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511Y1 - 용기캡 - Google Patents

용기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511Y1
KR200449511Y1 KR2020080011959U KR20080011959U KR200449511Y1 KR 200449511 Y1 KR200449511 Y1 KR 200449511Y1 KR 2020080011959 U KR2020080011959 U KR 2020080011959U KR 20080011959 U KR20080011959 U KR 20080011959U KR 200449511 Y1 KR200449511 Y1 KR 2004495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discharge port
container
container cap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9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862U (ko
Inventor
민홍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800119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51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28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8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5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5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6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bayonet cams, i.e. removed by first pushing axially to disengage the cams and then rot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의 토출구에 체결되는 용기 캡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용기몸체의 토출구에 장착되어 수용된 내용물을 이물질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내용물에 포함된 휘발성분이 휘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용기캡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10)의 토출구(11)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2)에 대하여 대응하는 피치를 이루되, 위에서 아래로 눌러 장착할 때 상기 토출구(11)의 나사산(12)을 부드럽게 넘어서 걸림되어질 수 있도록 진행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눕여진 경사면을 이룸과 동시에 나사산(12)을 넘어설 때 탄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도록 얇은 두께를 가지는 스냅나사산(22)이 테두리벽(21) 내주면에 형성된 용기캡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용기몸체, 토출구, 나사산, 용기캡, 테두리벽, 스냅나사산

Description

용기캡 {BOTTLE CAP}
본 고안은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의 토출구에 체결되는 용기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토출구에 캡을 신속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에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토출구로부터 캡을 여러번 회전시켜야만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분별이 떨어지는 어린아이들이 캡을 쉽게 열어 발생할 수 있는 내용물의 낭비는 물론 아이들이 화장품을 먹어 신체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몸체에 내용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수용된 내용물을 보호할 목적으로 토출구에 캡을 장착 사용하게 된다.
상기 용기몸체의 토출구에 장착되는 캡은 주로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캡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용기몸체의 토출구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그 형태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나사산을 가지고 있는가 하면, 회전수를 줄이면서 부드럽게 캡핑할 수 있도록 된 두줄 나사산이 있고, 나사산 형태를 이루는 나선형 띠돌 부를 토출구 외주면에 형성한 것이 있다.
상기에서 열거한 캡을 열고 닫을 때 공히 나사잠김방향과 나사풀림 방향으로 회전을 시켜야만 분리 장착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용기몸체에 캡을 열고 닫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특히 캡을 닫을 때 여러회 회전을 시켜야만 안정된 잠김이 이루어져 시간에 쫓기어 화장을 할 때 캡을 완전하게 닫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캡을 완전하게 장착하지 않았을 경우, 화장품의 각종 성분이 휘발되어 화장품으로써의 효능이 급격하게 떨어뜨리는 원인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 나사 결합방식의 캡은 신속하게 열고 닫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캡에 용기몸체의 토출구에 대하여 최소로 회전한 상태에서 분리장착되어지도록 되어 있어 캡을 잠글 때의 효율성이 뛰어난 반면, 너무 쉽게 열려 분별력이 떨어지는 어린 아이들에 의한 내용물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어른들의 보호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내용물을 먹을수도 있어 보관시 각별한 주위를 기울여야 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나사식 체결되는 용기캡의 나사산을 스냅나사산 구조를 갖도록 개선하여서 용기캡을 용기몸체의 토출구에 장착할 때 회전시키지 않고 위에서 아래로 눌러 장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용기캡의 신속한 장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캡을 분 리해 낼 때에는 용기캡을 여러번 회전시켜야만 용기몸체의 토출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별력이 떨어지는 어린 아이들에 의해 발생하였던 내용물 낭비를 해소함과 더불어 아이들이 어른들의 보호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내용물을 먹어 발생하는 불상사를 예방할 수 있는 용기캡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용기몸체의 토출구에 장착되어 수용된 내용물을 이물질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내용물에 포함된 휘발성분이 휘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용기캡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10)의 토출구(11)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2)에 대하여 대응하는 피치를 이루되, 위에서 아래로 눌러 장착할 때 상기 토출구(11)의 나사산(12)을 부드럽게 넘어서 걸림되어질 수 있도록 진행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눕여진 경사면을 이룸과 동시에 나사산(12)을 넘어설 때 탄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도록 얇은 두께를 가지는 스냅나사산(22)이 테두리벽(21) 내주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캡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용기캡은, 나사식 체결되는 용기캡(20)의 나사산을 스냅나사산(22) 구조를 갖도록 개선하여서 용기캡(20)을 용기몸체(10)의 토출구(11)에 장착할 때 회전시키지 않고 위에서 아래로 눌러 장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용기캡(20)의 신속한 장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캡(20)을 분리해 낼 때에는 용기캡(20)을 여러번 회전시켜야만 용기몸체(10)의 토 출구(21)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별력이 떨어지는 어린 아이들에 의해 발생하였던 내용물 낭비를 해소함과 더불어 아이들이 어른들의 보호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내용물을 먹어 발생하는 불상사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용기캡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몸체(10)의 토출구(11)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2)에 걸림되어지는 스냅나사산(22)이 상기 토출구(11)의 나사산(12)에 대응하는 피치를 가지고 테투리벽(21) 내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냅나사산(22)은 용기몸체(10)의 토출구(11)에 눌러 끼울 때 상기 토출구(11)의 나사산(12)을 부드럽게 넘어서 걸림되어 질 수 있도록 진행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눕혀진 경사면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는 스냅나사산(22)은 용기캡(20)에 당김력이 발생하면 토출구(11)의 나사산(12)에 버팀력이 발생하여 용기캡(20)이 용기몸체(10)의 토출구(11) 나사산(12)에 대하여 나사식 분리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더불어, 상기 스냅나사산(22)은 용기몸체(10)의 토출구(11)를 넘어설 때 탄성변형이 일어날 수 있는 얇은 두께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냅나사산(22)이 형성된 용기캡(20)의 테두리벽(21)은 이중의 구조로 써, 스냅나사산(22)이 형성되어짐과 동시에 상기 스냅나사산(22)이 용기몸체(10)의 토출구(11) 외주면으로 형성된 나사산(12)을 넘어서 걸림되어 질 때 탄성변형이 이어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는 내측벽(21a)과 상기 내측벽(21a)에 대하여 틈을 갖고 형성되어지는 외측벽(21b)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용기캡(20)을 장착하여 용기몸체(10)에 수용된 내용물을 보호하고자할 때에는 용기몸체(10)의 토출구(11)에 본고안의 용기캡(20)을 눌러 끼워서 장착하게 된다.
도3은 용기캡(20)을 장착하는 상태의 예시도로써, 용기캡(10)의 테두리벽(21) 내주면으로 형성된 스냅나사산(22)이 눌러 끼울 때의 진행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눕혀져 형성되어 있어 용기몸체(10)의 토출구(11)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2)을 넘어설 때 미끄럼이 일어나 부드럽게 넘어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변형이 살짝 일어나면서 장착되어지게되고, 용기캡(20)의 장착이 완전하게 완료되어지면, 도4에서와 같이 토출구(11)의 나사산(12)에 걸림되어지게 된다.
반면, 상기 용기몸체(10)에 수용된 내용물을 사용하고자할 때에는 토출구(11)로부터 용기캡(20)을 분리해내야 하는데, 상기 용기캡(20)의 분리는 장착할 때와는 달리 나사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분리하게 된다.
상기 용기캡(20)을 당겨 뺄수 없는 까닭은 상기 스냅나사산(20)이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어진 것이어서 용기캡(20)에 당김력을 가하면, 토출구(11)의 나사산(12)에 대하여 버팀력이 발생하여 나사식 회전방식을 탈피하여 분리해 낼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에의 용기캡(20)으로써, 테두리벽(21)을 내측벽(21a)과 외측벽(212b) 이중의 구조로 형성한 것으로 내측벽(21a)에서 탄성변형이 발생토록하여 용기캡(20)을 용기몸체(10)의 토출구(11)에 장착할 때 좀더 부드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용기캡과 용기캡이 장착되는 용기몸체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용기캡을 발췌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용기캡을 용기몸체의 토출구에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용기캡을 용기몸체의 토출구에 장착 완료된 상태의 에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용기캡을 용기몸체에서 분리시키는 상태의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용기캡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몸체 11 : 토출구
12 : 나사산 20 : 용기캡
21 : 테두리벽 21a : 내측벽
21b : 외측벽 22 : 스냅나사산

Claims (2)

  1. 용기몸체의 토출구에 장착되어 수용된 내용물을 이물질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내용물에 포함된 휘발성분이 휘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용기캡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10)의 토출구(11)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2)에 대하여 대응하는 피치를 이루되, 위에서 아래로 눌러 장착할 때 상기 토출구(11)의 나사산(12)을 부드럽게 넘어서 걸림되어질 수 있도록 진행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눕여진 경사면을 이룸과 동시에 나사산(12)을 넘어설 때 탄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도록 얇은 두께를 가지는 스냅나사산(22)이 테두리벽(21) 내주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캡(200)의 테두리벽(21)은 스냅나사산(22)를 구비한 내측벽(21a)과 상기 내측벽(21a)에 대하여 틈을 이루며 형성된 외측벽(21b)으로된 이중의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캡.
KR2020080011959U 2008-09-02 2008-09-02 용기캡 KR2004495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959U KR200449511Y1 (ko) 2008-09-02 2008-09-02 용기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959U KR200449511Y1 (ko) 2008-09-02 2008-09-02 용기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862U KR20100002862U (ko) 2010-03-11
KR200449511Y1 true KR200449511Y1 (ko) 2010-07-15

Family

ID=44198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959U KR200449511Y1 (ko) 2008-09-02 2008-09-02 용기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51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53030B1 (fr) * 2016-06-23 2019-07-19 Albea Services Bouchon, notamment pour tube souple
KR101960168B1 (ko) * 2017-06-05 2019-03-19 이이한 위조방지용 병뚜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3269A (en) * 1964-12-21 1965-12-14 Owens Illinois Glass Co Snap-on closure
JPH10258858A (ja) 1997-03-14 1998-09-29 L'oreal Sa スナップ嵌合式キャップを有する型式の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3269A (en) * 1964-12-21 1965-12-14 Owens Illinois Glass Co Snap-on closure
JPH10258858A (ja) 1997-03-14 1998-09-29 L'oreal Sa スナップ嵌合式キャップを有する型式の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862U (ko)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1757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крышка с контролем вскрытия
CA2473290C (en) Container for containing two different separate products and mixing them
CA2612940A1 (en) Flexible stand-up pouch with integral fitment and internal straw
JP6634228B2 (ja) 中栓と外蓋とを具備する容器蓋
CN108463413A (zh) 用于瓶子的具有可容易移除的安全凸耳的闭合装置
BR9206669A (pt) Guarnição com tampa para a mesma
MX2010009695A (es) Dispositivo de taponamiento de un cuello de recipiente.
KR200449511Y1 (ko) 용기캡
CN106185008A (zh) 容器盖
JP2015063342A (ja) 中栓付きキャップ
JP4698090B2 (ja) 金属製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JP2007030945A (ja) キャップ
JP4859008B2 (ja) 金属製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JP2004276958A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4115580B2 (ja) 安全キャップ
JP5973764B2 (ja) 容器蓋
ES1075136U (es) Envase para contener separados y mezclar dos productos diferentes.
JP2005206222A (ja) プルリング付きキャップ
JPH11130113A (ja) 分別機能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RU44649U1 (ru) Крышка для емкости
CN220244114U (zh) 一种具有保护功能的塑料瓶盖
JP4079637B2 (ja) 油含有物用容器
JP2004262473A (ja) 封緘式キャップ
RU23070U1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413268Y1 (ko) 용기 안전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