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823Y1 - 우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823Y1
KR200467823Y1 KR2020080013734U KR20080013734U KR200467823Y1 KR 200467823 Y1 KR200467823 Y1 KR 200467823Y1 KR 2020080013734 U KR2020080013734 U KR 2020080013734U KR 20080013734 U KR20080013734 U KR 20080013734U KR 200467823 Y1 KR200467823 Y1 KR 2004678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ase
case body
body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232U (ko
Inventor
오충록
Original Assignee
오충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충록 filed Critical 오충록
Priority to KR2020080013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82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2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2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8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8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4Protective coverings for umbrellas when clos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2019/002Umbrellas stored inside the stick when closed, e.g. collapsible into th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09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2200/1054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containers for storing objects, e.g. box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우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케이스는 우산을 내부에 수납하는 케이스 본체부; 및 우산의 기둥과 결합되며, 상단 및 하단이 케이스 본체부의 개방된 상단과 결합 가능한 케이스 뚜껑부를 포함하되, 케이스 본체부는 하단이 상단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의 손잡이 부분을 케이스의 뚜껑으로 구현하여 우산의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케이스의 상단과 하단의 지름을 달리하거나 일측에 홈을 두어, 손잡이로 이용할 경우 사용자가 파지하기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우산, 케이스, 우산통, 손잡이, 뚜껑

Description

우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Case of umbrella and umbrella including the same}
본 고안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젖은 빗물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우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에 관한 것이다.
비가 오는 날 바깥출입을 할 때에는 통상 우산을 사용하게 되고, 예컨대 은행이나 상점 등을 이용하기 위해 건물의 실내로 들어가거나 또는 지하철과 버스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에는 우산을 접어 휴대하게 되는데, 이때 가장 큰 문제점은 우산을 접었을 때 우산에서 빗물이 흘러내리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은 실내바닥을 오염시킬 뿐 아니라, 특히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대중교통 내에서 자신은 물론 밀집해 있는 주위 사람들의 옷을 젖게 하여 본의 아니게 타인에게 폐를 끼치게 되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따라 건물의 출입구에 비닐커버 공급기를 구비하여 우산을 접어서 공급기의 삽입구에 꽂아 당기면 젖은 우산이 낱개의 비닐커버에 수용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빗물에 의한 실내오염을 방지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1회용 비닐의 사용에 의한 환경오염과 자원낭비의 문제가 있고, 대중교통의 이용 시에는 사용할 수 없는 제한이 따 른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접힌 우산을 내부에 수납하고, 우산을 펼칠 때는 보다 편리하게 손잡이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우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우산을 내부에 수납하는 케이스 본체부; 및 상기 우산의 기둥과 결합되며, 상단 및 하단이 상기 케이스 본체부의 개방된 상단과 결합 가능한 케이스 뚜껑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 본체부는 하단이 상단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케이스가 제공된다.
그리고, 우산을 내부에 수납하는 케이스 본체부; 및 상기 우산의 기둥과 결합되며, 상단 및 하단이 상기 케이스 본체부의 개방된 상단과 결합 가능한 케이스 뚜껑부를 포함하되, 사용자가 파지하는데 용이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부의 측면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 크기에 상응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케이스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 뚜껑부는 상기 우산의 기둥과 나사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부는, 상기 케이스 뚜껑부와 결합되기 위한 딱딱한 재질의 뚜껑 연결부; 및 상기 뚜껑 연결부와 상이한 연성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우산을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비를 막아주는 피복부; 상기 피복부를 지탱하기 위한 살대부; 상기 살대부와 연결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케이스 뚜껑부; 및 상기 피복부, 상기 살대부 및 상기 기둥부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상기 케이스 뚜껑부의 상단에 결합되거나, 손잡이로 이용되도록 상기 케이스 뚜껑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케이스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 본체부는 개방된 상단의 지름보다 하단의 지름이 작도록 형성되고, 측면 일측에 하나 이상의 손가락 크기에 상응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구비 우산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의 손잡이 부분을 케이스의 뚜껑으로 구현하여 케이스 내부로의 우산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는 우산을 펼칠 경우에는 손잡이로 이용하고, 우산을 접을 경우에는 케이스 본체로 사용할 수 있어 케이스의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는 상단과 하단의 지름을 달리하거나 홈을 두어, 손잡이로 이용할 경우 사용자가 파지하기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우산은 기존 우산 형태에서 손잡이 부분만을 케이스의 뚜껑으로 구현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가 구비된 우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이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본체를 손잡이로 이용할 경우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는 케이스 뚜껑부(70) 및 케이스 본체부(90)를 포함하고, 상기한 우산 케이스를 구비한 우산은 피복부(10), 살대부(30), 기둥부(50)를 더 포함한다.
피복부(10)는 비를 막기 위한 것으로, 방수 재질의 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살대부(30)는 우산을 펼쳤을 때 피복부(10)가 펼쳐져 내리는 비를 막을 수 있도록 피복부(10)를 지탱한다. 물론, 살대부(30)는 장우산과 같이 일자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3단 또는 4단 등으로 접힐 수 있도 록 형성될 수도 있다. 기둥부(50)는 살대부(30)와 연결된다. 피복부(10), 살대부(30), 기둥부(50)는 통상적인 우산에 모두 구비되는 구성부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상기한 피복부(10), 살대부(30) 및 기둥부(50)를 우산 본체부라 칭하기로 한다. 즉, 우산 본체부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케이스가 결합되면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를 구비한 우산이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기둥부(50)의 하단에 손잡이가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가 구비된 우산은 기둥부(50)의 하단에 상기한 케이스 뚜껑부(70)가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뚜껑부(70)는 칼자루 형상과 같이 형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72) 및 뚜껑부(74)를 포함하며, 뚜껑부(74)는 케이스 본체부(90)와 결합되어 고정되기 위한 연결 고정부(76)를 포함하여 결합 시 케이스 본체부(90)의 개구부(상단)를 막아 우산 본체부를 밀폐 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고정부(76)가 케이스 본체부(90)의 내부로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연결 고정부(76)가 케이스 본체부(9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외부로 드러나도록 결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물론 케이스 뚜껑부(70)는 반드시 기둥부(50)에 고정될 필요는 없으며, 나사방식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종래에도 손잡이가 기둥과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된 3단 우산 등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므로,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한 케이스 뚜껑부(70)와 기둥부(50) 간의 결합 방식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스 본체부(90)는 접힌 상태의 우산 본체부를 내부에 수납하기 위해 상 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케이스 뚜껑부(70)에 의해 개구부가 닫힐 수 있다. 우산 본체부가 케이스 본체부(90)에 수납된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피복부(10)가 빗물에 젖더라도 케이스 본체부(90)와 케이스 뚜껑부(70)에 의해 외부로 빗물이 누출되지 않아, 사용자는 편리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부(90)는 케이스 뚜껑부(70)의 하단에 결합되어 우산이 펼쳐질 경우 손잡이로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뚜껑부(70)의 하단도 케이스 본체부(90)와 결합되도록 손잡이부(72)의 지름이 케이스 본체부(90)의 개구부 지름에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즉, 손잡이부(72)도 케이스 본체부(90)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 고정부(76)의 기능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케이스 뚜껑부(70)는 손잡이부(72) 외에 케이스 본체부(90)와 결합하기 위해 상단과 동일한 형태로 돌기(또는 홈) 또는 암나사 형태(물론, 이 경우 케이스 본체부(90)의 개구부 측에는 숫나사 형태의 결합수단이 구비됨)의 결합수단이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내부의 물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케이스 뚜껑부(70)의 연결 고정부(76)의 외측에는 링 형식의 고무 재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부(90)는 반드시 개구부를 통해 케이스 뚜껑부(70)에 결합될 필요는 없으며, 개구부의 반대편(즉, 막혀있는 부분)에 케이스 뚜껑부(7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뚜껑부(74)의 지름에 상응하는 지름을 갖는 돌기 또는 홈 또는 암나사 형태의 결합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부(90)는 케이스 뚜껑부(70)의 하단에 연결되어 손잡이로써 이용될 수 있으므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그 두께가 중요하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본체부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스 본체부(90)는 우산을 수납하기 용이하게 개방된 상단의 지름은 우산을 접었을 경우의 지름보다 조금 크도록 형성되고, 손잡이로 이용하기 위해 하단의 지름은 최대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케이스 본체부(90)의 하단은 개구부(즉, 상단)보다 그 지름이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져, 사용자는 좀더 편안하게 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접힌 우산의 길이보다 케이스 본체부(90)의 길이가 더욱 길수록 케이스 본체부(90) 하단의 지름을 더욱 작게 할 수 있어, 보다 파지가 편한 손잡이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3단 우산의 경우, 케이스 본체부(90)는 상단의 지름 5.5~6cm, 하단의 지름이 4~4.5cm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 본체부(90)의 측면에 홈(500)이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한 홈(500)은 사용자가 파지할 때 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곳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한 케이스 본체부(90)의 홈(500)의 위치에 엄지 손가락을 위치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손잡이로써 케이스 뚜껑부(70)의 하단에 연결된 케이스 본체부(90)를 파지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예를 들어 나머지 네 손가락이 위치하는 곳에도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가 손잡이로써 케이스 본체부(90)를 파지하기 더욱 용이하도록, 상기한 도면 4 및 도 5에 따른 케이스 본체부(90)의 하단 및 상단의 지름을 달리하고 측면에 홈을 함께 형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케이스 본체부(90)가 손잡이로 이용되므로, 이 경우에는 기둥부(50)의 길이가 일반적인 우산의 기둥 길이보다 케이스 본체부(90)의 길이만큼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 본체부(90)는 휴대의 편의를 위해 일측에 끈과 같은 멜빵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우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에 우산을 넣은 채 어깨 등에 메고 다닐 수 있다.
상술한 케이스 본체부(90) 및 케이스 뚜껑부(70)는 알루미늄, 철과 같은 금속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등의 딱딱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부(90)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6을 참조하면, 케이스 본체부(90)는 서로 재질이 상이한 뚜껑 연결부(92) 및 본체부(94)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 연결부(92)는 금속, 플라스틱 등의 딱딱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 뚜껑부(70)와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 뚜껑부(70)의 연결 고정부(76)에 상응하는 지름을 갖는다. 본체부(94)는 천, 고무, 비닐 등과 같이 딱딱하지 않은 연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수납된 우산에 묻은 물기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 록 방수 기능이 구비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고안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가 구비된 우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이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본체를 손잡이로 이용할 경우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본체부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

Claims (5)

  1. 연성의 재질로 형성되며 우산을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며 딱딱한 재질의 뚜껑 연결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본체부; 및
    상기 우산의 기둥과 결합되며, 상단 및 하단이 상기 뚜껑 연결부와 결합 가능한 케이스 뚜껑부를 포함하는 우산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080013734U 2008-10-15 2008-10-15 우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KR2004678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734U KR200467823Y1 (ko) 2008-10-15 2008-10-15 우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734U KR200467823Y1 (ko) 2008-10-15 2008-10-15 우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232U KR20100004232U (ko) 2010-04-23
KR200467823Y1 true KR200467823Y1 (ko) 2013-07-05

Family

ID=4445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734U KR200467823Y1 (ko) 2008-10-15 2008-10-15 우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8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358U (ko) 2018-08-06 2020-02-14 주식회사 지란지교 우산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399B1 (ko) * 2015-05-08 2016-11-11 임경환 손잡이 케이스가 구비된 우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4806U (ko) * 1989-09-08 1991-04-25
KR960003099Y1 (ko) * 1994-07-05 1996-04-16 이원식 우산용 커버
KR200233782Y1 (ko) 2001-03-06 2001-09-26 주식회사 태성정보통신 케이스로 완전 밀폐되는 우산
US6334454B1 (en) * 1999-11-09 2002-01-01 Richard C. Williams Collapsible umbrella with sheathing hand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4806U (ko) * 1989-09-08 1991-04-25
KR960003099Y1 (ko) * 1994-07-05 1996-04-16 이원식 우산용 커버
US6334454B1 (en) * 1999-11-09 2002-01-01 Richard C. Williams Collapsible umbrella with sheathing handle
KR200233782Y1 (ko) 2001-03-06 2001-09-26 주식회사 태성정보통신 케이스로 완전 밀폐되는 우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358U (ko) 2018-08-06 2020-02-14 주식회사 지란지교 우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232U (ko) 201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4854B2 (en) Water bag for bicycle riders
KR200467823Y1 (ko) 우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KR20100018144A (ko) 케이스가 구비된 우산
JP3184436U (ja) 筒状カバーを備えた雨傘
KR101287647B1 (ko) 빗물보호 우산
KR100745702B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우산
KR200366498Y1 (ko) 우산커버가 구비된 우산
KR20100003318U (ko) 보관 케이스가 구비된 우산
CN208211653U (zh) 一种伸缩型封闭伞
KR200236561Y1 (ko) 우산집이 구비된 우산
JP3228568U (ja) ケース付き折り畳み傘
KR200428534Y1 (ko) 반자동 방수우산
CN213370387U (zh) 可收入握柄之伞具
WO2019029384A1 (zh) 可收入握柄中的伞结构
KR200252874Y1 (ko) 다기능 우산커버
KR102260067B1 (ko) 거꾸로 접히는 우산
CN202959100U (zh) 具有容置空间的雨伞结构
KR200491847Y1 (ko) 우산 케이스
JP3182430U (ja) カバンの携帯雨用カバー
CN206729398U (zh) 便于收纳的伞
KR101259046B1 (ko) 우산케이스
KR200456226Y1 (ko) 커플우산
CN203709418U (zh) 雨伞
CN205547714U (zh) 一种雨伞
KR200307764Y1 (ko) 휴대가 용이한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