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874Y1 - 다기능 우산커버 - Google Patents

다기능 우산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874Y1
KR200252874Y1 KR2020010023072U KR20010023072U KR200252874Y1 KR 200252874 Y1 KR200252874 Y1 KR 200252874Y1 KR 2020010023072 U KR2020010023072 U KR 2020010023072U KR 20010023072 U KR20010023072 U KR 20010023072U KR 200252874 Y1 KR200252874 Y1 KR 2002528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umbrella cover
ring
cover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0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래
Original Assignee
정명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래 filed Critical 정명래
Priority to KR20200100230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8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874Y1/ko

Link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우천시 빗물이 바닥으로 흐르지 않게 막아주며, 우산의 삽탈을 용이하게 하고, 우산 및 우산커버의 휴대를 편리하게 한 다기능 우산커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우산커버를 신축성을 갖는 방수재로 구성하며 그 단부가 폐쇄되게 하여 방수되게 하고, 우산커버의 도입부측 중간부에는 절첩식의 링을 삽입하고 도입부에는 조임끈을 구비하여 우산의 삽입을 가이드하면서 삽입 후 도입부를 조일 수 있게 하며, 절첩식 링의 힌지부위로부터 회전가능하게 'ㄱ'자형 고정고리를 우산커버의 외측으로 연장 인출하여 구성하고 우산커버의 링 삽입부와 하부 일측에 각각 당해부위의 직경보다는 긴 고정띠을 구비하여 임의의 장소에 끼우거나 매달 수 있게 하며, 우산커버의 하부로부터 링 삽입부까지 군데군데 형성된 다수의 지지고리를 통해 상부측으로 접이끈을 인출하여 우산커버를 선택적으로 접을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우산커버{Umbrella cover having many function}
본 고안은 다기능 우산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천시 빗물이 바닥으로 흐르지 않게 막아주며, 우산의 삽탈을 용이하게 하고, 우산 및 우산커버의 휴대를 편리하게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우산은 빗물을 막아주어 우천시에도 마음대로 활동할 수 있게 하는 도구로서, 필요시에는 펴서 사용하고 미사용시에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게 한 것이 보통이며, 최근에는 휴대의 용이성을 위해 2단, 3단으로 접히는 우산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우산은 그 형태에 따라 2단 또는 3단으로 접게 되면 그 접힘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이 좋지 않으므로 우산을 접은 후에는 그 크기에 맞게 우산과 세트로 제작된 우산 커버를 씌워 휴대하고 있는데, 이러한 커버는 그 도입부가 넓게 형성되고 소정길이 절개되어 각 절개단부에는 우산 삽입후 체결할 수 있게 각각 버튼이 구비되며, 반대측은 폭이 도입부보다는 좁고 끝부분이 우산 꼭지가 끼워지게 고무줄 처리되어 있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우산 커버는 우산을 접어 씌웠을 때 우산의 접힘부위를 커버할 수 있어 미관을 좋게 할 수 있고, 어느 정도의 방수특성을 구현할 수는 있지만 우산커버가 자체로는 힘을 받지 못하여 우산에 커버를 씌울 때 일일이 우산커버를 손가락을 벌린 후 우산을 삽입해야 하였으므로 사용이 불편하였으며, 우산커버를 씌운 상태로 우산을 바닥을 향해 기울였을 때에는 그 안에 담겨져 있던 빗물이 그대로 바닥으로 흘러 바닥을 오염시키게 되었다.
또한, 우산커버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우산커버를 우산의 내측 또는 손잡이 목부위에 매어 두게 되므로 사용상 거추장스럽고 분실되는 경우가 다반사였으며, 우산 역시 비가 올 때에만 손으로 휴대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휴대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도 있었다.
아울러, 비가올 때에는 우산을 펴서 사용하고 실내로 들어올 때에는 우산을 접어 휴대하게 되는데, 비에 젖어 있는 우산을 그대로 실내로 들고 들어올 경우에는 바닥을 오염시키게 되므로 일반적으로는 실내의 출입구 근처에 우산 꽂이통을 비치하여 사용하고 있어 사용이 불편하고 우산 분실의 위험이 있으며, 대형건물, 관공서 또는 은행 등에서는 1회용 비닐 우산커버를 비치하여 우산을 실내로 가지고 들어올 수 있게 하고 있어 사용하기에는 편리한 것이지만 한번 사용한 후에는 재사용할 수 없어 거의 폐기하고 있으므로 자원이 낭비됨은 물론 비닐재질 특성으로 썩지 않아 장기적으로는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이었던 바, 1회용 비닐 우산커버를 사용하지 않고도 비에 젖어 있는 우산을 실내로 반입할 수 있는 우산커버가요구되고 있다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우산커버를 고무 또는 스판덱스류로 구성하고 그 단부가 폐쇄되게 하여 방수특성을 구현할 수 있게 하며, 우산의 도입부측 중간부에는 절첩식의 링을 삽입하여 우산커버 자체적으로 힘을 받게 하여 우산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도입부에는 조임끈을 구비하여 우산 삽입후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게 하며, 절첩식 링의 힌지부위로부터 'ㄱ'자형 고정고리를 우산커버의 외측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우산커버의 링 삽입부위와 하부 일측에 각각 고정띠을 구비하여 휴대를 용이하게 하고, 우산커버의 하부로부터 링 삽입부위까지 다수의 지지고리를 통과하여 상부측으로 인출된 접이끈을 구비하여 우산커버의 미사용시 그 부피를 축소하여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다기능 우산커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우산커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링의 상세도로서,
(a)는 사시도.
(b)는 삽입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우산커버의 작용설명도로서,
(a)는 우산의 삽입시 상태.
(b)는 우산 삽입후 조임끈을 조이는 상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우산커버의 사용상태도로서,
(a)는 우산을 가방에 매단 상태.
(b)는 우산을 가방의 어깨끈에 매단 상태.
(c)는 우산을 혁대에 매단 상태.
(d)는 우산을 혁대에 건 상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우산커버의 부피축소를 나타내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우산커버 2 : 도입부
3 : 링 4 : 조임끈
5 : 고정고리 6 : 링 삽입부
7 : 고정띠 8 : 지지고리
9 : 접이끈 10 : 매직테이프
U : 우산 B : 가방
L : 혁대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구체화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우산커버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산커버(1)를 신축성을 갖는 방수재로 구성하며 그 단부가 폐쇄되게 하여 방수되게 하고, 우산커버(1)의 도입부(2)측 중간부에는 절첩식의 링(3)을 삽입하고 도입부(2)에는 조임끈(4)을 구비하여 우산(U)의 삽입을 가이드하면서 삽입 후 도입부(2)를 조일 수 있게 하며, 절첩식 링(3)의 힌지부위로부터 회전가능하게 'ㄱ'자형 고정고리(5)를 우산커버(1)의 외측으로 연장 인출하여 구성하고 링 삽입부(6)와 하부 일측에 각각 당해부위의 직경보다는 긴 고정띠(7)을 구비하여 임의의 장소에 끼우거나 매달 수 있게 하며, 우산커버(1)의 하부로부터 링 삽입부(6)까지 군데군데 형성된 다수의 지지고리(8)를 통해 상부측으로 접이끈(9)을 인출하여 우산커버(1)를 선택적으로 접을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때, 우산커버(1)의 재질을 이루는 신축성을 갖는 방수재로는 라텍스, 인조고무, 스판덱스류 등 신축성을 가지면서도 방수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재질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며, 고정띠(7)의 각 단부에는 매직테이프(10) 또는 단추 등을 구비하여 각 단부끼리 서로 채워질 수 있게 구성하거나 양측으로 각각 인출하여 서로 묶을 수 있게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우산커버의 작용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의 (a)와 같이 우산커버(1)의 도입부(2)측에 위치한 조임끈(4)을 풀어 우산커버(1)를 개방시키고 우산커버(1)의 링 삽입부(6)를 잡은 상태에서 우산(U)을 접어 우산커버(1)에 삽입하게 되면 우산커버(1)가 링(3)에 의해 힘을 받고 있으므로 우산(U)의 삽입이 용이하며, 우산(U)이 우산커버(1) 내측에 삽입되어 있는 링(3)에 끼워지면서 그 삽입위치가 지지되어 우산(U)의 삽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우산(U)을 완전히 삽입한 후에는 도 3의 (b)와 같이 그 도입부(2)의 조임끈(4)을 당겨 묶어 주면 우산(U)이 우산커버(1)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어 우산(U)의 접힘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외관상 미려해짐은 물론 우산커버(1)가 벗겨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우산커버(1)의 링 삽입부(6)와 하부측에 각각 형성된 고정띠(7)를 이용하여 우산(U)과 우산커버(1)를 둘러 도 4와 같이 가방(B)과 같은 곳에 건 후 고정띠(7) 각 단부의 매직테이프(10) 또는 단추를 서로 채우거나 고정띠(7)를 서로 묶게 되면 우산(U)을 우산커버(1)가 씌워진 상태로 가방(B)과 같은 곳에 매달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하고, 가방(B)에 매달린 우산(U)이 하나의 장신구와 같은 역할을 하여 멋스러움을 연출할 수 있으며, 'ㄱ'자형의 고정고리(6)를 혁대(L)나 가방(B)의 어깨끈 등에 걸고 하부측의 고정띠(7)를 통해 고정시켜 휴대할 수도 있다.
아울러, 비가 오는 날 우산(U)을 사용한 후 우산커버(1)를 씌우게 되면 우산커버(1)가 방수재로 되고 그 단부측이 폐쇄되어 있어 빗물이 새나오지 않으므로 실내로 반입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1회용 비닐 우산커버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우산(U)을 사용할 때에는 우산커버(1)를 우산(U)에 묶어 휴대하지 않고 별도로 접어 그 부피를 최소화하여 주머니 또는 가방(B)과 같은 곳에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우산커버(1)의 하부로부터 링 삽입부(6)까지 다수의 지지고리(8)를 통해 인출된 접이끈(9)을 당겨 링 삽입부(6)를 기준으로 그 하부측을 접게 되며, 링(3)을 반으로 접고 링 삽입부(6) 상부를 뒤집어 그 안쪽으로 상기 접혀진 링 삽입부(6) 하부측으로 몰아 넣은 후 조임끈(4)을 당겨 조이게 되면 우산커버(1)가 도입부(2)와 링 삽입부(6) 사이의 길이 정도의 조그마한 부피로 접혀질 수 있으며, 부피가 적어진 우산커버(1)는 주머니에넣어 휴대하거나 가방(B)에 넣어 휴대할 수 있어 우산커버(1)의 휴대가 용이하고 우산(U)을 거추장스럽지 않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우산커버를 신축성이 있는 방수재로 구성하고 도입부 측에 링을 삽입한 것이어서 우산커버가 링에 의해 힘을 받게 되므로 우산의 삽탈이 용이하고, 그 단부를 폐쇄한 것이어서 우천시 우산을 접어 수납하여도 빗물이 새어나오지 않아 건물 내부로 반입할 수 있으므로 우산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고 특히 1회용 비닐 우산커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자원낭비 및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산커버의 미사용시 링 삽입부 아래쪽을 당겨 접고 링을 반으로 접은 후 링 삽입부 위쪽을 뒤집어 그 조임끈을 당겨 조이게 되면 우산커버의 부피를 도입부와 링 삽입부 사이의 길이만큼으로 축소할 수 있어 휴대가 편리하고 우산을 거추장스럽지 않게 사용할 수 있으며, 링의 힌지부위로부터 회전가능한 'ㄱ'자형의 고정고리가 우산커버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있고 링 삽입부위와 하부측에 각각 고정띠가 구비되어 있어 우산을 우산커버에 수납한 상태로 혁대, 가방, 가방의 어깨끈과 같은 곳에 매달아 휴대할 수 있고 가방에 매달린 우산이 장신구와 같은 역할을 하여 멋스러움을 연출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우산커버(1)를 신축성을 갖는 방수재로 구성하며 그 단부가 폐쇄되게 하여 방수되게 하고; 상기 우산커버(1)의 도입부(2)측 중간부에는 절첩식의 링(3)을 삽입하고 도입부(2)에는 조임끈(4)을 구비하여 우산(U)의 삽입을 가이드하면서 삽입 후 상기 도입부(2)를 조일 수 있게 하며; 상기 절첩식 링(3)의 힌지부위로부터 회전가능하게 'ㄱ'자형 고정고리(5)를 상기 우산커버(1)의 외측으로 연장 인출하여 구성하고 상기 우산커버(1)의 링 삽입부(6)와 하부 일측에 각각 당해부위의 직경보다는 긴 고정띠(7)을 구비하여 임의의 장소에 끼우거나 매달 수 있게 하며; 상기 우산커버(1)의 하부로부터 상기 링 삽입부(6)까지 군데군데 형성된 다수의 지지고리(8)를 통해 상부측으로 접이끈(9)을 인출하여 상기 우산커버(1)를 선택적으로 접을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우산커버.
KR2020010023072U 2001-07-30 2001-07-30 다기능 우산커버 KR2002528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072U KR200252874Y1 (ko) 2001-07-30 2001-07-30 다기능 우산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072U KR200252874Y1 (ko) 2001-07-30 2001-07-30 다기능 우산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874Y1 true KR200252874Y1 (ko) 2001-11-23

Family

ID=7305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072U KR200252874Y1 (ko) 2001-07-30 2001-07-30 다기능 우산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8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516B1 (ko) * 2018-12-24 2020-05-21 한희수 가방용 우산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516B1 (ko) * 2018-12-24 2020-05-21 한희수 가방용 우산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2636B2 (en) Mesh expansion pocket for luggage
US6644854B2 (en) Water bag for bicycle riders
US6287002B1 (en) Draw cord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 top of a fabric carrier
US20110278248A1 (en) Removable Support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 Beach Umbrell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0252874Y1 (ko) 다기능 우산커버
CN211985215U (zh) 一种毛巾
KR200467823Y1 (ko) 우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JP2002142829A (ja) カバンやハンドバッグの携帯用防水保護カバー
JP3186134U (ja) 傘及び傘袋
KR200244335Y1 (ko) 모자 우산
JP2533737B2 (ja) 携帯バッグ
KR102113516B1 (ko) 가방용 우산걸이
KR20000020846U (ko) 우산수납수단을 가진 가방
KR200451525Y1 (ko) 골프백 커버
JP3063420U (ja) 密封収納用具
KR200365044Y1 (ko) 우비 가방
KR200307764Y1 (ko) 휴대가 용이한 우산
JP2832178B2 (ja) 多機能ザック
JPS583564Y2 (ja) カバ−付きルックザック
KR200306568Y1 (ko) 탈부착식 우산케이스
CN2706043Y (zh) 可绕挂于封闭性物件的伞具握把
KR200279372Y1 (ko) 묶음 끈을 갖는 가방용 방수커버
JP3063445U (ja) バッグ
JP2903491B2 (ja) 左右1対の引き絞り紐付きの袋物
KR20190015848A (ko) 우산수납이 가능한 기능성 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