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844B1 - 자동으로 우산집에 밀봉되는 우산 - Google Patents

자동으로 우산집에 밀봉되는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844B1
KR101541844B1 KR1020140003181A KR20140003181A KR101541844B1 KR 101541844 B1 KR101541844 B1 KR 101541844B1 KR 1020140003181 A KR1020140003181 A KR 1020140003181A KR 20140003181 A KR20140003181 A KR 20140003181A KR 101541844 B1 KR101541844 B1 KR 101541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house
frame
stan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541A (ko
Inventor
유광석
Original Assignee
유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석 filed Critical 유광석
Priority to KR1020140003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844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4Protective coverings for umbrellas when clos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6Automatic openers, e.g. frames with spring mechanism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 비가 올 때에 우산을 펼치어 사용하고 사용이 끝난 후 우산을 접어 보관할 때에 빗물에 젖은 우산이 빗물이 바닥에 떨어지어 번거롭고 빗물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일회용 우산집을 사용하여 환경을 파괴 및 일회용 우산집을 생산하기 위해 재원을 낭비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우산집에 상.하부 우산대를 부착하여 하부 우산대를 상부로 밀어 올리어 하부 우산대에 연결된 줄에 의해 상부 우산대가 우산에 지붕을 구성하고 있는 우산살과 지지대와 고정부가 우산집에 삽입되어 결속하는 것; 결속장치를 해제하여 결속고리를 개방하여 스프링으로 고정부 진행틀에 연결된 주 지지대 고정부와 연결된 주 지지대와, 보조 지지대 고정부와 연결된 보조 지지대와 우산살 고정부와 연결된 우산살을 우산집에서 개방하여 우산을 펼처지는 것;
이에 상기와 같이 우산을 우산집에서 스프링의 힘으로 개방하여 펼치고 우산대를 접어 우산집에 삽입하여 결속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으로 우산집에 밀봉되는 우산{omitted}
본 발명은 비에 젖은 우산을 사용하고 접을 때에 빗물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에 젖은 우산을 자동차나 실내에 들어갈 때에 간단한 조작으로 우산을 우산집에 밀봉하여 빗물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우산을 사용후 보관함에 보관하거나 일회용 우산집에 보관하게 된다. 이러한 우산집은 우산을 사용시 사용자가 우산집을 벗기어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일회용 우산집을 사용시 재사용을 하지 않아 환경파괴와 재원을 낭비하는 문제점을 있다.
또한 젖은 우산은 보관하기가 어려워 분실을 자주하고 이동시 휴대하기가 불편하게 된다.
본 발명은 휴대하기가 편리하여 자동차나 실내에 들어갈 때에 용이하고 분실을 예방하며 일회용 우산집을 사용하지 않아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재원을 절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우산집 속에 상,하부 우산대 및 우산의 지붕을 구성하는 우산살과 지지대를 장착하여 스프링의 힘으로 우산을 펼치는 것과;
하부 우산대를 우산집 속에 밀어넣어 하부 우산대에 연결된 줄로 상부 우산대와 지붕을 구성하는 우산살과 지지대를 당기어 우산집 속에 밀봉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간단한 방법으로 우산을 우산집에 보관하여 휴대하기가 편리하고 분실을 예방하며 일회용 우산집을 사용하지 않아 환경을 보호하고 재원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A, B, C, D 순서대로 우산을 펼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a는 도 1의 (A)의 우산집(1)에 우산을 구성하는 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투시도
도 2b는 도 1의 (B)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집(1)에서 화살표(8a, 8b) 방향으로 진행중인 투시도
도 2C는 도 1C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살(211, 212, 213, 214)과 지지대(22A, 34B)가 화살표(8) 방향으로 펼처지는 모습을 나타낸 투시도.
도 2c는 도 1의 (C)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번 내지 4번 우산살(211, 212, 213, 214)과 지지대(22A, 34B)가 화살표 방향으로 펼쳐지는 모습을 나타낸 투시도.
도 3은 도 2c의 상태를 나타낸 부품들의 고정된 부분과 떨어진 부분을 나타내어 작동에 대한 개념을 나타낸 부분 절단 입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우산집 3 : 하부 우산대
11 : 하부 우산집 31 : 줄
2 : 상부 우산대 32 : 고정부 진행틀
21 : 우산살 고정부 33 : 보조 지지대 고정부 진행대
211 : 1번 우산살 34 : 보조 지지대 고정부
212 : 2번 우산살 34B : 보조 지지대
212,나 : 4번 우산살 진행대 34,가 : 3번 우산살 진행대
213 : 3번 우산살 4 : 스프링
214 : 4번 우산살 5 : 뚜껑
22 : 주 지지대 고정부 6 : 결속고리
22A : 주 지지대 7 : 결속장치
8 : 화살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A, B, C, D로 나누어 우산이 펼처지는 순서이다.
도면과 같은 면과 같은 순서로 우산집(1)에 내장되어 있는 스프링(4)의 힘으로 A, B, C, D 순서대로 펼쳐지고, 우산집(1)의 내부에 하부 우산대(3)를 화살표(8b)의 반대방향으로 밀어넣어 역순서 D, C, B, A와 같은 순서로 접히어 밀봉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A)는 우산이 우산집(1)에 접히어 밀봉되어 있는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2a는 도 1의 (A)를 투시한 도면으로서, 상부 우산대(2)와, 하부 우산대(3)와, 스프링(4)을 포함하여 우산의 지붕을 구성하는 모든 장치가 우산집(1)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B)는 우산집(1)에서 우산의 지붕을 구성하는 장치와 하부 우산대(3)가 밑으로 나와 있는 상태로써, 주 지지대 고정부(22)가 우산집(1)에 걸리어 주 지지대 고정부(22)는 화살표(8a) 방향으로 더이상 진행되지 않는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2b는 도 1의 (B)를 투시한 도면으로서, 우산의 지붕을 구성하는 상부 우산대(2)와, 보조 지지대 고정부(34)와, 보조 지지대(34B)와, 주 지지대(22A)와, 1번 내지 4번 우산살(211, 212, 213, 214)과, 우산살 고정부(21)가 우산집(1) 밖으로 나와 있고, 하부 우산대(3)는 우산집(1) 밑으로 나와 있고, 주 지지대 고정부(22)가 우산집(1)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C)는 주 지지대 고정부(22)가 우산집(1)에 걸리어 멈추어 있고 보조 지지대 고정부(34)가 화살표(8a) 방향으로 진행하는 측면도이고, 도 2c는 도 1의 (C)를 투시한 도면으로서, 주 지지대 고정부(22)는 우산집(1)에 걸리어 멈추어 있고, 스프링(4)이 고정부 진행틀(32)을 위로 밀어주고, 고정부 진행틀(32)이 보조 지지대 고정부 진행대(33)를 밀어주고, 보조 지지대 고정부(34)가 화살표(8a) 방향으로 보조 지지대(34B)를 밀어주어 1번 내지 4번 우산살(211, 212, 213, 214,)을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D)는 우산집(1)에서 스프링(4)의 힘으로 우산의 지붕을 구성하는 장치가 모두 나와 화살표(8c, 도 2b참조) 방향으로 진행하여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d는 도 1의 (D)를 투시한 도면으로서, 주 지지대 고정부(22)가 우산집(1)에 걸리어 멈추어 있고, 고정부 진행틀(32)이 주 지지대 고정부(22)에 밀착되어 멈추어 있고, 보조 지지대 고정부 진행대(33)가 보조 지지대 고정부(34)를 받쳐주고, 보조 지지대 고정부(34) 보조 지지대(34B) 받쳐주고, 보조 지지대(34B)가 1번 우산살(211) 2번 우산살(212) 펼쳐주고, 주 지지대(22A)가 2번 우산살(212) 3번 우산살(213) 펼쳐주고, 3번 우산살 진행대(34ㄱ)가 3번 우산살(213)을 잡아주고, 4번 우산살 진행대(212ㄴ)나 4번 우산살(214)을 펼쳐 잡아주어 우산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c의 상태를 부분 절단하여 부품들의 고정된 곳과 떨어진 곳을 나타낸 입체도이다. 이에 도 1의 (A)과 도 2a의 결속장치(7)를 화살표(8d) 방향으로 눌러 결속장치(7)를 해제하면, 상기 서술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우산이 펼쳐지고, 화살표(8b)의 반대방향으로 하부 우산대(3)를 위로 밀어 우산집(1)에 넣어주면, 우산이 접히어 우산집(1)의 내부로 삽입되고 뚜껑(5)으로 밀봉하여 결속장치(7)로 결속하게 된다.

Claims (2)

  1. 하부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우산집(1);
    상기 우산집(1)의 내부 빈 공간에 설치된 하부 우산집(11);
    상기 우산집(1)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 우산집(11)의 내부로 승강하는 하부 우산대(3);
    상기 우산집(1)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하부 우산집(11)의 외주연을 따라 승강하는 상부 우산대(2);
    상기 상부 우산대(2)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 우산대(2)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 상부 우산대(2)의 길이방향으로 승강하는 보조 지지대 고정부(34);
    상기 우산집(1)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하되, 상기 우산집(1)의 내부 상측부에 걸려 상승이 제한되는 주지지대 고정부(22);
    상기 하부 우산집(11)을 감싸도록 상기 주지지대 고정부(22)의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운동하는 고정부 진행틀(32);
    상기 주지지대 고정부(22)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 진행틀(32)과 상기 보조 지지대 고정부(34)를 연결하는 보조 지지대 고정부 진행대(33);
    상기 상부 우산대(2)의 상부 외주연을 감싸도록 고정 설치된 우산살 고정부(21);
    일측부가 상기 우산살 고정부(21)에 힌지결합된 1번 우산살(211);
    일측부가 상기 1번 우산살(211)의 타측부와 힌지결합되고, 타측부가 상기 보조 지지대 고정부(34)에 힌지결합된 보조 지지대(34B);
    일측부가 상기 1번 우산살(211)의 타측부 및 상기 보조 지지대(34B)의 일측부와 힌지결합된 2번 우산살(212);
    일측부가 상기 2번 우산살(212)의 타측부와 힌지 결합되고, 타측부가 상기 주지지대 고정부(22)에 힌지결합된 주 지지대(22A);
    일측부가 상기 2번 우산살(212)의 타측부와 상기 주 지지대(22A)의 일측부와 힌지결합되고,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가 3번 우산살 진행대(34ㄱ)를 통해 상기 보조 지지대(34B)의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와 연결된 3번 우산살(213);
    일측부가 4번 우산살 진행대(212ㄴ)를 통해 상기 2번 우산살(212)의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에 연결되고,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가 상기 3번 우산살(213)의 타측부와 힌지연결된 4번 우산살(214);
    상기 하부 우산집(11)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상기 고정부 진행틀(32)과 상기 우산집(1)의 내부 하측부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4);
    일측부가 상기 고정부 진행틀(32)의 일측부에 연결되고, 타측부가 상기 하부 우산집(11)의 하측부를 경유하여 상기 하부 우산집(11)의 내부로 인입되는 상기 하부 우산대(3)의 상측부에 걸림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 진행틀(32)의 타측부에 연결된 줄(31); 및
    상기 하부 우산대(3)의 하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우산집(1)에 마련된 결속고리(6)에 결속되는 결속장치(7); 를 포함하되,
    상기 결속장치(7)를 상기 결속고리(6)로부터 분리시켜 결속을 해제하면, 상기 스프링(4)의 힘으로 상기 고정부 진행틀(32)을 상부로 상승시켜 상기 줄(31)을 통해 상기 하부 우산대(3)를 상기 우산집(1)의 외부로 밀어내고, 상기 고정부 진행틀(32)의 상승에 따라 상기 보조 지지대 고정부 진행대(33)가 상승하여 상기 보조 지지대 고정부(34)가 상부로 상승하고, 이를 통해 상기 1번 내지 4번 우산살(211, 212, 213, 214), 상기 보조 지지대(34B) 및 상기 주 지지대(22A)가 전개되어 우산이 펼쳐지고,
    상기 하부 우산대(3)를 상기 우산집(1)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상기 하부 우산대(3)에 연결된 상기 줄(31)을 통해 상기 고정부 진행틀(32)이 하부로 하강되고, 상기 고정부 진행틀(32)이 하강됨에 따라 상기 보조 지지대 고정부 진행대(33)가 하강하여 상기 보조 지지대 고정부(34)가 하부로 하강하고, 이를 통해 상기 1번 내지 4번 우산살(211, 212, 213, 214), 상기 보조 지지대(34B) 및 상기 주 지지대(22A)가 접혀진 상태로 상기 우산집(1)의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결속장치(7)을상기 결속고리(6)에 걸어 결속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우산집에 밀봉되는 우산.
  2. 삭제
KR1020140003181A 2014-01-10 2014-01-10 자동으로 우산집에 밀봉되는 우산 KR101541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181A KR101541844B1 (ko) 2014-01-10 2014-01-10 자동으로 우산집에 밀봉되는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181A KR101541844B1 (ko) 2014-01-10 2014-01-10 자동으로 우산집에 밀봉되는 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541A KR20150083541A (ko) 2015-07-20
KR101541844B1 true KR101541844B1 (ko) 2015-08-05

Family

ID=53873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181A KR101541844B1 (ko) 2014-01-10 2014-01-10 자동으로 우산집에 밀봉되는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8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0131A (zh) * 2016-12-05 2017-03-22 汤道路 一种拨片及带收纳筒的半自动伞具
CN108158157A (zh) * 2018-02-12 2018-06-15 张宇琛 一种套、伞一体的伞及其操作方法
KR102358947B1 (ko) * 2020-08-24 2022-02-08 정민영 접이식 우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642Y1 (ko) 2001-11-16 2002-06-28 이상대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642Y1 (ko) 2001-11-16 2002-06-28 이상대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KR200275643Y1 (ko) 2001-11-16 2002-06-28 이상대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541A (ko) 201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0660U (ja) センターロック及びテント
KR101541844B1 (ko) 자동으로 우산집에 밀봉되는 우산
KR200470587Y1 (ko) 접이식 자동 우산
JP6212631B2 (ja) ルーフテント
WO2014082424A1 (zh) 帐篷顶部展收机构
JP6438076B2 (ja) センターロック及びテント
WO2008122149A1 (fr) Dispositif de support supérieur
JP5128614B2 (ja) 携帯可能なコンパクト傘
CN205012750U (zh) 快速折叠的篷架
JP2015223328A (ja) 傘及び傘カバー装置
CN102869282A (zh) 阳伞
KR101477276B1 (ko) 텐트
KR101287647B1 (ko) 빗물보호 우산
CN205082824U (zh) 一种反向闭合伞
KR101080822B1 (ko) 우산꽂이
TWM522603U (zh) 自動多折反收傘
CN204024197U (zh) 一种折叠方便的伞形帐篷支架
KR200361781Y1 (ko) 위로 접어 기둥 속에 밀봉 시키는 우산
KR200376333Y1 (ko) 접이식 파라솔
JP3205300U (ja) 折り畳みテント
KR20170095555A (ko) 텐트
KR200489507Y1 (ko)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
CN109198829A (zh) 两折反向伞的两段式收合结构
KR101229082B1 (ko) 거꾸로 접히는 우산
KR101791814B1 (ko) 간편하게 접을 수 있는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