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222Y1 - 위조방지용 안전 캡 - Google Patents

위조방지용 안전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222Y1
KR200417222Y1 KR2020060006340U KR20060006340U KR200417222Y1 KR 200417222 Y1 KR200417222 Y1 KR 200417222Y1 KR 2020060006340 U KR2020060006340 U KR 2020060006340U KR 20060006340 U KR20060006340 U KR 20060006340U KR 200417222 Y1 KR200417222 Y1 KR 200417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inner cap
cylindrical body
container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섭
Original Assignee
김승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섭 filed Critical 김승섭
Priority to KR20200600063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2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2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조방지용 안전 캡에 관한 것으로, 용기의 병목부분 외측으로 배치되는 내캡 조립체와, 상기 내캡 조립체의 외측에 위치하여 내캡 조립체를 내측에서 감싸는 외캡을 포함하는 위조방지용 캡에 있어서; 상기 내캡 조립체는 중공을 갖되 상면커버를 일체로 형성한 원통몸체의 구성이며, 상기 상면커버의 하면 가장자리에 원주(圓周)를 따라 연속 배치 또는 일정간격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일방향성의 톱니형 돌출턱을 구비하고, 원통몸체의 하면에 하향 돌출구조의 걸림돌기를 구비한 제1내캡과; 관통중공을 갖는 원통몸체의 구성이되, 상기 원통몸체의 상단면에 원주를 따라 연속 배치되는 일방향성의 톱니형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원통몸체의 하측단부에 원주의 내측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시킨 돌출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리브의 상면에 상기 걸림돌기에 매칭되게 한 상향 돌출구조의 회전규제돌기를 구비한 제2내캡으로 구성되게 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에 적용되는 캡을 한번 사용한 후로는 사용된 캡의 구성요소에 대한 좌/우 회전을 완벽하게 규제함에 의해 사용된 캡의 재활용을 원천 차단할 수 있게 하며 기존과는 달리 위조행위 자체를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있게 되므로 불법 제조 및 불법 유통을 근절시킬 수 있고 건전한 유통질서를 확립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는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위조방지용 안전 캡{BOTTLE CAP FOR PREVENTING FALSIFICATION}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안전 캡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안전 캡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안전 캡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안전 캡에 있어 걸림돌기와 회전규제돌기와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안전 캡의 용기측 적용 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내캡 조립체 110: 제1내캡
112: 돌출턱 113: 걸림돌기
120: 제2내캡 122: 걸림턱
123: 돌출리브 124: 회전규제돌기
125: 고정돌기 200: 외캡
212: 고정홈
본 고안은 위조방지용 안전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번 사용한 후로는 캡의 좌/우 회전을 규제토록 하여 구성요소의 위치이동을 완전 차단함으로써 캡의 재활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위조행위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위조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위조방지용 안전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조방지용 캡은 액체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양주병 등과 같은 제품에 주로 많이 적용되는 것으로서, 내용물의 위조방지에 따른 불법 제조 및 유통을 차단함으로써 소비자나 주류업자가 입을 수 있는 경제적, 정신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고급주류에 속하는 양주의 판매 및 소비가 급증하고 있는데, 양주가 국산주류에 비하여 고가일 뿐만 아니라 제조회사나 숙성도에 따라 양주의 가치가 달리 평가되어 가격이 산정되므로 위조업자들은 이를 악용하여 내용물을 싼 것으로 교체하거나 저품질의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브랜드를 위조하는 등 위조행위를 계속적으로 행하고 있다.
이러한 위조행위에 의한 불법 제조 및 유통은 쉽게 근절되지 않고 있어 사회적으로 그 대책이 시급하다 할 수 있는데, 주류제조업자는 자사 브랜드의 불신 등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 및 불법 유통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을 감수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소비자는 품질이 떨어지거나 유해성의 내용물을 음용하게 됨으로써 금전적인 손실은 물론 건강상에 위해(危害)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한번 사용한 후로는 캡의 좌/우 회전을 규제토록 하여 구성요소의 위치이동을 완전 차단함으로써 캡의 재활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위조행위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위조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위조방지용 안전 캡을 제공하는데 있다.
즉, 위조행위 자체를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법 제조 및 불법 유통을 근절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건전한 유통질서를 확립할 수 있도록 하면서 소비자에게는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위조방지용 안전 캡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용기의 병목부분 외측으로 배치되는 내캡 조립체와, 상기 내캡 조립체의 외측에 위치하여 내캡 조립체를 내측에서 감싸는 외캡을 포함하는 위조방지용 캡에 있어서; 상기 내캡 조립체는 중공을 갖되 상면커버를 일체로 형성한 원통몸체의 구성이며, 상기 상면커버의 하면 가장자리에 원주(圓周)를 따라 연속 배치 또는 일정간격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일방향성 의 톱니형 돌출턱을 구비하고, 원통몸체의 하면에 하향 돌출구조의 걸림돌기를 구비한 제1내캡과; 관통중공을 갖는 원통몸체의 구성이되, 상기 원통몸체의 상단면에 원주를 따라 연속 배치되는 일방향성의 톱니형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원통몸체의 하측단부에 원주의 내측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시킨 돌출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리브의 상면에 상기 걸림돌기에 매칭되게 한 상향 돌출구조의 회전규제돌기를 구비한 제2내캡으로 구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내캡의 내주면에 내나사산을 형성하여 용기의 병목부분에 캡을 직접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내캡의 원통몸체 외주면에는 캡의 사용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표시라벨을 부착하고, 상기 제2내캡의 원통몸체에는 상기 제1내캡에 부착된 상태표시라벨의 문자가 표시되도록 투명표시창을 형성하여 문자 표시에 의한 사용상태의 육안 식별을 가능하게 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안전 캡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안전 캡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안전 캡의 조립상태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안전 캡에 있어 걸림돌기와 회전규제돌기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안전 캡의 용기측 적용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안전 캡은 주류용기나 포장용기 등 용기(1)의 병목부분 외측으로 배치되는 내캡(inner cap) 조립체(100)와, 상기 내캡 조립체(110)의 외측에 위치하여 내캡 조립체(110)를 내측에서 감싸는 외캡(outer cap)(2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캡 조립체(100)는 상호간에 매칭구조를 구비함에 의해 회전을 규제하게 되는 제1내캡(110) 및 제2내캡(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내캡(110)은 중공(111b)을 갖되 상면커버(111a)를 일체로 형성한 원통몸체(111)의 구성이며, 상기 상면커버(111a)의 하면 가장자리에 원주(圓周)를 따라 연속 배치 또는 일정간격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일방향성의 톱니형 돌출턱(112)을 구비되게 하고, 원통몸체(111)의 하면에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하향 돌출구조의 걸림돌기(113)를 구비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내캡(110)의 원통몸체(111) 외주면에는 캡의 사용상태 표시에 따른 위조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하는 문자표시의 상태표시라벨(114)을 부착되게 한다.
상기 제2내캡(120)은 관통중공(121a)을 갖는 원통몸체(121)의 구성이되, 상기 원통몸체(121)의 상단면에 원주를 따라 연속 배치되는 일방향성의 톱니형 걸림턱(122)을 구비되게 하고, 상기 원통몸체(121)의 하측단부에 원주(圓周)의 내측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시킨 돌출리브(123)를 구비되게 하며, 상기 돌출리브(123)의 상면 위에 상기 걸림돌기(112)에 매칭되게 한 상향 돌출구조의 회전규제돌기(124) 를 일정간격으로 방사 배치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2내캡(120)은 원통몸체(121)의 상부 외주면에 상기 외캡(200)과의 체결을 위한 고정돌기(125)를 다수 구비되게 한다.
나아가, 상기 제2내캡(120)의 원통몸체(121)에는 상기 제1내캡(110)에 부착된 상태표시라벨(114)의 문자가 표시되도록 투명표시창(126)을 형성되게 하며, 사용자가 상기 투명표시창(126)으로 나타나는 문자표시를 보고 캡의 위조 여부를 즉, 사용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캡(200)은 중공(211)을 갖는 몸체(210)의 구성이며, 상기 중공(211) 내면으로는 상기 제2내캡(120)의 고정돌기(125)와 매칭되어 체결되게 한 고정홈(212)을 구비되게 한다. 여기서, 외캡(200)은 그 외형에 다양한 변형을 줄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안전 캡은 도 6의 일 적용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1)의 병목부분 상단부에 속마개(3)와 매칭을 이루어 설치되는 병마개(2)를 포함하는 용기(1)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병마개(2)의 외측으로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캡을 끼움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도 7의 다른 적용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위조방지용 안전 캡은 용기(1)의 병목부분 상단부의 외측으로 직접 나사 결합시킴에 의해 병마개의 구성없이도 용기에 바로 체결하여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본 고안에 있어 내캡 조립체(100)를 구성하는 제1내캡(110)의 중공(111b) 내면에 내나사산(111c)을 더 형성시켜 용기(1)에 직접 체결하여 사용하면 된다.
나아가,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안전 캡은 제1내캡(110) 및 제2내캡(120)의 내캡 조립체(100)와 외캡(200)의 조립 완료시, 제1내캡(110)을 제2내캡(120)이 내측에서 감싸게 되고 제2내캡(120)을 외캡(200)이 내측에서 감싸되 고정돌기(125)와 고정홈(212)의 매칭구조에 의해 제2내캡(120)과 외캡(200)은 체결상태를 형성하게 되며, 제1내캡(110)은 병마개(2) 또는 용기(1)에 체결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제1내캡(110)의 돌출턱(112)은 제2내캡(120)의 걸림턱(122)과 매칭되어 걸림턱(122) 내에서 일측방향 걸림이 형성되어 있게 되며, 제1내캡(110)의 걸림돌기(113)와 제2내캡(120)의 회전규제돌기(124)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조립 상태시에 상호간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진다.
상술한 이러한 초기 배치구조에서, 용기(1)의 개방을 위해 외캡(20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외캡(200)의 가압에 의해 이에 체결된 제2내캡(120)이 가압 방향으로 동시 회전하게 되고 제2내캡(120)의 회전이 일정각도로 진행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규제돌기(124)가 제1내캡(110)의 걸림돌기(113)에 측부 걸림이 형성됨으로써 회전이 규제된다.
이때, 제2내캡(120)의 원통몸체(121)가 일정각도 회전 이동함에 의해 제2내캡(120)의 투명표시창(126)으로는 캡의 사용을 알리는 상태표시라벨(114)의 문구가 표시되어 캡의 사용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한번 사용된 캡의 재활용을 방지되게 할 뿐더러 사용자가 위조 여부를 쉽게 구별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회전 걸림에 의해 제1내캡(110)과 제2내캡(120)은 상단부측에서 돌출턱(112)과 걸림턱(122)가 매칭되고 하단부측에서 걸림돌기(113)와 회전규제돌기(124)가 매칭되어 상호간에 체결력을 형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내캡(110)과 제2내캡(120)은 상호 회전규제에 의해 좌/우측 양방향 회전을 완전 차단하게 된다.
이어서, 용기(1)의 개방을 위해 외캡(200)에 계속적인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이 형성되어 있음에 의해 이에 체결력을 갖는 제2내캡(120)에도 그 가압력이 미치게 되고 이러한 제2내캡(120)의 작용력에 의하여 병마개(2)측 또는 용기(1)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1내캡(110)의 회전을 유도하게 되면서 제1내캡(110)에 형성된 고정력을 해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용기(1)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제1내캡(110)이 병마개(2)를 내측에서 감싸 지지하는 결합구조이었다면 병마개(2)를 함께 분리하여 인출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안전 캡(1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분야의 해당업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실시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의 해석에 따른 기술적 사상에 의해 본 고안에 귀속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안전 캡에 의하면, 용기에 적용되는 캡을 한번 사용한 후로는 사용된 캡의 구성요소에 대한 좌/우 회전을 완벽하게 규제함에 의해 사용된 캡의 재활용을 원천 차단할 수 있게 하며, 기 존과는 달리 위조행위 자체를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불법 제조 및 불법 유통을 근절시킬 수 있고 건전한 유통질서를 확립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는 신뢰성을 제공하는 매우 큰 유용함을 발휘되게 한다.
이와 더불어, 캡의 사용상태 여부를 자체적으로 표시함에 의해 사용자가 캡의 사용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한다.

Claims (3)

  1. 용기(1)의 병목부분 외측으로 배치되는 내캡(inner cap) 조립체(100)와, 상기 내캡 조립체(110)의 외측에 위치하여 내캡 조립체(110)를 내측에서 감싸는 외캡(outer cap)(200)을 포함하는 위조방지용 캡에 있어서;
    상기 내캡 조립체(110)는 중공(111b)을 갖되 상면커버(111a)를 일체로 형성한 원통몸체(111)의 구성이며, 상기 상면커버(111a)의 하면 가장자리에 원주(圓周)를 따라 연속 배치 또는 일정간격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일방향성의 톱니형 돌출턱(112)을 구비하고, 원통몸체(111)의 하면에 하향 돌출구조의 걸림돌기(113)를 구비한 제1내캡(110)과;
    관통중공(121a)을 갖는 원통몸체(121)의 구성이되, 상기 원통몸체(121)의 상단면에 원주를 따라 연속 배치되는 일방향성의 톱니형 걸림턱(122)을 구비하고, 상기 원통몸체(121)의 하측단부에 원주(圓周)의 내측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시킨 돌출리브(123)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리브(123)의 상면에 상기 걸림돌기(112)에 매칭되게 한 상향 돌출구조의 회전규제돌기(124)를 구비한 제2내캡(120)으로 구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안전 캡.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캡(110)의 내주면에 내나사산(111c)을 형성하여 용기(1)의 병목부분에 캡을 직접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안전 캡.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캡(110)의 원통몸체(111) 외주면에는 사용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표시라벨(114)을 부착하고, 상기 제2내캡(120)의 원통몸체(121)에는 상기 제1내캡(110)에 부착된 상태표시라벨(114)의 문자가 표시되도록 투명표시창(126)을 형성하여 문자 표시에 의한 사용상태의 육안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안전 캡.
KR2020060006340U 2006-03-09 2006-03-09 위조방지용 안전 캡 KR200417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340U KR200417222Y1 (ko) 2006-03-09 2006-03-09 위조방지용 안전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340U KR200417222Y1 (ko) 2006-03-09 2006-03-09 위조방지용 안전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222Y1 true KR200417222Y1 (ko) 2006-05-25

Family

ID=41766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340U KR200417222Y1 (ko) 2006-03-09 2006-03-09 위조방지용 안전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222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8689A2 (ko) * 2008-04-18 2009-10-22 Chun Young June 병마개
KR200446442Y1 (ko) 2009-04-02 2009-10-29 김승섭 위조방지용 알에프아이디 안전 캡
KR100967340B1 (ko) * 2009-05-19 2010-07-05 (주)이그잭스 알에프아이디 칩 파기형 병입상품 위조방지 장치
KR100967163B1 (ko) * 2008-03-06 2010-07-05 전영준 병마개
KR101083794B1 (ko) * 2008-07-07 2011-11-21 주식회사 에코웰스텍 병마개
KR101749170B1 (ko) * 2009-08-07 2017-06-20 샤넬 파르퓜 보트 배출 구멍을 구비한 화장품 장치
EP3747793A1 (en) * 2019-01-24 2020-12-09 Sharp, Gary L. Tamper-evident device
KR20220001891U (ko) * 2021-01-26 2022-08-02 광동제약 주식회사 이중 캡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조립체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163B1 (ko) * 2008-03-06 2010-07-05 전영준 병마개
WO2009128689A2 (ko) * 2008-04-18 2009-10-22 Chun Young June 병마개
WO2009128689A3 (ko) * 2008-04-18 2010-03-11 Chun Young June 병마개
KR101020033B1 (ko) 2008-04-18 2011-03-09 주식회사 에코웰스텍 병마개
KR101083794B1 (ko) * 2008-07-07 2011-11-21 주식회사 에코웰스텍 병마개
KR200446442Y1 (ko) 2009-04-02 2009-10-29 김승섭 위조방지용 알에프아이디 안전 캡
KR100967340B1 (ko) * 2009-05-19 2010-07-05 (주)이그잭스 알에프아이디 칩 파기형 병입상품 위조방지 장치
KR101749170B1 (ko) * 2009-08-07 2017-06-20 샤넬 파르퓜 보트 배출 구멍을 구비한 화장품 장치
EP3747793A1 (en) * 2019-01-24 2020-12-09 Sharp, Gary L. Tamper-evident device
US11505376B2 (en) 2019-01-24 2022-11-22 Gary L. Sharpe Tamper-evident device
KR20220001891U (ko) * 2021-01-26 2022-08-02 광동제약 주식회사 이중 캡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조립체
KR200496939Y1 (ko) * 2021-01-26 2023-06-13 광동제약 주식회사 이중 캡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7222Y1 (ko) 위조방지용 안전 캡
EP1984273B1 (en) Bottle, in particular adapted to contain beverages
KR200446442Y1 (ko) 위조방지용 알에프아이디 안전 캡
EA013177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ытия бутылок,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бутылок с алкогольными напитками или со спиртосодержащими жидкостями
EP2081850B1 (en) Anti-tampering closing device for bottles and in particular for bottles of alcoholic drinks or spirits
RU2651248C2 (ru) Крышка с контролем вскрытия
EP3578478A1 (en) Dispensing closure for a fluid container
RU78172U1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коническим индикаторным пояском
KR101105002B1 (ko) 병마개
KR100913599B1 (ko) 위조방지용 마개
KR101084463B1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EA020845B1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14113505U (zh) 防伪瓶盖及容器瓶
CN109878891B (zh) 一种撬开式防伪瓶盖及其防伪方法
KR200347206Y1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KR0173547B1 (ko) 위조방지용 병마개
EP3902752B1 (en) Tamper indicating closure system
KR101067850B1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KR100966711B1 (ko) 병마개
KR101020031B1 (ko) 병 및 병마개
KR20090085389A (ko) 위조방지용 마개
KR20050108102A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KR200425704Y1 (ko)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
KR100597838B1 (ko) 위조방지용 병마개
RU125558U1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