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168B1 - 위조방지용 병뚜껑 - Google Patents

위조방지용 병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168B1
KR101960168B1 KR1020170069507A KR20170069507A KR101960168B1 KR 101960168 B1 KR101960168 B1 KR 101960168B1 KR 1020170069507 A KR1020170069507 A KR 1020170069507A KR 20170069507 A KR20170069507 A KR 20170069507A KR 101960168 B1 KR101960168 B1 KR 101960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hole
rotating body
guid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3055A (ko
Inventor
이이한
Original Assignee
이이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이한 filed Critical 이이한
Priority to KR1020170069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168B1/ko
Publication of KR20180133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4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24Closures in which a part has to be ruptured to gain access to the contents
    • B65D2101/0023
    • B65D2101/006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45Windows in external skirts for viewing tamper-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병뚜껑은, 병뚜껑의 처음 열림과 동시에 병뚜껑으로부터 분리되는 위조방지판을 구비하고, 이 위조방지판이 병뚜껑으로부터 분리된 이후 다시 병뚜껑에 부착할 수 없게 하여 병에 담겨진 내용물의 위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위조방지용 병뚜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위조방지판이 병뚜껑에서 분리된 이후에는 병뚜껑의 회전 조절에 따라 병에서 배출되는 내용물의 배출량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위조방지용 병뚜껑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위조방지용 병뚜껑{bottle cap for preventing fabrication}
본 발명은 병을 개방 도는 밀봉하는 병뚜껑에 관한 것으로, 병 내부의 내용물이 위조되는 것을 예방하고, 병 내용물의 배출량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병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뚜껑은 음료수나 술과 같은 내용물이 담겨진 병의 입구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내용물을 마시고자 할 경우 상기 병으로부터 분리시켜 사용하는 것이고, 이러한 병뚜껑은 통상적으로 병의 입구에 끼어서 밀봉하는 구조나, 병의 입구에 형성된 나사에 결합됨으로써 밀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의 병뚜껑은 병으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다시 병에 부착할 수 있어 병에 담긴 내용물의 위조나 이물질이 투입된 여부를 전혀 알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즉, 불손한 마음을 가진 자가 소비된 후 버려진 병을 회수하고 위조된 내용물을 담은 후, 병뚜껑을 결합시키면 일반소비자들은 위조된 것을 알지 못하고 구매하게 되고, 특히, 병에 담겨진 내용물이 고가의 술이나 화장품인 경우에는 이렇게 위조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였고, 위조된 술을 마시거나 화장품을 사용한 소비자는 건강에 심각한 해를 주는 경우가 많았으며, 위조한 사람은 막대한 부당이득을 취할 수가 있었다.
또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이 완료된 병은 재활용 가능하여 수거하게 되는데, 이때 수거된 병을 재활용 공장으로 환원되지 않고 불법으로 유통시켜 정식적으로 영업 허가가 나지 않는 업소에서 병의 주변만을 깨끗이 세척시켜 준 다음 병의 내부에 내용물을 담아 불법으로 유통하여 정상적으로 영업 허가를 받고 생산하는 생산업자가 그만큼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오게 되고, 소비자에게는 정상적인 제품을 살 수 없는 등의 제반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 실시하고 있는 병뚜껑은 어느 정도 효율성에 한계가 있어 이를 사용하는 사용상의 신뢰도가 극소화되는 문제점들이 항상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08102호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병뚜껑은, 병뚜껑의 처음 열림과 동시에 병뚜껑으로부터 분리되는 위조방지판을 구비하고, 이 위조방지판이 병뚜껑으로부터 분리된 이후 다시 병뚜껑에 부착할 수 없게 하여 병에 담겨진 내용물의 위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위조방지용 병뚜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위조방지판이 병뚜껑에서 분리된 이후에는 병뚜껑의 회전 조절에 따라 병에서 배출되는 내용물의 배출량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위조방지용 병뚜껑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병뚜껑은, 병을 개방 또는 밀폐하는 병뚜껑에 있어서, 병 주입구에 형성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병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이 내부에 형성되는 체결부가 상면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고정체;
상기 체결부에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되고, 상부에는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병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안내구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체결부에서 회전되면서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안내구가 상기 고정체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는 회전체; 및
상기 고정체 및 회전체를 감싸고,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체에 외력을 전달하여 회전체를 회전시키며, 상면에는 상기 안내구가 돌출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외부캡;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부캡은, 상기 관통공을 폐쇄하고, 소정의 외력에 의해 상기 관통공에서 분리되는 위조방지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위조방지판은 상기 회전체의 상승에 따라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상기 안내구에 의해 상기 관통공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병뚜껑은, 병으로부터 병뚜껑의 최초 개봉시 병뚜껑으로부터 분리되고, 병뚜껑으로부터 분리된 이후 다시 병뚜껑에 부착할 수 없는 위조방지판을 형성하여, 병에 담겨진 내용물의 위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위조방지판이 병뚜껑에서 분리된 이후, 병뚜껑의 회전수 조절에 따라 병에서 배출되는 내용물의 배출량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병뚜껑이 체결된 술병의 모식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병뚜껑의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병뚜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술병과 같은 병을 개방 또는 밀봉하는 병뚜껑에 관한 것으로, 병 주입구에 형성되고, 외주연에 나사산(11a)이 형성되면서 병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11b)을 갖는 체결부(11)가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체(10); 상기 체결부(11)와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되고, 상부에는 상기 배출공(11b)을 통해 배출되는 병(1)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안내구(21)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체결부(11)에서 회전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안내구(21)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회전체(20); 및 상기 고정체(10) 및 회전체(20)를 감싸면서 상기 병 주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체(20)에 외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며, 상면에는 상기 안내구(21)가 돌출될 수 있는 관통공(30a)이 형성되는 외부캡(3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외부캡(30)은, 상기 관통공(30a)을 폐쇄하고 소정의 외력에 의해 상기 관통공(30a)에서 분리되는 위조방지판(3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위조방지판(31)은 상기 회전체(20)의 상승에 따라 상기 관통공(30a)을 관통하는 상기 안내구(21)에 의해 상기 관통공(30a)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병뚜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은, 병의 목부분에 형성되는 병 주입구에는, 배출공(11b)을 갖는 체결부(11)가 상면에 연장 형성되어 병 주입구에 끼워지는 고정체(10); 상기 고정체(10) 상부의 체결부(11)에 체결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배출공(11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병 내부의 내용물을 차단하거나 외부로 배출시키는 회전체(20); 및 상기 고정체(10)와 회전체(20)를 감싸고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체(20)를 회전시키는 외부캡(3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체(10)는 상하부가 개구되어 병 주입구에 억지끼움 되는 것으로, 외주연에 나사산을 갖는 관 형상의 체결부(11)가 고정체(10)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고정체(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1)의 내측 중앙부에는 판 또는 하부가 폐쇄된 통 형상의 차단부(12)가 체결부(11)의 내주연에 일측이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고정대(12a)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되고, 상단부가 상기 체결부(11)의 상측으로 소정높이 돌출된다.
상기 체결부(11)는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10)의 상면에는 상기 체결부(11)의 외측으로 링 형상의 안착부(13)가 형성된다.
즉, 체결부(11)의 내측 중앙부에는 고정대(12a)에 의해 고정되는 차단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1)와 차단부(12) 사이에는 병 내부의 액체와 같은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1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공(11b)은 상기 고정대(12a)에 의해 2개 이상으로 분할된다.
따라서 병(1) 내부의 액체와 같은 내용물은 상기 고정체(10)의 배출공(11b)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체(10)는 하부 내주연에 상기 고정체(10)가 병 주입구에 억지끼움된 후 상측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적어도 2개의 돌기부(15)가 소정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데, 병 주입구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상기 돌기부(15)의 상단부가 걸리면서 병 주입구에 상기 고정체(10)가 상측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체(10)는 병 주입구와 고정체(10)의 체결상태를 확인 수 있는 소정 면적의 개방창(14a)이 구비되는 확인부(14)가 상기 안착부(13)와 돌기부(15)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확인부(14)는 안착부(13)에 근접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져 상기 안착부(13)가 확인부(14)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개방창(14a)은 하측 테두리부가 고정체(10)의 내부로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병 주입구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사산에 상기 개방창(14a)의 하측 테두리부가 걸려 고정체(10)가 상측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체(10)는 나사산(11a)과 배출공(11b)을 갖는 체결부(11)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면 테두리부에는 안착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13)의 하측에는 개방창(14a)을 갖는 확인부(14)가 형성되고, 확인부(14)의 하측에는 병 주입구의 나사산에 걸리는 돌기부(15)가 차례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체(10) 상부의 체결부(11)에는 외력에 의해 상기 체결부(11)에서 회전하고, 회전에 의해 체결부(11)에서 상하 이동하는 회전체(20)가 체결된다.
상기 회전체(20)는 하부가 개구되는 일반적인 마개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차단부(12)에 대응하는 위치에 내부가 관통되는 안내구(21)가 상측으로 소정높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11b)을 통해 배출되는 병(1) 내부의 내용물이 상기 안내구(21)를 통해 외부로 완전히 배출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20)는 내주연에 상기 체결부(11)의 나사산(11a)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톱니 형상의 걸림부(22)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체결부(11)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20)는 상기 체결부(11)에 체결되어 상기 차단부(12)가 상기 안내구(21)의 내측으로 억지끼움되거나 안내구(21)의 하부를 폐쇄하여 병(1) 내부를 밀봉시키며, 외력에 의해 상기 체결부(11)에서 회전하여 상승시 상기 안내구(21)와 차단부(12)가 이격되어 병 내부의 내용물이 상기 배출공(11b)으로 배출된 후 상기 안내구(21)를 통해 외부로 완전히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체(10)의 상부에 회전체(20)가 결합하고, 상기 고정체(10)와 회전체(20)의 외측에는 하부가 개구된 외부캡(30)이 씌워진다.
상기 고정체(10)와 회전체(20)는 상기 외부캡(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외부캡(30)이 상기 고정체(10)와 회전체(20)를 감싸고, 상면에는 상기 안내구(21)가 외부로 돌출되는 관통공(3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캡(30)의 내주연에는 상기 회전체(20)의 걸림부(22) 사이에 위치하여 일측 방향 또는 타측 방향으로 상기 걸림부(22)를 가압하여 회전체(20)가 회전되도록 하는 가압부(32)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32)에서 소정거리 떨어진 하측에는 상기 안착부(13)의 하면에 걸리는 지지부(3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30a)의 내부에는 소정의 외력에 의해 관통공(30a)에서 분리되는 위조방지판(31)이 형성된다.
상기 위조방지판(31)은 병뚜껑을 최초로 사용하기 전에는 상기 관통공(30a)을 차폐하고 있으며, 병뚜껑을 열기 위해 상기 외부캡(30)을 열림 방향으로 최초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체(20)의 안내구(21)가 상승하면서 위조방지판(31)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관통공(30a)에서 상기 위조방지판(31)이 분리되면서 상기 안내구(21)가 관통공(30a)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즉, 상기 위조방지판(31)은 상기 관통공(30a)에서 절개선에 의해 소정 외력에 의해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부캡(30)의 최초 회전(열림방향)에 따라 상기 관통공(30a)에서 분리되어 다시 외부캡(30)에 부착할 수 없는 것으로, 이로 인해 한번 열린 병뚜껑을 재사용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병 내부에 내용물의 위조를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위조방지판(31)은 상기 관통공(30a)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관통공(30a)의 상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의 바람직한 사용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병 주입구에 고정체(10)와 회전체(2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10) 및 회전체(20)의 외측에 외부캡(30)이 형성되며, 병(1) 내부는 고정체(10)의 차단부(12)와 회전체(20)의 안내구(21)의 결합에 의해 밀봉되고, 상기 외부캡(30)의 상면에 형성되는 관통공(30a)은 위조방지판(3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외부캡(30)을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력에 의해 가압부(32)가 걸림부(22)를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회전체(20)가 고정체(10)의 상부에서 회전되면서 상승하고, 회전체(20)의 안내구(21)가 차단부(12)와 이격되어 병(1) 내부가 개방된다.
또한, 상기 외부캡(30)의 상면에 회전체(20)가 걸릴 때까지 계속하여 상기 외부캡(30)을 열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체(20)가 계속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회전체(20)의 상기 안내구(21)가 위조방지판(31)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관통공(30a)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관통공(30a)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외부캡(30)의 열림 방향으로 최초 회전에 의해 위조방지판(31)이 재사용할 수 없도록 외부캡(30)에서 분리되고, 병 주입구가 개방되어 병(1) 내부의 내용물이 안내구(21)를 통해 외부로 완전히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병뚜껑은 병의 개봉시 병뚜껑으로부터 분리된 이후 다시 병뚜껑에 부착할 수 없는 위조방지판(30)에 의해 병에 담겨진 내용물의 위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위조방지판(31)이 외부캡(30)에서 분리된 이후에는 외부캡(30)의 회전을 자유로이 조절하여 차단부(12)와 안내구(21)의 이격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병(1) 내부의 내용물의 배출량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캡(30)을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체(20)가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상기 안내구(21)가 차단부(12)에 의해 폐쇄되고, 이로 인해 병 내부가 다시 밀봉되어 병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병 10 : 고정체
11 : 체결부 11a : 나사산
11b : 배출공 12 : 차단부
12a : 고정대 13 : 안착부
14 : 확인부 14a : 개방창
15 : 돌기부 20 : 회전체
21 : 안내구 22 : 걸림부
30 : 외부캡 30a : 관통공
31 : 위조방지판 32 : 가압부
33 : 지지부

Claims (9)

  1. 병을 개방 또는 밀폐하는 병뚜껑에 있어서,
    병 주입구에 체결되고, 병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11b)과 외주연에 나사산(11a)을 갖는 체결부(11)가 상면에 소정 높이로 연장되는 고정체(10);
    상기 체결부(11)에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되고, 상부에는 상기 배출공(11b)을 통해 배출되는 병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안내구(21)가 상측으로 돌출되며, 외주연에 다수의 걸림부(22)가 형성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체결부(11)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안내구(21)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회전체(20); 및
    상기 고정체(10) 및 회전체(20)를 감싸고, 내주연에는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부(22)를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회전체(20)를 회전시키는 가압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구(21)가 돌출되는 관통공(30a)이 상면에 형성되는 외부캡(3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10)의 상면에는 상기 외부캡(30)의 가압부(32)가 지지되는 안착부(13)가 상기 체결부(11)의 외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캡(30)은 상기 안착부(13)의 하면에 걸리는 지지부(33)가 내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32)와 상기 지지부(33) 사이에 상기 안착부(13)가 끼워져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병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캡(30)은,
    상기 관통공(30a)을 폐쇄하고, 소정의 외력에 의해 상기 관통공(30a)에서 분리되는 위조방지판(3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위조방지판(31)은 상기 회전체(20)의 상승에 따라 상기 관통공(30a)을 관통하는 상기 안내구(21)에 의해 상기 관통공(30a)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병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1)의 내측에는 상기 안내구(21)를 폐쇄 또는 개방하는 차단부(12)가 체결부(11)의 내주연에 일측이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고정대(12a)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배출공(11b)은 상기 차단부(12)와 체결부(11)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12a)에 의해 다수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병뚜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2)는 상부가 뾰족한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병뚜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10)의 하부 내주연에는 상기 병 주입구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걸려 상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돌기부(15)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병뚜껑.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10)의 일측에는 다수의 개방창(1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병뚜껑.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069507A 2017-06-05 2017-06-05 위조방지용 병뚜껑 KR101960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507A KR101960168B1 (ko) 2017-06-05 2017-06-05 위조방지용 병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507A KR101960168B1 (ko) 2017-06-05 2017-06-05 위조방지용 병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055A KR20180133055A (ko) 2018-12-13
KR101960168B1 true KR101960168B1 (ko) 2019-03-19

Family

ID=64671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507A KR101960168B1 (ko) 2017-06-05 2017-06-05 위조방지용 병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1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019Y1 (ko) * 1997-10-07 1999-12-01 이진경 포장용 용기의 마개조립체
KR200371241Y1 (ko) * 2004-09-24 2004-12-31 강석동 캐릭터를 갖는 음료용기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102A (ko) 2004-05-11 2005-11-16 손준빈 위조방지용 병뚜껑
KR200449511Y1 (ko) * 2008-09-02 2010-07-15 (주)아모레퍼시픽 용기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019Y1 (ko) * 1997-10-07 1999-12-01 이진경 포장용 용기의 마개조립체
KR200371241Y1 (ko) * 2004-09-24 2004-12-31 강석동 캐릭터를 갖는 음료용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055A (ko)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7729B2 (en) Tamper evident closure
RU2705642C2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US20160244219A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amper-evident closure
RU2701589C2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с индикацией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вскрытия
EA007677B1 (ru) Откидное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литое в закрытом положении
US3073470A (en) Insertable, self-locking and non-refillable closure for bottles
US6330959B1 (en) Tamper evident closure
KR200417222Y1 (ko) 위조방지용 안전 캡
DE20009203U1 (de) Klappdeckelverschluss mit Originalitätssicherung
KR101960168B1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EP3578478B1 (en) Dispensing closure for a fluid container
US3501041A (en) Safety bottle cap
US10427845B2 (en) Tamper evident closure
RU2005141807A (ru) Пробка, препятствующая доливанию,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войной защиты
CN113573988B (zh) 酒瓶用封闭系统
EP0909718A1 (en) Aseptic cap for containers of liquids
KR100952217B1 (ko) 위조방지 기능을 갖는 양주병 마개구조물
KR20210034198A (ko) 위조 방지를 위한 용기의 구조
CN205441344U (zh) 一种带有食用钢导流管瓶盖及安装有该瓶盖的瓶子
US10293992B2 (en) Anti-refill closure assembly
RU194088U1 (ru) Средство индикации вскрытия укупоро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CN102653326A (zh) 一种防伪瓶盖
KR20040045951A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KR101084463B1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KR20110059063A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