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011B1 -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011B1
KR101903011B1 KR1020170110156A KR20170110156A KR101903011B1 KR 101903011 B1 KR101903011 B1 KR 101903011B1 KR 1020170110156 A KR1020170110156 A KR 1020170110156A KR 20170110156 A KR20170110156 A KR 20170110156A KR 101903011 B1 KR101903011 B1 KR 101903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ball
discharge port
porous
container body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아름
박창민
엄인영
정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to KR1020170110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1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roller, a disc or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1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all, a rolle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3Transparent container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몸체(10), 뚜껑(20) 및 다공성볼(31)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몸체(10)는 배출구(11)와 바닥 사이에 상기 다공성볼(31)이 통과하지 못하는 사이즈의 협착부(12)가 형성된 중공의 용기이며, 상기 다공성볼(31)은 상기 배출구(11)와 상기 협착부(12)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HAVING POROUS BALLS}
본 발명은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인구가 늘어나고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화장품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그러한 화장품을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용기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이에 따라 화장품 용기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화장품 용기에 대한 연구는 주로 용기의 기능을 개선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화장품 용기의 미감에 대한 연구는 주로 디자인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화장품 용기의 기능을 개선시키는 동시에 새로운 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27074호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 내에 다공성볼을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다공성볼의 세공에 출입하게 되는 공기와 화장품에 의해서 다수의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공성볼 및 기포에 의해서 독특한 미감을 형성하며, 용기 내에 수용되는 화장품에 산소를 공급하여 용존산소량을 증가시며, 그에 의하여 수용된 화장품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용기 몸체(10), 뚜껑(20) 및 다공성볼(31)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몸체(10)는 배출구(11)와 바닥 사이에 상기 다공성볼(31)이 통과하지 못하는 사이즈의 협착부(12)가 형성된 중공의 용기이며,
상기 다공성볼(31)은 상기 배출구(11)와 상기 협착부(12)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다공성볼(31)은 표면에 직경 1 nm ~ 1 mm의 세공이 다수개 형성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용기 몸체(10)는 투명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용기는 상기 다공성볼(31)이 상기 협착부(12)의 위에 위치되는 경우, 화장품의 사용을 위하여 용기 몸체(10)를 기울일 때, 상기 다공성볼(31)이 배출구(11)로 이동하여 배출구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턱(50)이 상기 배출구(11)와 협착부(12) 사이에 형성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10)은 다공성볼(31)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뚜껑(10)은
배출구(11)의 외측에 끼워지는 인너 캡(21)과,
상기 배출구(11)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구(11)를 폐쇄하는 다공성볼(31)과,
상기 인너 캡(21)의 외측에 체결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인너 캡(21)에 대한 체결을 진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다공성볼(31)을 하방으로 압박하여 상기 다공성볼(31)을 상기 배출구(11)의 상단으로부터 분리시켜서 상기 용기 몸체(10)의 내부로 이동되게 하는 아우터 캡(22)을 포함하며,
화장품의 최초 사용시, 상기 아우터 캡(22)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배출구(1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용기 몸체(10)의 내부로 상기 다공성볼(31)을 이동시키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뚜껑(11)은
상기 배출구(11)의 상단에 인접한 부위에는 상기 배출구(11)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배출구(11)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걸림턱(11a)이 형성되고,
링(ring)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둘레는 상기 다공성볼(31)을 파지하고, 외측둘레는 상기 걸림턱(11a)에 안착되어, 상기 다공성볼(31)을 상기 화장품의 최초 사용 전까지 상기 배출구(11)의 상단에 위치시키는 다공성볼 홀더(32)를 더 포함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캡(22)의 내측면은 상기 인너 캡(21)의 외측면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아우터 캡(22)의 내부 저면과 상기 다공성볼(31)의 상단 사이에는 상기 다공성볼(31)을 상기 용기 몸체의 내부로 삽입시키도록 상기 다공성볼(31)을 가압하는 푸셔(23)를 더 포함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푸셔(23)는 상기 배출구(11)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용기 몸체(10)에 수용된 화장품이 외부로 유동할 수 있는 관통공(23a)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가 상기 인너 캡(21)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은
상기 푸셔(23)의 상단에는 상기 푸셔(23)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3b)가 형성되고,
상기 푸셔(23)의 외측에는 상기 아우터 캡(22)으로 외력이 가해지기 전까지 상기 푸셔(23)가 상기 다공성볼(31)을 가압하는 것을 저지하는 서포트(24)가 끼워지며,
상기 서포트(24)는 상기 화장품의 최초 사용을 위해 상기 아우터 캡(22)이 상기 인너 캡(21)에 체결되기 전에 제거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은
상기 아우터 캡(22')의 내측면은 상기 인너 캡(21)의 외측면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아우터 캡(22')은,
상기 아우터 캡(22')의 중심에서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단이 상기 다공성볼(31)의 상단에 접하여 상기 아우터 캡(22')이 상기 인너 캡(21)에 체결되면, 상기 다공성볼(31)을 상기 화장품 용기(10)로 삽입시키고, 상기 화장품 용기에 수용된 화장품이 유동하는 관통공(22ba)이 형성되는 누름부(22b)와,
상기 누름부(22b)에 힌지연결되고 상기 관통공(22ba)을 개폐하는 개폐부(22a)를 포함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는 용기 내에 다공성볼을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다공성볼의 세공에 출입하게 되는 공기와 화장품에 의해서 다수의 기포를 발생시키며, 그에 의해서 독특한 미감을 형성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공성볼 및 기포에 의해서 용기 내에 수용되는 화장품에 산소를 공급하여 용존산소량을 증가시며, 그에 의하여 수용된 화장품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의 형태 및 사용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뚜껑의 사용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뚜껑에 아우터 캡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뚜껑의 작동시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뚜껑에서 다공성볼이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뚜껑에서 다공성볼이 이탈된 상태에서 아우터 캡을 개방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다공성볼이 다공성 재질로 형성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뚜껑을 도시한 단면도.
도 1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뚜껑의 작동시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뚜껑에서 다공성볼이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 내지 도19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다공성볼의 기포발생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는 용기 몸체(10), 뚜껑(20) 및 다공성볼(31)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몸체(10)는 배출구(11)와 바닥 사이에 상기 다공성볼(31)이 통과하지 못하는 사이즈의 협착부(12)가 형성된 중공의 용기이며, 상기 다공성볼(31)은 상기 배출구(11)와 상기 협착부(12)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공성볼(31)은 표면에 세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세공에 공기가 수용될 수 있는 형태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다공성볼(31)은 표면에 직경 1 nm ~ 1 mm의 세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크기로 세공이 형성되는 경우, 화장품 용기의 사용시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이 세공에 채워지면서 형성되는 기포(40)가 연속성 있게 장시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미감을 오래 제공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세공이 상술한 범위를 초과하면 기포발생 시간이 너무 짧고, 상술한 범위 미만이 되면 기포의 사이즈가 너무 작아서 육안으로 보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기 다공성볼(31)은,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 5~8mm의 시드를 제작하는 단계;
b) 원료 파우더를 용매와 혼합하여 분사용 원료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성형기에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시드를 투입한 후, 시드를 굴리면서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원료 혼합물을 분사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를 반복하여 다공성볼을 성형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성형된 다공성볼을 건조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에서 건조된 다공성볼을 가열 가마에서 500-700로 4-15시간 소성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e) 건조 단계는 40~80에서 6~1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b)단계의 원료 파우더는 20-100메시의 입자크기를 갖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원료 파우더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백토, 천연제올라이트, 활성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백토 30-40 중량%(300-400매쉬), 천연제올라이트 30-40 중량%(200-300매쉬), 및 활성탄 30-40 중량%(300-400매쉬)를 포함하는 파우더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볼(31)은 다음과 같이 이 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6911호는 "건조된 황토분말 60±20v%, 굴 패각 소성 분말 20±10 v%, 건조 톱밥 20±10 v%를 혼합기에 넣고 조성물에 물을 가하면서 혼합/반죽하는 공정과, 상기 반죽물을 성형기에 넣고 3-20㎜ 크기로 볼 형상으로 만드는 성형공정과, 상기 성형된 황토볼을 450-550℃온도에서 8~10 시간 동안 건조/고형화하는 공정과, 고형화된 황토볼을 1100-1250℃ 온도에서 10~12 시간 소성하는 공정을 거쳐 제공된 황토볼"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6934호는 "고령토 10~20 중량%, 천연제올라이트 20~30 중량%, 자철석 10~15 중량%, 맥반석 5~10 중량%, 게르마늄 1~2 중량%, 전기석 5~10 중량% 및 톱밥(200메쉬) 10~20 중량%를 포함하는 다기공 세라믹볼용 조성물을 톱밥이 골고루 분산되도록 고속 혼합하는 단계(단계 1); 세라믹 성형기에 천연제올라이트 비드를 넣고 회전시키면서 스프레이건으로 물을 분사하면서, 상기 다기공 세라믹볼용 조성물을 세라믹 성형기에 분산투입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세라믹 성형기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킨 후, 형성된 다기공 세라믹볼을 꺼내어 자연 건조시키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건조된 다기공 세라믹볼을 800~850 ℃로 산화소성시키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는 다기공 세라믹볼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9261호는 "중량비로 제올라이트의 분말 80~90%에 벤토나이트, 고령토, 일라이트, 점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개 이상을 동일비율로 혼합한 분말상의 첨가제 10~20%를 물로 혼합 반죽하여 직경이 0.5-2㎝의 구상으로 형성하고 이를 500-900의 온도에서 소성하여 제조되는 세라믹 볼"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화장품 용기 몸체(10)는 시각적으로 다공성볼(31)로부터 발생하는 기포가 잘 보이도록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을 최초로 사용하기 위하여 배출구를 오픈할 때, 다공성볼(31)이 용기 몸체(10) 내부로 자유 낙하하면서 화장품 속으로 잠기거나, 도 11 및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이 사용에 의해 줄어든 상태(도 11)에서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하여 화장품 용기를 기울일 때, 다공성볼의 세공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화장품의 유입에 의해 밖으로 배출되면서 액체의 표면 장력 때문에 구상의 기포를 형성하며 상승하므로, 화장품 용기의 미감을 증대시키며, 사용자에게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다공성볼(31)이 용기 몸체(10)에 수용된 화장품에 잠기지 않은 상태에서는 다공성볼(31)의 세공이 건조된 상태가 되어 공기가 충진되고, 사용 중 화장품이 세공에 유입되는 경우에는 다공성볼(31)의 세공에 충진된 공기가 기포가 되어 밖으로 빠져 나오면서 상승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는 다공성볼(31)을 포함함으로써, 용기 내에 수용된 화장품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는 수용된 화장품의 용존산소량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용존산소량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화장품의 활성이 증가하여 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72555호 내용 참고)
상기 화장품 용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공성볼(31)이 상기 협착부(12)의 위에 위치된 후 화장품의 사용을 위하여 기울이는 경우, 배출구(11)로 이동하여 배출구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구(11)와 협착부(12) 사이에 방지턱(5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방지턱(50)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 공지된 형태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몸체의 내벽에 루프(loop)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10)은 다공성볼(31)을 포함하는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뚜껑(10)은
배출구(11)의 외측에 끼워지는 인너 캡(21)과,
상기 배출구(11)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구(11)를 폐쇄하는 다공성볼(31)과,
상기 인너 캡(21)의 외측에 체결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인너 캡(21)에 대한 체결을 진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다공성볼(31)을 하방으로 압박하여 상기 다공성볼(31)을 상기 배출구(11)의 상단으로부터 분리시켜서 상기 용기 몸체(10)의 내부로 이동되게 하는 아우터 캡(22)을 포함하며,
화장품의 최초 사용시, 상기 아우터 캡(22)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배출구(1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용기 몸체(10)의 내부로 상기 다공성볼(31)을 이동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뚜겅(1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볼(31)은 상기 배출구(11)의 상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다공성볼(31)은 상기 화장품 용기의 최초 사용 전까지는 상기 배출구(11)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있어 상기 용기 몸체(10)로부터 상기 화장품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으나, 상기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려면, 상기 다공성볼(31)을 상기 용기 몸체의 내부로 이동시켜야 한다.
상기 다공성볼(31)의 외경은 상기 배출구(11)의 내경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다공성볼(31)이 상기 배출구(11)를 실질적으로 폐쇄한다.
다만, 상기 다공성볼(31)의 외경과 상기 배출구(11)의 내경을 일치시키기 어렵고, 상기 다공성볼(31)을 상기 화장품 용기를 최초 사용 전까지는 상기 배출구(11)에 위치시켜야 하므로, 상기 다공성볼(31)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출구(11)의 상단에 인접한 부위에는 상기 배출구(11)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배출구(11)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걸림턱(11a)이 형성된다.
또한, 고무재질,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링(ring) 형태의 다공성볼 홀더(32)가 상기 다공성볼(31)의 둘레에 끼워진다. 상기 다공성볼 홀더(32)는 내측 둘레가 상기 다공성볼(31)을 파지하고, 외측 둘레가 상기 걸림턱(11a)에 안착되어 있어서, 상기 화장품 용기의 최초 사용 전까지는 상기 다공성볼(31)을 상기 배출구(11)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다공성볼 홀더(32)의 내경이 상기 다공성볼(31)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공성볼 홀더(32)의 재질이 고무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이라서, 상기 다공성볼(31)은 상기 다공성볼 홀더(32)에 억지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다만, 상기 다공성볼 홀더(32)는 상기 다공성볼(31)이 상기 용기 몸체(10)의 내부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걸림턱(11a)에 걸린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뚜겅(11)에 있어서, 인너 캡(21)은 상기 배출구(11)의 외측에 끼워진다. 상기 인너 캡(21)은 상기 배출구(11)를 커버하는 형태, 즉 상기 배출구(11)의 외측과 상부를 덮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인너 캡(21)의 내측면과 상기 배출구(11)의 외측면 사이에는 상기 인너 캡(21)과 상기 배출구(11)를 체결할 수 있는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 인너 캡(21)의 내측면과 상기 배출구(11)의 외측면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인너 캡(21)의 내측면과 상기 배출구(11)의 외측면이 체결됨으로써, 상기 인너 캡(21)이 상기 배출구(11)에 체결된다.
상기 인너 캡(21)은 상기 배출구(11)를 보호하는 역할과 상기 아우터 캡(22)이 체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우터 캡(22)은 상기 인너 캡(21)의 외부에 장착된다.
상기 아우터 캡(22)의 내경은 상기 인너 캡(2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너 캡(21)의 외측면과 상기 아우터 캡(22)의 외측면 사이에는 상기 아우터 캡(22)과 상기 인너 캡(21)을 체결시킬 수 있는 수단이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인너 캡(21)의 외측면과 상기 아우터 캡(22)의 내측면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아우터 캡(22)은 상기 인너 캡(21)에 나사결합될 수 있지만, 상기 용기 몸체(10)를 최초로 사용하기 전까지는 상기 아우터 캡(22)이 상기 인너 캡(21)과 나사 결합되어 있지 않거나, 완전히 체결되지 않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왜냐하면, 상기 아우터 캡(22)이 상기 다공성볼(31)을 가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아우터 캡(22)은 상기 화장품의 최초 사용 전까지는 상기 인너 캡(21)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인너 캡(21)과 실질적으로 체결되지 않지만, 상기 화장품의 최초 사용시 상기 인너 캡(21)에 실질적으로 체결되기 시작하여, 최대로 체결되도록 한다.
즉, 상기 아우터 캡(22)을 회전시켜 상기 인너 캡(21)에 나사결합시키면, 그에 의해서 상기 아우터 캡(22)이 상기 인너 캡(21)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다공성볼(31)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다공성볼(31)을 상기 배출구(11)의 내부로 삽입시키므로, 배출구(11)가 오픈되어 화장품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아우터 캡(22)이 상기 다공성볼(31)을 직접 가압할 수 있지만, 상기 아우터 캡(22)과 상기 다공성볼(31) 사이에는 푸셔(23)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푸셔(23)는 상단은 상기 아우터 캡(22)의 저면에 밀착되고, 하단은 상기 다공성볼(31)의 상단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아우터 캡(22)이 상기 인너 캡(21)에 나사결합되면, 상기 아우터 캡(22)이 상기 푸셔(23)를 통하여 상기 다공성볼(31)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푸셔(23)에는 축방향을 따라 화장품이 유동할 수 있는 관통공(23a)이 형성된다.
상기 푸셔(23)는 상단이 상기 푸셔(23)의 반경방향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플랜지부(23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지하다. 상기 플랜지부(23b)는 서포트(24)의 상승을 제한하고, 상기 푸셔(23)가 상기 인너 캡(21)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푸셔(23)의 외측에는 상기 화장품 용기의 최초 사용 전까지 상기 아우터 캡(22)과 상기 푸셔(23)가 상기 다공성볼(31)을 가압하는 것을 저지하는 서포트(24)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서포트(24)는 상기 화장품 용기의 최초 사용시 제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뚜껑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은 화장품 용기 뚜껑의 최초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서,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우터 캡(22)을 상기 인너 캡(21)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아우터 캡(22)이 분리되면, 상기 서포트(24)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상기 서포트(24)가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캡(22)을 상기 인너 캡(21)의 외측에 위치 시킨다(도 7 참조).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우터 캡(22)을 상기 인너 캡(21)에 나사결합시키면, 상기 아우터 캡(22)은 체결이 진행됨에 따라 아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푸셔(23)를 가압한다. 동시에 상기 푸셔(23)는 상기 다공성볼(31)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다공성볼(31)은 상기 다공성볼 홀더(32)와 분리되어, 상기 용기 몸체의 내부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다공성볼(31)을 초기 위치로부터 이탈시킬 때, 사용자는 상기 아우터 캡(22)을 회전시키면 되므로, 적은 힘으로 상기 다공성볼(31)을 초기 위치, 즉 배출구(11)의 상단부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아우터 캡(22)과 상기 인너 캡(21)이 나사결합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 상기 아우터 캡(22)을 회전시키면, 서서히 상기 푸셔(23)가 하강하면서, 상기 다공성볼(31)을 가압하여, 상기 다공성볼(31)을 초기 위치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화장품의 최초 사용시 상기 배출구(1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다공성볼(31)이 이탈되어 상기 용기 몸체(10)의 내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후에 사용자가 상기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아우터 캡(22)을 개방시켜 사용자는 상기 용기 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을 덜어 쓰게 된다(도 9 참조).
한편 도 11 내지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뚜껑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아우터 캡(22')의 구조가 상이하고, 푸셔(23)와 서포트(24)가 필요하지 않은 점에 차이가 있다.
인너 캡(21), 다공성볼(31), 다공성볼 홀더(32)는 앞서 살펴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우터 캡(22')은 상기 인너 캡(21)에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아우터 캡(22')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 캡(22')은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푸셔(23)의 역할도 함께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아우터 캡(22')은 개폐부(22a)와 누름부(22b)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22a)는 상기 누름부(22b)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누름부(22b)는 상기 인너 캡(21)에 나사결합가능하도록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22b)는 상기 다공성볼(31)을 상기 용기 몸체(10)로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다공성볼(31)의 상단에 접촉되어 있다. 상기 누름부(22b)는 블록, 원기둥 등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22b)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하단이 초기상태에 상기 다공성볼(31)의 상단에 접촉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누름부(22b)의 중심에는 화장품이 유동할 수 있는 관통공(22b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22a)는 상기 누름부(22b)에 개폐가능한 구조, 예컨대 힌지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누름부(22b)에 형성된 관통공(22ba)을 개폐한다.
한편, 상기 누름부(22b)과 상기 개폐부(22a)에는 상기 누름부(22b)과 상기 개폐부(22a)를 결속시키는 결속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누름부(22b)와 상기 개폐부(22a) 중 어느 하나에 걸림후크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상기 걸림후크에 체결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다면, 상기 용기 몸체(10)의 폐쇄시에는 상기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상기 개폐부(22a)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아우터 캡(22')도 상기 화장품의 최초 사용 이전까지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너 캡(21)의 외측에 위치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체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후, 상기 화장품의 최초 사용을 위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우터 캡(22')을 회전시켜 상기 인너 캡(21)에 나사결합시킨다. 상기 아우터 캡(22')이 상기 인너 캡(21)에 나사결합되면 체결정도가 진행될수록 상기 아우터 캡(22')의 누름부(22b)가 상기 다공성볼(31)을 가압시켜 상기 다공성볼(31)을 상기 배출구(11)로부터 상기 용기 몸체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적은 힘으로 상기 아우터 캡(22')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상기 다공성볼(31)을 상기 배출구(11)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다공성볼(31)이 상기 배출구(11)로부터 이탈된 상태가 되면(도 13 참조), 상기 개폐부(22a)를 개방시켜 상기 화장품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다공성볼(31')은 다수의 기공(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다.
제조예 1: 다공성볼의 제조
평균직경이 5~8mm인 시드를 제작하였다. 백토 35 중량%(300-400매쉬), 천연제올라이트 35 중량%(200-300매쉬), 및 활성탄 30 중량%(300-400매쉬)를 포함하는 원료 파우더를 물과 혼합하여 원료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시드를 성형기에 투입하여 시드를 굴리면서 상기 원료 혼합물을 분사하여 다공성볼을 성형하였다. 상기에서 성형된 다공성볼을 60에서 8시간 건조시켰다. 상기 건조된 다공성볼을 가열 가마에서 500-700로 8시간 소성하여 다공성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다공성볼의 성능 평가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직경이 11mm인 다공성볼을 3개씩 비이커 3개에 나누어 담고, 각 비이커에 스킨로션(I), 스킨로션(II, 계면활성제 포함), 또는 크린징워터를 넣은 후 시간에 따르는 기포의 생성정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기포의 생성정도는 도 14 내지 도 19에서 나타내었다.
시험예 2: 다공성볼에 의한 용존산소량 측정
비이커에 스킨로션(I)을 담고 용존산소량을 측정한 후, 제조예 1에서 제조된다공성볼 3개를 넣고 3분 후에 다시 용존산소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ONLY 스킨로션(I) 다공성볼 포함 스킨로션(I)
용존산소량(PPM) 5.88-5.97 6.70-6.91
10 : 용기 몸체
11 : 배출구
11a : 걸림턱
12: 협착부
21 : 인너 캡
22, 22' : 아우터 캡
22a : 개폐부
22b : 누름부
22ba : 관통공
23 : 푸셔
23a : 관통공
31, 31' : 다공성볼
31a : 기공
32 : 다공성볼 홀더
40 : 기포
50 : 방지턱

Claims (10)

  1. 용기 몸체(10), 뚜껑(20) 및 다공성볼(31)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몸체(10)는 배출구(11)와 바닥 사이에 상기 다공성볼(31)이 통과하지 못하는 사이즈의 협착부(12)가 형성된 중공의 용기이며,
    상기 다공성볼(31)은 상기 배출구(11)와 상기 협착부(12)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볼(31)은 표면에 직경 1 nm ~ 1 mm의 세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10)는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용기는 상기 다공성볼(31)이 상기 협착부(12)의 위에 위치되는 경우, 화장품의 사용을 위하여 용기 몸체(10)를 기울일 때, 상기 다공성볼(31)이 배출구(11)로 이동하여 배출구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턱(50)이 상기 배출구(11)와 협착부(12) 사이에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은 다공성볼(31)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뚜껑(20)은
    배출구(11)의 외측에 끼워지는 인너 캡(21)과,
    상기 배출구(11)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구(11)를 폐쇄하는 다공성볼(31)과,
    상기 인너 캡(21)의 외측에 체결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인너 캡(21)에 대한 체결을 진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다공성볼(31)을 하방으로 압박하여 상기 다공성볼(31)을 상기 배출구(11)의 상단으로부터 분리시켜서 상기 용기 몸체(10)의 내부로 이동되게 하는 아우터 캡(22)을 포함하며,
    화장품의 최초 사용시, 상기 아우터 캡(22)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배출구(1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용기 몸체(10)의 내부로 상기 다공성볼(31)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1)의 상단에 인접한 부위에는 상기 배출구(11)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배출구(11)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걸림턱(11a)이 형성되고,
    링(ring)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둘레는 상기 다공성볼(31)을 파지하고, 외측둘레는 상기 걸림턱(11a)에 안착되어, 상기 다공성볼(31)을 상기 화장품의 최초 사용 전까지 상기 배출구(11)의 상단에 위치시키는 다공성볼 홀더(3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캡(22)의 내측면은 상기 인너 캡(21)의 외측면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아우터 캡(22)의 내부 저면과 상기 다공성볼(31)의 상단 사이에는 상기 다공성볼(31)을 상기 용기 몸체의 내부로 삽입시키도록 상기 다공성볼(31)을 가압하는 푸셔(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23)는 상기 배출구(11)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용기 몸체(10)에 수용된 화장품이 외부로 유동할 수 있는 관통공(23a)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가 상기 인너 캡(21)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23)의 상단에는 상기 푸셔(23)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3b)가 형성되고,
    상기 푸셔(23)의 외측에는 상기 아우터 캡(22)으로 외력이 가해지기 전까지 상기 푸셔(23)가 상기 다공성볼(31)을 가압하는 것을 저지하는 서포트(24)가 끼워지며,
    상기 서포트(24)는 상기 화장품의 최초 사용을 위해 상기 아우터 캡(22)이 상기 인너 캡(21)에 체결되기 전에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캡(22)의 내측면은 상기 인너 캡(21)의 외측면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아우터 캡(22)은,
    상기 아우터 캡(22)의 중심에서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단이 상기 다공성볼(31)의 상단에 접하여 상기 아우터 캡(22)이 상기 인너 캡(21)에 체결되면, 상기 다공성볼(31)을 상기 용기 몸체(10)로 삽입시키고, 상기 용기 몸체(10)에 수용된 화장품이 유동하는 관통공(22ba)이 형성되는 누름부(22b)와,
    상기 누름부(22b)에 힌지연결되고 상기 관통공(22ba)을 개폐하는 개폐부(2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0170110156A 2017-08-30 2017-08-30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903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156A KR101903011B1 (ko) 2017-08-30 2017-08-30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156A KR101903011B1 (ko) 2017-08-30 2017-08-30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011B1 true KR101903011B1 (ko) 2018-11-13

Family

ID=64397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156A KR101903011B1 (ko) 2017-08-30 2017-08-30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0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704Y1 (ko) * 2006-06-19 2006-09-13 김승섭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
KR200438980Y1 (ko) * 2006-12-15 2008-03-14 주식회사 까만콩 미스트 미용수 발생기
KR101104934B1 (ko) * 2011-01-21 2012-01-12 에프. 홀저 게엠베하 벨로우즈 타입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704Y1 (ko) * 2006-06-19 2006-09-13 김승섭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
KR200438980Y1 (ko) * 2006-12-15 2008-03-14 주식회사 까만콩 미스트 미용수 발생기
KR101104934B1 (ko) * 2011-01-21 2012-01-12 에프. 홀저 게엠베하 벨로우즈 타입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4126B2 (en) Device for packaging and/or dispensing a product and manufacturing methods
JP2004321410A (ja) 固形化粧料容器
JP2002253337A (ja) 例えばメークアップ製品のためのアプリケータ装置及びアプリケータキット
KR101903011B1 (ko) 다공성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US20190314734A1 (en) Propelled bath vessel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H621376A5 (en) Device intended for the activation by physical and/or chemical means of the water delivered as a jet or as a sprinkle by a sanitary showering appliance
US3821350A (en) Method of coating a tampon with an insertion aid
JP2011032181A (ja) 組み合わせ化粧料およびその製法
JP2005319314A (ja) アプリケータ表面を整形し直すための部材を有する包装及びアプリケータ器具
EP3342311B1 (en) Container device and filling and production methods
CN209008348U (zh) 香薰装置
CN209347701U (zh) 香薰装置
CN108713955A (zh) 一种多功能水杯
JPS624218A (ja) 凸型固型粉体化粧料の製造方法
JP2009274974A (ja) 粒状化粧料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粒状化粧料
US4221752A (en) Plant receptacl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100668428B1 (ko) 사리제조장치
KR102467834B1 (ko) 광촉매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422811B1 (ko) 천연비누 제조용 키트
US1246618A (en) Condiment-shaker.
KR100975497B1 (ko) 필터 케이스
GB2255771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ater treatment devices
JPS6433159A (en) Resin composition, its molding and their production
JPH0356483Y2 (ko)
KR20080001281U (ko) 섬유 또는 가죽제품용 장식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