단부와 결합되고, 타측은 받침살(140)의 끝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고리살(150)과, 상기 장방공(111)과 고정링(122) 내부를 관통하여 일측이 끝살(130)에 장착된 두발(131)의 선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고리살(150)의 돌출편(151)에 결합하도록 연결된 강선(16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든 구성은 기존의 우산살과 비슷하나, 받침살(140)의 형태가 상이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받침살(140)의 형태가 상부는 단면이 'U'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지만, 중앙부와 하부는 단면이 'O'자 형태인 원통 형태로 절곡되어 있어서 우산을 펼 때 손을 다치지 않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걸쇠부(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크게 상걸쇠(210)와 하걸쇠(220)로 구분되는바, 상걸쇠(210)는 통상의 우산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형태로, 우산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살(110)의 끝단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하걸쇠(220)의 구성을 살펴보면, 후술하는 중봉(300)에 설치되어 상하왕복이 가능한 원통형태로 형성되되, 상부 외주면으로는 상기 받침살(140)이 결합되도록 결합홈(22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 일측으로는 스프링(225)이 내장될 수 있도록 원형홈(222)이 가공되어 있고, 그 하부로는 사각통공(223)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하걸쇠(220)의 일측면으로는 누름버튼(224)과 걸림쇠(225), 스프링(226) 및 핀(227)이 형성되는바, 원형홈(222)에는 스프링(226)이 설치되고, 사각통공(223)으로는 금속편 형태의 걸림쇠(225)와 결합된 누름버튼(224)이 핀(227)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중봉(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육각봉 형태로 형성되되, 그 굵기가 각기 다른 세 종류로 구성되며, 상부가 가장 굵고 하부로 향할수록 단계적으로 굵기가 가늘어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중봉(300)을 접을 때 상부측으로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길이가 짧아지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중봉(300)의 상단에는 상기 상걸쇠(210)가 결합 고정되며, 가장 상부에 위치하는 봉은 하단부분만 육각봉 형태로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원통형태로 구성되며, 상부측으로는 사각형태의 요홈(310)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걸쇠(220)의 걸림쇠(225)가 요홈(310)에 결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중봉(300)에 상걸쇠(210)와 하걸쇠(220)를 결합하되, 하걸쇠(220)에는 스프링(226)과 걸림쇠(225) 및 누름버튼(224)을 핀(227)으로 조립하여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우산살부(100)를 조립하는바, 상살(110)과 중살(120) 및 끝살(130)을 순차적으로 조립하고, 상살(110)의 중앙에 받침살(140)을 결합하며, 받침살(140)과 중살(120)을 연결하도록 고리살(150)을 조립한 후, 강선(160)을 끝살(130)과 고리살(150)을 연결하도록 결합한다.
그 후, 상걸쇠(210)에 우산살부(100)의 상살(110)을 결합하고, 하걸쇠(220)에는 받침살(140)을 결합하여 모든 조립을 완료하며, 이 후 우산의 손잡이와 우산 지를 결합함으로써 전체적인 조립과정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우선, 우산이 펴지는 작동상태는, 하걸쇠(220)를 손으로 잡고 중봉(300)을 따라 상승시키면 받침살(140)이 따라서 상승하면서 상살(110)과 고리살(150), 중살(120), 끝살(130) 및 강선(160)이 일체로 펴지도록 작동하며, 하걸쇠(220)가 완전히 상승하게 되면, 중봉(300)에 형성된 요홈(310)에 하걸쇠(220)의 걸림쇠(225)가 스프링(226)의 탄성에 의해 결착됨으로써 펴진 상태가 유지되는 구성을 갖는다.
반면, 우산이 접히는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하걸쇠(220)의 누름버튼(224)을 손으로 누르게 되면, 요홈(310)에 결착되어 있던 걸림쇠(225)가 요홈(310)으로부터 해제되면서 강선(160)의 복원력에 의해 하걸쇠(220)가 하강하게 되며, 이후 사용자가 하걸쇠(220)를 잡고 당기게 되면 나머지 우산살들이 접히는 것과 동시에 중봉(300)에 형성된 결착돌부(320)를 누르는 형태로 하걸쇠(220)가 하강함으로써 중봉(300)을 단계적으로 접을 수 있는 작동과정을 갖는다.
상기 기재된 본 발명은 우산을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 3단으로 접철되는 양산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중봉의 상부에 사각 요홈을 형성하고, 중봉 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하걸쇠에 스위치의 형태로 걸림쇠를 설치하여 우산을 접을 때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하며, 받침살의 중하부의 형태를 원통형으로 제작하여 우산을 펼칠 때 손가락을 다치지 않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중봉의 형태가 상부를 향할수록 단계적으로 굵은 형태로 제작되어 많은 하중이 걸리는 우산의 상부를 보강하여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한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3단 접철식 우산에 있어서,
    상살(110)과 중살(120), 끝살(130), 받침살(140), 고리살(150) 및 강선(160)이 일체로 연결구성되되, 받침살(130)의 중 · 하부가 원통의 형태로 라운드지게 가공된 우산살부(100)와,
    상기 상살(110)의 일측단과 결합되어 우산의 최상단에 고정되는 상걸쇠(210)와 상기 받침살(140)의 일측단과 결합되어 중봉(300)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하걸쇠(220)로 구성된 걸쇠부(200)와,
    육각봉 형태로 구성되되, 상부로 향할수록 단계적으로 굵어지는 3단 봉 형태로 형성되며, 최상단 봉에는 사각형태의 요홈(310)이 형성된 중봉(300)으로 구성되어, 우산을 용이하게 펴고 접을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3단 접철식 우산.
  2. 제 1항에 있어서,
    하걸쇠(220)는 중봉(300)에 설치되어 상하왕복이 가능한 원통형태로 형성되되, 외주면 일측으로는 스프링(225)이 내장될 수 있도록 원형홈(222)이 가공되어 있고, 그 하부로는 사각통공(223)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홈(222)에는 스프링(226)이 설치되고, 사각통공(223)으로는 금속편 형태의 걸림쇠(225)와 결합된 누름버튼(224)이 핀(227)에 의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3단 접철식 우산.
KR1020060094229A 2006-09-27 2006-09-27 3단 접철식 우산 KR100703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229A KR100703132B1 (ko) 2006-09-27 2006-09-27 3단 접철식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229A KR100703132B1 (ko) 2006-09-27 2006-09-27 3단 접철식 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396A true KR20060109396A (ko) 2006-10-20
KR100703132B1 KR100703132B1 (ko) 2007-04-09

Family

ID=37615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229A KR100703132B1 (ko) 2006-09-27 2006-09-27 3단 접철식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1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304Y1 (ko) * 2009-04-01 2012-02-15 김용상 우산 제3중봉의 제2홀을 구비한 빗물받이 겸용 우산 손잡이
KR102427295B1 (ko) * 2022-05-12 2022-07-29 김재현 접이식 우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175Y1 (ko) * 1985-10-19 1988-03-30 원기희 절첩식 개량우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304Y1 (ko) * 2009-04-01 2012-02-15 김용상 우산 제3중봉의 제2홀을 구비한 빗물받이 겸용 우산 손잡이
KR102427295B1 (ko) * 2022-05-12 2022-07-29 김재현 접이식 우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3132B1 (ko) 2007-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1086B1 (en) Self-cleaning hairbrush
JP2016532478A (ja) 改善された柄および骨組立体を有する傘
US8365747B1 (en) Shaft structure of automatic umbrella
KR100703132B1 (ko) 3단 접철식 우산
KR101323312B1 (ko) 거꾸로 접히는 우산
CA2901594A1 (en) Quick release implement
KR200433181Y1 (ko) 자동 우산
CN2882344Y (zh) 用于手拉开收伞的上下巢结构
KR101255844B1 (ko) 우산
EP2572602B1 (en) Shaft structure of automatic umbrella
KR200454463Y1 (ko) 우산
KR200445169Y1 (ko) 우산
CN208196858U (zh) 一种新型平行连杆滑动小刀
CN2504938Y (zh) 折伞手开安全扣
KR200364378Y1 (ko) 손톱깎이
US6253772B1 (en) Hair sculpting apparatus and methods
JP3639255B2 (ja) ブラシ
CN207969821U (zh) 一种便携式梳子
CN209251877U (zh) 一种带有自锁功能的指甲钳
KR100586246B1 (ko) 헤어 클립
KR200270322Y1 (ko) 머리핀
JP3068271U (ja) 自動開放傘
KR100934434B1 (ko) 우산
CN106174942B (zh) 自动伞
KR200172878Y1 (ko) 일체형 손발톱깎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105

Effective date: 20080522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