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575Y1 - 자동우산 - Google Patents

자동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575Y1
KR200153575Y1 KR2019970001579U KR19970001579U KR200153575Y1 KR 200153575 Y1 KR200153575 Y1 KR 200153575Y1 KR 2019970001579 U KR2019970001579 U KR 2019970001579U KR 19970001579 U KR19970001579 U KR 19970001579U KR 200153575 Y1 KR200153575 Y1 KR 2001535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opening
rod
spring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1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963U (ko
Inventor
서의영
Original Assignee
서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의영 filed Critical 서의영
Priority to KR2019970001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575Y1/ko
Publication of KR9700159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9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5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5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6Automatic openers, e.g. frames with spring mechanism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산 준비동작에 의해 개산 및 폐산용 힘을 미리 축적함과 동시에 폐산용 스프링의 힘을 미리 제거하여 개산 스프링의 힘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저비용으로 동작이 완전자동으로 유연하고 경쾌하게 이루어지는 자동우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지지몸체를 케이스내에 내장하여 상측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손잡이와, 손잡이에 하단부가 고정되고 상단부에 걸림부가 형성된 압축용 봉과, 우산꼭지와, 우산꼭지에 힌지 결합된 다수의 우산살과, 우산꼭지의 하단부에 고정결합되며, 상단부에 한 쌍의 가이드공을 갖고 있고, 하측에 걸림돌기가 있는 우산대와, 걸림돌기와 지지몸체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개산용 스프링과, 일단이 해당 우산살의 중간에 힌지 결합된 다수의 버팀살과, 일단이 버팀살의 중간에 힌지 결합된 다수의 지지살과, 외주부에 지지살이 힌지 결합되는 하부 개폐구와,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삽입된 결합편을 구비하고 외주부에 버팀살의 힌지 결합된 상부 개폐구와, 결합편과 걸림부 사이에 삽입된 폐산용 스프링과, 일단이 결합편에 결합되고 타단이 압축용 봉의 하단으로 연장된 개산용 봉과, 압축용 봉의 하단으로 개산용 봉이 하강하는 경우 고정시키기 위한 제1압축 고정수단과, 폐산을 개시시키는 폐산버턴과, 공간부로 하강하는 경우 우산대를 고정시키는 제2압축 고정수단과, 개산을 개시시키는 개산버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우산
본 고안은 자동우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개산 준비동작에 의해 개산 및 폐산용 힘을 미리 축적함과 동시에 폐산용 스프링의 힘을 미리 제거함에 의해 개산 스프링의 힘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서 제작이 용이하며, 우산의 개폐동작이 완전자동으로 유연하고 경쾌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자동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우산의 접고 펴는 동작을 수동으로 하거나, 또는 누름버턴의 작동으로 우산의 펴는 동작만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는 반자동 우산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반자동 우산은 여전히 접는 동작시에 하부 개폐구와 우산 손잡이를 잡고 수동식 우산과 같은 방법으로 접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산의 펴고 접는 동작을 완전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는 자동 개폐우산이 다수 제안되었고, 그 중의 일부는 특허가 허여된 것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실제로 실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은 찾아보기 힘들다.
이러한 원인중에서 가장 큰 원인은 특허가 인정된 구성으로서 자동우산을 제작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점이다.
이하에 개산 스프링과 폐산 스프링을 갖는 종래의 자동우산에 대한 문제점을 한국 실용신안공고 제90-1036호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자동우산에서 우산을 자동으로 펴고 접기 위하여 필요한 힘을 동작에 따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접혀져 있을 때 우산대, 우산살, 지지살, 버팀살의 4개 링크가 이루는 구조적인 모양으로 인하여 개산이 시작되는 초기에는 제4(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우 큰 힘이 필요하며 개산이 진행됨에 따라 필요한 힘의 크기는 급격하게 작아진다.
그러나 폐산시에는 제4(b)도와 같이 개산시와는 반대로 폐산이 시작될 때에는 적은 힘으로도 가능하나 폐산이 끝날 시기에는 매우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제4(a)도와 같이 개산만을 실행하는 데에도 초기에 매우 큰 힘이 필요한데 상기한 종래의 자동우산은 폐산 스프링의 힘으로 강제 폐산되어 있는 우산을 펼치기 위해서는 폐산 스프링보다 몇배 더 강한 힘을 갖는 개산 스프링이 요구된다.
설사 강력한 개산 스프링을 사용하여 개산이 가능하게 될지라도 이렇게 강력한 개산 스프링을 압축 해지하는 수단을 제작하는 것은 제작이 매우 어렵게 되고 실용성이 거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개산 준비동작에 의해 개산 및 폐산용 힘을 미리 축적함과 동시에 폐산용 스프링의 힘을 미리 제거함에 의해 개산 스프링의 힘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서 제작이 용이하며, 우산의 개폐동작이 완전자동으로 유연하고 경쾌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자동우산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우산의 폐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자동 우산의 개산 준비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자동 우산의 개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4(a)도는 자동 우산의 개산동작과 이에 소요되는 힘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4(b)도는 자동 우산의 폐산동작과 이에 소요되는 힘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우산대 2 : 개산용 봉
3 : 압축용 봉 4 : 손잡이
5 : 걸림편 6 : 가이드공
7 : 걸림부 8 : 우산꼭지
10 : 우산살 12 : 걸림구멍
20 : 버팀살 21 : 상부 개폐구
22 : 결합편 23 : 걸림구멍
30 : 지지살 31 : 하부 개폐구
32 : 걸림부 41 : 개산버턴
42 : 폐산버턴 43 : 걸림핀
44 : 걸림핀 45 : 작용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축방향으로 중심구멍이 형성된 지지몸체를 케이스내에 내장하여 상측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중심구멍에 하단부가 고정되고 상단부에 걸림부가 형성된 압축용 봉과, 하나의 우산꼭지와, 상기 우산꼭지의 하단 외주연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다수의 우산살과, 상기 우산꼭지의 하단부에 고정결합되며, 상단부에 일정한 길이만큼 축방향을 따라 대향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공을 갖고 있고, 하측 내주면에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우산대와, 상기 우산대의 걸림돌기와 손잡이의 지지몸체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개산용 스프링과, 각각 일단이 해당 우산살의 중간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버팀살과, 일단이 상기 버팀살의 중간에 힌지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살과, 내측의 걸림부가 상기 걸림부의 하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우산대의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부에 상기 다수의 지지살이 힌지 결합되는 하부 개폐구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삽입된 결합편을 우산대 내부에 구비하고 우산대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외주부에 상기 버팀살의 타단이 힌지 결합되어 있는 상부 개폐구와, 상기 결합편과 걸림부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폐산용 스프링과, 일단이 상기 결합편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폐산용 스프링과 압축용 봉의 내부를 통하여 압축용 봉의 하단보다 길지 않게 연장형성된 개산용 봉과, 상기 몸체에 삽입되어 있으며, 개산 준비동작으로서 상기 우산대와 개산용 봉을 하강시켜 동시에 개산용 스프링과 폐산용 스프링을 압축시킬 때 개산용 봉의 하단부가 압축용 봉의 하단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 하강된 개산용 봉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압축 고정수단과, 상기 제1압축 고정수단을 해제시켜 폐산용 스프링을 확장시킴에 의해 폐산을 개시시키는 폐산버턴과,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개산 준비동작으로서 상기 우산대와 개산용 봉을 하강시켜 동시에 개산용 스프링과 폐산용 스프링을 압축시킬 때 우산대의 하단부가 상기 공간부의 설정된 깊이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 하강된 우산대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2압축 고정수단과, 상기 제2압축 고정수단을 해제시켜 개산용 스프링을 확장시킴에 의해 개산을 개시시키는 개산버턴으로 구성되며, 상기 우산꼭지를 지면에 대고 누르는 것으로 개산과 폐산을 위한 준비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우산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간단한 개산 준비동작에 의해 개산 및 폐산용 힘을 미리 축적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폐산용 스프링의 힘을 미리 제거함에 의해 개산 스프링의 힘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저렴한 비용으로서 자동우산의 제작이 용이하며, 우산의 개폐동작이 완전자동으로 유연하고 경쾌하게 이루어진다.
[실시예 1]
이하에 상기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우산의 폐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자동 우산의 개산 준비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자동 우산의 개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우산은 우산꼭지(8)가 외주연 소정위치에서 다수의 우산살(10)과 힌지 결합됨과 동시에 하단부가 우산대(1)와 고정결합되며, 버팀살(20)의 일단은 우산살(10)의 중간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상부 개폐구(21)와 함께 힌지 결합된다. 상기 버팀살(20)의 중간에는 지지살(3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지지살(30)의 타단은 우산대(1)에 결합된 걸림부(32)의 외주부에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부 개폐구(21)와 개산용 봉(2)이 우산대(1)를 축방향으로 길게 절개한 가이드공(6)을 통하여 우산대 중심방향으로 관통 삽입된 결합편(22)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한편 손잡이(4)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압축용 봉(3)은 우산대(1)의 밑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되어 상하로 섭동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으며, 압축용 봉(3)의 상단부에 고정된 걸림부(7)는 하부 개폐구(31)와 일체로 우산대(1) 내부로 내주부가 돌출된 걸림부(32) 상측에 위치되어, 걸림부(32)가 상승하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걸림부(7)와 결합편(22) 사이에는 개산용 봉(2)을 둘러싸는 폐산용 스프링(S2)이 탄설되어 있고 우산대(1)의 내부 중간에 형성된 걸림편(5)과 손잡이(4) 사이에는 개산용 스프링(S1)이 압축용 봉(3) 외부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압축용 봉(3)의 하단부는 손잡이(4)의 몸체(4a)에 형성된 중심구멍(4c)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우산대(1)의 하부는 손잡이(4)의 상단 내주부에 형성된 공간부(4b)에 삽입되어 공간부(4b) 내에서 상하 운동을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4) 내부에는 걸림핀(43)이 중심구멍(4c)과 내통하는 요홈에 탄설되어 있어 개산용 봉(2)이 압축용 봉(3) 하부로 하강하는 경우 개산용 봉(2)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구멍(23)과 결합함에 의해 개산용 봉(2)의 하강위치를 고정시킨다. 이 경우 걸림핀(43)이 설치되어 있는 요홈과 내통하는 손잡이(4)의 대향편에는 폐산용 버턴(42)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우산대(1)의 하부에는 일측에 걸림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4)의 공간부(4b) 외측에는 우산대(1)가 공간부(4b)로 하강하는 경우 상기 걸림구멍(12)과 결합하여 우산대(1)를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핀(44)이 삽입되어 있으며, 걸림핀(44)의 상단은 작용점(45)을 거쳐 타단부에 개산버턴(41)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우산의 작용을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도에 도시된 폐산상태의 우산에서 개산용 스프링(S1)은 확장되어 우산대(1) 하측 내부의 걸림편(5)과 손잡이(4) 내부의 몸체(4a)에 밀착되어 있고, 폐산용 스프링(S2)은 결합편(22)과 압축용 봉(3)의 걸림부(7) 사이에 확장 밀착되어 있으며, 걸림부(7)와 하부 개폐구(31)의 걸림부(32)는 밀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우산을 펴는 경우 사용자는 자동우산의 우산꼭지(8)를 지면 또는 물체에 대고 눌러서, 일체로 된 손잡이(4)와 압축용 봉(3)이 스프링(S1,S2)을 함께 압축하면서 우산대(1)의 하단부가 손잡이(4)의 공간부(4a)로 삽입되게 한다.
이에따라 개산용 봉(2)의 걸림구멍(23)에 걸림핀(43)이 결합됨과 동시에 우산대(1)의 걸림구멍(12)도 개산버턴(41)의 걸림핀(44)과 결합되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가 고정된다.
그 후 우산을 펼치기 위하여 개산버턴(41)을 누르면 걸림핀(44)이 작용점(45)을 축으로 선회하여 걸림핀(44)은 우산대(1)의 걸림구멍(12)에서 해제된다.
따라서, 개산용 봉(2)과 압축용 봉(3)이 손잡이(4)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개산용 스프링(S1)이 확장됨에 따라 우산대(1)는 상승하게 되고, 또한 우산대(1)의 상승에 따라 하부 개폐구(31)도 상승하면서 결합편(22)은 개산용 봉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지지살(30)이 펼쳐지게 된다. 이에 연동하여 버팀살(20)과 우산살(10)이 펼쳐지면서 결합편(22)은 가이드공(6)의 중간위치로 하강하여 압축상태에 있는 폐산용 스프링(S2)을 더욱 압축하게 만든다.
한편, 우산을 폐산하는 경우 사용자가 폐산용 버턴(42)을 누르면 이에 따라 걸림핀(43)이 개산용 봉(2)의 걸림구멍(23)에서 해제되어 압축상태에 있는 폐산용 스프링(S2)은 복원력에 의해 확장이 이루어지면서 유동가능한 상측의 결합편(22)을 가이드공(6)을 따라 밀어 올림과 동시에 걸림부(32)가 우산대(1)의 가이드공(6) 하단부에 도달하여 걸림부(32)가 걸림부(7)와 접촉할 때까지 우산대(1)가 상승함에 의해 버팀살(20)과 우산살(10)이 선단부가 접혀지게 한다.
또한 버팀살(20)의 접힘에 따라 지지살(30)의 하단부가 힌지 고정된 하부 개폐구(31)가 하강하여 우산살(10)이 접혀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개산을 실행하기 위한 간단한 준비동작으로 우산꼭지(8)를 지면에 대고 눌러서 압축할 때 스프링(S1,S2)이 동시에 압축되는데 이 때, 걸림핀(43,44)에 의해 압축상태를 고정시킨다. 이것은 개산시에 폐산용 스프링(S2)의 힘(복원력)을 미리 제거하여 개산력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므로 작은 복원력을 갖는 개산용 스프링(S1)을 사용 가능하게 만든다.
또한 폐산용 스프링(S2)이 압축되어도 폐산된 우산이 저절로 반쯤 펼쳐지지 않는 것은 우산대(1)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압축된 스프링(S2)의 복원력이 결합편(22)을 상방향으로 밀어부치게 되어, 결국 힘의 확장방향이 우산을 폐산시키려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폐산상태에는 어떤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간단한 개산 준비동작에 의해 개산 및 폐산용 힘을 미리 축적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폐산용 스프링의 힘을 미리 제거함에 의해 개산 스프링의 힘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저렴한 비용으로서 자동우산의 제작이 용이하며, 우산의 개폐동작이 유연하고 경쾌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축방향으로 중심구멍(4a)이 형성된 지지몸체(4a)를 케이스내에 내장하여 상측 내부에 공간부(4b)를 갖는 손잡이(4)와, 상기 손잡이의 중심구멍(4a)에 하단부가 고정되고 상단부에 걸림부(7)가 형성된 압축용 봉(3)과, 하나의 우산꼭지(8)와, 상기 우산꼭지(8)의 하단 외주연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다수의 우산살(10)과, 상기 우산꼭지(8)의 하단부에 고정결합되며, 상단부에 일정한 길이만큼 축방향을 따라 대향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공(6)을 갖고 있고, 하측 내주면에 걸림돌기(5)가 돌출되어 있는 우산대(1)와, 상기 우산대(1)의 걸림돌기(5)와 손잡이(4)의 지지몸체(4a)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개산용 스프링(S1)과, 각각 일단이 해당 우산살(10)의 중간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버팀살(20)과, 일단이 상기 버팀살(20)의 중간에 힌지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살(30)과, 내측의 걸림부(32)가 상기 걸림부(7)의 하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우산대(1)의 가이드공(6)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부에 상기 다수의 지지살(10)이 힌지 결합되는 하부 개폐구(31)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공(6)을 관통하여 삽입된 결합편(22)을 우산대 내부에 구비하고 우산대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외주부에 상기 버팀살(20)의 타단이 힌지 결합되어 있는 상부 개폐구(21)와, 상기 걸합편(22)과 걸림부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폐산용 스프링(S2)과, 일단이 상기 결합편(22)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폐산용 스프링(S2)과 압축용 봉(3)의 내부를 통하여 압축용 봉(3)의 하단보다 길지 않게 연장형성된 개산용 봉(2)과, 상기 몸체(4a)에 삽입되어 있으며, 개산 준비동작으로서 상기 우산대(1)와 개산용 봉(2)을 하강시켜 동시에 개산용 스프링(S1)과 폐산용 스프링(S2)을 압축시킬 때 개산용 봉(2)의 하단부가 압축용 봉(3)의 하단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 하강된 개산용 봉(2)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압축 고정수단(43,23)과, 상기 제1압축 고정수단(43,23)을 해제시켜 폐산용 스프링(S2)을 확장시킴에 의해 폐산을 개시시키는 폐산버턴(42)과, 상기 손잡이(4)에 설치되어 있으며, 개산 준비동작으로서 상기 우산대(1)와 개산용 봉(2)을 하강시켜 동시에 개산용 스프링(S1)과 폐산용 스프링(S2)을 압축시킬 때 우산대(1)의 하단부가 상기 공간부(4b)의 설정된 깊이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 하강된 우산대(1)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2압축 고정수단(44,12)과, 상기 제2압축 고정수단(44,12)을 해제시켜 개산용 스프링(S1)을 확장시킴에 의해 개산을 개시시키는 개산버턴(41)으로 구성되며, 상기 우산꼭지(8)를 지면에 대고 누르는 것으로 개산과 폐산을 위한 준비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우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축 고정수단(43,23)은 상기 개산용 봉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구멍(23)과, 상기 손잡이의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개산용 봉(2)의 하단부가 압축용 봉(3)의 하단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 하강된 개산용 봉(2)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핀(4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우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축 고정수단(44,12)은 우산대(1)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구멍(12)과, 상기 우산대가 공간부(4b)의 설정된 깊이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 하강된 우산대(1)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핀(4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우산.
KR2019970001579U 1997-02-04 1997-02-04 자동우산 KR2001535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579U KR200153575Y1 (ko) 1997-02-04 1997-02-04 자동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579U KR200153575Y1 (ko) 1997-02-04 1997-02-04 자동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963U KR970015963U (ko) 1997-05-23
KR200153575Y1 true KR200153575Y1 (ko) 1999-08-02

Family

ID=19495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1579U KR200153575Y1 (ko) 1997-02-04 1997-02-04 자동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57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963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87548B (zh) 一种中心锁及帐篷
US7735498B2 (en) Umbrella with mechanism for automatic opening or closing
US3856030A (en) Automatically openable and closable umbrella
KR101069825B1 (ko) 우산살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US5746235A (en) Linkage device for an umbrella
KR100982792B1 (ko) 우산
KR930011708B1 (ko) 전자동 우산
US5253666A (en) Umbrella opening and closing device without use of spring latches
KR200153575Y1 (ko) 자동우산
KR101012349B1 (ko)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US5318067A (en) Simplified fully automatic umbrella
US5247955A (en) Ergonomically operating automatic umbrella
KR200483476Y1 (ko) 절첩식 텐트의 상부 프레임
KR200437932Y1 (ko) 자동우산
CN209883254U (zh) 机械伞
KR200275643Y1 (ko)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US20020134413A1 (en) Self-opening/closing umbrella
US20030131875A1 (en) Automatic close umbrella with automatic resetting feature
KR20120040606A (ko) 우산
KR960005352Y1 (ko) 자동우산
KR900001036Y1 (ko) 자동 우산
KR102427295B1 (ko) 접이식 우산
CN110192698B (zh) 伞巢结构和伞
KR870001025B1 (ko) 완전 자동우산
KR940004666Y1 (ko) 한 손으로 접고 펼수 있는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