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927B1 -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 - Google Patents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927B1
KR101246927B1 KR1020120144978A KR20120144978A KR101246927B1 KR 101246927 B1 KR101246927 B1 KR 101246927B1 KR 1020120144978 A KR1020120144978 A KR 1020120144978A KR 20120144978 A KR20120144978 A KR 20120144978A KR 101246927 B1 KR101246927 B1 KR 101246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main body
support
functionality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철
Original Assignee
신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철 filed Critical 신성철
Priority to KR1020120144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45B2011/005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2019/008Umbrellas having upward pointing rib ends when closed, i.e. the lower dry side of the cover facing the outside when clos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긴 봉 형상으로 구성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결합된 캡부(120) 및 손잡이부(130)를 포함하는 우산대(100), 본체부(11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부(200), 슬라이딩부(200)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부(200)의 이동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살(300), 캡부(120)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지지살(300)과 힌지 결합하여 지지살(300)의 펼쳐진 형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당김살(400), 및 지지살(300)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우산포(500)를 포함하되, 지지살(300)은, 절곡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지지살(300)을 펼치면 전체적으로 꽃의 형상을 갖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에 따르면, 우산대(100), 슬라이딩부(200), 지지살(300), 당김살(400) 및 우산포(500)를 포함하되, 지지살(300)이 절곡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지지살(300)을 펼치면 전체적으로 꽃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단순한 돔의 형태가 아닌 독특한 형상을 가지는바, 심미감이 우수하여 소자비들의 흥미와 재미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부(200)가 제1 걸림부(140) 또는 제2 걸림부(150)에 걸림으로써, 꽃이 만개 또는 반개한 형상과 같이 꽃이 피어나는 다양한 형상을 나타낼 수 있어 소비자들에게 보다 큰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펼쳐지는 부피를 조절할 수 있어 양산으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슬라이딩부(200)를 하향 이동시키면, 슬라이딩부(200)와 연동되는 지지살(300)이 하향 이동하며 당김살(400)과 서로 마주 보도록 접혀지면서 비에 젖은 우산포(500)의 외면이 내측을 향하여 접혀짐으로써, 빗물이 외부로 떨어지지 않아 이로 인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MULTIPLE PURPOSE UMBRELLA WITH IMPROVED AESTHETIC SENSE AND FUNCTIONALITY}
본 발명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돔의 형상이 아닌 꽃이 피어나는 다양한 형상으로 펼쳐져 디자인적으로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함과 동시에, 우산을 접을 때 비에 젖은 우산포의 외면이 내측을 향하여 접혀져서 빗물로 인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우천 시 보행자가 비에 젖는 것을 막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현재, 2단 또는 3단의 절첩 우산이나 자동 우산 등 다양한 종류의 우산들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우산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우산은 우산살을 덮는 우산천의 색깔이나 그 무늬는 다양한 반면, 대부분 펼쳐진 형태가 돔 형상을 가지도록 제조되는바, 그 형상은 매우 단조로워 다양한 기호를 갖는 소비자들의 주의나 흥미를 유발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우산을 접을 때, 종래의 우산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에 젖은 우산천의 외면이 외측으로 접히기 때문에, 빗물이 외부로 떨어져 이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사람이 밀집되어 있는 공공장소나 전철, 버스 등에서 본의 아니게 주변 사람들에게 빗물의 피해를 입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로 들어가는 입구가 빗물로 인하여 지저분해지는 문제점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비닐 재질의 우산 주머니를 사용하고 있지만, 우산을 접을 때마다 우산 주머니에 우산을 끼우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우산 주머니는 재활용이 어려워 자원이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기상이 불안정한 여름철의 장마기간 등에는 햇살이 내리쬐는 날씨와 비가 오는 흐린 날씨가 빈번하게 변화되는 경우가 자주 생기게 된다. 종래의 우산은 펼쳐진 부피가 매우 커서 양산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한바, 우산과 함께 양산도 휴대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번거롭고 매우 불편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결과, 디자인적으로도 독특하여 소비자들의 흥미를 유발하면서도 양산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이 우수한 우산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다양한 우산이 고안되고 있지만(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18657호), 아직 상기의 조건들을 모두 충족시키는 우산이 개발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우산대(100), 슬라이딩부(200), 지지살(300), 당김살(400) 및 우산포(500)를 포함하되, 지지살(300)이 절곡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지지살(300)을 펼치면 전체적으로 꽃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단순한 돔의 형태가 아닌 독특한 형상을 가지는바, 심미감이 우수하여 소자비들의 흥미와 재미를 유발할 수 있는,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부(200)가 제1 걸림부(140) 또는 제2 걸림부(150)에 걸림으로써, 꽃이 만개 또는 반개한 형상과 같이 꽃이 피어나는 다양한 형상을 나타낼 수 있어 소비자들에게 보다 큰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펼쳐지는 부피를 조절할 수 있어 양산으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슬라이딩부(200)를 하향 이동시키면, 슬라이딩부(200)와 연동되는 지지살(300)이 하향 이동하며 당김살(400)과 서로 마주 보도록 접혀지면서 비에 젖은 우산포(500)의 외면이 내측을 향하여 접혀짐으로써, 빗물이 외부로 떨어지지 않아 이로 인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은,
긴 봉 형상으로 구성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결합된 캡부(120) 및 손잡이부(130)를 포함하는 우산대(100);
상기 본체부(11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부(200);
상기 슬라이딩부(200)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200)의 이동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살(300);
상기 캡부(120)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살(300)과 힌지 결합하여 상기 지지살(300)의 펼쳐진 형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당김살(400); 및
상기 지지살(300)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우산포(50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살(300)은,
절곡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살(300)을 펼치면 전체적으로 꽃의 형상을 갖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산을 접기 위해 상기 슬라이딩부(200)를 하향 이동시키면, 상기 슬라이딩부(200)와 연동되는 상기 지지살(300)이 하향 이동하며 상기 당김살(400)과 서로 마주 보도록 접혀짐으로써 상기 우산포(500)의 외면이 내측을 향하여 접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산대(100)는,
상기 지지살(300)이 펼쳐져 만개한 꽃의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슬라이딩부(200)를 상기 본체부(110) 상에서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부(110)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된 제1 걸림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걸림부(140)는,
상기 본체부(110) 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 걸림부(140)의 이동에 따라 수축되는 제1 스프링(141)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산대(100)는,
상기 지지살(300)이 펼쳐져 반개한 꽃의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슬라이딩부(200)를 상기 본체부(110) 상에서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부(110)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제1 걸림부(140)보다 하부에 위치한 제2 걸림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걸림부(150)는,
상기 본체부(110) 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2 걸림부(150)의 이동에 따라 수축되는 제2 스프링(15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에 따르면, 우산대(100), 슬라이딩부(200), 지지살(300), 당김살(400) 및 우산포(500)를 포함하되, 지지살(300)이 절곡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지지살(300)을 펼치면 전체적으로 꽃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단순한 돔의 형태가 아닌 독특한 형상을 가지는바, 심미감이 우수하여 소자비들의 흥미와 재미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부(200)가 제1 걸림부(140) 또는 제2 걸림부(150)에 걸림으로써, 꽃이 만개 또는 반개한 형상과 같이 꽃이 피어나는 다양한 형상을 나타낼 수 있어 소비자들에게 보다 큰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펼쳐지는 부피를 조절할 수 있어 양산으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슬라이딩부(200)를 하향 이동시키면, 슬라이딩부(200)와 연동되는 지지살(300)이 하향 이동하며 당김살(400)과 서로 마주 보도록 접혀지면서 비에 젖은 우산포(500)의 외면이 내측을 향하여 접혀짐으로써, 빗물이 외부로 떨어지지 않아 이로 인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우산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10)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1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hook) 형상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10)이 만개한 꽃의 형상으로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10)을 양산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10)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1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1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10)은, 우산대(100), 슬라이딩부(200), 지지살(300), 당김살(400) 및 우산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10)은 우산대(100), 슬라이딩부(200), 지지살(300), 당김살(400) 및 우산포(500)를 포함하되, 지지살(300)이 절곡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지지살(300)을 펼치면 전체적으로 꽃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단순한 돔의 형태가 아닌 독특한 형상을 가지는바, 심미감이 우수하여 소비자들의 흥미와 재미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200)가 제1 걸림부(140) 또는 제2 걸림부(150)에 걸림으로써, 꽃이 만개 또는 반개한 형상과 같이 꽃이 피어나는 다양한 형상을 나타낼 수 있어 소비자들에게 보다 큰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펼쳐지는 부피를 조절할 수 있어 양산으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부(200)를 하향 이동시키면, 슬라이딩부(200)와 연동되는 지지살(300)이 하향 이동하며 당김살(400)과 서로 마주 보도록 접혀지면서 비에 젖은 우산포(500)의 외면이 내측을 향하여 접혀짐으로써, 빗물이 외부로 떨어지지 않아 이로 인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1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산대(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10)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 캡부(120) 및 손잡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후술할 지지살(300) 및 당김살(400), 우산포(5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고, 중공형의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체부(110)의 재질은 무게나 내구성 또는 천둥이나 번개에 의한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캡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단에 결합하여 본체부(110)의 상단을 폐쇄하며, 후술할 당김살(400)과 결합되는 구성이다.
손잡이부(130)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10)을 파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하단에 결합하며, 이로 인해 본체부(110)의 하단이 폐쇄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3 및 도 4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손잡이부(130)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hook) 형상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1 걸림부(140) 및 제2 걸림부(150)는 후술할 슬라이딩부(200)를 고정시켜 지지살(300) 및 당김살(400)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걸림부(140) 및 제2 걸림부(150)는 본체부(110)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이로 인해 슬라이딩부(200)가 상향 이동하면서 제1 걸림부(140) 또는 제2 걸림부(150)에 걸림으로써 본체부(110) 상에 고정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지지살(300) 및 당김살(400)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걸림부(140) 및 제2 걸림부(150)는 각각 제1 걸림부(140) 및 제2 걸림부(150)의 이동에 따라 수축되면서 탄력성을 주는 제1 스프링(141) 및 제2 스프링(15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슬라이딩부(2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10)을 접거나 펼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대(100),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부(110)에 관통하여 설치되며, 사용자가 슬라이딩부(200)를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10)이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지지살(30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10)이 일정한 형상을 가지며 펼쳐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슬라이딩부(200)에 연결 설치되며, 슬라이딩부(200)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면서 펼쳐질 수 있다. 또한, 지지살(300)은 일직선이 아닌 절곡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지지살(300)이 펼쳐지면 전체적으로 꽃의 형상을 나타내는바, 소비자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도 후술할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당김살(400)은, 지지살(300)이 펼쳐진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살(400)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캡부(120)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지지살(300)과 각각 힌지 결합되며, 이로 인해 슬라이딩부(200)를 상향 이동시킴으로써 지지살(300)이 펼쳐질 때, 당김살(400)에 인장력이 전달되어 지지살(300)을 팽팽하게 만듦과 동시에 지지살(300)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우산포(500)는 우천 시 비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살(300)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우산포(500)는 가벼우면서 방수성이 좋은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10)이 만개한 꽃의 형상으로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200)를 상향 이동시키면, 지지살(300)과 당김살(400)이 펼쳐지게 되면서 우산포(500)까지 아래서 위로, 안에서 밖으로 펼쳐지게 되며, 이때, 지지살(300)은 절곡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전체적으로 만개한 꽃의 형상을 나타내는바, 심미감이 향상되어 소비자들의 주의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200)는 제1 걸림부(140)에 걸림으로써 본체부(110) 상에 고정되어 지지살(300)과 당김살(400)이 서로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돌출 형성된 제1 걸림부(140)와 결합된 제1 스프링(141)이 본체부(110) 내에서 수축되지 않은 상태로 위치해 있다가, 슬라이딩부(200)가 제1 걸림부(140)를 본체부(110) 내로 이동시키면서 제1 걸림부(140)를 통과할 때, 제1 스프링(141)이 수축될 수 있다. 이 후, 슬라이딩부(200)가 제1 걸림부(140)를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수축된 제1 스프링(141)의 탄성력으로 인해 다시 제1 걸림부(140)가 신속히 본체부(1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그 결과 슬라이딩부(200)의 하부가 제1 걸림부(140)에 걸림으로써 본체부(110) 상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10)을 양산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10)이 펼쳐진 부피가 매우 크기 때문에, 양산으로 사용하는 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10)의 우산대(100)에는 제2 걸림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10)을 양산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걸림부(150)는 제1 걸림부(140)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면서 제1 걸림부(140)보다 하부에 위치되며, 슬라이딩부(200)를 제2 걸림부(150)에 걸릴 때까지만 이동시킴으로써,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우산(10)을 펼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200)가 제2 걸림부(150)에 걸림으로써 고정되고, 이로 인해 지지살(300)과 당김살(400)이 서로 펼쳐지면서 전체적으로는 반개한 꽃의 형상을 나타내게 되고, 이는 만개한 꽃의 형상보다 상대적으로 차지하는 부피가 작아 양산으로 사용하기에 매우 효율적임과 동시에, 꽃이 피어나는 다양한 형상을 나타낼 수 있어 사용자들에게 더 큰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킬 수도 있다. 한편, 슬라이딩부(200)가 제2 걸림부(150)에 걸려서 고정되는 방식은 제1 걸림부(140)와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10)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200)를 하향 이동시키면, 슬라이딩부(200)와 연동되는 지지살(300)도 하향 이동하며 당김살(400)과 서로 마주 보도록 접혀짐과 동시에 우산포(500)의 외면이 내측을 향하여 접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비에 젖은 우산포(500)의 외면이 안쪽으로 들어가게 되고, 비에 젖지 않은 우산포(500)의 내면이 외부로 나오게 되는바, 결과적으로 우산을 접을 때 우산포(500)에 있던 빗물이 외부로 나오지 않아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
100: 우산대 110: 본체부
120: 캡부 130: 손잡이부
140: 제1 걸림부 141: 제1 스프링
150: 제2 걸림부 151: 제2 스프링
200: 슬라이딩부 300: 지지살
400: 당김살 500: 우산포

Claims (6)

  1. 긴 봉 형상으로 구성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결합된 캡부(120) 및 손잡이부(130)를 포함하는 우산대(100);
    상기 본체부(11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부(200);
    상기 슬라이딩부(200)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200)의 이동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살(300);
    상기 캡부(120)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살(300)과 힌지 결합하여 상기 지지살(300)의 펼쳐진 형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당김살(400); 및
    상기 지지살(300)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우산포(50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살(300)은,
    절곡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살(300)을 펼치면 전체적으로 꽃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을 접기 위해 상기 슬라이딩부(200)를 하향 이동시키면, 상기 슬라이딩부(200)와 연동되는 상기 지지살(300)이 하향 이동하며 상기 당김살(400)과 서로 마주 보도록 접혀짐으로써 상기 우산포(500)의 외면이 내측을 향하여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대(100)는,
    상기 지지살(300)이 펼쳐져 만개한 꽃의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슬라이딩부(200)를 상기 본체부(110) 상에서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부(110)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된 제1 걸림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140)는,
    상기 본체부(110) 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 걸림부(140)의 이동에 따라 수축되는 제1 스프링(1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대(100)는,
    상기 지지살(300)이 펼쳐져 반개한 꽃의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슬라이딩부(200)를 상기 본체부(110) 상에서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부(110)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제1 걸림부(140)보다 하부에 위치한 제2 걸림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150)는,
    상기 본체부(110) 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2 걸림부(150)의 이동에 따라 수축되는 제2 스프링(1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
KR1020120144978A 2012-12-12 2012-12-12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 KR101246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978A KR101246927B1 (ko) 2012-12-12 2012-12-12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978A KR101246927B1 (ko) 2012-12-12 2012-12-12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927B1 true KR101246927B1 (ko) 2013-03-25

Family

ID=48182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978A KR101246927B1 (ko) 2012-12-12 2012-12-12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9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01470A (zh) * 2015-12-23 2017-06-30 崔锦华 喇叭花形双向气流抗风伞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6725A (ja) * 1994-08-19 1996-03-05 Kunihiro Okumura
KR20010048082A (ko) * 1999-11-25 2001-06-15 정광용 2중으로 꽃이 피어나는 형상을 표현한 파라솔
JP2002325611A (ja) 2001-04-27 2002-11-12 Usui Internatl Ind Co Ltd 雨 傘
KR20120000111U (ko) * 2010-06-29 2012-01-04 트주-청 창 비에 젖는 것을 방지하는 우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6725A (ja) * 1994-08-19 1996-03-05 Kunihiro Okumura
KR20010048082A (ko) * 1999-11-25 2001-06-15 정광용 2중으로 꽃이 피어나는 형상을 표현한 파라솔
JP2002325611A (ja) 2001-04-27 2002-11-12 Usui Internatl Ind Co Ltd 雨 傘
KR20120000111U (ko) * 2010-06-29 2012-01-04 트주-청 창 비에 젖는 것을 방지하는 우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01470A (zh) * 2015-12-23 2017-06-30 崔锦华 喇叭花形双向气流抗风伞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927B1 (ko) 심미감 및 기능성이 향상된 다목적 우산
CN206137408U (zh) 无伞骨曲杆悬环防风折叠伞
JP3184436U (ja) 筒状カバーを備えた雨傘
KR101319573B1 (ko) 낚시용 파라솔
KR200453881Y1 (ko) 장식성을 갖는 빗물받이 우산마개
KR100978830B1 (ko) 가방 우산
KR200450082Y1 (ko) 패션형 우산커버
KR101012868B1 (ko) 이중 살대로 이루어진 통풍우산의 살대 고정구 및 살대고정방법
KR101719199B1 (ko) 우산
KR100693353B1 (ko) 파라솔의 상단에 미려한 곡선부 모양이 나타나도록표현하는 데코레이션 파라솔 및 그 제조방법
CN206017349U (zh) 多折伞中棒
CN203152757U (zh) 抗风伞伞骨
CN204273479U (zh) 便于收拢的折叠伞
KR20110004584U (ko) 우산손잡이 일체형 방수 커버
CN109875204B (zh) 一种多功能雨伞
CN203575792U (zh) 一种防风伞
KR200442701Y1 (ko) 양산
KR20130141105A (ko) 역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우산
CN203234170U (zh) 带储水功能的雨伞头
CN201822112U (zh) 一种折叠伞
KR20170084967A (ko) 강풍에도 사용 가능한 우산
KR101791814B1 (ko) 간편하게 접을 수 있는 우산
KR200400436Y1 (ko) 절첩식 천막의 지지장치
KR200217271Y1 (ko) 절첩우산
KR101453392B1 (ko) 야구배트 모양을 갖는 접이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