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170B1 - 배출 구멍을 구비한 화장품 장치 - Google Patents

배출 구멍을 구비한 화장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170B1
KR101749170B1 KR1020127006107A KR20127006107A KR101749170B1 KR 101749170 B1 KR101749170 B1 KR 101749170B1 KR 1020127006107 A KR1020127006107 A KR 1020127006107A KR 20127006107 A KR20127006107 A KR 20127006107A KR 101749170 B1 KR101749170 B1 KR 101749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ole
container
cover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6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1736A (ko
Inventor
쟝-의드 뿌섕
니꼴라 마티유
Original Assignee
샤넬 파르퓜 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넬 파르퓜 보트 filed Critical 샤넬 파르퓜 보트
Publication of KR20120051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2Scent flasks, e.g. with evapor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40/26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23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7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장치로서, 제품을 배출하는 구멍(16)을 구비한 용기; 및 립과 같은 내측 돌출부(62)를 구비한 커버(26)로서, 커버로 용기를 닫을 때에는 구멍을 지나가고, 캡이 용기를 닫고 있을 때에는 구멍에서 이격된 곳에 놓여 있는, 커버;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커버(26)는 용기를 닫고 있을 때 구멍(16)을 지지하면서 구멍을 막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배출 구멍을 구비한 화장품 장치{COSMETIC PRODUCT DEVICE HAVING DISPENSING OPENING}
본 발명은 용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즐의 구멍을 통해 배출하기 위한 액체 또는 점성을 띠는 화장 용액을 담고 있는 제품이 알려져 있다. 펌프와 같은 수단은 구멍을 통해 용액을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구멍이 제품의 외부에 있는 요소들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캡으로 조립체를 덮을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가 예를 들어 유럽특허출원 제EP-0 277 893호에 기재되어 있다.
보통 유체는 사용 후에 노즐에 잔류하는 경향이 있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현상 때문에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우선, 약간의 용액이라도 주변과 접촉하면 오염될 수 있는 장소를 형성하게 된다.
그 후, 이런식으로 형성된 용액이 쌓이게 되면, 사용자가 용액을 얻기 위해 다음에 캡을 여는 경우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다. 이러한 일은 특히, 용액이 주변의 공기와 접촉하면서 마르는 경우에 그러하다. 또한, 이렇게 퇴적되어 있는 용액은 구멍을 통해 배출되는 깨끗한 용액과 섞이게 될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용액에 대응하는 제형에 따라, 건조될 때 용액은 구멍에 쌓여서 점차적으로 구멍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막게 되는 스레드(thread)를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구멍에서 나오는 용액이 방향이 크게 바뀌거나 불완전하게 한 방울씩 배출되는 한, 용액을 배출하는 것을 완전히 조절하기가 어려워진다.
이러한 문제를 줄이기 위해서, 노즐의 구멍을 일부러 막기 위한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특히 용액을 담고 있는 용기가 구멍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일시적으로 방해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장치는 예를 들어 피스톤 장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시 매우 조심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될 수 밖에 없다. 나아가, 이러한 장치를 개발할 때에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고 또한 구체적으로 개발을 해야하고, 작은 부피의 공간에 수용되어야 하며, 항상 적용되는 것도 아니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장치는 일정량의 용액이 구멍 바깥에서 퇴적물을 형성하는 것을 막지 못한다.
또한, 캡 자체가 노즐의 구멍을 덮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장치는 상술한 문서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이렇게 덮게 되면, 쌓여 있는 용액이 노즐과 캡의 내부면 위에서 퍼지게 되고, 따라서 장치를 사용하는 횟수가 늘어나면 용액이 노즐과 캡의 내부면에, 특히 구멍 자체에 축적되어, 비교적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노즐을 청소하는 것을 개선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화장품 장치로서:
제품을 배출하는 구멍을 구비한 용기; 및
캡으로 용기를 닫을 때에는 구멍을 지나가고 캡이 용기를 닫고 있을 때에는 구멍에서 이격된 곳에 놓여 있는, 립과 같은 내측 돌출부를 구비한 캡으로서, 상기 캡은 용기를 계속해서 닫고 있는 동안 구멍을 밀면서 밀폐시키는, 캡;을 포함하는 화장품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캡이 용기를 닫는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돌출부는 사용 후에 튀어나와 있는 어떤 물질을 닦거나 문질러서 구멍에서 제거한다. 구멍에서 나와 있는 남겨진 모든 물질은 노즐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캡을 다시 열 때, 노즐은 물질이 전혀 남아 있지 않고 외관상 만족스러운 구멍을 갖고 있게 된다. 또한, 캡은 구멍을 닦거나 문지를 뿐만 아니라, 용기 내에 있는 물질이 외부와 연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멍을 막고, 따라서, 물질의 특성을 보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의 물질과 접촉하게 되는 물질의 양을 줄이고,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 이러한 유형의 장치에 있는 노즐의 구멍의 외관을 깨끗하게 보존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캡은 가요성 물질로 이루어진 셔터에 의해 구멍을 닫는다.
이로써, 구멍과 셔터가 정지상태에서 꼭 맞지 않는 경우에도, 노즐은 적절하게 밀폐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측 돌출부는 캡의 자유단에서 이격된 곳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닦거나 문지르는 것은 캡의 하부 엣지 부근에서 일어나지 않고, 사용자가 볼 수 없게 캡의 내부에서 일어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측 돌출부는 캡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바디를 형성한다.
따라서, 용기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특별히 각도와 관련된 위치를 조정하지 않아도, 캡을 용기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은 원 위치에 대하여 사분의 일만큼 회전함으로써 오프셋되는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라도, 돌출부는 닦거나 문지르는 작용을 실행하고, 따라서 구멍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캡은 내측 돌출부와 인접한 하나 이상의 공동을 구비하고, 예를 들어 내측 돌출부의 위 아래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공동이 있다.
따라서, 공동은 용기를 구성하며 돌출부에 의해 구멍에서 제거된 물질을 수용할 수 있다. 이로써 물질이 캡 내부에서 통제할 수 없는 위치를 차지하는 것을 피할 수 있는데, 이 위치로부터 물질이 떨어지거나 사용자 또는 용기의 다른 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공동이 하부의 공동인 경우, 공동은 용기에 고정하는 동안 캡이 움직임으로써 발생하는 물질을 수용한다. 공동이 상부의 공동인 경우, 이 공동은 캡을 용기에서 뺄 때 돌출부에 의해 구멍에서 제거되는 물질을 수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캡은 외부 커버와 상기 외부 커버의 안쪽에 완전히 수용되어 있고 내측 돌출부를 지지하는 내측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와 내측 요소는 개별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커버와 내측 요소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당한 여유를 제공하여, 각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부품들은 각각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 수행하는 역할에 더 잘 맞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측 요소는 상기 커버 보다 더 높은 연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예를 들면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져 있다.
종종, 캡은 장치의 일반적인 외관에 크게 기여하는 한 미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는 예를 들어 비교적 단단한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비교적 쉽게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표면 상태, 광학프린팅, 페인팅 등등...) 또한, 돌출부를 갖는 요소들은 탄성중합체와 같은 비교적 부드러운 연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돌출부는 닦거나 문지르는 작용을 할 때 매우 효과적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캡은, 커버 및 내측 요소와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 요소를 상기 캡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인서트를 포함한다.
이로써, 내측 요소와 캡은 비교적 간단히 서로 조립될 수 있는데, 이러한 부품들이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장치는 액체 또는 반죽으로 되어 있는 상기 화장품 용액을 담고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펌프와 같이 용액을 배출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품을 위한 캡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인서트와 립과 같은 내측 돌출부를 지지하는 내측 요소를 함께 조립한 후, 조립된 조립체를 커버) 내에 삽입하여 내측 돌출부가 캡 내부에서 돌출부를 형성하는 캡을 형성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와 그 변형된 구성을 보면 이해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화장품 장치의 일반적인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크게 확대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장치와 관련하여 D와 E부분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도록 확대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인서트와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인서트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 및 도 7에 대응하는 도 1의 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링의 F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캡이 용기에 고정될 때 도 1의 장치의 돌출부가 구멍이 어떻게 닦는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6 및 도 8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면들은 화장품 용액(6)을 담고 있는 장치(4)를 포함하는 제품(2)을 보여주고 있다.
용액은 얼굴 또는 몸을 위한 유지관리(care) 제품 및/또는 메이크업 제거제일 수 있고, 또는 의약품과 같은 의료 용액일 수도 있다. 용액은 유체 또는 반죽으로서, 용액의 형태로 제품에 의해 사용자에게 분출된다. 용액은 수성용액, 또는 유성 용액, 또는 유상액(emulsion)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제품(2)은 병으로 구성된 본체를 포함하며, 병은 용액(6)의 용기(8)를 포함하고 있다. 본체의 상단부에 형성된 노즐(14)을 통해서 용액을 분출하는 장치(10)가 용기에 구비되어 있다. 노즐은 용액 배출 구멍(16)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구멍을 통해 용액을 배출하는 장치(10)는 용기에서 용액을 추출해서 구멍(16)으로 전달하는 펌프를 포함하고 있다. 이 펌프는 일반적인 유형의 펌프로서 여기에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노즐(14)은 누름버튼(18)에 고정되어 있고, 누름버튼은 제품(2)의 수직방향의 주축(22)을 따라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품은 사용자가 본체의 상부를 형성하는 버튼의 상부면(20)을 눌렀을 때, 누르는 압력에 의해 버튼(18)이 아래쪽으로 움직여서 본체 안쪽으로 들어가고, 동시에 한 방울의 용액이 펌프에 의해 구멍(16)을 통해 나오게 된다. 용기(8)를 펌프(10) 및 구멍과 연결시키는 회로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일반적인 유형의 구성으로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다.
이 실시예에서, 누름버튼(18)은 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일반적인 형상의 본체로 되어 있다. 특히, 누름버튼은 축(22)에 수직하는 평면에서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 측면(24)을 갖고 있다. 노즐은 버튼의 한쪽 측면에서 튀어나와 있고, 구멍은 노즐의 자유단에 있고, 노즐은 축(22)을 중심으로 보통 원통형으로 되어 있는 표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버튼(18)은 용기에 대하여 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데,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제품(2)은 캡(26)을 포함하며, 캡은 도 5, 도 6 및 도 8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커버(28), 인서트(30) 및 링(32)을 포함하고 있고, 이들은 별개의 부품으로서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인서트와 링은 커버 안쪽에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 처럼, 캡을 바깥에서 보는 경우에는 커버(28)만 보인다. 캡은 용기에 영구적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탈착식으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용액을 얻기위해, 캡은 용기와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커버는 원통형의 측벽 또는 스커트(34)를 구비하고 있는데, 그 단면은 보통 축(22)에 대해 수직하는 평면을 기준으로 사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다. 스커트는 평면벽(36)에 의해 그 상부가 닫혀 있다. 예를 들어, 커버는 비교적 단단한, 예를 들면 금속이나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도 6 및 도 7을 보면, 인서트(30)도 보통 축(22)을 중심으로 원통형으로 된 측벽 또는 스커트(34)를 포함하고 있는데, 그 단면은 축에 대해 수직하는 평면에서 보통 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벽의 모양은 정확하게 원통의 모양은 아닌데, 그 이유는 인서트(30)의 치수가 인서트의 상부쪽으로 가면서 점점 축(22)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폭이 좁아지기 때문이다. 상부쪽 가까이에, 인서트는 평면 단부 벽(42)을 포함하는데, 이 벽은 축(22)에 수직하는 평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벽의 상부면(44)은 벽(40)의 상단부(46)로부터 약간 떨어진 곳에 있다. 따라서, 벽(42)은 엣지로부터 약간 물러나 있다. 벽(42)에는 커다란 원형의 구멍(47)이 있는데, 이 구멍은 벽이 있는 부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인서트는 비교적 단단한, 예를 들어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링(32)은 측벽 또는 스커트(50)를 포함하고 있고, 이 스커트는 축(22)을 기준으로 원뿔대 모양의 단부면(51)을 형성하고 있는데, 그 단면은 링의 상단부 쪽으로 가면서 점점 좁아진다. 이 단부는 단부 벽(52)으로 형성되어 있고, 단부 벽은 엣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튀어나옴으로써 상부 엣지에서 스커트(50)를 밀폐하고, 따라서 벽(52)은 단부에서 스커트(50)로부터 방사상으로 튀어나오는 원주형태의 테두리부(54)를 형성한다. 평면도로 보았을 때, 벽(52)은 보통 사각형 모양이고, 따라서 네 개의 코너(72)가 있다. 벽(52)과 달리, 링(32)은 일반적으로 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본체의 형태로 되어 있다.
벽(40)과 벽(50)의 모양이 다르다는 것은, 특히 도 1 및 도 2를 보면 알 수 있고, 도 2를 보면 노즐이 도 1의 위치에 비하여 그리고 용기에 대하여 45o 회전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1에서는 노즐이 벽(36)의 사각형의 대각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반면, 도 2에서는 벽의 이등분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50)의 외부면(51)의 형상이 원뿔대일지라도, 내부면(56)은 단부벽(52)과 인접하는 상부 세그먼트 위의 형상이 축(22)을 중심으로 원통형이며 축에 수직하는 평면에서 원형 단면으로 되어 있다.
상부 세그먼트 아래에서, 내부면은 이 세그먼트로부터 스커트(50)의 바닥 엣지(58)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지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상부 공동(60); 상부 립(62); 바닥 공동(64); 및 바닥 립(66); 이러한 공동과 돌출부는 서로 순서대로 이어지며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립(62, 66)과 공동(60, 64)은 모두 고리 형상이며, 공동들은 평행하는 홈을 형성한다.
공동(60)은 축(22)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내부면(56)의 원통형 세그먼트로부터 안쪽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즉 세그먼트 보다 축에서 더 멀리 떨어진 곳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 립(62)은 방사상으로 내부면(56)의 원통형 세그먼트와 상부 공동(6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 10에 확대된 도면을 보면, 립은 두 개의 주요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즉, 원뿔의 좁은 단부가 아래쪽으로 향하는 원뿔대 모양으로 되어 있는 상부면(68)과 축(22)에 수직하는 평평한 모양의 하부면(70)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공동(60)처럼, 하부 공동(64)은 방사상으로 세그먼트(56)로부터 안쪽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공동(60) 보다 더 멀리 안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22)에 평행하게 측정한 이 하부 공동의 높이는 상부 공동(60)의 높이 보다 높고, 이 실시예에서는 특히 상부 공동의 높이의 두 배이다.
하부 립(66)은 반경방향으로 세그먼트(56)로부터, 그리고 립(62)으로부터 또한 상부 공동(60)으로부터 안쪽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인접하는 하부 공동(64)으로부터는 튀어나와 있다. 하부 립은 상부 립(62)의 모양과 유사한 모양을 갖고 있다.
중앙 링의 외측면(51)은 특히 도 4에서 볼 수 있는 고리 모양의 돌출부(72)를 갖고 있는데, 그 프로파일은 원형의 아치형으로서 벽에서 튀어나와 있다.
이 실시예에서, 링(32)은 비교적 부드러운 연성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인서트(30)와 커버(28)의 물질 보다 더 부드럽거나 덜 단단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링은 무기 또는 유기 탄성중합체, 예를 들어 이 실시예에서는 실리콘과 같은 물질일 수 있다. 또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구체적으로 볼 수 있듯이, 링의 상부벽(52)이 커버의 상부벽(36)과 인접하여 표면이 접촉되도록, 링(32)은 커버(28) 내에 수용된다. 인서트(30)는 상부 세그먼트를 통해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에 있는 커버와 안쪽에 있는 링 사이에 놓여 있다. 링의 스커트(50)는 끼움고리(thimble)로 부르는 고리 형태의 부싱의 모양으로 되어 있고, 인서트 내의 구멍(47)을 통과하고, 따라서 인서트의 벽(42)은 축(22) 방향으로 상부면(44)을 통해 링의 테두리부(54)에 지지되어, 커버의 상부(36)에 대해 벽(52)을 가압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인서트의 엣지(46)는 벽(36)으로부터 영이 아닌 거리(d) 만큼 떨어진 곳에 형성되어 있다. 링의 테두리부(54)의 두께(f)는 상부면(44)과 단부(46) 사이의 거리보다 두껍고, 이 거리는 f-d 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끼움고리의 돌출부(72)는 축방향으로 인서트의 벽(42)에 대항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인서트와 링이 축방향으로 분리될 위험을 줄여준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커버(28)는 고리 모양의 돌출부(76)를 갖고 있는데, 이 돌출부는 반경방향으로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튀어나와 있다. 이 돌출부는 축(22) 방향을 따라 커버에 대하여 미끄러지지 않도록 인서트의 스커트(40)의 단부 엣지를 지지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서 구체적으로 볼 수 있듯이, 상부 립(62)은 소정의 거리만큼 축(22)과 이격되어 있는데, 이 이격된 거리는 구멍(16)이 축(22)과 떨어져 있는 거리 보다 더 짧다. 도 11 및 도 12에서 볼 수 있듯이, 립은 캡이 노즐을 지나갈 때 구멍과 부딪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캡이 용기에 씌우거나 캡을 용기에서 빼내기 때문이다.
끼움고리의 원통형 표면(56)은 구멍(16)과 축(22) 사이의 거리와 거의 같은 거리만큼 축(22)에서 떨어진 곳에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간 더 짧은 곳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캡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놓여 있을 때, 즉 캡이 용기를 닫고 있을 때, 원통형 세그먼트는 노즐(14)과 접촉하여, 표면과 표면이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구멍(16)을 닫고 있다. 끼움고리는 비교적 부드러운 연성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정지 상태의 구멍의 형상이 정지 상태의 끼움고리의 형상과 동일하지 않는 경우에도, 구멍을 닫을 수 있는 이러한 위치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셔터를 형성하게 된다.
본 장치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작동한다. 사용자는 누름버튼(18)을 눌러서 용액(6)을 구멍(16)을 통해서 배출한다. 사용자가 캡(26)을 용기에 다시 결합시킬 때, 상부 립(62)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의 상부면의 단부를 가압하게 되고, 따라서 립은 상부 공동(60)을 변형시킴으로써 원통형 세그먼트(56)에 대하여 형태가 변하게 되고 평평해진다. 계속 이동하면서, 이런식으로 변형된 립(62)은 구멍(16)을 문지르고 닦으면서 구멍(16) 위를 지나가게 되고, 따라서 초과되어 흘러나온 용액을 제거할 수 있다. 이 용액은 립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갈 때 하부 공동(64) 안으로 들어간다. 도 11은 이와 같이 닦으면서 움직이기 시작할 때, 립이 노즐 위에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고, 도 12는 닦으면서 움직이는 것이 끝날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일단 립이 노즐을 지나가면, 립은 탄성에 의해 원래의 모습으로 다시 돌아오며, 노즐은 원통형 세그먼트 표면(56)과 접촉하여 노즐의 구멍은 링에 의해 밀봉되도록 닫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캡이 도 2에 도시된 위치, 캡이 용기를 닫고 있는 상태에 계속 놓여있는 한 유지된다. 따라서, 이동하는 동안, 처음에는 립은 노즐의 구멍을 문지르고 닦으면서 초과된 용액을 제거하고, 그리고 나서 구멍이 상부 공동(60)을 지나간 후에는, 끼움고리의 재질이 비교적 부드러운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캡은 구멍을 밀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장치(4)는 돌출부(76)를 구비하고 있고, 캡은 이에 대응하는 공동(78)을 구비하고 있어, 이 공동은 캡이 용기를 닫고 있을 때 본체에 캡을 고정하도록 캡을 장치에 똑딱이 단추처럼 고정(snap-fastening)하는 수단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용기에서 캡을 빼낼 때, 상부 립(62)은 구멍(16)을 다시 한번 닦게 되는데, 이번에는 아래쪽으로 변형되어 하부 공동(64)을 평평하게 만든다. 캡을 용기에서 빼내면, 사용자는 완전하게 깨끗한 구멍(16)을 갖고 있는 노즐을 볼 수 있다.
닦고 문지르는 작업 때문에 커버(28)가 변형될 필요는 없고, 커버는 단단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캡을 사용하는 방법을 바꾸지도 아니하며 사용자가 어떤 특별한 행동을 할 필요도 없다. 용기에 대하여 캡을 닫는 동안, 구멍은 깨끗하게 청소가 된 후에 닫히게 된다. 이러한 일들은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일어난다. 또한, 상부 립(62)은 캡의 하부 엣지로부터 상당히 떨어져 있다. 상부 립은 캡의 상부의 절반정도가 되는 부분 내에 수용되며, 캡의 내부를 특별히 쳐다보지 않는다면 일반적으로 사용할 때 거의 보이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돌출부(62)는 커버(28) 내측면의 바닥부에 의해, 인서트의 내부면의 바닥부에 의해, 그리고 링의 공동(64)과 하부 립(66)에 의해, 캡의 하단부의 자유 엣지와 분리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돌출부는 이러한 요소 모두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튀어나와 있다.
본 발명은 제품을, 특히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과 모양을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특히, 스커트(34)의 모양은 축(22)에 수직하는 평면에 있어서 원 또는 사각형 또는 다른 모양으로 마음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모양에 의해 캡의 외관이 결정된다.
비슷하게, 본 발명의 경우, 캡은 축(22)을 기준으로 어떤 특별한 각도로 용기에 배치될 필요가 없다. 반면, 링은 회전체이므로 캡은 용기에 대하여 아무렇게나 배치될 수 있고, 그렇게 해도 위에서 언급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캡을 만들기 위해, 처음에 링(32)을 인서트(30) 내에 장착한다. 이를 위해서는, 돌출부(72)를 지난 후에, 링의 테두리부(54)가 축(22) 방향으로 벽(42)에 지지될 때까지 링의 하단부를 인서트의 구멍(47)에 집어넣는다. 그리고 나서, 이렇게 결합된 조립체를, 벽(52)이 커버의 상부에 대하여 가압되고 또한 인서트가 돌출부(76)를 지나가도록 커버 안쪽으로 삽입시킨다. 이러한 과정은 어떤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 없이 세 개의 부품들이 꽉 끼워지도록, 힘을 가하여 결합시키는 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중합체와 같은 물질로 링을 만들게 되면, 몰딩으로 만드는 것을 더 쉽게 한다. 이러한 물질이 상기 부품에 부여하는 부드럽고 변형될 수 있는 특성에 의해, 심지어 언더컷(under-cut)이 있는 형상인 경우에도 몰드에서 꺼내기가 쉽다. 또한, 이와 같이 비교적 부드러운 물질 때문에 구멍이 있는 노즐의 표면에 대하여 형상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링의 물질은 항상 선택된 형상에 맞추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인서트(30)를 구성하기 위한 물질이 상대적으로 단단하면, 더 수월하게 커버(28) 안쪽에 링을 단단히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위에서처럼, 본 발명의 장치는 캡을 갖고 있는 병을 포함하고 있는데, 각각 수직하는 중심 축(22)에 수직하는 평면에서 보통 사각형의 프로파일로 되어 있는 섹션을 갖고 있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는 네 개의 면을 갖는 캡과 네 개의 면을 갖는 병을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처럼, 노즐은 누름버튼에 결합되어 있고, 누름버튼은 축(22)을 따라 본체에 대하여 미끄러지면서 움직이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실시예와 달리, 누름버튼이 용기에 대하여 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지 않다. 누름버튼의 노즐은 중심 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고, 병의 네 개의 표면 중 한 표면 쪽으로 수직으로 향한다. 노즐의 자유단은 중심 축(22)에 수직하는 직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노즐의 배출 구멍은 병의 표면 중 한 표면에 평행하는 평면에 형성되어 있다.
위에서처럼, 캡은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인서트(130)와 링(132)을 내부에 수용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인서트는 비교적 단단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반면, 링은 가요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위에서처럼, 인서트의 구멍(47)은 축(22)을 기준으로 원통형의 표면(180)으로 형성되며, 축에 수직하는 평면을 기준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다. 이것은 인서트의 상부 안쪽 표면이다.
이 실시예에서, 인서트(130)는 축(22)에 대해 공통축 상에 원뿔대 형상의 하부 내측면(182)을 갖고 있다. 이 하부 내측면의 상부 엣지의 형상은 원형이다. 상부 엣지는 표면에서 직경이 가장 작은 섹션에 해당한다. 이 엣지에서, 원뿔대 형상의 표면(182)은 계단부(184)에 의해 원통형 표면(180)과 분리되어 있고, 계단부는 원뿔대형상의 표면(182)이 축(22)에 대하여 원통형 표면(180)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튀어나오도록 되어 있는 어깨부를 형성한다. 인서트의 바깥쪽 표면은 보통 직육면체의 형태이므로, 이러한 바깥쪽 표면과 원뿔대 형상의 표면(182) 사이의 교차점은 쌍곡선 모양의 네 개의 아치형 부분(186)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아치형 부분은 하부 내측 표면(182)의 바닥 엣지를 형성한다. 이러한 아치형 부분들 사이의 교차점은 캡의 코너부분과 만나는 포인트(187)를 형성한다.
원뿔대 표면(182)의 섹션은 위로 가면서 좁아진다. 이 섹션은 캡이 누름버튼을 넘어 병 위로 원위치로 다시 돌아올 때 중앙의 가이드 표면을 형성한다. 이 표면은 캡의 중심을 가압하도록 누름버튼을 가이드한다.
또한, 병이 캡에 의해 닫혀 있을 때, 계단부(184)에 의해 노즐이 링의 하부 엣지를 붙잡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위에서처럼, 링(132)은 닫는 동안 문지르거나 닦을 수 있도록 노즐의 구멍 위를 지나가는 립(6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하나가 다른 것에 장착될 때 축(22)을 중심으로 인서트(130)에 대하여 링(132)을 각도를 따라 인덱싱하는 수단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수단은 대응하는 형상에 의해 작동하는 수단이다. 링(132)은 스커트의 외측 표면(51)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튀어나온 하나 이상의 홈(196)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표면은 형상이 원통형이며, 축(22)에 수직하는 평면에서 원형 단면으로 되어 있다. 각각의 홈은 축(22)에 평행하게 뻗어나가는 직선형태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홈은 두 개로 되어 있고 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맞은편에 형성되어 있다. 내부의 상부 표면(180)에, 인서트(130)는 링이 인서트에 장착되어 있을 때 수용하도록 홈(196)의 모양과 배열구조에 대응하는 모양과 구조를 갖는 스플라인(198)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스커트(50)의 내부면의 상부 세그먼트(156)는 네 개의 평탄부(192)를 구비하고 있고, 이 평탄부는 축(22)을 중심으로 일정하게 분포되어 있어서, 두 개의 연속하는 평탄부의 중심들은 축을 중심으로 90도의 각도로 이격되어 있다. 마주하는 평탄부는 평행하며, 연속하는 평탄부는 서로 수직으로 되어 있고, 각각의 평탄부는 축(22)에 평행하는 평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법선은 축을 교차한다. 원주방향으로 연속하는 평탄부의 엣지들 사이의 연결부분은, 축(22)에 대해 수직하는 평면에서 원형의 원호로 이루어진 프로파일을 갖는 네 개의 원통형 표면(194)을 통해 형성된다.
네 개의 평탄부(192)는 축(22)을 기준으로 캡의 네 개의 외부 표면과 일치하며, 각각의 평탄부는 표면들 중 하나와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평탄부는 국부적으로 끼움고리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무엇보다도 이들 평탄부는 노즐에 접촉표면을 제공하는데, 접촉표면은 두 방향으로 직선을 이루는데, 두 방향은 각각 축(22)에 평행하고 직각을 이루며 또한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는 평면에서 직선을 이룬다. 이 표면은 노즐의 자유단부의 평면에 평행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캡이 병에 대하여 단지 네 개의 다른 위치만을 차지하고 또한 각각의 위치에서 병과 캡의 표면들이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노즐은 병의 주요 표면들 중 하나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은 네 개의 위치 각각에 있어서 접촉하는 평탄부(192)들 중 하나에 수직한다. 평탄부는 병에 대해 캡이 놓여 있는 위치에 관계없이 노즐의 배출 구멍을 닫는 역할을 한다.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면서 본 발명에 대해 여러가지 변형을 가할 수 있다.
구멍이 표면의 평면에 놓여 있도록 노즐이 표면(24)에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용기는 여러가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부품은 회전체를 구성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이러한 형상이 본 발명의 범위에 있어서 반드시 본질적인 것은 아니다.
펌프는 선택적인 요소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장치는 짜내거나 평평하게 눌러야 용액을 배출시킬 수 있는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움직이는 피스톤이 설치된 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캡은 본체에 나사식으로 끼워질 수도 있다.
캡은 커버, 인서트 및 링을 통합한 단일품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들은 물질을 연료분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나아가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단일부품으로 되어 있는,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를 사용해서 일체로 이루어진 캡을 제공할 수도 있다.

Claims (10)

  1. 화장품 장치(4)로서,
    제품(6)을 배출하는 구멍(16)을 구비한 용기; 및
    립(lip) 형태의 내측 돌출부(62)를 구비한 캡(26);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 돌출부(62)는 상기 캡으로 용기를 닫는 동안 상기 구멍(16)을 지나가고 상기 캡이 용기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구멍(16)에서 완전히 이격된 위치에 놓이며,
    상기 캡(26)은 용기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구멍(16)에 맞닿아 상기 구멍(16)을 밀폐하며,
    상기 캡(26)은 상기 용기로부터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26)은 가요성 물질로 이루어진 셔터에 의해 구멍(16)을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돌출부(62)는 캡의 자유단에서 이격된 곳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돌출부(62)는 캡(26)의 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바디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26)은 상기 내측 돌출부(62)와 인접한 하나 이상의 공동(60, 6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26)은 외부 커버(28)와 상기 외부 커버의 안쪽에 완전히 수용되어 있고 내측 돌출부(62)를 지지하는 내측 요소(32)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와 내측 요소는 개별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요소(32)는 상기 커버(28)보다 더 높은 연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26)은, 커버(28) 및 내측 요소(32)와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 요소를 상기 캡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인서트(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6)은 액체 또는 페이스트(paste) 상태로 존재하는 화장품 유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품 장치를 위한 캡(26)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인서트(30)와 립과 같은 내측 돌출부(62)를 지지하는 내측 요소(32)를 함께 조립한 후, 조립된 조립체를 커버(28) 내에 삽입하여 내측 돌출부(62)가 캡 내부에서 돌출부를 형성하는 캡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27006107A 2009-08-07 2010-07-30 배출 구멍을 구비한 화장품 장치 KR101749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5578A FR2948861B1 (fr) 2009-08-07 2009-08-07 Dispositif de produit cosmetique presentant un orifice de distribution
FR0955578 2009-08-07
PCT/FR2010/051634 WO2011015777A2 (fr) 2009-08-07 2010-07-30 Dispositif de produit cosmetique presentant un orifice de distribu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736A KR20120051736A (ko) 2012-05-22
KR101749170B1 true KR101749170B1 (ko) 2017-06-20

Family

ID=42139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6107A KR101749170B1 (ko) 2009-08-07 2010-07-30 배출 구멍을 구비한 화장품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90748B2 (ko)
EP (1) EP2461716B1 (ko)
JP (1) JP5797196B2 (ko)
KR (1) KR101749170B1 (ko)
CN (1) CN102686126B (ko)
FR (1) FR2948861B1 (ko)
WO (1) WO201101577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3918A1 (en) * 2016-08-05 2019-06-12 Unilever PLC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garment refreshment
JP6715140B2 (ja) * 2016-09-13 2020-07-01 株式会社マンダム 噴射容器、キャップ部材及び噴射製品
CA3049913A1 (en) * 2017-01-12 2018-07-1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Limited Closed system stress resistant membrane
US11186413B1 (en) * 2020-06-01 2021-11-30 UmaCor Design LLC Dripless cap and cu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222Y1 (ko) * 2006-03-09 2006-05-25 김승섭 위조방지용 안전 캡
JP7012453B2 (ja) * 2016-05-04 2022-01-28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ブリッジレッグ回路組立品およびフルブリッジ回路組立品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5100A (en) * 1970-03-13 1972-04-11 Isral J Markowitz Safety cover cap for an aerosol container
US3809300A (en) * 1971-06-03 1974-05-07 T Russell Closure device for dispensing tubes
FR2605983B1 (fr) * 1986-11-03 1988-12-02 Cebal Distributeur pour produit pateux et procede d'introduction de son piston a l'interieur de son corps tubulaire
FR2609967B1 (fr) 1987-01-23 1989-08-04 Cebal Distributeur pour produit pateux a poussoir axial rotatif
US5105988A (en) * 1990-06-15 1992-04-21 Calmar Inc. Protector cap and wiper for dispenser discharge orifice
US5094364A (en) * 1990-06-15 1992-03-10 Calmar Inc. Protective overcap and wiper for dispenser discharge orifice
US5207785A (en) * 1991-08-19 1993-05-04 Calmar Inc. Protector cap and wiper for dispenser discharge orifice
US5449094A (en) * 1992-05-18 1995-09-12 Sofab Dispenser with plunging sleeve
GB9507185D0 (en) * 1995-04-06 1995-05-31 Incro Ltd Spraying apparatus and nozzle devices
WO1997035499A1 (en) * 1996-03-25 1997-10-02 Sheffler Robert J Liquid dispenser for products utilizing a brush-type applicator
JPH10337509A (ja) * 1997-06-06 1998-12-22 Shiseido Co Ltd ディスペンサーのキャップ及びディスペンサー
EP1143824B1 (en) * 1998-11-24 2005-07-27 Coty S.A. Packaging and cover for packaging for cosmetic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R2786075B1 (fr) * 1998-11-24 2001-02-02 Coty Sa Conditionnement etanche pour compositions cosmetiques et/ou pharmaceutiques
FR2796921B1 (fr) * 1999-07-28 2001-10-05 Valois Sa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avec systeme d'obturation
US7156266B2 (en) * 2002-06-28 2007-01-02 L'oreal Assembly for packaging and distribution of a product
FR2866819B1 (fr) 2004-02-26 2006-03-31 Techpack Int Distributeur-applicateur typiquement a tete massante
FR2870215B1 (fr) * 2004-05-17 2007-08-10 Valois Sas Capot pour tet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US7510102B2 (en) * 2006-02-22 2009-03-31 Schmitt William H Clog resistant actuator and overcap
US20070289603A1 (en) * 2006-06-15 2007-12-20 Hct Asia Ltd. Cosmetics Dispenser with Automatic Closure
US20090008413A1 (en) * 2007-04-17 2009-01-08 Choi Hee Jin Airless dispensing pump container with an airtight push down type nozzle hea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222Y1 (ko) * 2006-03-09 2006-05-25 김승섭 위조방지용 안전 캡
JP7012453B2 (ja) * 2016-05-04 2022-01-28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ブリッジレッグ回路組立品およびフルブリッジ回路組立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5777A2 (fr) 2011-02-10
FR2948861A1 (fr) 2011-02-11
US20120187149A1 (en) 2012-07-26
CN102686126A (zh) 2012-09-19
FR2948861B1 (fr) 2013-08-30
WO2011015777A3 (fr) 2011-04-28
KR20120051736A (ko) 2012-05-22
JP2013500912A (ja) 2013-01-10
JP5797196B2 (ja) 2015-10-21
CN102686126B (zh) 2015-08-12
US8590748B2 (en) 2013-11-26
EP2461716B1 (fr) 2018-10-24
EP2461716A2 (fr)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2108B2 (ja) ピペットを使用するパッケージング/塗布装置
US8448822B2 (en) Device for packaging a product
RU2295482C2 (ru) Крышка с внутренним регулированием потока для клапана, открывающегося под давлением, в выдвигающейся/задвигающейся насадке (варианты)
US20050199655A1 (en) Dispenser-applicator typically with massage head
EP3203872B1 (en)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ication by means of a pipette
KR101749170B1 (ko) 배출 구멍을 구비한 화장품 장치
KR20120040814A (ko)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EP2301377A2 (en) Liquid container with application function
KR101414379B1 (ko) 화장품 용기
US10022737B2 (en)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push button having resilient upright nozzle
RU2225818C2 (ru) Контейнер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US7255510B2 (en) Rotating dispenser for liquid cosmetics
US7624897B2 (en) Simplified airless dispensing pump for liquid product
KR200488073Y1 (ko) 이종의 내용물 배출이 가능한 액체 배출용기
KR20160043309A (ko) 회전가압식 이종 내용물 토출용기
JP5995893B2 (ja) スプレー装置
CA3041638A1 (en) Material dispenser/applicator
EP3544908A1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product comprising a moveable piston
US10406546B2 (en) Suction device for a liquid product in a dispenser
CN214483619U (zh) 一种化妆品容器
KR102036479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863707B1 (ko) 밀폐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EP3827698A1 (en) Cosmetics container simultaneously preventing leftover cosmetics therein and having airtight function
KR20210008012A (ko) 압축성 액체 저장용기를 가진 액체 디스펜서
KR101817675B1 (ko) 누출방지밸브가 구비된 역립형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