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507Y1 -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 - Google Patents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507Y1
KR200489507Y1 KR2020180003833U KR20180003833U KR200489507Y1 KR 200489507 Y1 KR200489507 Y1 KR 200489507Y1 KR 2020180003833 U KR2020180003833 U KR 2020180003833U KR 20180003833 U KR20180003833 U KR 20180003833U KR 200489507 Y1 KR200489507 Y1 KR 2004895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support
mounting portion
circumferential surfac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8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기관
Original Assignee
곽기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기관 filed Critical 곽기관
Priority to KR20201800038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5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5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 1 거치부, 상기 제 1 거치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 상기 제 1 거치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제 2 거치부, 일단이 상기 제 1 거치부의 끝단과 링크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 일단부가 상기 제 2 거치부의 끝단 외주부와 링크결합되고, 상기 일단부와 인접하게 상기 연결부의 타단과 링크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 사이에 결합되는 차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2 거치부가 상기 제 1 거치부의 내부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에 따라 상기 제 1 거치부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펴지거나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An umbrella stand for receiving rainwater}
본 고안은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에 탈착 가능하고 우산 끝에 장착한 상태에서 우산을 세웠을 때 빗물을 받을 수 있고, 거치시 우산에서 탈거하여 뒤집은 뒤 우산을 세워서 고정시키는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우산은 비가 올 때, 신체 또는 소지품 등이 비에 젖지 않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며 비닐우산, 방수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우산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우산은 우산대가 접히지 않는 장우산과 휴대의 간편함을 위해서 우산대가 접히는 접이식 우산이 있으며, 접이식 우산은 2단 접이식 또는 3단 접이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우산은 통상적으로 우산의 중심축을 이루는 우산대, 우산대에 결합되는 손잡이 및 우산대의 종단에 결합되는 우산살, 우산살에 부착되어 빗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원단 및 우산대의 종단에 설치되어 원단을 고정하기 위한 우산 촉으로 구성된다. 우산 촉은 종단이 뭉뚝한 일자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스로 기립할 수 없기에 바닥에 눕히던가 우산 스탠드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우산을 거치해야 하므로 우산을 보관하기 불편한 부분이 있다.
이에 우산 거치대에 우산을 보관할 경우, 많은 우산이 함께 수납되므로 본인의 우산을 찾기가 어려워지는 측면이 있고, 자신의 우산과 비슷한 우산을 갖고 있는 사람들과 우산이 바뀌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우산이 바뀌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우산을 바닥에 거치하는 경우, 우산의 표면에 흡착된 빗물이 바닥에 떨어짐으로써 실내를 오염시키고 바닥을 미끄럽게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으며, 바닥의 오물이 우산에 붙어 우산도 오염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닐 등으로 형성된 봉지 모양의 커버를 건물 입구 등에서 비치하여 우산 비닐 커버를 씌우도록 하고 있으나, 정부에서는 환경적으로 유해한 비닐을 사용하지 않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비닐 커버를 지속적으로 구매함에 따른 유지관리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03803호에는 우산대의 손잡이 영역에 형성되며, 우산대가 바닥면에서 기립할 수 있도록 바닥면과의 접촉면이 평면을 이루는 받침부 및 우산대 내부에 수납되며 받침부를 바닥면에 기립시킬 때, 우산대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무게 중심이 바닥면에 향하도록 하는 유동체를 포함하는 스탠드 장치가 구비된 우산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한 스탠드 장치가 구비된 우산은 일반적인 우산에 유동체가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가 더 포함되므로 일반 우산과 대비하여 높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탠드 장치가 구비된 우산만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 우산과의 호환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2016-0103803 A
(특허문헌 2) KR10-0987580 B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우산을 세워서 거치시켜야 할 경우, 우산에서 탈거한 후 뒤집어서 바닥에 놓은 후 우산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우산을 삽입하여 장착한 후 우산을 세웠을 경우, 빗물을 받을 수 있는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우산 끝으로 삽입하는 힘에 의해 지지부가 접히는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100)는 제 1 거치부(10); 상기 제 1 거치부(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20); 상기 제 1 거치부(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제 2 거치부(30); 일단이 상기 제 1 거치부(10)의 끝단 외주부와 링크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40); 일단부가 상기 제 2 거치부(30)의 끝단 외주부와 링크결합되고, 상기 일단부와 인접하게 상기 연결부(40)의 타단과 링크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부(50);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50) 사이에 결합되는 차광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제 2 거치부(30)가 상기 제 1 거치부(10)의 내부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에 따라 상기 제 1 거치부(10)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펴지거나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거치부(10)는, 상부가 내측으로 테이퍼진 관 형상의 외부 몸체(11); 상기 외부 몸체(11)의 상부와 연결되는 내부가 빈 원뿔대 형상의 끝단 몸체(12); 상기 외부 몸체(11)의 하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40)의 일단과 링크결합되는 복수의 제 1 연결부재(13); 상기 끝단 몸체(12)의 상부 내주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끝단 몸체(12)의 내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위치하여 고정되지 않은 타단이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제 1 고정부재(14); 및 상기 외부 몸체(1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링형상의 단턱부재(15)를 포함하고, 상기 단턱부재(15)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거치부(30)는, 일측이 막힌 중공의 내부 몸체(31);
상기 내부 몸체(31)의 타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복수의 제 2 연결부재(32); 및 상기 내부 몸체(31)의 내주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내부 몸체(31)의 내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위치하여 고정되지 않은 타단이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 2 고정부재(33);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몸체(31)는 상기 내부 몸체(31)의 일측이 상기 내부 몸체(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 몸체(31)가 상기 외부몸체(11)의 내부에서 이동시 상기 단턱부재(15)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연결부재(13)와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연결부(40)에 의해 링크결합되면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지지부(50)는 제 2 고정부재(33)와 링크결합되면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 2 거치부(30)가 상기 제 1 거치부(10)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부(20)가 압축될 경우,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제 1 거치부(10)의 중심축과 평행하도록 회전하여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거치부(30)가 상기 제 1 거치부(10)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부(20)가 팽창될 경우,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제 1 거치부(10)의 중심축과 수직에 가깝도록 회전하여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우산을 사용할 경우에도 우산 끝에 장착되므로 편리하게 들고 다닐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우산 끝에 장착된 상태에서 우산을 세울 경우에는 빗물을 받을 수 있어 바닥으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이 미끄러워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특정 장소에 머무르게 될 경우, 우산 끝에서 탈거하여 뒤집어서 바닥에 세운 후 우산을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어, 우산 비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환경적으로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우산 끝을 삽입하게 되면 펴져 있던 지지부가 자동으로 접히는 구조를 도입함에 따라 우산 끝에 편리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제 1 거치부와 제 2 거치부 사이의 탄성부가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단면도,
도 3은 제 1 거치부와 제 2 거치부 사이의 탄성부가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단면도,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의 사용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100)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1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100)는 제 1 거치부(10), 제 1 거치부(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20), 제 1 거치부(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제 2 거치부(30), 일단이 제 1 거치부(10)의 끝단 외주부와 링크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40), 일단부가 제 2 거치부(30)의 끝단 외주부와 링크결합되고, 일단부와 인접하게 연결부(40)의 타단과 링크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부(50) 및 복수의 지지부(50) 사이에 결합되는 차광부(60)를 포함하고, 지지부(50)는 상기 제 2 거치부(30)가 상기 제 1 거치부(10)의 내부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에 따라 상기 제 1 거치부(10)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펴지거나 접힌다.
제 1 거치부(10)는 외부 몸체(11), 끝단 몸체(12), 제 1 연결부재(13), 제 1 고정부재(14) 및 단턱부재(15)를 포함한다.
외부 몸체(11)는 상부가 내측으로 테이퍼진 관 형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 몸체(11)는 양측이 개방된 중공의 파이프 형상이며, 외부 몸체(11)의 상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몸체(11)의 중심축을 향하여 절곡된 형상을 지닌다. 이와 같은 형상은 외부 몸체(11)보다 직경이 작은 끝단 몸체(12)와의 원만한 결합을 위한 것이다.
끝단 몸체(12)는 외부 몸체(11)의 상부와 연결되는 내부가 빈 원뿔대 형상이다. 또한, 끝단 몸체(12)는 양측으로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외부 몸체(11)와 연속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끝단 몸체(12)의 내주면에는 제 1 연결부재(13)의 일단만 고정된다.
또한, 끝단 몸체(12)의 직경은 우산(2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우산(200)의 끝부분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연결부재(13)는 외부 몸체(11)의 하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연결부(40)의 일단과 링크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연결부재(13)는 'ㄷ'자 형상으로 연결부(40)의 일단이 삽입된 후 힌지로 링크결합되는 형태를 취한다. 이때, 제 1 연결부재(13)의 개방된 부분이 방사상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며, 그에 따라 연결부(40)는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고, 제 1 거치부(10)와 제 2 거치부(30)의 이격 여부에 의해 지지부(50)를 잡아당기거나 놓는 역할을 함에 따라 지지부(50)가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제 1 연결부재(13)는 외부 몸체(11)의 하부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제 1 고정부재(14)는 끝단 몸체(12)의 상부 내주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끝단 몸체(12)의 내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위치하여 고정되지 않은 타단이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고정부재(14)는 우산(200)이 삽입시 제 1 거치부(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S'자 모양의 플라스틱(탄성력이 있는 금속재료도 가능)로 형성되어 수축이 가능하다. 이때, 제 1 고정부재(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 몸체(12)의 상부 내주면에 고정되는데, 이는 우산을 꽂을 때 최초 들어가는 방향과 가까운 지점에 제 1 고정부재(14)의 일단을 고정시켜야 우산(200)을 흔들림 없이 고정시킬 수 있고, 고정되지 않은 제 1 고정부재(14)의 타단은 우산(200)의 부피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움직임에 따라 우산(200)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더욱 효과적인 고정을 위해 제 1 고정부재(14)의 일측 및 타측에는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제 1 고정부재(14)의 일측은 끝단 몸체(12)의 상부 내주면에 고정되며, 제 1 고정부재(14)의 타측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끝단 몸체(12)의 하부 내주면에 접하게 된다. 이로서, 우산(200)이 끝단 몸체(12)로 삽입되면서 제 1 고정부재(14)와 만나게 되면 제 1 고정부재(14)의 타측은 고정되지 않았으므로 미끄러진 후 우산(200)을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 1 고정부재(14)는 복수로 구성되고, 그 개수는 도 2의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내주면의 중심으로부터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총 3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우산(2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배치라면 3개 이상이어도 무방하다.
단턱부재(15)는 외부 몸체(1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링형상을 지닌다. 이러한 단턱부재(15)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단턱부재(15)의 내경은 후술되는 내부 몸체(31)의 일측의 외주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한 구조로 인하여 단턱부재(15)는 내부 몸체(31)가 외부 몸체(11)의 내부를 이동하다가 내부 몸체(31)의 일측의 외주부가 단턱부재(15)와 닿게 되면 내부 몸체(31)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20)는 제 1 거치부(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력을 지니며, 일례로서, 스프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부(20)는 외부 몸체(11)의 내부에 위치하며, 외부 몸체(11)로 삽입되는 내부 몸체(31)와 외부 몸체(11)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탄성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몸체(11)가 내부 몸체(31)로 삽입되면서 압축될 경우, 지지부(50)가 접히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외부 몸체(11)가 본래의 위치로 돌아가서 탄성부(20)의 팽창(압축이 해제)될 경우, 지지부(50)가 펴지게 된다.
제 2 거치부(30)는 내부 몸체(31), 제 2 연결부재(32) 및 제 2 고정부재(33)를 포함한다.
내부 몸체(31)는 일측이 막힌 중공형상이고, 상기 내부 몸체(31)의 일측이 상기 내부 몸체(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 몸체(31)가 상기 외부몸체(11)의 내부에서 이동시 상기 단턱부재(15)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 몸체(31)의 일측의 외주부의 직경은 외부 몸체(11)의 직경보다 작지만, 단턱부재(15)의 내경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내부 몸체(31)가 외부 몸체(11)의 하부로 이동하더라도 단턱부재(15)에 걸려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도록 제한한다.
제 2 연결부재(32)는 내부 몸체(31)의 타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제 2 연결부재(32)는 제 1 연결부재(13)와 유사하게 'ㄷ'자 형상으로 지지부(50)의 일단이 삽입된 후 힌지로 링크결합되는 형태를 취한다. 이때, 제 2 연결부재(32)의 개방된 부분이 방사상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며, 그에 따라 지지부(50)는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제 2 고정부재(3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몸체(31)의 하부 내주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내부 몸체(31)의 내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위치하여 고정되지 않은 타단이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고정부재(33)는 제 1 고정부재(14)와 형상은 같되, 크기만 더 크게 형성된다. 제 2 고정부재(33)는 우산(200)이 삽입시 제 2 거치부(30)에 고정될 수 있도록 'S'자 모양의 플라스틱(탄성력이 있는 금속재료도 가능)로 형성되어 수축이 가능하다. 이때, 제 2 고정부재(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몸체(31)의 하부 내주면에 고정되는데, 이는 우산을 꽂을 때 최초 들어가는 방향과 가까운 지점에 제 2 고정부재(33)의 일단을 고정시켜야 우산(200)을 흔들림 없이 고정시킬 수 있고, 고정되지 않은 제 2 고정부재(33)의 타단은 우산(200)의 부피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움직임에 따라 우산(200)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더욱 효과적인 고정을 위해 제 2 고정부재(33)의 일측 및 타측에는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제 2 고정부재(33)의 일측은 내부 몸체(31)의 하부 내주면에 고정되며, 제 2 고정부재(33)의 타측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내부 몸체(31)의 상부 내주면에 접하게 된다. 이로서, 우산(200)이 내부 몸체(31)로 삽입되면서 제 2 고정부재(33)와 만나게 되면 제 2 고정부재(33)의 타측은 고정되지 않았으므로 미끄러진 후 우산(200)을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 2 고정부재(33)는 복수로 구성되고, 그 개수는 도 2의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내주면의 중심으로부터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총 3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우산(2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배치라면 3개 이상이어도 무방하다.
연결부(40)는 일단이 제 1 거치부(10)의 끝단 외주부와 링크결합되며, 한 쌍씩 복수로 이루어진다. 연결부(4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상이나 직사각형상일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40)의 일단은 제 1 연결부재(13)에 링크결합되고, 연결부(40)의 타단은 지지부(50)의 일단부와 인접하게 링크결합된다. 이때, 지지부(50)의 일단부는 제 2 연결부재(32)와 힌지로 링크결합된다.
지지부(50)는 일반적인 우산의 내부살로 금속재료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일자형이다.
지지부(50)와의 결합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연결부재(13)와 상기 지지부(50)는 연결부(40)에 의해 간접적으로 링크결합되면서 회전 가능하고, 지지부(50)는 제 2 고정부재(33)와 직접적으로 링크결합되면서 회전 가능하다.
전술한 결합관계에 따라 제 2 거치부(30)가 제 1 거치부(10)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스프링(20)이 압축될 경우, 지지부(50)는 제 1 거치부(10)의 중심축과 평행하도록 회전하여 접히게 된다.
반면, 제 2 거치부(30)가 제 1 거치부(10)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스프링(20)이 팽창될 경우, 지지부(50)는 제 1 거치부(10)의 중심축과 수직에 가깝도록 회전하여 펴지게 된다. 다만, 지지부(50)가 펴졌을 경우, 지지부(50)와 바닥으로부터 수직한 수직선이 이루는 이상적인 각도는 6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지지부(50)는 5개로 구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의 의도나 목적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또한, 지지부(50)는 상하 90도 간격으로 접히거나 펴지게 된다.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100)의 상황에 따른 사용예를 설명한다.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100)의 지지부(50)가 바닥을 향하도록 놓은 상태에서 우산을 거치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50)가 바닥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제 1 거치부(10)의 내부로 우산(200)을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다. 이때, 제 1 거치부(10) 및 제 2 거치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이며, 탄성부(20)는 압축이 해제된 상태이다.
도 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100)의 제 1 거치부(10)가 바닥을 향하도록 놓은 상태에서 우산을 삽입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200)을 제 2 거치부(30)의 내부로 삽입하면서 힘을 가하면, 제 2 거치부(30)가 제 1 거치부(10)의 내부로 더욱 깊숙히 들어가면서 펴져 있던 지지부(50)가 접히게 된다. 이때, 탄성부(20)는 압축된 상태가 된다.
도 4c는 도 4b의 상태에서 외부적으로 힘을 가하지 않았을 경우,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100)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우산을 통해 힘을 가하지 않게 되면, 압축되었던 탄성부(20)가 본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탄성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제 1 거치부(10)와 제 2 거치부(30)는 이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부(20)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거치부(30)는 상부로 상승하고, 제 1 거치부(10)와 링크결합된 연결부(40)에 의해 지지부(50)가 당겨지면서 결과적으로 지지부(50)가 펴지게 된다.
도 4d는 도 4c의 상태에서 우산을 폈을 경우,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100)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우산(200)의 끝에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1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우산(200)을 펴도 우산 스탠드(100)는 펴진 상태이므로 무리없이 우산(200)을 쓰고 다닐 수 있게 된다.
차광부(60)는 복수의 지지부(50) 사이에 결합되는 캐노피로서, 일반적인 우산에 적용되는 것과 같다. 또한, 차광부(60)는 방수천 기능으로 빗물이 새지 않게 커버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차광부(6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100)의 제 1 거치부(10)가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우산(200)이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100)로 삽입될 경우, 우산(200)에서 흘러 내려오는 빗물을 받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100)는 우산을 세울 경우, 빗물을 받아서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로 빗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빗물에 의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
10 : 제 1 거치부
11 : 외부 몸체
12 : 끝단 몸체
13 : 제 1 연결부재
14 : 제 1 고정부재
15 : 단턱부재
20 : 탄성부
30 : 제 2 거치부
31 : 내부 몸체
32 : 제 2 연결부재
33 : 제 2 고정부재
40 : 연결부
50 : 지지부
60 : 차광부
200 : 우산

Claims (5)

  1. 제 1 거치부(10);
    상기 제 1 거치부(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20);
    상기 제 1 거치부(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제 2 거치부(30);
    일단이 상기 제 1 거치부(10)의 끝단 외주부와 링크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40);
    일단부가 상기 제 2 거치부(30)의 끝단 외주부와 링크결합되고, 상기 일단부와 인접하게 상기 연결부(40)의 타단과 링크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부(50);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50) 사이에 결합되는 차광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거치부(10)는,
    상부가 내측으로 테이퍼진 관 형상의 외부 몸체(11);
    상기 외부 몸체(11)의 상부와 연결되는 내부가 빈 원뿔대 형상의 끝단 몸체(12);
    상기 외부 몸체(11)의 하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40)의 일단과 링크결합되는 복수의 제 1 연결부재(13);
    상기 끝단 몸체(12)의 상부 내주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끝단 몸체(12)의 내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위치하여 고정되지 않은 타단이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제 1 고정부재(14); 및
    상기 외부 몸체(1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되,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링형상의 단턱부재(15)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제 2 거치부(30)가 상기 제 1 거치부(10)의 내부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에 따라 상기 제 1 거치부(10)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펴지거나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100).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거치부(30)는,
    일측이 막힌 중공의 내부 몸체(31);
    상기 내부 몸체(31)의 타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복수의 제 2 연결부재(32); 및
    상기 내부 몸체(31)의 내주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내부 몸체(31)의 내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위치하여 고정되지 않은 타단이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 2 고정부재(33);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몸체(31)는 상기 내부 몸체(31)의 일측이 상기 내부 몸체(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 몸체(31)가 상기 외부몸체(11)의 내부에서 이동시 상기 단턱부재(15)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10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재(13)와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연결부(40)에 의해 링크결합되면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지지부(50)는 제 2 고정부재(33)와 링크결합되면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 2 거치부(30)가 상기 제 1 거치부(10)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부(20)가 압축될 경우,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제 1 거치부(10)의 중심축과 평행하도록 회전하여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10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거치부(30)가 상기 제 1 거치부(10)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부(20)가 팽창될 경우,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제 1 거치부(10)의 중심축과 수직에 가깝도록 회전하여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100).
KR2020180003833U 2018-08-17 2018-08-17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 KR2004895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833U KR200489507Y1 (ko) 2018-08-17 2018-08-17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833U KR200489507Y1 (ko) 2018-08-17 2018-08-17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507Y1 true KR200489507Y1 (ko) 2019-09-27

Family

ID=68084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833U KR200489507Y1 (ko) 2018-08-17 2018-08-17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507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6705U (ko) * 1995-12-06 1997-07-24 김영창 우산의 물받이
JPH10137018A (ja) * 1996-11-07 1998-05-26 Hayashimasa:Kk 自立傘
JP2006075542A (ja) * 2004-09-06 2006-03-23 Minoru Fukuda 滴受けを設けた傘
KR20090007049U (ko) * 2008-01-08 2009-07-13 오문석 빗물흐름방지 세우는 우산
US20150257566A1 (en) * 2015-03-18 2015-09-17 Sean Tayebi Handheld umbrella stand with modular features
KR101799827B1 (ko) * 2016-02-01 2017-11-21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버튼식 직립우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6705U (ko) * 1995-12-06 1997-07-24 김영창 우산의 물받이
JPH10137018A (ja) * 1996-11-07 1998-05-26 Hayashimasa:Kk 自立傘
JP2006075542A (ja) * 2004-09-06 2006-03-23 Minoru Fukuda 滴受けを設けた傘
KR20090007049U (ko) * 2008-01-08 2009-07-13 오문석 빗물흐름방지 세우는 우산
US20150257566A1 (en) * 2015-03-18 2015-09-17 Sean Tayebi Handheld umbrella stand with modular features
KR101799827B1 (ko) * 2016-02-01 2017-11-21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버튼식 직립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4518B2 (en) Reversible umbrella
US9775416B2 (en) Umbrella device
US20160029752A1 (en) Control mechanism of full-automatic multi-folded umbrella
KR200489507Y1 (ko)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
WO2008010791A1 (en) Safety umbrella with water collecting and drainage mechanism
CN209489603U (zh) 伞套
KR20160103803A (ko) 스탠드 장치가 구비된 우산
US20090151760A1 (en) Reversible umbrella
JP2015223328A (ja) 傘及び傘カバー装置
KR101541844B1 (ko) 자동으로 우산집에 밀봉되는 우산
CN201328444Y (zh)
JP2006325963A (ja) 傘の石突き装着具および傘
KR102306617B1 (ko) 우산캡
KR102260067B1 (ko) 거꾸로 접히는 우산
KR20180104880A (ko) 친환경 외장형 빗물받이가 구비된 우산
KR101643381B1 (ko) 접이가 용이한 이중 우산
KR102251480B1 (ko) 빗물받이 기능을 갖는 우산받침대
KR200467823Y1 (ko) 우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KR101229082B1 (ko) 거꾸로 접히는 우산
CN108703455A (zh) 伞套
CN213587590U (zh) 一种多功能拐杖
KR20160111710A (ko) 빗물 묻음 방지를 위한 반대 접이식 우산
JP3208878U (ja) 傘立て構造
CN209463427U (zh) 一种车载雨伞收纳筒
KR101635094B1 (ko) 우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