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578U - 포장용 용기의 마개조립체 - Google Patents

포장용 용기의 마개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578U
KR19990014578U KR2019970027760U KR19970027760U KR19990014578U KR 19990014578 U KR19990014578 U KR 19990014578U KR 2019970027760 U KR2019970027760 U KR 2019970027760U KR 19970027760 U KR19970027760 U KR 19970027760U KR 19990014578 U KR19990014578 U KR 199900145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ontainer
discharge hole
contents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2019Y1 (ko
Inventor
이진경
Original Assignee
이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경 filed Critical 이진경
Priority to KR2019970027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019Y1/ko
Publication of KR199900145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5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0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atchet-and-pawl mechanism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closure skirt or the tamp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65D47/24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 B65D47/24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moving he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28Upper closure of the 51-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37Intermediate closure(s)
    • B65D2251/0056Intermediate closure(s) of the 47-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78Lower closure of the 41-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 마요네즈 및 식용유와 같은 각종 내용물이 담겨지는 포장용 용기의 마개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용기의 목부위에 결합된 상태에서 마개를 평면회전시켜주는 것에 의하여 용기의 개봉과 용기의 개,폐 그리고 내용물의 토출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용기의 목부위에 평면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토출구멍(12)을 가로막는 위조망지수단(14)을 가진 겉마개(A)와, 내용물토출구멍(44)을 가지며 겉마개(A)가 평면회전할 때 겉마개(A)속에서 겉마개(A)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겉마개(A)와 키이결합되는 제1 속마개(B)와, 제1 속마개(B)의 내용물토출구멍(44)을 개, 폐시켜주는 밸브체(50)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제1 속마개(B)가 겉마개(A)와 함께 회전할 때 제1 속마개(B)를 겉마개(A)의 토출구멍(12)쪽을 향하여 나선형으로 오르내리도록 해주어서 제1 속마개(B)가 자신의 내용물토출구멍(44)을 개, 폐하면서 겉마개(A)의 토출구멍(12)쪽에 있는 위조방지수다(14)을 파열시켜줄 수 있도록 해주는 제2 속마개(C)로 이루어진 포장용 용기의 마개조립체임.

Description

포장용 용기의 마개조립체
본 고안은 화장품, 마요네즈 및 식용유와 같은 각종 내용물이 담겨지는 포장용 용기의 마개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기의 목부위에 결합된 상태에서 마개를 평면회전시켜주는 것에 의하여 용기의 개봉은 물론 내용물의 토출량 조절이 가능한 포장용 용기의 마개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마개는 크게 나누어서 용기의 목부위로부터 완전히 제거함으로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과, 내용물의 토출구멍을 가진 마개본체와 이 마개본체의 한쪽에 경첩으로 연결된체 마개본체의 내용물 토출구멍을 개, 폐시켜주는 뚜껑으로 된 것이 알려져 있었다.
전자의 경우에는 내용물을 사용할 때마다 마개를 용기의 목부위에 나사결합시켜주거나 풀어서 제거해주어야만 했었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매우 번거로웠을 뿐 아니라 내용물의 토출량을 쉽게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후자의 경우에는 마개본체의 한쪽에 달린 뚜껑을 여닫으면서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어서 사용하기가 전자의 경우보다는 편리하지만 전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내용물의 토출량을 쉽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와같은 종래의 마개는 용기의 부정한 개봉을 방지해주기 위해서는 합성수지필름으로 된 랩과 같은 위조방지수단으로 밀봉시켜주어야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자는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문제점을 예의 검토한 결과 겉마개에 토출구멍을 형성하고 위조방지수단을 토출구멍상에 형성하며 겉마개를 용기의 목부위에서 평면회전시켜주는 것에 의해서 토출구멍상에 있는 위조방지수단이 파열되고 속마개의 내용물토출구멍이 개, 폐됨과 아울러 내용물의 토출량이 조절될 수만 있다면 종래기술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임을 알게 되어서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의 목부위부에 평면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토출구멍과 위조방지수단을 가진 겉마개와 내용물 토출구멍을 가지며 겉마개와 함께 회전하는 제1 속마개와, 이 제1 속마개를 겉마개의 토출구멍쪽으로 운동시켜주면서 제1 속마개의 내용물 토출구멍을 개, 폐시켜주는 제2 속마개로 이루어진 용기의 마개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용기를 개봉하기전 상태를 보인 본 고안에 의한 마개조립체인 종단면도.
제2도는 용기를 개봉시켜서 내용물을 용기밖으로 토출하는 상태를 보인 본 고안에 의한 마개조립체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겉마개B : 제1 속마개
C : 제2 속마개
본 고안은 제1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크게 나누어서 겉마개(A), 이 겉마개(A)속에서 겉마개(A)와 함게 회전하면서 겉마개(A)의 내벽면을 따라서 위, 아래로 움직이는 제1 속마개(B)와, 겉마개(A)와 제1 속마개(B)가 함께 회전될 때 제1 속마개(B)를 위, 아래로 운동시켜주는 제2 속마개(C)로 이루어진 것이다.
겉마개(A)의 막혀진 윗벽(10)중앙에는 토출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토출구멍(12)은 위조방지수단(14)으로 막혀져 있으며, 위조방지수단(14)은 겉마개(A)의 윗벽(10)과 두께가 얇은 브릿지(16)로 연결되어 있어서 나중에 설명되는 제1 속마개(B)에 의해서 파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겉마개(A)의 내주면(18)에는 길이방향으로 스플라인(20)이 형성되어 있고, 겉마개(A)의 내주면(18)아래쪽에는 나중에 설명되는 제2 속마개(C)가 이탈되지 않도록 해주는 환상돌기(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환상돌기(22) 아래쪽에는 쐬기형 돌출부(24)가 형성되어 있어서 용기(D)의 목부위(26)에 있는 걸림턱(28)을 타고 넘어서 용기(D)의 목부위(26)에서 평면회전가능하게 결합시켜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 속마개(B)는 동심원상의 제1 원통체(30)와 제2 원통체(32)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원통체(30)의 외주면(34) 하부에는 상기 겉마개(A)의 내주변(18)에 있는 스플라인(20)들 사이에 걸려져서 겉마개(A)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해줌과 아울러 상기 스플라인(20)들을 따라서 제1 속마개(B)자체를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해주는 돌기(36)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1원통체(30)의 내주면(38)화부에는 나중에 설명되는 제2 속마개(C)의 외주면에 있는 나선홈에 끼워지는 돌기(40)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원통체(32)는 상기 겉마개(A)에 형성된 토출구멍(12)을 관통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 것으로서 막혀진 윗벽(42)중앙에는 용기(D)에 담겨진 내용물의 토울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속마개(C)는 동심원상의 제1 원통체(46), 제2 원통체(48) 및 밸브체(50)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원통체(46)의 하단부에는 상기 겉마개(A)의 내주면(18)에 있는 환상돌기(22)를 타고 넘어서 겉마개(A)속에 조립되는 플랜지(52)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원통체(46)의 외주면(54)에는 상기 제1 속마개(B)의 돌기(40)가 끼워지는 나선홈(56)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원통체(48)는 상기 제1 원통체(46)의 상부로 연장되어 있고, 제2 원통체(48)의 상부에는 상기 제1 속마개(B)에 있는 토출구멍(44)을 개, 폐시켜주는 밸브체(50)가 연장되어있다.
밸브체(50)는 헤드(58)와 여러개의 브릿지(60)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제2 원통체(48)의 내부와 통하는 공간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속마개(C)는 겉마개(A)속에 조립됨과 아울러 용기(D)의 목부위(26)에 있는 연장목부(64)가 억지끼워맞춤되는 환상요입부(66)가 제1 원통체(46)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용기(D)의 연장목부(64)에 있는 돌기(65)가 환상요입부(66)에 있는 스플라인(67)에 끼워져서 즉, 키이결합되어서 겉마개(A)를 회전시켜줄 때 제2 속마개(C)자체는 겉마개(A) 및 제1 속마개(B)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겉마개(A)와 함께 회전하는 제1 속마개(B)만을 나선형으로 회전시켜주어서 제1 속마개(B)가 자신의 내용물 토출구멍(44)을 개방하면서 겉마개(A)에 있는 토출구멍(12)을 향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해준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한 마개조립체는 제1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용기(D)와 최초결합된 상태에서는 겉마개(A)의 토출구멍(12)이 위조방지수단(14)으로 가로막혀져 있고, 제1 속마개(B)를 이루는 제1 원통체(30)의 내주면(38)하부에 있는 돌기(40)가 제2 속마개(C)를 이루는 제1 원통체(46)의 외주면(54)에 있는 나선홈(56)의 하사점(56A)에 위치하여서 제1 속마개(B)에 있는 밸브체(50)의 헤드(58)로 폐쇄된체 제1 속마개(B)의 제2 원통체(32)가 겉마개(A)의 토출구멍(12) 직하방에 위치하게 되어서 용기(D)를 밀봉시켜준다.
이와같이 밀봉된 상태에서 제2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겉마개(A)를 반시계방향으로 평면회전시켜주게 되면 겉마개(A)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스플라인(20)과 돌기(36)로 키이(Key)결합된 제1 속마개(B)가 제2 속마개(C)에 있는 나선홈(56)을 따라서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제1 속마개(B)의 제2원통체(32)에 있는 내용물 토출구멍(44)은 제2 속마개(C)의 밸브체(50)에 있는 헤드(58)로부터 멀어지게 되어서 제1 속마개(B)의 토출구멍(44)이 개방되고, 제1 속마개(B)가 제2 속마개(C)에 있는 나선홈(56)의 상사점(56b)에 도달하는 동안에 제1 속마개(B)의 제2 원통체(32)가 겉마개(A)의 토출구멍(12)을 가로막고 있던 위조방지수단(14)의 브릿지(16)를 파열시키면서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위조방지수단(14)을 겉마개(A)로부터 제거하면서 용기(D)를 개봉시켜준다.
이와같은 상태에서는 제1 속마개(B)의 내용물 토출구멍(44)과 겉마개(A)의 토출구멍(12)이 모두 개방되는 것이므로 용기(D)의 몸통부분(68)을 눌러줄 때 내용물이 용기(D)밖으로 배출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 겉마개(A)를 평면회전시켜주는 정도에 따라서 제A 속마개(B)의 제2원통체(32)상의 토출구(44)와 제2 속마개(C)의 밸브체(50)간의 공간크기가 조절되는 것이므로 용기(D)에 담겨진 내용물의 토출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용기(D)의 목부위(26)에 평면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겉마개(A)를 단순히 회전시켜주는 것만으로도 밀봉된 용기(D)를 개봉시켜줄 수 있음과 아울러 용기(D)가 일단 개방된 후에는 내용물의 토출량을 임의로 조절하면서 용기(D)를 정확하게 개, 폐시켜 줄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고, 특히 용기(D)에 착탈시켜서 반복사용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용기(D)를 바꾸거나 내용물을 빈 용기(D)에 재충전하여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막혀진 윗벽(10)중앙에 위조방지수단(14)으로 가로 막혀지는 토출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용기의 목부위에서 평면회저될 수 있도록 용기의 목부위에 억지끼워맞춤되는 겉마개(A)와, 내용물 토출구멍(44)이 막혀진 윗벽(42)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겉마개(A)의 내주면(18)에서 스플라인(20)과 돌기(36)로 키이결합되어서 겉마개(A)와 함께 회전하면서 겉마개(A)의 내주면(18)을 따라서 오르내릴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내주변(38)에 돌기(40)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속마개(B)와, 제1 속마개(B)의 돌기(40)가 끼워지는 나선홈(56)이 외주면(54)에 형성되어 있고 제1 속마개(B)의 내용물 토출구멍(44)을 개, 폐시켜주는 밸브체(50)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겉마개(A)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겉마개(A)속에 끼워맞춤되어 있고 용기의 연장목부에 끼워맞춤되는 환상요입부(66)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어서 제1 속마개(B)가 자신의 내용물토출구멍(44)을 개방하면서 겉마개(A)의 토출구멍(12)을 가로막는 위조방지수단(14)을 파열시켜줄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제2 속마개(C)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의 마개조립체.
KR2019970027760U 1997-10-07 1997-10-07 포장용 용기의 마개조립체 KR2001620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760U KR200162019Y1 (ko) 1997-10-07 1997-10-07 포장용 용기의 마개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760U KR200162019Y1 (ko) 1997-10-07 1997-10-07 포장용 용기의 마개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578U true KR19990014578U (ko) 1999-05-06
KR200162019Y1 KR200162019Y1 (ko) 1999-12-01

Family

ID=19511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760U KR200162019Y1 (ko) 1997-10-07 1997-10-07 포장용 용기의 마개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01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9986A1 (en) * 2001-11-07 2003-05-15 Hee Kwon Rho Closer of beverage vessel
KR100546909B1 (ko) * 1999-03-20 2006-01-26 김순홍 작동부가 회전 방식으로 개폐되는 특징의 합성수지 병뚜껑
KR100860834B1 (ko) * 2001-11-07 2008-09-29 노희권 음료용기 개폐장치
KR100905759B1 (ko) * 2002-11-02 2009-07-02 노희권 음료용기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474Y1 (ko) * 2007-10-31 2009-11-04 애경산업(주) 액상 포장 용기
KR20180082903A (ko) * 2017-01-11 2018-07-19 박내덕 점성용액 내용물 토출용 용기뚜껑
KR101960168B1 (ko) * 2017-06-05 2019-03-19 이이한 위조방지용 병뚜껑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909B1 (ko) * 1999-03-20 2006-01-26 김순홍 작동부가 회전 방식으로 개폐되는 특징의 합성수지 병뚜껑
WO2003039986A1 (en) * 2001-11-07 2003-05-15 Hee Kwon Rho Closer of beverage vessel
KR100860834B1 (ko) * 2001-11-07 2008-09-29 노희권 음료용기 개폐장치
KR100905759B1 (ko) * 2002-11-02 2009-07-02 노희권 음료용기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2019Y1 (ko) 199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1994B1 (en) Closure having rotatable spout and axially movable stem
US6702161B2 (en) Closure having rotatable spout and axially movable stem
US7261226B2 (en) Closure having rotatable spout and axially movable stem
US6015054A (en) Container closure assembly with profiled screw threads
KR101512526B1 (ko) 개봉-확인 클로저
US6152320A (en) Closure with articulated lid
CA1294585C (en) Combination of endpiece and recipient
US5722545A (en) Container with twist-on-off closure cap
US4709823A (en) Tamper evident bottle or package closure
RU2286932C2 (ru) Повторно запечатываемое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открытого торца сосуда для напитков
US4489864A (en) Interference stop punch-out closure
US7712638B2 (en) Dual overlapping flip top closure assembly
KR20100044804A (ko) 개봉-확인용 클로저
CA2041447A1 (en) Moisture resistant dispensing top
JP6608373B2 (ja) 開栓明示機能を有するクロージャ
US5678735A (en) Rupturable stopper for a pouring spout
CA2428077A1 (en) Synthetic-resin screw cap
AU2002314361B2 (en) Closure assembly with valve
AU2002314361A1 (en) Closure assembly with valve
KR200348302Y1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KR19990014578U (ko) 포장용 용기의 마개조립체
JP4342839B2 (ja) 易開栓容器蓋
JP5909951B2 (ja) 複合キャップ
EP1892195B1 (en) A dispensing closure
JP2004106856A (ja) 副容器を備えた容器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