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600Y1 - 자동잠금 방식의 우산대의 우산살 지지부 - Google Patents

자동잠금 방식의 우산대의 우산살 지지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600Y1
KR200336600Y1 KR20-2003-0029368U KR20030029368U KR200336600Y1 KR 200336600 Y1 KR200336600 Y1 KR 200336600Y1 KR 20030029368 U KR20030029368 U KR 20030029368U KR 200336600 Y1 KR200336600 Y1 KR 2003366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support
hook
stand
umbrella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앙 루-짜이
Original Assignee
후앙 루-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앙 루-짜이 filed Critical 후앙 루-짜이
Priority to KR20-2003-0029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6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6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6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종의 우산, 또는 양산(이후 우산으로 통칭)의 자동 잠금 방식의 우산대의 우산살 지지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우산대에 구멍을 뚫고, 우산살 지지부에 누름버튼을 배합하여 우산살 지지부의 탄성편을 눌러 우산을 펴고 접는 복잡한 구조와 조작에 대한 개량이다. 본 고안은 하나의 우산대의 상단에 하나의 후크를 결합하고, 우산살 지지부의 상단의 통체에 각 우산살이 미끄러지게 우산대에 결합되게 하며, 우산살 지지부의 외부에 위치 제한 씌움환을 결합하고, 그 내벽에 상단이 위쪽으로 경사지는 맞물림 홈을 설치하고, 맞물림 홈의 하단에는 다시 하나의 위쪽으로 좁아지는 맞물림 구멍을 설치하며, 상기 위치 제한 씌움환의 내벽의 위쪽에는 하나의 경사되게 돌출된 돌출 버튼의 오목부가 설치되어 우산살 지지부의 맞물림 구멍과 대응되어, 우산살 지지부가 위치 제한 씌움환에 씌워지고, 경사된 돌출버튼이 맞물림 구멍의 위쪽으로 좁아지는 홈에 들어가게 된다. 위치 제한 씌움환은 우산살 지지부를 밀어 위로 이동하여 후크가 우산살 지지부의 맞물림 구멍에 맞물리게 되어 우산이 펴져서 고정되며, 또는 위치 제한 씌움환을 아래로 당겨 경사지면 돌출된 돌출버튼이 후크를 안으로 밀어 넣어 맞물림 구멍과의 맞물림 결합이 가능하며, 이로써 우산을 편리하게 접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잠금 방식의 우산대의 우산살 지지부{Umbrella ribs supporting member of umbrella handle comprising autolock system}
본 고안은 주로 일종의 우산대의 우산살 지지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하게 펴고 접을 수 있으며 동시에 위치고정을 통제할 수 있는 우산살 지지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우산, 양산은 대부분 우산대에 구멍을 뚫고 우산살 지지부에 탄성편을 설치하여 누름장치를 이용하여 우산살 지지부의 탄성편을 눌러 우산을 펴고, 접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우산살 지지부 구조는 다음과 같은 결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전통적인 우산살 지지부 구조의 우산대에는 반드시 작은 입구를 뚫는데 이는 우산대의 강도를 저하시킴은 물론이고, 누름 버튼의 탄성편이 쉽게 우산대의 외부에 긁혀 상처를 내게 된다. 둘째, 우산을 펼 때(또는 접을 때) 사용자는 반드시 적당한 시간에 누름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누르지 않아야 하는데 이는 경험이 없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한다. 셋째, 우산을 펴거나 또는 접을 때 누름 버튼이 반드시 사용자의 방향과 마주보아야 하고, 우산자루의 우산 끝부분이 반드시 사용자의 왼쪽 또는 뒤쪽에 위치해야 사용자가 비교적 잘 잡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우산자루는 일반적으로 나사산에 의해 우산대와 연결되는데 이러한 나사산은 그 결합이 매우 통제하기 어려우며 우산자루와 우산 끝부분의 상대적인 방향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의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본 고안의 주요목적은 일종의 자동잠금 방식의 우산대의 우산살 지지부를 개량하여, 단지 우산살 지지부로부터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우산살 지지부를 밀거나 당기기만 하면 간단하게 우산을 펴고 접을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일종의 자동잠금 방식의 우산대의 우산살 지지부를 개량하여, 그 조립에 있어 우산대에 구멍을 뚫지 않아도 되어, 이로써 우산대가 비교적 좋은 구조강도를 가지며 쉽게 변형되지 않고 오래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나의 우산대 상단에 하나의 후크를 결합하고 우산살 지지부가 후크의 하측에 위치하게 하며, 동시에 통체의 상단에 각 우산살을 우산대에 결합하고, 통체의 아래쪽의 외부에 하나의 위치제한 씌움환을 설치하고, 그 내벽에는 상단이 위쪽으로 경사지는 맞물림 홈을 설치하고, 물림 홈의 하단에는 다시 하나의 위쪽으로 좁아지는 홈을 구비한 맞물림 구멍을 설치하고 위치 제한 씌움환의 내벽의 위쪽에는 하나의 경사되게 돌출된 돌출 버튼의 오목부가 설치되어 우산살 지지부의 맞물림 구멍과 대응되며, 우산살 지지부가 위치 제한 씌움환에 씌워지고, 경사된 돌출버튼이 맞물림 구멍의 위로 좁아지는 홈에 들어가게 된다. 또한 상기 우산살 지지부의 아래쪽의 탄성편의 작은 돌출편은 위치제한 오목홈 내에 들어가 상하로 제한된 거리에서 미끄럼 이동하고, 위치제한 씌움환이 우산살 지지부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미끄러지게 이동하면 즉시 후크가 우산살지지부의 맞물림 구멍에 걸리거나 벗겨져 우산이 펴져 고정되거나 또는 접혀지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조립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우산을 편 상태를 도시한 분해도.
도 5는 본 고안의 우산을 접는 조작의 분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우산대 11:위치고정 돌기
20:후크 21:갈고리 부분
22:씌움환 23:오목 구멍
30:우산살 지지부 31:통체
32:맞물림 홈 321:경사면
33:맞물림 구멍 331:좁은 홈
34:탄성편 341:돌출편
40:위치제한 씌움환 41:돌출환
42:오목부 43:돌출버튼
44:위치제한 오목홈 50:우산살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상세한 구조, 응용원리, 작용과 기능을 보다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예시하는 것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인데, 주로 하나의 우산대(10)에 하나의 후크(20)를 배합하고, 우산살 지지부(30)에 하나의 위치제한 씌움환(40)을 배합하여 이를 조립하여 완성한다. 그중,
우산대(10)는 하나의 우산살 지지부(30)를 뚫고 지나는 금속막대이고 그 상단에는 위치고정 돌기(11)가 설치된다.
후크(20)는 그 하단 갈고리 부분(21)이 바깥쪽으로 돌출된 삼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후크와 일체성형으로 하나의 씌움환(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씌움환의 내벽에는 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우산살 지지부(30)는 상단에는 통모양 씌움체인 통체(31)가 있고, 그 내벽에 바깥쪽으로 경사진 경사면(321)을 갖는 오목홈(32)이 있으며, 오목홈(32)의 아래 중간부분에 하나의 후크(20)와 맞물려 결합하는 맞물림 구멍(33)이 있고 그 위쪽 측면에는 하나의 좁은 홈(331)이 형성된다. 또한 그 하단의 외벽에는 두 개의 서로 대응되는 탄성편(34)이 설치되며, 두 개의 탄성편(34)의 하단 외측에는 하나의 작은 돌출편(341)이 돌출되게 설치된다.
위치제한 씌움환(40)은 하단에 돌출환(41)의 씌움체가 형성되고, 그 내벽의우산살 지지부에 대응되는 맞물림 구멍(33)에는 오목부(42)가 설치되며, 그 위쪽에는 하나의 경사되게 돌출버튼(43)이 설치되며, 그 내벽의 하단에는 위치제한 오목홈(44)이 설치된다.
도 2에서 예시한 것은 본 고안의 분해 조립도인데, 위치제한 씌움환(40)이 후크(20)의 상단의 씌움환(22)을 우산대(10)의 상단에 씌워 결합하고, 그 내벽의 오목구멍(23)이 우산대(10)의 위치고정 돌기(11)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우산대(10)에 씌워져 결합된 우산살 지지부(30)는 상단에 있는 통체(31)가 각 우산살(50)과 결합되어 우산대(10)에 미끄러져 씌워진다. 우산살 지지부(30)의 하단은 탄성편(34)이 내부압력으로 인해 위치제한 씌움환(40)에 씌워지고(우측 분해도 참고), 그 내벽의 오목부(42)가 우산살 지지부(30)의 맞물림 구멍(33)에 알맞게 서로 대응되며, 경사진 돌출버튼(43)은 우산살 지지부(30)의 맞물림 구멍(33)의 상측의 좁은 홈(331)에 결합된다. 또한 우측 분해도에서와 같이 우산살 지지부(30)의 아래쪽의 탄성편(34)의 작은 돌출편(341)이 위치제한 오목홈(44)내에 진입하여 상하로 정해진 거리에서 미끄럼 운동이 가능한데 이렇게 조립된 입체도가 도 3이다.
도 2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것은 위치 제한 씌움환(40)이 위로 밀려져 각 우산살(50)이 결합된 우산살 지지부(30)를 위로 밀어 올려 우산이 펴지는 것을 보여주는데, 우산살 지지부(30)가 후크(20)에 부딪혔을 때 그 후크(20)의 갈고리 부분(21)의 하단 외측 경사면은 맞물림 홈(32)의 상단의 외측 경사면(321)을 따라 미끄러져 들어가 우산살 지지부(30)의 중단의 맞물림 구멍(33)에 맞물려 결합되고, 우산살 지지부(30)가 우산대(10)의 상단에서 위치가 제한되어 각 우산살(50)을 지탱하고 우산이 펴진 상태에서 고정되는데 이는 도 4에서와 같다.
도 5에서 예시한 것은 우산을 접을 때 단지 위치제한 씌움환(40)을 아래로 당기기만 하면 내벽의 경사진 돌출버튼(43)의 하단의 곡선면이 후크(20)의 하단 갈고리 부분(21)을 내부를 향해 밀어 우산살 지지부(30)의 맞물림 구멍(33)의 결합구조를 벗어나고, 이어 우산살 지지부(30)를 아래로 미끄러지게 이동하여 후크(20)가 맞물림 홈(32)으로부터 우산살 지지부(30)를 미끄러져 나오게 되어 우산을 접는 조작이 완성된다. 이는 도면 중 화살표가 가리키는 부분과 같다.
전술한 대로 본 고안인 자동잠금 방식의 우산대의 우산살 지지부는 우산대에 위치고정 돌기와 탄성 갈고리의 상단 씌움환의 오목구멍이 서로 결합하는 구조를 통해 완성되는데, 우산대에 따로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어 우산대의 완전한 구조강도를 손상시킬 필요가 없으며 오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작에서 다만 위치제한 씌움환으로부터 우산살 지지부를 위로 이동하거나 또는 아래로 미끄러지게 하기만 하면 즉시 후크가 우산살 지지부의 맞물림 구멍에 걸리거나 벗어나게 되어 우산이 펴서 고정되거나 접혀지는 것으로 조작이 매우 편리하다.
전술한 설명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의 예로서 제공되고, 본 고안의 창작 목적, 특징 및 효과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이 분야의 기술에 숙련된 자가 전술한 원리에 의거해 본 고안의 새로운 개념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경 및 변화를 행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새로운 개념의 정신 및 범위에 속하는 변경 및 변화는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Claims (3)

  1. 우산대(10)와;
    상기 우산대(10)의 상단에 결합된 후크(20)와;
    상단에는 통모양 씌움체인 통체(31)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벽에는 바깥쪽으로 경사진 경사면(321)을 구비하고, 중간부분에는 상기 후크(20)와 맞물려 결합되는 맞물림 구멍(33)을 구비하고, 상기 맞물림 구멍(33)의 위쪽에 형성된 좁은 홈(321)을 구비한 우산살 지지부(30) 및;
    하단에 돌출환(41)의 씌움체가 형성되고, 그 내벽의 상기 우산살 지지부(30)에 대응되는 맞물림 구멍(33)에는 오목부(42)가 설치되며, 그 위쪽에는 하나의 경사되게 돌출버튼(43)이 설치되며, 그 내벽의 하단에는 위치제한 오목홈(44)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제한 씌움환(40)을 포함하는데, 상기 우산살 지지부(30)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통체(31)의 하단의 외부에 상기 위치제한 씌움환(40)이 씌워져 결합되어, 상기 위치제한 씌움환(40)이 상기 우산살 지지부(30)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미끄러지게 이동시켜 상기 후크(20)가 상기 우산살 지지부(30)의 상기 맞물림 구멍(33)에 걸리거나 벗겨지게 되어 우산이 펴지거나 접혀지는 자동잠금 방식의 우산대의 우산살 지지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살 지지부(30)의 하단 외벽에는 두 개의 서로 대응되는 탄성편(34)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편(34)의 하단 외측에 돌출되게 작은 돌출편(341)이 설치되며,
    상기 위치제한 씌움환(40)의 하단에는 하나의 돌출환(41)이 설치되고 그 내벽의 하단에 상기 우산살 지지부(30)의 상기 탄성편(34)의 돌출편(341)에 대응되는 위치제한 오목홈(44)이 설치되어, 상기 우산살 지지부(30)에는 하단의 탄성편(34)의 내부 압력을 통해 상기 위치제한 씌움환(40)이 씌워지고 상기 탄성편(34)의 돌출편9341)이 상기 위치제한 오목홈(44) 내에 진입하여 상하로 제한된 거리에서 미끄럼 이동하게 되는 자동잠금 방식의 우산대의 우산살 지지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20)는 그 하단의 갈고리 부분(21)이 바깥쪽으로 돌출된 삼각형 갈고리 형상인 자동잠금 방식의 우산대의 우산살 지지부.
KR20-2003-0029368U 2003-09-16 2003-09-16 자동잠금 방식의 우산대의 우산살 지지부 KR2003366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368U KR200336600Y1 (ko) 2003-09-16 2003-09-16 자동잠금 방식의 우산대의 우산살 지지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368U KR200336600Y1 (ko) 2003-09-16 2003-09-16 자동잠금 방식의 우산대의 우산살 지지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600Y1 true KR200336600Y1 (ko) 2003-12-18

Family

ID=49421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368U KR200336600Y1 (ko) 2003-09-16 2003-09-16 자동잠금 방식의 우산대의 우산살 지지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6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498B2 (en) Umbrella with mechanism for automatic opening or closing
US4534374A (en) Fully automatic single push button type umbrella
US20070012346A1 (en) Snapping mechanism of telescoping tent pole
US20070079854A1 (en) Lock mechanism of large umbrella for effecting a multi-sectional length adjustment of telescopic shank
US3658077A (en) Automatically openable and closable umbrella
US6170498B1 (en) Multiple-fold automatic umbrella
CN110548262A (zh) 一种自动伸缩杆杖
US20020104557A1 (en) Adjusting sleeve assembly for a sunshade with a tiltable canopy
US6199571B1 (en) Lightening multiple-fold automatic umbrella with control module
US9468274B2 (en) Umbrella having telescopic FRP shank
US5058613A (en) One hand operated umbrella capable of self-closing
KR200336600Y1 (ko) 자동잠금 방식의 우산대의 우산살 지지부
US6196243B1 (en) Automatic umbrella control mechanism
CA2358350A1 (en) Pedal cycle handle folding mechanism
US6257257B1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 collapsible umbrella
US5247955A (en) Ergonomically operating automatic umbrella
US5901722A (en) Sunshade
US20040221884A1 (en) Auto-collapsible umbrella
CN210904859U (zh) 一种自动伸缩杆杖
US20030094189A1 (en) Multi-functional umbrella holder
US6934997B2 (en) Retractable luggage handle with gradual extending speed
GB2250681A (en) Umbrella button latch
KR200336601Y1 (ko) 자동잠금 방식의 우산대의 우산살 지지부
KR200456226Y1 (ko) 커플우산
CN212280236U (zh) 方便开收的顺杆式折叠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