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854B1 - 물병 - Google Patents

물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854B1
KR100682854B1 KR1020040115396A KR20040115396A KR100682854B1 KR 100682854 B1 KR100682854 B1 KR 100682854B1 KR 1020040115396 A KR1020040115396 A KR 1020040115396A KR 20040115396 A KR20040115396 A KR 20040115396A KR 100682854 B1 KR100682854 B1 KR 100682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lter
locking
inner container
water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5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6005A (ko
Inventor
류정관
Original Assignee
류정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관 filed Critical 류정관
Priority to KR1020040115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854B1/ko
Publication of KR20060076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65D1/0269Op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병의 구조를 갖는 물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용기의 하부에 여과기가 형성되어 상기 여과기에 차잎을 넣고 상기 내부용기에 적정량의 물을 채워둠으로서 상기 물이 여과기의 통공을 통과하여 차잎을 우려내게 하여 전통고유의 차에 대한 맛과 향을 느낄수 있도록 발명해 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물병의 하부에 여과기가 구비됨으로서 차잎이 우러난 물을 음용시에도 지속적으로 차잎이 우러나게 되어 빈번하게 물을 보충하는 번거러움을 해소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으로 상부용기와 하부용기가 결합된 이중병의 구조로 구성되어 차가 항시 따듯한 상태를 유지가능하여 맛과 향의 보전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물병, 내부용기, 상부용기, 하부용기, 여과기

Description

물병{A WATER BOTTLE}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확대 절개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저면부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A-물병 10-내부용기
11-걸림홈 12,32-여과공
13,33-걸림환턱 20-상부용기
21-걸림돌기 30-하부용기
34-걸림돌조 35-걸림환홈
36-패킹부재 40-여과기
41-마개 42-여과통
43,45-통공 44-덮개
본 발명은 이중병의 구조를 갖는 물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용기와 하부용기가 회전결합되어지는 물병의 내측으로 내부용기를 결합하되 상기 내부용기의 하측에는 여과기가 형성되어 상기 여과기에 녹차잎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차잎을 넣어 내부용기에 제공된 물이 차잎의 종류에 따라 우러나게 되어 다양한 차를 음용가능하도록 발명해 낸 것이다.
주지되는 바와 같이 식후나 타인과의 담소 및 여가시간을 활용시에 주로 건강에 유익한 차를 음용하는 것으로서 특히 근래에는 웰빙바람이 거세게 불기 시작하면서 건강에 도움이 부적절한 커피나 탄산음료보다 건강에 유익하고 향과 맛이 좋은 전통차를 주로 애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차를 마시기 위해서는 대부분 일회용 티백을 주로 구입하여 사용하는 물에 우려낸 후 마시는 것으로서 상기 티백의 경우 사용이 간편한 효과와 별도의 차추출용기가 불필요한 장점은 있으나 티백은 실질적으로 차의 고유한 향과 맛등을 단순히 모방한것에 불과하여 그 품질이 저하됨은 물론 어느 정도 차에 대한 맛을 아는 일반인들에게는 그다지 선호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하여 근래에는 실용신안 출원등록 제 2003-0022323호와 동제 1996-007151호와 같이 차를 추출가능한 여과기가 구비된 물병이 발명되어 차잎을 상기 물병의 여과기에 넣어 물로 우려냄으로서 그 맛과 향이 유지되어 많은 소비자들이 선호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물병의 경우 주로 여과기가 물병의 상측에 주로 구성됨으로서 물병에 들어있는 물이 항시 차잎이 들어있는 여과기의 위치까지 유지되어야 원할하게 차가 우러나는 단점과 우러난 차를 따를때 별도로 여과기를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등이 번거로웠으며 또한 약간의 시간이 경과시에 물병내부의 물이 식게되어 차의 맛이 저하되는 등의 보온상의 문제점등이 제기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용기의 하부에 여과기가 형성되어 상기 여과기에 차잎을 넣고 상기 내부용기에 적정량의 물을 채워둠으로서 상기 물이 여과기의 통공을 통과하여 차잎을 우려내게 되어 전통고유의 차에 대한 맛과 향을 느낄수 있도록 제공된 것을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으로 상부용기와 하부용기가 결합되어 상기 내부용기가 보온효과를 지속가능한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중병의 구조를 갖는 물병(A)에 있어서, 상기 물병(A)은 상측 개구부 내주연에 단턱지게 걸림홈(11)이 형성되고 중앙하부에는 여과공(12)이 형성되어지도록 하측으로 걸림환턱(13)이 돌출형성된 내부용기(10)의 외측으로 상부용기(20)와 하부용기(30)를 결합하되, 상기 상부용기(20)는 개구부의 외주연에서 내주연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돌기(21)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21)의 단부가 내부용기(10)의 걸림 홈(11)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하부용기(30)는 중앙하부에 여과공(32)이 형성되어지도록 하측으로 걸림환턱(33)이 돌출형성되어지되, 상기 하부용기(30)의 걸림환턱(33) 내주연은 내부용기(10)의 걸림환턱(13) 외주연과 끼움결합되며 상기 하부용기(30)의 걸림환턱(33)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내측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여과기(40)의 마개(41)가 회전결합되고 상기 상부용기(20)의 하단부와 하부용기(30)의 상단부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용기(10)와 상부용기(20) 및 하부용기(30)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물병(A)에 있어서, 여과기(40)는 하부용기(30)의 걸림환턱(33)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어지는 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된 마개(41)의 상측으로 내부용기(10)의 여과공(12) 내주연에 밀착되어지는 여과통(42)이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여과통(42)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통공(43)이 형성되며 상기 여과통(42)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된 덮개(44)가 끼움결합되어지되, 상기 덮개(44)에는 다수개의 통공(45)이 형성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10)의 하부와 밀착되어지는 하부용기(30)의 내측 바닥면에는 걸림환홈(35)이 형성되어지도록 환형의 걸림돌조(34)가 양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되어지되 상기 걸림돌조(34)와 걸림돌조(34) 사이의 걸림환홈(35)에는 패킹부재(36)가 끼움결합되어 내부용기(10)와 마찰을 완충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부용기(20)는 내부용기(10)의 상측 개구부 내주연에 단턱지게 형성된 걸림홈(11)과 결합되며 하부용기(30)의 걸림환턱(33)은 내부용기(10)의 하부 걸림환턱(13)과 끼움결합되어 지는 것 이며 상기 하부용기(30)의 걸림환홈(35)에는 패킹부재(36)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하부용기(30)의 하측에 형성된 여과공(32)에는 여과기(40)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여과기(40)는 다수개의 통공(43)이 형성된 여과통(42)이 하측으로 손잡이 대용의 마개(41)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여과통(42)의 상측에는 역시 다수개의 통공(45)이 구비된 덮개(42)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여과통(42)이 내측에는 차잎(100)이 수납가능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내부용기(10)의 외측으로 상부용기(20)와 하부용기(30)가 끼움결합되고 상부용기(20)의 상공에는 뚜껑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중앙하부에 도시된 여과기(40)는 실질적으로 외부에서는 미도시되는 것이나 도면의 이해상 반투과된 상태로 도시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내부용기(10)와 상부용기(20) 및 하부용기(30)가 결합된 상태에서 물을 내부용기(10) 내측에 붓은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내부용기(10)의 상단부에 상부용기(20)를 결합하고 상기 상부용기(20)의 하부에 내측방향으로형성된 나사산에 하부용기(30)의 상측에 형성된 나사산을 회전결합하되 상기 하부용기(30)는 중앙하부에 여과공(32)이 형성되어지도록 하측으로 걸림환턱(33)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림환턱(33)의 내경이 내부용기(10)의 중앙하부에 돌출형성된 걸림환턱(13)에 긴밀하게 끼움결합되어 상부용기(20)와 하부용기(30)의 내측에 위치한 내부용기(10)가 고정되어지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물이 여과기(40)의 상부와 중앙에 형성된 통공(43),(45)을 통하여 유류되면서 상기 여과기(40)의 내측에 위치한 차잎(100)을 우려내주는 것이며 상기 우러난 차잎(100)은 항시 여과기(40)의 내측에 그대로 보관이 되어지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확대 절개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결합된 물병(A)의 요부를 절개하여 상기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도시한 것이며 상기 내부용기(10)의 외측으로 상부용기(20)와 하부용기(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일요부인 여과기(40)의 체결상태를 상세히 도시하고자 임의 분리한 것으로서 상기 확대도와 같이 하부용기(30)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의 가장자리에는 걸림돌조(34)가 양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조(34)와 걸림돌조(34) 사이에 걸림환홈(35)이 형성되어지는 것이며 상기 걸림환홈(35)에는 패킹부재(36)가 체결되어지되 상기 패킹부재(36)의 두께는 걸림돌조(34)보다 두껍게 형성함으로서 상기 패킹부재(36)가 내부용기(10)와 밀착되어 내부용기(10)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확대도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여과기(40)는 외주연에 다수개의 통공(43)이 형성된 여과통(42)은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제공되어 차잎(100)을 상기 여과통(42)에 넣은 후 상기 여과통(42)의 하부에 형성된 마개(41)를 이용하여 하부용기(30)의 걸림환턱(33)에 형성된 나사산과 마개(41)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을 회전결합하는 것이며 상기 여과통(42)의 상측에는 다수개의 통공(45)이 형성된 덮개(42)가 끼움결합되어지되 상기 덮개(42)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여과통(42)과 긴밀하게 끼움결합가능한 것이며 상기 덮개(42)의 외경은 여과통(42)의 외경보다 적게 구성함으로서 상기 덮개(42)를 덮은 상태에서 여과공(12)에 결합시 상기 덮개(42)가 여과공(12)과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덮 개(42)가 내부용기(10) 내측에서 여과통(42)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저면부를 도시한 저면사시도로서 상기 상부용기(20)와 하부용기(30)가 회전결합한 후 상기 여과통(42)과 일체로 형성된 마개(41)를 잡고 상기 하부용기(3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는 것을 저면상태에서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을 응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여과기(40)를 물병(A)의 바닥이 아닌 하부 외측면에도 설치한 것으로 상기 실시예와 같이 구성시는 물병(A)은 역시 물병(A) 내측의 물이 절반이상 소진되기 전까지 여과통(42) 내부의 차잎(100)이 물에 우러나는 것이며 상기 차잎(100)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상기 물병(A)을 약간 기울여 물의 수면을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여과통(42)의 마개(41)를 분리하여 차잎(100)을 교체가능한 것이며 일측에 은선으로 도시된 마개(41)부분은 필요에 따라 여과통(42)이 물병(A)의 외주연에 돌출형성가능한 것을 은선을 이용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는 바다.
물병의 하부에 여과기가 구비됨으로서 차잎이 우러난 물을 음용시에도 지속적으로 차잎이 우러나게 되어 빈번하게 물을 보충하는 번거러움이 없으며 이중병의 구조로 구성됨으로서 차가 항시 따듯한 상태를 유지가능하여 맛과 향의 보전이 용이한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차를 보관하는 내부용기의 소재를 유리병내지 세라믹병등으로 제공함으로서 세척 및 소독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내부용기가 파손시에도 상,하부용기에 의하여 파손된 유리등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에도 만전을 기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자명한 사실인 것이라 할 수 있다.

Claims (3)

  1. 이중병의 구조를 갖는 물병에 있어서,
    상기 물병(A)은 상측 개구부 내주연에 단턱지게 걸림홈(11)이 형성되고 중앙하부에는 여과공(12)이 형성되어지도록 하측으로 걸림환턱(13)이 돌출형성된 내부용기(10)의 외측으로 상부용기(20)와 하부용기(30)를 결합하되, 상기 상부용기(20)는 개구부의 외주연에서 내주연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돌기(21)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21)의 단부가 내부용기(10)의 걸림홈(11)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하부용기(30)는 중앙하부에 여과공(32)이 형성되어지도록 하측으로 걸림환턱(33)이 돌출형성되어지되, 상기 하부용기(30)의 걸림환턱(33) 내주연은 내부용기(10)의 걸림환턱(13) 외주연과 끼움결합되며 상기 하부용기(30)의 걸림환턱(33)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내측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여과기(40)의 마개(41)가 회전결합되고 상기 상부용기(20)의 하단부와 하부용기(30)의 상단부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용기(10)와 상부용기(20) 및 하부용기(30)가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40)는 하부용기(30)의 걸림환턱(33)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어지는 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된 마개(41)의 상측으로 내부용기(10)의 여과공(12) 내주연에 밀착되어지는 여과통(42)이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여과통(42)의 외 주연에는 다수개의 통공(43)이 형성되며 상기 여과통(42)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된 덮개(44)가 끼움결합되어지되, 상기 덮개(44)에는 다수개의 통공(45)이 형성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병.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10)의 하부와 밀착되어지는 하부용기(30)의 내측 바닥면에는 걸림환홈(35)이 형성되어지도록 환형의 걸림돌조(34)가 양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되어지되 상기 걸림돌조(34)와 걸림돌조(34) 사이의 걸림환홈(35)에는 패킹부재(36)가 끼움결합되어 내부용기(10)와 마찰을 완충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병.
KR1020040115396A 2004-12-29 2004-12-29 물병 KR100682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396A KR100682854B1 (ko) 2004-12-29 2004-12-29 물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396A KR100682854B1 (ko) 2004-12-29 2004-12-29 물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005A KR20060076005A (ko) 2006-07-04
KR100682854B1 true KR100682854B1 (ko) 2007-02-22

Family

ID=3716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5396A KR100682854B1 (ko) 2004-12-29 2004-12-29 물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8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461Y1 (ko) * 2012-06-25 2013-06-17 장승영 거름망 마개 및 상기 거름망 마개를 구비한 진액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422Y1 (ko) * 2010-11-23 2012-02-13 시선플러스(주) 차 음용을 위한 물병 마개형 휴대용 인퓨저
KR101731219B1 (ko) * 2016-11-18 2017-04-27 박동국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461Y1 (ko) * 2012-06-25 2013-06-17 장승영 거름망 마개 및 상기 거름망 마개를 구비한 진액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005A (ko) 200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9468B2 (en) Vacuum mug separable cap
US20180332987A1 (en) Multifunctional Mug Cap with a Sipper and Straw
JP5068607B2 (ja) 飲料用容器
US10405688B2 (en) Advanced mug cap apparatus
US8186391B2 (en) Reversible container
KR200474817Y1 (ko) 테이크아웃 컵
KR100682854B1 (ko) 물병
JP2006321540A (ja) 飲料用ボトル
JP2004238022A (ja) ペットボトル用パウダー茶抽出キャップ
KR20100004359U (ko) 식품용기
KR200410221Y1 (ko) 소주용 필터 용기
KR200407459Y1 (ko) 장식품이 구비된 다기능 용기
KR20090008895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JP2005168812A (ja) 飲用容器
KR200446685Y1 (ko) 컵뚜껑
KR20080000223U (ko) 티 캡
JP3245174U (ja) タンブラー
KR200331944Y1 (ko) 거름용기가 형성된 찻잔
KR200358662Y1 (ko) 캡 조립체를 갖춘 머그컵
KR200379045Y1 (ko) 걸림망이 구비된 물병
KR200371251Y1 (ko) 캐릭터를 갖는 음료 용기의 뚜껑 구조
JP3122527U (ja) 茶筒
KR200381684Y1 (ko) 머그컵의 체결캡 구조
KR200260848Y1 (ko) 음료 용기의 뚜껑
KR200323811Y1 (ko) 다용도 병따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