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834B1 - 음료용기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834B1
KR100860834B1 KR1020010069261A KR20010069261A KR100860834B1 KR 100860834 B1 KR100860834 B1 KR 100860834B1 KR 1020010069261 A KR1020010069261 A KR 1020010069261A KR 20010069261 A KR20010069261 A KR 20010069261A KR 100860834 B1 KR100860834 B1 KR 100860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main body
beverage container
elevating member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7914A (ko
Inventor
노희권
Original Assignee
노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권 filed Critical 노희권
Priority to KR1020010069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834B1/ko
Priority to PCT/KR2002/002047 priority patent/WO2003039986A1/en
Priority to CNA028034899A priority patent/CN1484601A/zh
Publication of KR20030037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65D47/24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 B65D47/24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moving he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토록 씌워진 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삽입되어 상기 뚜껑이 정회전되면 하강되어 용기의 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뚜껑이 역회전되면 상승되어 용기의 입구를 폐쇄하는 승강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뚜껑을 회전시키면 승강부재가 회전되면서 승강되어 음료용기의 입구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료가 취출되는 배출구를 손으로 접촉하지 않고 음료용기의 입구가 개폐되므로 음료 배출구의 청결상태가 유지되어 위생효과가 증진된다.
음료용기, 개폐, 승강부재, 뚜껑, 나사, 회전

Description

음료용기 개폐장치{Closer of beverage vess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개폐장치가 표현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용기 개폐장치가 음료용기에 장착된 상태가 표현된 단면도,
도 3a은 도 1에 도시된 뚜껑의 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B-B선 단면도,
도 4a는 도 1의 도시된 승강부재의 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C-C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음료용기 개폐장치에 있어서 승강부재가 하강된 상태가 표현된 단면도,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음료용기 개폐장치가 표현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승강부재
30 : 뚜껑
본 발명은 음료용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료용기의 입구에 결합된 상태로 음료용기의 입구를 개폐하여 필요에 따라 수시로 음료용기에 저장된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용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음료용기 개폐장치를 음료용기로 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음료를 배출시키는 분리형 음료용기 개폐장치와, 음료용기 개폐장치의 본체가 음료용기의 입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음료용기의 입구를 개방하여 음료를 배출시키는 본체 결합형 음료용기 개폐장치로 구별되는 데, 야외에서 수시로 음료를 섭취하게 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는 본체 결합형 음료용기 개폐장치가 그 편리성으로 인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본체 결합형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100)의 입구에 결합된 음료용기 개폐장치의 본체(101)와, 음료용기(100)의 입구에 씌워진 실링부재(110)와, 상기 본체의 상측부 외측에 상하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부재(102)와, 상기 본체(101)의 상측부에 씌워진 뚜껑(103)으로 구성되어, 음료용기(100)로 부터 음료를 취출하여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본체(101)를 음료용기(100)로 부터 분리시켜 상기 실링부재(110)를 제거하고, 상기 본체(101)를 다시 음료용기(100)의 입구에 결합시킨 다 음, 뚜껑(103)을 열고 상기 승강부재(102)를 손으로 잡고 상측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본체(101)의 헤드부(101a)로부터 승강부재(102)의 상측면(102a)이 이격되어 음료용기의 입구가 개방되므로 음료용기(100)를 기울려서 음료을 배출시켜 마시게 되고, 음료를 마실 필요가 없을 때에는 상기 승강부재(102)를 손으로 압박하여 원위치로 복귀되게 함으로써 음료용기(100)의 입구를 폐쇄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음료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음료용기 개폐장치의 본체(101)를 음료용기(100)로 부터 해체시켜 실링부재(110)를 제거한 다음, 다시 상기 본체(101)를 음료용기(100)에 결합시켜야 하므로 그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음료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을 사용하여 상기 승강부재(102)를 상측으로 잡아당겨야 하고 음료를 마시고 난 다음에는 다시 손을 사용하여 상기 승강부재(102)를 원 위치로 밀어넣어야 하므로 음료가 배출되는 부위가 오염되어 위생에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은 얇은 원판상의 실링부재(110)에 의하여만 음료용기의 입구가 밀폐되기 때문에 그 밀폐효과가 취약하여 음료용기 내부에 압력을 발생하는 탄산음료 등이 저장된 음료용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료용기의 입구를 간편하게 수시로 개폐시킬 수 있는 음료용기 개폐장치를 제공하 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료가 배출되는 부위를 손으로 접촉하지 않고 음료용기의 입구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음료취출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료용기의 입구를 견실하게 밀폐되게 하여 압력을 발생하는 탄산음료 등이 저장된 음료용기에도 사용될 수 있는 음료용기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음료용기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음료용기 개폐장치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삽입되어 정회전되면 하강되어 용기의 입구를 개방하고 역회전되면 상승되어 용기의 입구를 폐쇄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토록 씌워져 상기 승강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승강부재와 결합된 뚜껑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상기 뚜껑을 회전하여 승강부재를 승강되게 함으로써 용기의 입구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고, 용기의 입구가 개방되면 뚜껑을 벗기고 용기를 기울려 음료를 섭취할 수 있으므로 음료가 배출되는 부 위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개폐장치가 음료용기에 장착된 상태가 표현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1)의 입구(1a)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음료취출구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끼워져 음료용기(1)의 입구(1a)를 개폐시키는 승강부재(20)와, 상기 본체(10)에 씌워져 상기 승강부재(20)를 회전되게 하는 뚜껑(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상,하측원통부(11)(12)로 형성되고, 하측원통부(12) 내부에 숫나사(14)가 형성되어 음료용기(1)의 입구에 형성된 암나사(1b)와 나사결합된다.
한편, 상기 상측원통부(11)는 하측원통부(12) 보다 직경이 축소되게 형성되어 그 경계부위가 환상의 구획판(13)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획판(13)의 내주면은 상기 음료용기(1)의 입구(1a)보다 내측으로 돌출되어 음료용기(1)의 입구(1a) 상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상측원통부(11)의 내면 중앙부위에 암나사(15)가 형성되고, 그 상측에 내측으로 돌출된 환상의 돌출막(16)이 형성된다.
또한, 여기서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하측원통부(12)의 하단에 스커트부를 형성하여 상기 스커트부가 병의 입구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10)를 회전시키면 상기 본체(10)가 스커트부로 부터 이탈되면서 병의 입구로 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20)는 도 1, 2,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측원통부(11) 내부에 끼워지고 외측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돌출된 리브(21)가 형성된 기둥부(22)와, 상기 기둥부(22)의 상측부에 형성된 넥크부(23)와, 상기 넥크부(23)의 상측부에 외측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돌출된 걸림부(24)와, 상기 기둥부(22)의 하측에 형성된 원판형상의 밀폐판(25)으로 구성되고, 상기 리브(21)에는 숫나사(21a)가 형성되어 상기 상측원통부(11)의 암나사(15)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밀폐판(25)은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구획판(13)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걸림부(24)는 상기 상부원통체(11)의 돌출막(16)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막(16)의 상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밀폐판(25)은 직경이 상기 구획판(13)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음료용기의 입구(1a)의 내경보다 적게 형성되어, 상기 구획판(13)의 내측에 형성된 구멍을 하측에서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부재(20)의 저면에는 요홈부(26)가 형성되어 자재를 절감시키고 조립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상기 뚜껑(30)은 도 1, 2, 3a,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측원통 부(11)의 외측에 씌워지고, 뚜껑(30)의 상측부 내주면에 하측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돌출된 돌기(31)가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20)의 걸림부(24) 사이에 끼워지며, 뚜껑(30)의 하단에는 봉인띠(32)가 형성되고 그 봉인띠(32) 내주면에 환형턱(32a)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20)의 리브(21)에 형성된 숫나사(21a)는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측원통부(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15)는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하측으로 부터 상기 상측원통부(11) 내부로 승강부재(20)를 밀어 넣으면, 상기 숫,암나사(21a)(15)가 용이하게 나사결합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구획판(13)의 저면에는 실링부재(40)가 부착된다.
여기서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본체(10)의 구획판(13)의 하측면에 환상의 실링부를 하방 내측으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용기(1)의 입구(1a)와 구획판(13) 사이가 상기 실링부에 의하여 밀봉됨과 아울러 구획판(13)과 밀폐판(25) 사이가 실링부에 의하여 밀봉되도록 하여, 별도의 실링부재(40)가 필요 없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과정을 도 1,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에 형성된 구획판(13) 저면에 실링부재(40)를 접착시킨 다음, 본체(10)의 하측부로 부터 상기 승강부재(20)를 상측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승강부재(20)의 걸림부(24) 및 리브(21)가 구획판(13)의 내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면서 승강부재(20)가 상승되어 승강부재(20)의 밀폐판(25)이 상기 실링부재(40)에 접촉되는 데, 상기 회전부재(20)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부(24)는 상측원통부(11)에 형성된 돌출막(16)을 밀어올리면서 상승되어 상측원통부(11)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측원통부(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15)와 승강부재(20)의 리브(21)에 형성된 숫나사(21a)가 나사결합된다.
그 다음 뚜껑(30)을 본체(10)의 상측원통부(11)에 씌워주면, 뚜껑(30)에 형성된 돌기(31)가 회전부재(20)의 걸림부(24) 사이에 삽입되고 밀봉띠(32)에 형성된 환형턱(32a)은 상부원통부(11)에 형성된 환형턱(17) 하측에 위치되어,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기 개폐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조립이 완료된 본 발명의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1)의 입구(1a)에 나사결합된다.
음료용기(1)에 결합된 상기의 음료용기 개폐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개폐장치에 의하여 음료용기의 입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승강부재(20)가 하강되어 음료용기의 입구가 개방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의 상태에서 뚜껑(30)을 손으로 잡고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뚜껑(30)이 밀봉띠(32)로 부터 이탈되면서 뚜껑(30)이 회전된다. 뚜껑(30)이 정회전되면, 승강부재(20)의 걸림부(24) 사이에 뚜껑(30)의 돌기(31)가 삽입되어 있어 승강부재(20)도 정회전된다. 승강부재(20)가 정회전되면 승강부재(20)에 형성된 숫나사(21a)와 상측원통부(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15)가 나사결합되어 있어 승강부재(20) 가 하강된다. 승강부재(20)가 하강되면 밀폐판(25)이 실링부재(40)로 부터 이격된다. 도 6의 상태에서 뚜껑(30)을 벗기고 음료용기(1)를 기울이면 음료용기에 저장된 음료는 도 7, 4b,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40)와 밀폐판(25) 사이의 공간부(1c), 리브(21) 사이의 공간부(21b) 및 걸림돌기(24) 사이의 공간부(24b)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므로 음료를 섭취할 수 있다.
도 6는 승강부재(20)가 최하점까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승강부재(20)가 약간 하강되어 밀폐판(25)이 실링부재(40)로 부터 이탈되면 뚜껑(30)을 열고 음료용기(1)로 부터 음료를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승강부재(20)가 약간 하강된 상태에서 뚜껑(30)을 계속 정회전시키면 승강부재(20)는 계속 하강하다가 승강부재(20)의 걸림부(24)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원통부(11)의 돌출막(16)에 접촉된다. 상기 돌출막(16)에 상기 걸림부(24)가 접촉되면 승강부재(20)는 상기 돌출막(16)에 의하여 하강을 멈추게 되고, 뚜껑(30)은 공회전되므로 승강부재(20)가 상측원통부(11)로 부터 이탈되어 음료용기(1) 내부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한 다음, 음료용기(1)의 입구(1a)를 폐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뚜껑(30)을 본체(10)의 상측원통부(11)에 씌워 뚜껑의 돌기(31)가 승강부재(20)의 걸림부(24) 사이에 삽입되게 한 다음, 뚜껑(30)을 역회전시키면, 승강부재(20)도 역회전되어 승강부재(20)는 상승되고, 승강부재(20)의 밀폐판(25)은 실링부재(40)에 밀착되므로 음료용기(1)의 입구(1a)가 폐쇄된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링부재(40)가 본체(10)의 구획판(13) 저면에 접착되어 있으나, 상기 실링부재(40)를 생략하고 상기 승강부재의 밀폐판(25)이 직접 상기 구획판(13)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음료용기의 입구를 폐쇄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뚜껑(30)을 벗긴 다음, 뚜껑(30)을 일시적으로 상기 본체(10)에 부착시켜 보관할 수 있는 뚜껑착탈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착탈수단은 뚜껑(30)의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돌기와,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요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뚜겅(30)을 본체(10)로 부터 벗긴 다음 상기 본체(10)의 요홈에 뚜껑(30)의 돌기를 끼어넣어 뚜껑(30)을 본체(10)에 부착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밀봉띠(32)가 씌워진 상측원통부(11)의 하측부에 미세한 구멍을 천공하여 음료를 설취할 때 상기 미세한 구멍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토록 씌워진 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삽입되어 상기 뚜껑이 정회전되면 하강되어 용기의 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뚜껑이 역회전되면 상승되어 용기의 입구를 폐쇄하는 승강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뚜껑을 회전시키면 승강부재가 회전되면서 승강되어 음료용기의 입구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음료가 취출되는 배출구를 손으로 접촉하지 않고 음료용기의 입구가 개폐되므로 음료 배출구의 청결상태가 유지되어 위생효과가 증진된다.

Claims (10)

  1.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삽입되어 정회전되면 하강되어 용기의 입구를 개방하고 역회전되면 상승되어 용기의 입구를 폐쇄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본체에 착탈 및 회전가능토록 씌워져 상기 승강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승강부재와 결합된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재는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리브가 형성된 기둥부와, 상기기둥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는 밀폐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승강부재는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측원통부와, 상기 상측원통부 보다 직경이 큰 하부원통부로 형성되고, 상기 하측원통부의 상측단으로 부터 내측을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측원통부의 하측단과 연결되고 용기의 입구 상측에 위치되는 구획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개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의 저면에 실링부재가 부착되거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 료용기 개폐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의 리브에는 숫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숫나사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개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숫나사는 나사면이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는 나사면이 상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개폐장치.
  8. 삭제
  9.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삽입되어 정회전되면 하강되어 용기의 입구를 개방하고 역회전되면 상승되어 용기의 입구를 폐쇄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본체에 착탈 및 회전가능토록 씌워져 상기 승강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승강부재와 결합된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와 상기 승강부재에는 상기 승강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승강부재의 상단에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가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면에 중앙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돌출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개폐장치.
  10.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삽입되어 정회전되면 하강되어 용기의 입구를 개방하고 역회전되면 상승되어 용기의 입구를 폐쇄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본체에 착탈 및 회전가능토록 씌워져 상기 승강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승강부재와 결합된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재의 상단에는 외측을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에는 상기 걸림부 사이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개폐장치.
KR1020010069261A 2001-11-07 2001-11-07 음료용기 개폐장치 KR100860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261A KR100860834B1 (ko) 2001-11-07 2001-11-07 음료용기 개폐장치
PCT/KR2002/002047 WO2003039986A1 (en) 2001-11-07 2002-11-04 Closer of beverage vessel
CNA028034899A CN1484601A (zh) 2001-11-07 2002-11-04 饮料容器端盖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261A KR100860834B1 (ko) 2001-11-07 2001-11-07 음료용기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914A KR20030037914A (ko) 2003-05-16
KR100860834B1 true KR100860834B1 (ko) 2008-09-29

Family

ID=29568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261A KR100860834B1 (ko) 2001-11-07 2001-11-07 음료용기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8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17271A1 (en) * 2018-12-12 2022-01-20 Caps & Closures Pty. Ltd Cap for dispensing liquids from a contai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5705A (ko) * 2004-06-12 2008-04-23 노희권 용기마개
KR100975947B1 (ko) * 2010-03-26 2010-08-13 (주)솔로몬스포츠 핸들 내장형 소독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0000828A1 (en) * 1978-10-25 1980-05-01 Otamar Embalagens Tecn Ltd Non-removable valved spout for bottles
JPS6062058U (ja) * 1983-09-30 1985-04-30 豊國樹脂工業株式會社 液体容器のキヤツプ装置
KR19990014578U (ko) * 1997-10-07 1999-05-06 이진경 포장용 용기의 마개조립체
KR19990037201U (ko) * 1999-06-30 1999-10-05 원제돈 음료용기
KR20030028119A (ko) * 2001-09-27 2003-04-08 노희권 음료취출구
WO2003039986A1 (en) * 2001-11-07 2003-05-15 Hee Kwon Rho Closer of beverage vesse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0000828A1 (en) * 1978-10-25 1980-05-01 Otamar Embalagens Tecn Ltd Non-removable valved spout for bottles
JPS6062058U (ja) * 1983-09-30 1985-04-30 豊國樹脂工業株式會社 液体容器のキヤツプ装置
KR19990014578U (ko) * 1997-10-07 1999-05-06 이진경 포장용 용기의 마개조립체
KR19990037201U (ko) * 1999-06-30 1999-10-05 원제돈 음료용기
KR20030028119A (ko) * 2001-09-27 2003-04-08 노희권 음료취출구
WO2003039986A1 (en) * 2001-11-07 2003-05-15 Hee Kwon Rho Closer of beverage vess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17271A1 (en) * 2018-12-12 2022-01-20 Caps & Closures Pty. Ltd Cap for dispensing liquids from a container
US11993425B2 (en) * 2018-12-12 2024-05-28 Caps & Closures Pty. Ltd Cap for dispensing liquids from a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914A (ko) 200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33730B2 (ja) ボトル水ステーション用のボトルキャップ/弁組立体
KR100393154B1 (ko) 캡 및 스파우트를 구비한 음료수 용기
KR101133979B1 (ko) 진공용기 뚜껑과 이를 위한 체크밸브 및 패킹
CA2197416C (en) Shaker for condiments
US5346088A (en) Reusable beverage can cap
US20070215627A1 (en) Cap With Push Type Opener
KR100860834B1 (ko) 음료용기 개폐장치
US5221020A (en) Reusable beverage can cap
KR100844160B1 (ko) 음료용기의 개폐장치
KR100613226B1 (ko) 소다수용기의 마개
KR100905759B1 (ko) 음료용기 개폐장치
JP2005510425A (ja) 容器の開閉装置
WO2004110891A1 (en) Cap of can for drinking and can for drinking having the same
JP3904788B2 (ja) 飲料容器
JPH11240552A (ja) 飲料用容器のふた
KR100783189B1 (ko) 씰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KR100810744B1 (ko) 음료취출구
JP4215144B2 (ja) シールされた注出孔付きの合成樹脂製中栓
CN216569436U (zh) 一种吸管可拆卸的水杯
WO2003039986A1 (en) Closer of beverage vessel
JPH10194316A (ja) 飲料用注出容器
KR100814483B1 (ko) 씰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
JP2002128116A (ja) ノズル付きのボトルキャップ
JP3201753B2 (ja) 瓶の口部の構造
JPS6090151A (ja) 容器、中栓及び外蓋から成る組合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