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359B1 -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 - Google Patents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359B1
KR102484359B1 KR1020200127626A KR20200127626A KR102484359B1 KR 102484359 B1 KR102484359 B1 KR 102484359B1 KR 1020200127626 A KR1020200127626 A KR 1020200127626A KR 20200127626 A KR20200127626 A KR 20200127626A KR 102484359 B1 KR102484359 B1 KR 102484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outer cap
container body
inner stopp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4066A (ko
Inventor
김학래
Original Assignee
김학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래 filed Critical 김학래
Priority to KR1020200127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359B1/ko
Priority to CN202121915374.8U priority patent/CN215838255U/zh
Publication of KR20220044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55Lid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는, 용기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연결되는 외부마개; 상기 외부마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액체가 토출되는 액체토출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내부마개;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마개 및 상기 내부마개가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외부캡; 및 상기 내부마개와 상기 외부캡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대하여 상기 외부캡을 간이하게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용이착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는, 외부캡에 마련되는 용이착탈부를 통해 용기본체에 종래대비 간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나사산이 없어 음용 시 편리하고 내용물의 끼임이 원천 차단되어 위생상 유리하여 유지관리 면에서 용이할 수 있으며, 외부캡과 용기본체에 나사산 형성 공정이 생략될 수 있어 공수 삭제 및 제작 단가가 절감되며 제품 불량률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LIQUID CONTAINER FOR EASY DETACHABLE PARTS}
본 발명은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캡에 나사산이 삭제되어 음용 시 편리하고 위생상 유리하며 유지관리가 용이할 수 있는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용기는 내부에 넣은 음료, 음용수(이하 음용수라 통칭함) 등의 액체류를 장시간 같은 온도로 보관, 유지하기 위하여 만든 단열 용기일 수 있다.
일례로, 액체용기 중에는 이중 마개 구조를 가지는 보온병이 있을 수 있다. 이중 마개 구조를 가진 대부분의 보온병은, 용기 본체에 체결되는 외부마개와, 외부마개에 대해 회동되는 구조로 마련되어 유로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내부마개와,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외부캡(또는 외부뚜껑)을 포함한다.
여기서, 외부캡은 외부마개 및 내부마개를 완전 수용하는 구조로 마련되는데, 이러한 외부캡은 용기본체의 음용수가 외부로 임의로 토출됨을 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고, 또는 용기본체로부터 탈거되어 음용수를 수용하여 편리하게 음용하는 용기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 액체용기의 경우 외부캡의 상단부에 나사산이 마련되다보니 용기본체에 결합 과정이 불편하고 외부캡을 이용하여 음용하는 동안 음용수가 흘러내리거나 나사산 주변부에 내용물이 끼여 세척하기가 여간 불편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부캡과 용기본체에 나사산성형 공정이 마련되어야 함에 따라 공수 추가 및 제작 단가가 상승되고 성형 과정에서 제품 불량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외부캡에 마련되는 용이착탈부를 통해 용기본체에 종래대비 간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나사산이 없어 음용 시 편리하고 내용물의 끼임이 원천 차단되어 위생상 유리하여 유지관리 면에서 용이할 수 있으며, 외부캡과 용기본체에 나사산 형성 공정이 생략될 수 있어 공수 삭제 및 제작 단가가 절감되며 제품 불량률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는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는, 용기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연결되는 외부마개; 상기 외부마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액체가 토출되는 액체토출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내부마개;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마개 및 상기 내부마개가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외부캡; 및 상기 내부마개와 상기 외부캡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대하여 상기 외부캡을 간이하게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용이착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이착탈부는, 상기 외부캡의 내벽 상에 마련되는 오목홈부; 및 상기 내부마개의 외면 상에 마련되는 볼록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목홈부는 상기 외부캡의 바닥면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목홈부는, 상기 내부마개가 상기 외부캡에 결합될 때 상기 볼록돌출부의 진입이 안내되는 상기 진입가이드구간부; 및 상기 진입가이드구간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시작되어 상기 외부캡의 상부 측으로 갈수록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진입가이드구간부와 상기 테이퍼구간부가 상호 연결되는 지점에는 미리 설정된 곡률의 곡률구간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볼록돌출부는 상기 내부마개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테이퍼형 플랜지일 수 있다.
상기 테이퍼형 플랜지는 세로 단면이 상기 내부마개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들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볼록돌출부는 상기 내부마개의 외면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한개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부마개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과 결합되는 본체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는, 외부캡에 마련되는 용이착탈부를 통해 용기본체에 종래대비 간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나사산이 없어 음용 시 편리하고 내용물의 끼임이 원천 차단되어 위생상 유리하여 유지관리 면에서 용이할 수 있으며, 외부캡과 용기본체에 나사산 형성 공정이 생략될 수 있어 공수 삭제 및 제작 단가가 절감되며 제품 불량률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에서 외부마개로부터 내부마개가 개방되어 음용수가 흘러나오는 상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에서 외부캡과 내부마개의 용이착탈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에서 외부캡의 단면도와 저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에서 내부마개의 정면도와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에서 외부캡과 내부마개의 로킹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에서 외부마개로부터 내부마개가 개방되어 음용수가 흘러나오는 상태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에서 외부캡과 내부마개의 용이착탈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에서 외부캡의 단면도와 저면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에서 내부마개의 정면도와 상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의 상부 개구부(120)에 연결되는 외부마개(200); 상기 외부마개(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액체가 토출되는 액체토출유로(213)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내부마개(300);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마개(200) 및 상기 내부마개(300)가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외부캡(400); 및 상기 내부마개(300)와 상기 외부캡(400)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에 대하여 상기 외부캡(400)을 간이하게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용이착탈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100)는 물이나 음료 등의 액체를 담는 부분이다. 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용기본체(100)의 내부에는 액체의 수용을 위한 수용공간(110)이 형성될 수 있다.
용기본체(100)에는, 상부 측으로 갈수록 다단 단차지며 협관되어 개구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120)를 통해 수용공간(110) 내로 액체가 출입될 수 있다. 개구부(120)의 내벽에는 외부마개(200)와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용기본체(100)의 상부 영역 즉, 다단의 단차 구역의 총 길이가 종래 대비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이는, 용기본체(100) 상에 외부캡((400)과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나사산이 마련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외부캡(400)은 용기본체(100)에 결합되는 것이 아닌, 내부마개(3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용기본체(100)에 나사산 형성 공정이 생략될 수 있어 공수 삭제 및 제작 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용기본체(100)는 단열 또는 온열 수단이 구비되는 액체용기체일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일반 용기를 대상으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외부마개(200)는 용기본체(100)의 상부에서 마련되어 개구부(12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외부마개(200)는 주로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본체(100) 내벽과 결합되는 본체결합부(210) 및 하부에 마련되는 브라켓부(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결합부(210)는 개구부(1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본체결합부(210)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120)의 내벽과 본체결합부(210)의 외면이 상호 나사 결합이 가능할 수 있어 용기본체(100)에 외부마개(200)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체결합부(210)의 내벽에는 제1 나사산(211)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나사산(211)의 절개면(212)을 통해 액체토출유로(213)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한다.
내부마개(300)는 도 2 내지 도 4을 주로 참조하면, 내부마개몸체(302)와, 내부마개몸체(302)의 상부에 마련되는 손잡이부(301)와, 내부마개몸체(302)의 하단에 마련되는 스토퍼(35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마개몸체(302)는 대략 원형 단면으로 마련되며, 외면 중앙부에는 제2 나사산(311)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나사산(311)에는 절개면(312, 도 1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마개(300)의 원주방향을 따라 규칙적인 간격마다 상기 제2 나사산(311)이 제거된 절개면(312)이 형성되며, 상기 액체토출유로(213)는 상기 내부마개(30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외부마개(200)의 절개면과 상호 중첩될 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마개(300)에는 상기 외부마개(200)와 부분적으로 접촉되는 제1 실링부(360)와, 상기 브라켓부(130)와 부분적으로 접촉되는 제2 실링부(370)가 마련될 수 있다.
내부마개몸체(302)의 하단부에는 스토퍼(350)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350)는 상기 내부마개(300)의 하단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내부마개(300)의 개폐정도에 따라 상기 외부마개(200)로부터 상기 내부마개(300)의 완전 이탈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캡(400)은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마개(200) 및 상기 내부마개(300)가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외부캡(400)은 용기본체(100)의 음용수가 외부로 임의로 토출됨을 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는 용기본체(100)로부터 탈거되어 음용수를 수용하여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는 용기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종래 액체용기의 경우 외부캡(400)의 상단부에 나사산이 마련되다보니 용기본체(100)에 결합 시 적어도 수회 회전시켜 나사 체결을 함에 따라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또한, 외부캡(400)을 이용하여 음용하는 동안 음용수를 흘리거나 내용물이 끼이는 경우가 다반사였고 이에 따라 돌출 구조인 나사산 부분을 세척하기가 불편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마개(300)와 외부캡(400)에 용이착탈부(5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용이착탈부(5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캡(400)의 내벽 상에 마련되는 오목홈부(510); 및 상기 내부마개(300)의 외면 상에 마련되는 볼록돌출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캡(400)의 내벽 상에는 오목홈부(51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오목홈부(510)는 상기 외부캡(400)의 바닥면 근처에 배치되어, 외부캡(400)의 개구부 즉, 사용자의 입에 닿는 부분에는 어떤 돌출/함몰 구조가 마련되지 아니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음용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않게 음용수가 흘러내리지 않을 수 있으며, 내용물이 돌출/함몰 구조 내에 끼이거나 박히는 현상이 원천 저지되어 세척이 용이하게 되고 위생적으로 유리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편리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오목홈부(510)는 주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내부마개(300)가 상기 외부캡(400)에 결합될 때 상기 볼록돌출부(520)의 진입이 안내되는 상기 진입가이드구간부(511); 및 상기 진입가이드구간부(511)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외부캡(400)의 상부 측으로 갈수록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테이퍼구간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진입가이드구간부(511)는, 내부마개(300)에 외부캡(400)의 로킹 동작 시 볼록돌출부(520)가 오목홈부(510)에 진입을 용이하게 안내하는 부분이다. 진입가이드구간부(511)의 폭은 볼록돌출부(52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진입가이드구간부(511)와 상기 테이퍼구간부(513)가 상호 연결되는 지점에는 미리 설정된 곡률의 곡률구간면(512)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곡률구간면(512)에 연이어, 테이퍼구간부(51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테이퍼구간부(513)는 상기 외부캡(400)의 상부 측으로 갈수록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테이퍼구간부(513)의 전체 길이는 상대적으로 길게 마련되어 테이퍼형 플랜지(520)가 완전 수용되면서 회동 결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목홈부(510)에 대한 볼록돌출부(520)의 임의 풀림이나 임의 이탈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볼록돌출부(520)는 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내부마개(30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테이퍼형 플랜지(520)일 수 있다. 여기서, 일정 각도는 테이퍼구간부(513)의 설정 각도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테이퍼형 플랜지(520)는 세로 단면이 상기 내부마개(300)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들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볼록돌출부(520)는 도 6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내부마개(300)의 외면 둘레를 따라 180도 간격마다 배치되어 총 2개가 배치됨을 상정하였으나, 이와 달리 1개만 마련되거나 또는 규칙적으로 120도 간격마다 배치되어 총 3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테이퍼형 플랜지(520)의 개수는 본 권리범위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테이퍼형 플랜지(520)의 개수 변경 시 오목홈부(510)의 개수도 이에 대응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용이착탈부(500)를 통해, 용기본체(100)에 외부캡(400)이 종래 대비 간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종래 대비 적은 각도로 외부캡(400)을 회동시킴으로써, 외부캡(400)을 용기본체(100)에 로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대비 간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부캡(400)에 기존 나사산이 삭제됨으로써 사용자가 음용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않게 음용수가 흘러내리지 않을 수 있으며, 내용물이 기존 나사산 내에 끼이거나 박히는 현상이 근원적으로 저지되어 세척이 용이하게 되고 위생적으로 유리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편리할 수 있다.
또한, 외부캡(400)에 나사산 형성 공정이 생략됨에 따라 제작공수 삭제 및 제작 단가가 절감되며 제품 불량률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에서 외부캡과 내부마개의 로킹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용이착탈부(500)를 가지는 액체용기의 로킹 과정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외부캡(400)은 뒤집어서 컵으로 활용가능할 수 있다. 이때, 외부캡(400)의 개구부 영역에 마련되어 용기본체(10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삭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음용 과정이 편리하고 음용수가 불규칙적으로 흘러내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세척이나 청소 등의 유지관리 면에서 용이할 수 있다.
외부캡(400)의 로킹 과정 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마개(300)가 외부캡(400) 내부로 진입된다.
그러면, 진입가이드구간부(511)의 폭은 볼록돌출부(52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마련되어 있어, 진입가이드구간부(511)에 볼록돌출부(520)가 용이하게 진입된다.
다음, 사용자가 외부캡(400)을 일방향(반시계 방향)으로 로킹 동작시키게 되면, 테이퍼형 플랜지(520)가 곡률구간면(512)을 거치게 되어 사용자가 로킹 동작에 큰 힘이 들지 아니한다.
다음, 테이퍼형 플랜지(520)가 테이퍼구간부(513)를 타고 슬라이딩 이동되며 로킹 동작이 완료된다. 여기서, 테이퍼구간부(513)의 전체 길이가 길게 마련되고 테이퍼형 플랜지(520)가 완전 수용되면서 회동 결착되어, 오목홈부(510)에 대한 볼록돌출부(520)의 임의 풀림이나 임의 이탈은 최소화될 수 있다.
로킹해제 과정은 본 설명의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 구성을 통해, 용기본체(100)에 외부캡(400)이 종래 대비 간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종래 대비 적은 각도로 외부캡(400)을 회동시킴으로써, 외부캡(400)을 용기본체(100)에 로킹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캡(400)에 기존 나사산이 삭제됨으로써 사용자가 음용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않게 음용수가 흘러내리지 않을 수 있으며, 내용물이 기존 나사산 내에 끼이거나 박히는 현상이 근원적으로 저지되어 세척이 용이하게 되고 위생적으로 유리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편리할 수 있다.
또한, 외부캡(400)에 나사산 형성 공정이 생략됨에 따라 제작공수 삭제 및 제작 단가가 절감되며 제품 불량률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용기본체 110 : 수용공간
120 : 개구부 200 : 외부마개
210 : 본체결합부 211 : 제1 나사산
212 : 절개면 300 : 내부마개 301 : 손잡이부 302 : 내부마개몸체
311 : 제2 나사산 312 : 절개면
350 : 스토퍼 360 : 제1 실링부
370 : 제2 실링부 400 : 외부캡
500 : 용이착탈부 510 : 오목홈부
511 : 진입가이드구간부 512 : 곡률구간면
513 : 테이퍼구간부 520 : 볼록돌출부, 테이퍼형 플랜지

Claims (9)

  1. 용기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연결되는 외부마개;
    상기 외부마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액체가 토출되는 액체토출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내부마개;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마개 및 상기 내부마개가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외부캡; 및
    상기 내부마개와 상기 외부캡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대하여 상기 외부캡을 간이하게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용이착탈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이착탈부는,
    상기 외부캡의 내벽 상에 마련되는 오목홈부; 및
    상기 내부마개의 외면 상에 마련되는 볼록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홈부는 상기 외부캡의 바닥면 근처에 배치되며,
    상기 오목홈부는,
    상기 내부마개가 상기 외부캡에 결합될 때 상기 볼록돌출부의 진입이 안내되는 진입가이드구간부; 및
    상기 진입가이드구간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시작되어 상기 외부캡의 상부 측으로 갈수록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테이퍼구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입가이드구간부와 상기 테이퍼구간부가 상호 연결되는 지점에는 미리 설정된 곡률의 곡률구간면이 마련되며,
    상기 볼록돌출부는 상기 내부마개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테이퍼형 플랜지이며,
    상기 테이퍼형 플랜지는 세로 단면이 상기 내부마개의 축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들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돌출부는 상기 내부마개의 외면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한개 이상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마개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과 결합되는 본체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
KR1020200127626A 2020-09-30 2020-09-30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 KR102484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626A KR102484359B1 (ko) 2020-09-30 2020-09-30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
CN202121915374.8U CN215838255U (zh) 2020-09-30 2021-08-16 具有易拆装部的液体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626A KR102484359B1 (ko) 2020-09-30 2020-09-30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066A KR20220044066A (ko) 2022-04-06
KR102484359B1 true KR102484359B1 (ko) 2023-01-02

Family

ID=80239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626A KR102484359B1 (ko) 2020-09-30 2020-09-30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4359B1 (ko)
CN (1) CN215838255U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5450B2 (ja) * 1992-11-16 2001-08-06 大塚化学株式会社 導電性組成物及び自己温度制御性面発熱体
JP2009515788A (ja) * 2005-11-16 2009-04-16 デュボアス・リミテッド キャップ付容器
JP2009184711A (ja) 2008-02-07 2009-08-20 3R Produce:Kk 接続器具
JP2011189970A (ja) 2010-03-15 2011-09-29 3R Produce:Kk 締結構造および容器
KR101581270B1 (ko) 2015-04-21 2016-01-19 김학래 음료용기
JP2017149486A (ja) 2017-05-01 2017-08-31 株式会社Tarama 容器のキャップ構造及び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7732B2 (ja) * 2013-04-22 2014-11-19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JP3195450U (ja) * 2014-11-04 2015-01-22 寧波立羊真空器皿有限公司 飲料容器の栓体
KR101785906B1 (ko) * 2015-10-14 2017-10-16 김학래 음료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5450B2 (ja) * 1992-11-16 2001-08-06 大塚化学株式会社 導電性組成物及び自己温度制御性面発熱体
JP2009515788A (ja) * 2005-11-16 2009-04-16 デュボアス・リミテッド キャップ付容器
JP2009184711A (ja) 2008-02-07 2009-08-20 3R Produce:Kk 接続器具
JP2011189970A (ja) 2010-03-15 2011-09-29 3R Produce:Kk 締結構造および容器
KR101581270B1 (ko) 2015-04-21 2016-01-19 김학래 음료용기
JP2017149486A (ja) 2017-05-01 2017-08-31 株式会社Tarama 容器のキャップ構造及び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066A (ko) 2022-04-06
CN215838255U (zh)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9048B2 (en) Hinged closure
US20020134746A1 (en) Bottle closure assembly
TW201945252A (zh) 食品罐
KR102050965B1 (ko) 텀블러
KR102484359B1 (ko) 용이착탈부를 가지는 액체용기
KR200497485Y1 (ko) 대구경 인입구를 가지는 텀블러 용기
KR102370526B1 (ko) 음료 용기
KR101229152B1 (ko)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KR200449488Y1 (ko) 가스누출 방지병
KR20230001900U (ko) 대구경 인입구를 가지는 텀블러 용기
KR200188238Y1 (ko) 음료용기의 컵겸용 마개
KR200230247Y1 (ko) 합성수지재 병 뚜껑
JP2001151257A (ja) 冷水筒
KR200255577Y1 (ko) 음료수용 병
KR200398052Y1 (ko) 복수의 음료 저장 공간을 갖는 음료수 병
ES2386122T3 (es) Accesorio de espita y recipiente
CN217625081U (zh) 一种可存贮速溶粉末或浓缩液的水瓶盖子
KR20190001224A (ko) 흘러내림 방지용 토출구를 가지는 병
KR200337707Y1 (ko) 페트병의 보관케이스
KR102280945B1 (ko) 호환식 결합용기
KR200212959Y1 (ko) 파우치 음료용기용 스파우트
KR102259882B1 (ko) 음료 주입용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KR200445835Y1 (ko) 분리형 보온 용기
KR20190013369A (ko) 다용도 페트병
KR200171268Y1 (ko) 음료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