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704Y1 -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 - Google Patents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704Y1
KR200425704Y1 KR2020060016449U KR20060016449U KR200425704Y1 KR 200425704 Y1 KR200425704 Y1 KR 200425704Y1 KR 2020060016449 U KR2020060016449 U KR 2020060016449U KR 20060016449 U KR20060016449 U KR 20060016449U KR 200425704 Y1 KR200425704 Y1 KR 200425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cap
counterfeiting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섭
Original Assignee
김승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섭 filed Critical 김승섭
Priority to KR2020060016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7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7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02One-way valves
    • B65D49/04Weight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12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by destroying, in the act of opening the container, an integral por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for initially filling and for preventing subsequent re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에 관한 것으로, 용기에 담겨진 음용수나 술 등의 내용물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위조방지용 캡에 있어서, 상면에 개구를 갖는 중심부재를 내부의 상측 중심부에 구비하되 방사상 배치한 돌출리브에 의해 연결되게 하고 외주면에 마개와의 결합을 위한 외나사산을 형성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되고 캡의 용기측 결합시 용기의 입구 내부로 삽입 배치되며 하단부를 테이퍼지게 하여 직경 축소되게 한 원통형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중심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중심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의 상면에서 상향 연장 돌출되되 상기 개구를 통하여 중심부재의 상측으로 돌출 배치되는 누름돌부로 구성한 원터치투입수단과;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에 상/하 위치하여 수용되며 상기 원터치투입수단의 누름돌부가 상기 중심부재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몸체를 지지하는 구형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소비자의 직접적인 용기 개방과 더불어 신체느낌과 소리 및 육안으로 내용물의 진품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용기 내부로의 위조내용물 유입을 차단하며 위조행위 자체를 완벽 차단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ONE-TOUCH BOTTLE CAP FOR PREVENTING FALSIFICATION}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절개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의 용기측 적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도 2에서 마개가 제거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의 원터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있어 원터치 안전 캡의 사용 후 용기 내 저장액의 외부 유출상태를 보인 단면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상부몸체 111: 중심부재
111a: 개구 112: 돌출리브
120: 하부몸체 121: 가이드리브
130: 원터치투입수단 131: 지지몸체
132: 누름돌부 140: 구형체
본 고안은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마개와 결합되는 캡 내에 구슬과 같은 구형의 물체를 수용되게 하되 이를 용기의 내용물 상에 강제 투입하기 위한 원터치투입수단을 구비하여 소비자가 직접 용기의 내용물 상에 사용상태확인용 구형물체를 투입되게 함으로써 내용물의 사용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캡 내에 남아있도록 한 다른 구형물체를 통해서 용기 내부로의 위조내용물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양주의 색상과 맛 및 향으로 진품여부를 판별하는 제조전문가와는 달리 마개인 병뚜껑의 파손여부로만 구별할 수 있는 식별력을 갖게 되므로 위조시 많은 피해를 입게 되어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피해 및 위조방지 목적으로 위조방지용 캡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서 내용물의 위조방지에 따른 불법 제조 및 유통을 차단함으로써 소비자나 주류업자가 입을 수 있는 경제적, 정신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위조방지용 캡의 적용에도 불구하고 위조업자들은 내용물을 싼 것으로 교체하거나 저품질의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브랜드를 위조하는 등 위조행위를 계속적으로 행하고 있다.
이러한 위조행위에 의한 불법 제조 및 유통은 쉽게 근절되지 않고 있어 사회적으로 그 대책이 시급하다 할 수 있는데, 주류제조업자는 자사 브랜드의 불신 등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 및 불법 유통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을 감수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소비자는 품질이 떨어지거나 유해성의 내용물을 음용하게 됨으로써 금전적인 손실은 물론 건강상에 위해(危害)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실용등록 제20-289847호에 마개의 마개본체와 중간부재 및 분리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마개를 병으로부터 분리시 상기 마개본체에 결합된 분리부재가 분리되어 병의 내부에 담아있는 내용물에 담겨지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한바 있는데, 분리부재가 병의 내부에 담겨지므로 사용상태의 확인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나 중간부재의 유출구를 통해서 병의 내부에 위조내용물을 투입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을 뿐더러 위조행위를 완벽하게 차단하기에는 상당부분 부족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용기의 마개와 결합되는 캡 내에 구슬과 같은 구형의 물체를 수용되게 하되 이를 용기의 내용물 상에 강제 투입하기 위한 원터치투입수단을 구비하여 소비자가 직접 용기의 내용물 상에 사용상태확인용 구형물체를 투입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서 소비자가 신체느낌과 소리 및 육안으로 내용물의 진품여부를 아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캡 내에 남아있도록 한 다른 구형물체를 통해서 용기 내부로의 위조내용물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을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고안은 상술한 기술을 통해서 위조행위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피해를 방지되게 하고 소비자에게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불법 제조 및 불법 유통을 근절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용기에 담겨진 음용수나 술 등의 내용물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위조방지용 캡에 있어서,
상면에 개구를 갖는 중심부재를 내부의 상측 중심부에 구비하되 방사상 배치한 돌출리브에 의해 연결되게 하고 외주면에 마개와의 결합을 위한 외나사산을 형성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되고 캡의 용기측 결합시 용기의 입구 내부로 삽입 배치되며 하단부를 테이퍼지게 하여 직경 축소되게 한 원통형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중심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중심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의 상면에서 상향 연장 돌출되되 상기 개구를 통하여 중심부재의 상측으로 돌출 배치되는 누름돌부로 구성한 원터치투입수단과;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에 상/하 위치하여 수용되며 상기 원터치투입수단의 누름돌부가 상기 중심부재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몸체를 지지하는 구 형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형체는 유리나 은(Ag), 옥, 황토, 숯, 플라스틱, 세라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게 한다.
상기 하부몸체의 내벽 길이방향으로는 가이드리브를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절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의 용기측 적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도 2에서 마개가 제거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의 원터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있어 원터치 안전 캡의 동작 후 용기 내 저장액의 외부 유출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100)은 상면에 개구(111a)를 갖는 중심부재(111)를 내부의 상측 중심부에 구비하되 방사상 배치한 돌출리브(112)에 의해 연결되게 하고 외주면에 마개(2)와의 결합을 위한 외나사산(113)을 형성한 상부몸체(110)와, 상기 상부몸체(110)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되며 캡(100)을 용기(1)에 결합시 용기의 입구 내부로 삽입 배치되는 원통형 하부몸체(120)와, 상기 상부몸체(110)의 중심부재(111) 상에 배치되며 상기 중심부재(111)의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몸체(131) 및 상기 지지몸체(131)의 상면에서 상향 연장 돌출되되 상기 개구(111a)를 통하여 중심부재(111)의 상측으로 돌출 배치되는 누름돌부(132)로 구성한 원터치투입수단(130)과, 상기 하부몸체(120)의 내부에 상/하 위치하여 수용되는 구형체(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몸체(110)에는 상기 중심부재(111)의 연결을 위해 형성된 돌출리브(112)의 사이간격이 용기(1) 내 내용물의 외부 유출을 가능하게 하는 유출구가 되며, 용기(1)의 입구 상에 걸림 배치되도록 하단부에 단턱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몸체(120)는 그 하단부를 테이퍼지게 하여 하측 직경을 축소되게 함으로써 상기 구형체(140)가 내부에 걸림 배치되게 하여 이들의 중력이나 자중에 의해 스스로가 하부몸체(120)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되게 한다.
상기 하부몸체(120)의 내벽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리브(121)를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하여 내부 수용된 구형체(140)의 위치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하며, 상기 원터치투입수단(130)의 동작시 하부몸체(120)로 떨어지지 않게 하는 차단턱이 되기도 한다.
상기 구형체(140)는 용기(1)의 내용물과 접촉하므로 인체에 무해한 소재를 사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 예로 유리나 은(Ag), 옥(玉), 황토, 숯, 플라스틱, 세라믹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용기(1)는 음용수나 술 같은 액체가 담겨지는 주류용기나 포장용기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100)은 용기(1)의 입구에 결합되고 외나사산(113)을 통하여 마개(2)와 체결되며, 캡(100)이 걸림 배치되는 용기(1)의 외측 부분에 일반적인 알루미늄실링(3)을 형성함으로써 용기(1)에 결합되어 마감되는 것이다.
캡(100)을 사용하기 전의 초기 장착상태에서는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2층 구성을 갖게 한 구형체(140)가 하부몸체(120) 내에 수용된 채로 원터치투입수단(130)의 지지몸체(131)를 지지하여 누름돌부(132)가 중심부재(111)의 상측에 돌출 배치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도 3에서와 같이, 마개(2)를 캡(100)으로부터 제거하여도 하부몸체(120) 내의 하측 구형체(142)가 용기(1)의 내용물에 대한 유출경로를 막고 있음에 의해 용기(1) 내용물의 외부 유출을 어렵게 한다.
마개(2)의 제거에 의해 노출된 누름돌부(132)를 가압하게 되면, 도 4에서와 같이 원터치투입수단(130)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하측 구형체(142)가 용기(1)의 내용물 상으로 투입되고 상측 구형체(141)는 하측 구형체(142)가 위치 이동함에 의해 하부몸체(120)의 하단부로 자연스럽게 위치 이동하게 된다. 이때, 원터치투입수단(130)은 상부몸체(110)의 중심부재(111) 아래로 떨어지게 되고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원터치투입수단(130)의 동작에 의해 용기(1)의 내용물 상으로 투입된 하측 구형체(142)는 그 적용 소재에 따라 액체의 내용물에 빠져 딥핑(dipping)되거나 또는 내용물의 수평면상에 부유하게 되는데, 이러한 투입상태는 용기(1)가 새상품의 상태가 아닌 사용상태임을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예로서, 유리나 옥 등에 의한 구형체는 내용물에 떨어지면서 "땡그렁"하고 용기와 마찰음을 발생하게 됨과 더불어 내용물에 투입된 상태 및 용기의 내용물 유출시 용기 내를 굴러다니면서 발생하는 마찰소리를 통해 용기의 사용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숯이나 무게가 가벼운 플라스틱 등에 의한 구형체는 내용물 상에 부유하게 되며 이를 통해서 용기의 사용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은이나 황토, 숯, 세라믹 등에 의한 구형체는 내용물의 맛을 더 좋게 하는 등의 부가기능을 하게 된다.
나아가, 원터치투입수단(130)의 동작에 의해 하측 구형체(142)가 용기(1)의 내용물 상에 투입된 상태에서는 상측 구형체(141)가 하부몸체(120)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걸림 배치되므로 상부몸체(110) 상의 유출구를 통해서 위조내용물을 용기(1) 내부로 유입되게 할 시 유입경로를 차단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용기(1)의 내용물을 유출시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용기(1)가 거꾸로 들리므로 하부몸체(120)에 수용된 상측 구형체(141)가 하부몸체(12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위치 이동하게 되므로 유출경로가 개방되어 내용물의 외부 유출을 가능하게 한다.
부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소비자가 양주 등과 같은 용기 내 내용물의 진품여부를 신체의 느낌과 소리 및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성을 제공한다.
첫째, 소비자가 직접 안전 캡(100) 상의 원터치투입수단(130)을 눌러서 구형 체(140)를 용기(1) 내로 떨어지게 하므로 손의 느낌으로 사용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둘째, 소비자가 직접 원터치투입수단(130)을 눌러 구형체(140)를 떨어뜨릴 때, 유리나 옥 등은"땡그렁"하고 마찰음을 발생하게 되므로 소리를 통해서 사용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셋째, 소비자가 직접 원터치투입수단(130)을 눌러 구형체(140)를 떨어뜨릴 때, 유리나 옥 등에 의한 구형체(140)가 용기(1) 내로 떨어지는 것과 용기(1) 내에 구형체(140)가 담겨져 있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므로 사용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용기(1) 내부로 떨어진 구형체(14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외부 알루미늄실링(3)을 제거하기 전에는 어려우므로 이의 파손여부를 통해서도 소비자가 위조여부를 식별할 수 있게 하며, 상기 기술된 상태로 소비자가 직접 확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기(1) 내에 구형체(140)를 미리 떨어져 있게 한 것은 진품이 아닌 위조상태임을 소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위조내용물의 투입을 원천 차단함과 더불어 위조행위 자체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안전 캡(1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첨구범위의 유사범주 내에서 행해지는 다양한 변형실시는 본 고안에 귀속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위조방지용 안전 캡에 의하면, 캡 내에 구슬과 같은 구형체 2개를 수용되게 하되 원터치투입수단을 동시에 구비되게 함으로써 소비자가 직접 원터치투입수단을 동작시켜 구형체 중의 하나를 용기의 내용물 상에 강제 투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소비자가 직접 용기를 개방할 수 있게 하되 이를 통해서 소비자의 신체느낌과 소리 및 육안으로 내용물의 사용 및 위조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유용성을 제공하며, 캡 내에 남아있게 한 다른 구형체를 통해서는 용기측으로의 유입경로를 차단되게 함으로써 용기 내부로의 위조내용물 유입을 아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조내용물의 용기측으로 유입 방지기능은 물론 내용물의 위조행위 자체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하므로 소비자의 피해를 방지되게 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게 하며 불법 제조 및 불법 유통을 근절시킬 수 있게 한다.

Claims (3)

  1. 용기에 담겨진 음용수나 술 등의 내용물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위조방지용 캡에 있어서,
    상면에 개구를 갖는 중심부재를 내부의 상측 중심부에 구비하되 방사상 배치한 돌출리브에 의해 연결되게 하고 외주면에 마개와의 결합을 위한 외나사산을 형성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되고 캡의 용기측 결합시 용기의 입구 내부로 삽입 배치되며 하단부를 테이퍼지게 하여 직경 축소되게 한 원통형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중심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중심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의 상면에서 상향 연장 돌출되되 상기 개구를 통하여 중심부재의 상측으로 돌출 배치되는 누름돌부로 구성한 원터치투입수단과;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에 상/하 위치하여 수용되며 상기 원터치투입수단의 누름돌부가 상기 중심부재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몸체를 지지하는 구형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체는 유리나 은(Ag), 옥, 황토, 숯, 플라스틱, 세라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내벽 길이방향으로는 가이드리브를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
KR2020060016449U 2006-06-19 2006-06-19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 KR200425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449U KR200425704Y1 (ko) 2006-06-19 2006-06-19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449U KR200425704Y1 (ko) 2006-06-19 2006-06-19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704Y1 true KR200425704Y1 (ko) 2006-09-13

Family

ID=41774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449U KR200425704Y1 (ko) 2006-06-19 2006-06-19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70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499B1 (ko) 2006-09-28 2007-11-01 석광신 잠금기능이 있는 주입방지장치
KR101903011B1 (ko) * 2017-08-30 2018-11-13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CN110182461A (zh) * 2019-05-09 2019-08-30 中山市华宝勒生活用品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防伪容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499B1 (ko) 2006-09-28 2007-11-01 석광신 잠금기능이 있는 주입방지장치
WO2008039029A1 (en) * 2006-09-28 2008-04-03 Chang Hwan Kim Non-refillable pouring device with locking functions
KR101903011B1 (ko) * 2017-08-30 2018-11-13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CN110182461A (zh) * 2019-05-09 2019-08-30 中山市华宝勒生活用品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防伪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346692B2 (en) Improvements to capsules containing a substance in powder form from which a beverage, preferably espresso coffee, is to be extracted
KR200425704Y1 (ko)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
KR100580810B1 (ko) 열림방지용 마개구조
KR200419676Y1 (ko) 액상 식품용 용기 뚜껑
KR200429169Y1 (ko) 위조방지용 안전 캡
KR101138257B1 (ko) 위조방지용 병마개
KR200444043Y1 (ko) 점안제 케이스
KR101020031B1 (ko) 병 및 병마개
JP5111738B2 (ja) 保護カバー付き注出器
KR200300120Y1 (ko) 위조방지용 병마개
KR200348303Y1 (ko) 개선된 위조방지용 병마개
KR100682854B1 (ko) 물병
KR101328215B1 (ko) 방습제가 내재되는 위조방지 마개
KR20180102533A (ko) 페트병용 필터
KR101067850B1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KR200363544Y1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KR200398604Y1 (ko) 위조방지용 병마개의 누름장치
KR19990064788A (ko) 다용도 병의 속 마개
CN209852891U (zh) 顶穿式一次性双密封桶装水防伪防盗封口盖
KR101092415B1 (ko) 역류방지빨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93813Y1 (ko) 내용물의 위조방지 배출돌기가 구비된 용기
KR100580638B1 (ko) 이중밸브를 갖는 병마개 조립체
KR20230079583A (ko) 차 추출용기, 차 추출용기를 포함하는 차 추출 조립체, 차 추출용기를 포함하는 차 추출 병뚜껑
WO2003059752A2 (en) Security closure for drinks bottle
KR100597840B1 (ko) 위조방지 밀봉기구를 갖춘 포장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