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226Y1 - 커플우산 - Google Patents

커플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226Y1
KR200456226Y1 KR2020090012397U KR20090012397U KR200456226Y1 KR 200456226 Y1 KR200456226 Y1 KR 200456226Y1 KR 2020090012397 U KR2020090012397 U KR 2020090012397U KR 20090012397 U KR20090012397 U KR 20090012397U KR 200456226 Y1 KR200456226 Y1 KR 2004562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umbrella
umbrella stand
stand
cou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3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110U (ko
Inventor
김준연
홍석우
Original Assignee
홍석우
김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석우, 김준연 filed Critical 홍석우
Priority to KR20200900123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22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31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1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2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04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telescopic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플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1인용은 물론, 친구나 연인, 가족 등과 같이 둘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커플우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속 우산대와 겉 우산대로 이루어지는 우산대와; 겉 손잡이와, 이 겉 손잡이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속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속 우산대는 속 손잡이를 관통하여 겉 손잡이에 결합되며, 겉 우산대는 속 손잡이와 결합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은 통상의 1인용 우산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2인이 함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1인용으로 사용하다가 친구나 연인, 가족들과 함께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잡이가 이중구조로 되어 있어 간단히 겉 손잡이로부터 속 손잡이를 분리하면서 우산대를 연장하여 2명이 각자 손잡이를 하나씩 잡고 서로 근접된 상태로 걸어가면서 대화를 나눌 수 있으므로 서로간에 더욱 친밀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커플우산, 손잡이, 이중, 속 손잡이, 겉 손잡이, 우산대

Description

커플우산{Couple Umbrella}
본 고안은 커플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1인용은 물론, 친구나 연인, 가족 등과 같이 둘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커플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비나 눈이 오는 경우 이를 피하기 위해서 휴대하고 있다가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우산은 그 크기와 구조가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는데, 기본적으로 비나 눈을 막아주도록 방수가 이루어지는 막음천과, 이 막음천의 내부에서 방사형으로 간격을 두고 둘레방향으로 복수,결합되는 우산살과, 이 우산살의 중심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우산대와, 이 우산대의 하단부에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우산은, 본래의 길이를 유지하면서 우산을 펼쳤을때, 비를 막아주는 막음천의 면적이 큰 타입과, 2단으로 구성되고 손잡이에 버튼이 형성되어서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타입과, 더욱 크기가 줄어들어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3단으로 구성된 타입 등이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우산은 하나의 손잡이와 우산대(2중, 3중 결합식 포함)로 이루어져 있기때문에, 통상적으로 혼자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친구나 연인, 가족과 같은 친밀한 관계인 경우에, 각기 우산을 휴대하고 있더라도 서로 얘기를 나누면서 가깝게 걷기 위해 일부러 하나의 우산을 사용하더라도 우산의 기종에 관계없이 하나의 손잡이로 되어 있기때문에, 한사람이 손잡이를 잡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에따라 손잡이를 잡은 사람은 나머지 한 사람과 같이 우산을 사용해야 하므로, 똑바로 들지 못하고 약간 치우쳐서 들고 걷는 경우가 많아서 그 만큼 우산을 들고 다니는 것이 불편하고, 나머지 한 사람과 함께 우산을 잡는 경우에도, 우산의 손잡이가 하나로만 되어 있어 둘이서 제대로 잡기 어려워서 불편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1인용으로사용함과 동시에, 친구나 연인, 가족과 같은 경우, 둘이서 친밀하게 2개의 손잡이를 각자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커플우산을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속 우산대와 겉 우산대로 이루어지는 우산대와; 겉 손잡이와, 이 겉 손잡이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속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속 우산대는 속 손잡이를 관통하여 겉 손잡이에 결합되며, 겉 우산대는 속 손잡이와 결합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겉 손잡이의 내부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이 개방부의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삽입홈을 가지는 삽입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외면과 겉 손잡이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공간부가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속 손잡이는 제 1관통공과, 이 제 1관통공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관통공으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이다.
또한, 우산대는 회전을 방지함과 동시에 속 우산대를 겉 우산대로부터 인출후 연장되는 길이가 고정되도록 속 우산대의 일측면에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겉 우산대의 일측면에는 안쪽방향으로 들어가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홈은 걸림공의 바로 밑에서부터 걸림공의 아래부분이면서 속 손잡이와 만나는 상단부까지 안쪽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속 우산대에는 겉 우산대와 걸림 및 해제가 되도록 스프링과 걸림편으로 이루어진 걸림부재가 구비되고, 이 걸림부재가 걸림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겉 우산대에는 간격을 두고 걸림공이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를 구성하는 겉 손잡이의 일 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를 통해 속 손잡이와 결합되는 버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버튼부재는 속 손잡이 및 속 우산대의 내부에 형성되어 겉 우산대의 외부로 돌출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편과 연결된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1인용 우산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2인이 함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1인용으로 사용하다가 친구나 연인, 가족끼리 함께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잡이가 이중구조로 되어 있어 간단히 겉 손잡이로부터 속 손잡이를 분리하면서 우산대를 연장하여 2명이 각자 손잡이를 하나씩 잡고 서로 근접된 상태로 걸어가면서 대화를 나눌 수 있으므로 서로간에 더욱 친밀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커플우산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이중 손잡이와 우산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이중 손잡이에서 내부 손잡이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겉 우산대안에 구비되는 속 우산대의 걸림부재를 도시한 도 2의 A-A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타입의 우산(자동우산)에서 우산대와 손잡이 구조를 일부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플우산(1)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비나 눈을 막아주도록 방수가 가능한 막음천(10)과, 이 막음천(10)의 내부에서 방사형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결합되는 우산살(20)과, 이 우산살(20)의 중심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우산대(30)와, 이 우산대(30)의 하단부에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40)가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대(30)가 속 우산대(31)와 겉 우산대(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40)는 겉 손잡이(41)와, 이 겉 손잡이(41)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속 손잡이(42)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겉 손잡이(41)의 내부는 상부가 개방된 개방부(41a)가 형성되고, 이 개방부(41a)의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삽입홈(41b)을 가지는 삽입부(41c)가 돌출,형성된 구조이다.
이 삽입부(41c)의 외면과 겉 손잡이(41)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공간부(41d)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속 손잡이(42)는 관통공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공은 상부보다 하부가 넓게 형성되며, 상부에 위치하는 제 1관통공(42a)과, 이 제 1관통공(42a)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제 1관통공(42a)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 2관통공(42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겉 우산대(32)는 상기 속 손잡이(42)의 제 1관통공(42a)안에서 결합되어 고정되고, 속 우산대(31)는 속 손잡이(42)의 제 1,2관통공(42a)(42b)을 관통하여 겉 손잡이(41)와 결합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속 우산대(31)는 속 손잡이(42)의 제 1,2관통공(42a)(42b)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관통되어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속 우산대(31)와 겉 손잡이(41)는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데, 속 우산대(31)의 하부와 겉 손잡이(41)안의 삽입부(41c)에 형성된 삽입홈(41b)안에서 나사결합되어 고정된 구조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상기 겉 우산대(32)와 속 손잡이(42)도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데, 속 손잡이(42)의 제 1관통공(42a)안에서 겉 우산대(32)의 하부와 나사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속 손잡이(42)는 겉 손잡이(41)의 개방부(41a)안으로 삽입되면서 속 손잡이(42)의 제 2관통공(42b)이 겉 손잡이(41)안에서 돌출,형성된 삽입부(41c)를 수용하며, 이때 속 손잡이(42)의 하부가 겉 손잡이(41)의 공간부(41d)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진다.
또한, 겉 우산대(32)의 소정위치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공이 형성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 우산대(3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2개의 걸림공(32a)(32b)이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공(32a)(32b)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속 우산대(31)에는 걸림부재(50)가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걸림부재(50)는 스프링(51)과, 이 스프링(51)에 의해 탄지되면서 속 우산대(31)의 외부로 돌출된 걸림편(5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걸림편(52)은 겉 우산대(32)의 외부로 돌출되지만, 속 우산대(31)를 겉 우산대(32)로부터 잡아당기면, 걸림편(52)을 수평방향 안쪽으로 누르지 않더라도 걸림이 해제될 정도로 돌출된 것이다.
또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대(30)는 회전을 방지함과 동시에 속 우산대(31)를 겉 우산대(32)로부터 인출후 연장되는 길이가 고정되도록 속 우산대(31)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슬라이드 홈(31a)이 형성되고, 겉 우산대(32)의 일측면에는 안쪽방향으로 들어가 돌출되는 걸림부(32c)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슬라이드 홈(31a)은 걸림공(32a)의 바로 밑에서부터 걸림공(32b)의 아 래부분이면서 속 손잡이(42)와 만나는 상단부까지 안쪽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슬라이드 홈(31a)과 걸림부(32c)의 형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일례로 들었지만, 우산대(30)의 안쪽방향으로 둥글게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해도 무방하고, 그 외에도 다른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32c)는 걸림공(32b)의 바로 아래부분부터 속 손잡이(42)와 만나는 상단부까지 안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홈(31a)에 비해 짧게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서, 자동우산인 경우에 적용가능한데, 손잡이(40)를 구성하는 겉 손잡이(41)의 일 측면에 개구부(41e)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41e)를 통해 속 손잡이(42)와 결합되는 버튼부재(43)를 삽입하여 구비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버튼부재(43)는 속 손잡이(42) 및 속 우산대(31)의 내부에 형성되어 겉 우산대(32)의 외부로 돌출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편(44)과 연결된 구조이다. 이 걸림편(44)은 2단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2개가 형성된 구조이고, 공지의 자동우산에 구비된 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통 상의 우산과 같이 사용하면 되고, 만일, 친구나 연인, 가족 등과 함께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의 상태에서, 손잡이(40)를 구성하는 겉 손잡이(41)로부터 속 손잡이(42)가 분리되도록 겉 손잡이(41)를 잡아당기면, 속 손잡이(42)가 잡아당겨지면서 겉 손잡이(41)와 서로 분리된다.
이때, 걸림부재(50)의 걸림편(52)에 의해 속 우산대(31)와 겉 우산대(32)가 걸림이 이루어진 상태이지만, 걸림편(52)의 돌출정도가 겉 우산대(32)로부터 약간만 돌출되어 있어 겉 손잡이(41)를 잡아당길때, 속 우산대(31)도 동시에 잡아당겨지면서 걸림편(52)에 의한 걸림상태가 자동적으로 해제되어 길이가 연장되면서 속 손잡이(42)가 겉 손잡이(41)의 개방부(41a)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우산대(30)의 길이가 연장될때, 속 우산대(31)의 측면에는 안쪽방향으로 들어간 슬라이드 홈(31a)이 형성되어 있고, 겉 우산대(32)의 측면에는 안쪽방향으로 들어간 걸림부(32c)가 형성되어 있어 이 걸림부(32c)와 슬라이드홈(31a)을 타고 안내되면서 우산대(30)의 길이가 연장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 우산대(31)의 길이가 최대로 연장되면, 걸림편(52)은 겉 우산대(32)의 상부에 있던 걸림공(32a)으로부터 이탈되어서 하부에 형성된 걸림공(32b)에 걸리게된다.
이와 동시에, 속 우산대(312)의 슬라이드홈(31a)의 상단이 겉 우산대(32)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부(32c)에 걸리면서 정지하게되어 연장된 길이가 고정되면서 모든 인출동작이 완료된다.
더욱이, 슬라이드홈(31a)과 걸림부(32c)의 걸림상태로 인해, 원주방향으로 우산대(30)를 구성하는 속 우산대(31)와 겉 우산대(32)가 서로 회전되지 않고 그 결합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또한, 속 우산대(31)의 슬라이드 홈(31a)가 걸림공(32a)의 바로 아래부터 속 손잡이(42)와 만나는 상단부까지 형성되고, 겉 우산대(32)의 걸림부(32c)는 걸림공(32b)의 바로 아래부터 손 손잡이(42)와 만나는 상단부까지 형성되어 있어 우산대(30)의 길이를 연장하면, 자동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되면서 슬라이드홈(31a)과 걸림부(32c)의 걸림에 의해 연장길이가 고정되고, 이와 동시에 걸림편(42)이 걸림공(32b)과 그 위치가 일치되면서 스프링(51)의 탄발력에 의해 걸림공(32b)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자동적으로 걸림상태가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친구나 연인, 가족 등이 각각 한 사람은 상부에 위치하는 속 손잡이(42)를 잡고, 다른 한 사람은 하부에 위치하는 겉 손잡이(41)를 잡고 보행을 하게 되고, 그에따라 서로간에 친밀감을 더욱 느끼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자동우산인 경우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 손잡이(41)로부터 돌출된 버튼부재(43)를 누르면, 걸림편(44)이 눌리면서 우산이 펼쳐지는데, 이 과정은 공지의 자동우산의 펼침동작과 동일하다.
여기서, 본 고안은 2사람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속 손잡이(42)를 겉 손잡이(41)로부터 분리할때, 겉 손잡이(41)에 형성된 개구부(41e)를 통해 돌출된 버튼부재(43)가 이동될 수 있으므로, 손잡이의 분리시, 돌출된 버튼부재(43)에 의해 아무런 간섭을 받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은 2인이 사용한 다음, 다시 1인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겉 손잡이(41)를 속 손잡이(42)쪽으로 밀면, 겉 손잡이(41)의 개방부(41a)안으로 속 손잡이(42)가 삽입되면서 하나로 결합됨과 동시에, 걸림공(32b)에 걸려있던 걸림편(52)은 해제되어 상부에 형성된 걸림공(32a)에 걸리면서 연장된 우산대(30)의 길이가 줄어들어 도 2와 같이 1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수동우산 및 자동우산 모두에 적용가능하고, 또한, 길이가 가변되지 않는 타입부터 길이가 가변되는 2단, 3단식 구조 등의 모든 우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햇빛을 차단하는 양산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본 고안에 따른 구조를 동일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편의상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커플우산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이중 손잡이와 우산대의 결합구조는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이중 손잡이에서 내부 손잡이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겉 우산대안에 구비되는 속 우산대의 걸림수단을 도시한 도 2의 A-A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타입의 우산(자동우산)에서 우산대와 손잡이 구조를 일부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부호설명]
1 : 커플우산
10 : 막음천
20 : 우산살
30 : 우산대
31 : 속 우산대
31a : 슬라이드 홈
32 : 겉 우산대
32a,32b : 걸림공
32c : 걸림부
40 : 손잡이
41 : 겉 손잡이
41a : 개방부
41b : 삽입홈
41c : 삽입부
41d : 공간부
41e : 개구부
42 : 속 손잡이
43 : 버튼부재
44 : 걸림편
50 : 걸림부재
51 : 스프링
52 : 걸림편

Claims (7)

  1. 속 우산대와 겉 우산대로 이루어지는 우산대와;
    겉 손잡이와, 이 겉 손잡이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속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속 우산대는 속 손잡이를 관통하여 겉 손잡이에 결합되며, 겉 우산대는 속 손잡이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우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겉 손잡이의 내부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이 개방부의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삽입홈을 가지는 삽입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외면과 겉 손잡이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우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 손잡이는 제 1관통공과, 이 제 1관통공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관통공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우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우산대는 회전을 방지함과 동시에 속 우산대를 겉 우산대로부터 인출후 연장되는 길이가 고정되도록 속 우산대의 일측면에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겉 우산대의 일측면에는 안쪽방향으로 들어가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우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홈은 걸림공의 밑에서부터 걸림공의 아래부분이면서 속 손잡이와 만나는 상단부까지 안쪽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우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속 우산대에는 겉 우산대와 걸림 및 해제가 되도록 스프링과 걸림편으로 이루어진 걸림부재가 구비되고, 이 걸림부재가 걸림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겉 우산대에는 간격을 두고 걸림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우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를 구성하는 겉 손잡이의 일 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 부를 통해 속 손잡이와 결합되는 버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버튼부재는 속 손잡이 및 속 우산대의 내부에 형성되어 겉 우산대의 외부로 돌출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편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우산.
KR2020090012397U 2009-09-21 2009-09-21 커플우산 KR2004562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397U KR200456226Y1 (ko) 2009-09-21 2009-09-21 커플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397U KR200456226Y1 (ko) 2009-09-21 2009-09-21 커플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110U KR20110003110U (ko) 2011-03-29
KR200456226Y1 true KR200456226Y1 (ko) 2011-10-20

Family

ID=44208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397U KR200456226Y1 (ko) 2009-09-21 2009-09-21 커플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2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0800A3 (ko) * 2014-11-20 2016-07-14 주식회사 서준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893Y1 (ko) 2005-04-18 2005-09-28 황미선 휴대용 우산
KR200442237Y1 (ko) 2008-07-08 2008-10-20 김만용 케이스 일체형 우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893Y1 (ko) 2005-04-18 2005-09-28 황미선 휴대용 우산
KR200442237Y1 (ko) 2008-07-08 2008-10-20 김만용 케이스 일체형 우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0800A3 (ko) * 2014-11-20 2016-07-14 주식회사 서준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110U (ko) 201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5314B2 (en) Full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traight bone umbrella
US10028557B1 (en) Automatic reverse multi-folding umbrella
US9282793B2 (en) Control mechanism of full-automatic multi-folded umbrella
US20130074895A1 (en) Foldable tent
US20070209689A1 (en) Hunting umbrella
KR200456226Y1 (ko) 커플우산
US6199571B1 (en) Lightening multiple-fold automatic umbrella with control module
US20130098411A1 (en) Safety umbrella
US8726920B2 (en) Telescopic tube structure for automatic umbrellas
US7311110B2 (en) Automatic close umbrella with automatic resetting feature
US20180116351A1 (en) Inverted Umbrella with Integrated Carrying Case
US8336567B2 (en) Operation system for umbrellas
US20040221884A1 (en) Auto-collapsible umbrella
EP2572602B1 (en) Shaft structure of automatic umbrella
US10212997B1 (en) Collapsible umbrella with automatic closing structure
US20060207639A1 (en) Umbrella frame having secure main branch rib
KR200467823Y1 (ko) 우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KR101195096B1 (ko) 슬라이드 방식의 접이식 우산
US20030070700A1 (en) Sunshade with telescopic ribs
WO2019029384A1 (zh) 可收入握柄中的伞结构
KR20180001731U (ko) 반대로 펴는 우산의 우산 접기 구조
KR101259046B1 (ko) 우산케이스
KR200336600Y1 (ko) 자동잠금 방식의 우산대의 우산살 지지부
CN207241927U (zh) 一种滑板车伸缩杆的锁扣结构
CN209750058U (zh) 一种伞连接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