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219B1 -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 - Google Patents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219B1
KR101731219B1 KR1020160154306A KR20160154306A KR101731219B1 KR 101731219 B1 KR101731219 B1 KR 101731219B1 KR 1020160154306 A KR1020160154306 A KR 1020160154306A KR 20160154306 A KR20160154306 A KR 20160154306A KR 101731219 B1 KR101731219 B1 KR 101731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ylindrical body
contents
weight
alkal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국
Original Assignee
박동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국 filed Critical 박동국
Priority to KR1020160154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219B1/ko
Priority to PCT/KR2017/013023 priority patent/WO2018093171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08K3/003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6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bott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주 재료로서 음이온 발생과 원적외선을 방사하며 미네랄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다공질 천연재료인 제주 화산송이, 폴리에틸렌, 산화환원 전위(ORP) 조절기능을 갖는 ORP 파우더, 음이온 파우더를 성형 컴파운드 성분으로 함으로써, 맛이 좋고 미네랄이 풍부하며 몸에 해로운 활성산소가 없는 pH 8.5 이상의 알칼리 환원수를 생성할 수 있는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의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 몸체와 하부 뚜껑 사이에는 내용물 상케이스와 내용물 하케이스가 삽입 장착되는데, 이들은 상기 알칼리 환원수 생성을 위한 컴파운드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와는 달리, 원통형 몸체의 내측 하부에 상기 알칼리 환원수 생성을 위한 컴파운드로 제조된 내용물 케이스를 일체로 끼움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Vessel for creating alkali-reduced water}
본 발명은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 재료로서 음이온 발생과 원적외선을 방사하며 미네랄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다공질 천연재료인 제주 화산송이, 폴리에틸렌, 산화환원 전위(ORP) 조절기능을 갖는 ORP 파우더, 음이온 파우더를 성형 컴파운드 성분으로 함으로써, 맛이 좋고 미네랄이 풍부하며 몸에 해로운 활성산소가 없는 pH 8.5 이상의 알칼리 환원수를 생성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지속적인 산업화와 도시화의 진행으로 인하여 환경문제는 한 국가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하였다. 지구환경의 오염으로 인해 더럽혀진 공기와 접촉하여 내리는 비는 각종 유해물질이 섞여 있어서 인체의 건강에 좋지 못한 영향을 끼친다. 우리나라도 지구상에서 대기오염이 아주 심한 지역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이런 환경에서 사람들은 깨끗한 물, 맛있는 물, 더 나아가 영양 있는 물을 찾게 된다.
물은 체내에서 체온을 조절하고, 각 기관에 영양소를 전달하며, 세포에 산소를 공급한다. 물이 부족하면 고혈압, 류마티스 관절염, 요통, 두통 등 갖가지 병이 생긴다. 최근 사람들의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하여 좋은 음용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의학적으로 좋은 물이란, 인체에 해로운 병원균이 없고 깨끗한 것이 좋은 물이며, 음식의 분해, 소화, 흡수를 높이는 약알칼리성(pH 7.5 정도)이 산성화한 물보다 좋은 물로 여겨진다. 한국수자원공사는‘무색·무취, 8~14℃, 중성 또는 pH 6~7의 약알칼리성, 과망간산칼륨 함유량 2mg/L 이하, 염소이온 12mg/L 이하, 경도 100mg/L 이하, 증발 잔류물 40~100mg/L 이하, 유해성분(중금속·농약 등)이 없을 것, 미네랄 성분이 100mg/L 정도 함유된 것’을 좋은 물로 규정하고 있다.
약알칼리성을 띠는 물은 우리 몸의 산성화를 막아 면역력을 강화시킨다. 사람의 몸은 대부분 약산성이기 때문에 이를 중화하기 위해 약알칼리성의 물을 마시는 것이 좋은데, 이는 암을 억제하는 항산화물질과 체내 효소의 활동을 도우며 음식물 분해와 소화 흡수 능력을 끌어올리고 면역력 강화에도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 몸은 금속이온의 균형을 통해 세포 내 삼투압(침투압) 작용을 조절한다. 그러므로, 칼슘, 칼륨, 마그네슘 같은 미네랄 성분을 적절히 포함하고 있는 물을 통해 몸에 필요한 미네랄 성분을 보충해 주는 것이 좋다.
한편, 관련업계에서는, 좋은 물을 찾는 시장의 요구에 따라서 알칼리 이온수기, 알칼리 환원 정수기, 알칼리 환원수 생성용기 등을 개발 출시하고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알칼리 이온수기나 알칼리 환원 정수기의 원리는 전해조에 물을 넣고 음극과 양극 사이에 격막을 설치하고 직류 전기를 흘려 물을 전기 분해하는 것이다. 이때 음극쪽에는 칼슘이온, 마그네슘이온, 칼륨이온, 나트륨이온 등 알칼리성 이온 등이 모여 알칼리수가 되고, 양극에는 염화이온, 황이온 등 산성이온이 모여 산성수가 된다. 그런데, 이러한 알칼리 이온수기나 알칼리 환원 정수기는 고가의 전기분해장치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하다. 게다가, 인체에 도움이 되는 물의 좋은 성질까지 파괴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알칼리 이온수기나 알칼리 환원 정수기의 대체재로서 최근에는 알칼리 환원수 생성용기가 활발하게 개발되어 있다.
도 9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알칼리 환원 정수필터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알칼리 환원 정수필터(50)는 원통형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단에 결합된 마개부(3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는 종방향의 일정길이를 갖는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정수 볼(19)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 하우징(11)은 내부에 수용된 정수 볼(19)과 물의 접촉이 자유롭도록 원주둘레상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내측 하부에는 정수 볼(19)이 수용되도록 필터 구획판이 설치되고, 상기 필터 구획판의 저부에는 빈 공간부가 조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알칼리 환원 정수필터(50)는 생수통에 결착시켜서 사용하게 되는데, 생수통 네크부(73)에 결합되어 있는 초기 상태의 마개를 손으로 분리하여 제거해 낸 후, 생수통 네크부(73)가 노출된 상태에서 알칼리 환원수 정수필터 장치(50)를 결합시키게 된다. 환원수 정수필터 장치(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정수 볼(19)이 충진된 필터 하우징(11)이 생수통에 수용된 물(80)의 내부에 침잠되고, 마개부(30)의 제1 하우징(31)의 내측 공간(20) 안으로 생수통(70)의 네크부(73)가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알칼리 환원 정수필터 장치는 기존의 생수통 구조를 수정하지 않고 단순히 생수통의 네크부 뚜껑에 설치하여 알칼리 환원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알칼리 환원 정수필터 장치는 상대적으로 많은 용량을 보관하는 생수통에 결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물때가 자주 끼어서 빈번하게 청소를 해야하며, 휴대가 불가능하여 사용이 불편하고, 수명연한이 짧아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63148 호(등록일자: 2013년 5월 3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538653 호(등록일자: 2005년 12월 19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9-0105206 호(공개일자: 2009년 10월 7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마그네슘과 같은 미네랄을 물과 접촉시키면 수소가 발생되는 원리를 이용하되, 숨쉬는 다공질 천연재료로서 음이온 발생과 원적외선을 방사하며 미네랄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제주 화산송이를 핵심부품의 원료로 이용함으로써, pH 8.5 이상의 알칼리 환원수를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동안 유지 보관할 수 있고 맛이 좋고 미네랄이 풍부한 알칼리 환원수를 생성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언제 어디서든지 편리하게 물을 담아서 pH 8.5 이상의 알칼리 환원수를 생성할 수 있는 음료수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로서,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 몸체;
상기 원통형 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부 뚜껑;
상기 원통형 몸체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하부 뚜껑;
상기 원통형 몸체와 상기 하부 뚜껑 사이에 체결되는 내용물 상케이스 - 상기 내용물 상케이스는 알칼리 환원수 생성을 위한 컴파운드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상기 내용물 상케이스는 환형 플랜지 및 상기 환형 플랜지와 일체를 이루면서 상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상케이스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뚜껑을 상기 원통형 몸체의 하부에 체결할 때 상기 원통형 몸체의 하부 끝단에 형성된 하부 입구 테두리가 상기 환형 플랜지의 상부면을 누르면서 함께 체결됨 -;
상기 원통형 몸체와 상기 하부 뚜껑 사이에서 상기 상케이스 하류에 체결되는 내용물 하케이스 - 상기 내용물 하케이스는 알칼리 환원수 생성을 위한 컴파운드를 이용하여 제조됨 -; 및
상기 원통형 몸체와 상기 하부 뚜껑 사이에서 상기 하케이스 하류에 체결되는 고무패킹;을 포함하는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환형 플랜지에는 다수의 걸림홈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케이스 본체의 측벽과 상부면에는 다수의 절개홈이 수직방향을 따라서 일정범위에 걸쳐서 절개하여 형성되며, 상기 상부면에는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홈들과 상기 관통공들은 물이 유동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내용물 하케이스는 원판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용물 하케이스의 방사상 외주면에는 다수의 제 1 걸림돌기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내용물 하케이스의 상부면상에는 링형태의 스페이서가 상방향으로 일정높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상케이스와 상기 내용물 하케이스를 조립하려는 경우, 상기 내용물 상케이스의 상기 환형 플랜지 하부면이 상기 스페이서와 그 외곽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 내에 찰칵하고 삽입됨으로써, 상기 내용물 상케이스와 상기 내용물 하케이스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내용물 상케이스와 상기 내용물 하케이스의 결합에 의해 공간이 한정되고, 상기 공간에는 필요에 따라서 녹차, 우엉차, 옥수수차 또는 마테차의 차 잎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로서,
측벽의 하부 내측에서 방사상 안쪽으로 제 2 걸림돌기가 돌출하여 형성된 원통형 몸체 및;
상기 원통형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제 2 걸림돌기 주변에 배치되는 내용물 케이스 - 상기 내용물 케이스는 알칼리 환원수 생성을 위한 컴파운드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상기 내용물 케이스의 상부면 상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케이스의 측벽에는 다수의 걸림편이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의 양측 위치에서 상기 측벽에는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케이스는 상기 제 2 걸림돌기에 상기 걸림편이 걸리는 방식으로 상기 원통형 몸체의 하부 바닥에 장착됨 -;를 포함하는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측벽 내측에는 다수의 환형 스페이서들이 배치되고, 상기 환형 스페이서들은 상기 내용물 케이스의 내측 상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로서,
측벽의 하부 내측에서 방사상 안쪽으로 제 3 걸림돌기가 돌출하여 형성된 원통형 몸체 및;
상기 원통형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제 3 걸림돌기 주변에 배치되는 내용물 케이스 - 상기 내용물 케이스는 알칼리 환원수 생성을 위한 컴파운드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상기 내용물 케이스의 상부면 상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케이스의 측벽에는 걸림편이 환형 플랜지의 형태로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내용물 케이스는 상기 제 3 걸림돌기에 상기 걸림편이 걸리는 방식으로 상기 원통형 몸체의 하부 바닥에 장착됨 -;를 포함하는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알칼리 환원수 생성을 위한 컴파운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80∼90중량부, ORP 파우더 5∼10중량부, 제주 화산송이(Jeju scoria) 5~10중량부, 음이온 파우더 2∼5중량부로 조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ORP 파우더는 마그네슘 (Mg) 파우더 30중량%, 이산화규소(SiO2) 30중량%, 산화칼슘(CaO) 10중량%, 산화아연(ZnO) 10중량%, 산화마그네슘(MgO) 10중량%, 셀레늄 산화물(SeO2) 5중량%, 산화칼륨(K2O) 5중량%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이온 파우더는 산화지르코늄(ZrO2) 32중량%, 이산화규소(SiO2) 35중량%, 알루미나(Al2O3) 15중량%, 기타 5중량%를 함유하고 있고, 작열후 측정한 작열감량(LOI)이 13중량%이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일시적으로 보관하여 알칼리수를 생성하기 위한 용기의 핵심부품을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산화환원 전위(ORP) 조절기능을 갖는 ORP 파우더와, 제주화산 분출물로서 인체 혈육과 유사한 약 알카리성 자원으로 음이온 발생과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제주도 화산송이(scoria)와, 광석을 분쇄 및 가공 정제한 것으로서 천연에 가까운 음이온을 방출하는 음이온 파우더를 pH를 조절할 수 있는 성형 컴파운드 성분으로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용기에 물을 담아 마시면, 몸에 해로운 활성산소가 없는 알칼리수 기준(= pH 8.5이상 10.0 미만)의 범위를 충족시키면서 해당 pH 범위를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고, 미네랄이 풍부해지기 때문에 반복 음용시 항산화 기능 증대와 신진대사가 활발해지고, 지속적으로 음용하면, 소화불량, 위산과다, 만성설사, 위장 내 이상 발효에 효능이 있으며, 혈당 유지, 아토피 개선, 비만 개선 등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는 휴대가 간편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물을 담아서 몸에 좋은 알칼리 환원수를 음용할 수 있으므로, 각종 질병예방효과는 물론,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내용물 상케이스와 내용물 하케이스가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내용물 상케이스와 내용물 하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내용물 상케이스와 내용물 하케이스가 하부 뚜껑 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내용물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알칼리 환원 정수필터 장치를 나타낸 도면.
본 출원의 도면과 그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발표한 기구 및 방법들의 장점 및 다른 특징들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들을 발표한 첨부도면들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에게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다르게 강조하지 않는 한, 도면을 통해서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요소들은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참조부호들로서 나타내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 본 발명은 하기의 명세서에 발표하거나 도면에 나타낸 구성 및 부품들의 배열로 본 출원에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이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 및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에 채용된 어법과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는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좌측, 우측, 위 및 아래와 같이 여기에서 사용한 모든 비교 설명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지지만, 제한적인 개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설명한 실시 예들은 어떤 실시 예들의 가변적인 사항들의 바람직한 특징들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해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특징들, 부품들, 모듈들, 요소들 및/또는 설명의 양태들은 개시된 장치나 방법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남이 없이 결합, 상호연결, 순서화, 분리, 교환, 위치 및/또는 재배열될 수 있다. 부품들의 형상 및 크기는 예시적인 것이며, 달리 명시되지 않는한 발표한 발명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거나 제한함이 없이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100)의 전체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알칼리 환원수 생성용기(100)는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 몸체(110), 상기 원통형 몸체(110)의 일측, 즉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상부 뚜껑(112), 상기 원통형 몸체(110)의 타측, 즉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하부 뚜껑(114), 상기 원통형 몸체(110)와 상기 하부 뚜껑(114) 사이에 차례로 체결되는 내용물 상케이스(120), 내용물 하케이스(130), 고무패킹(140)을 포함한다.
원통형 몸체(110)는 플라스틱을 사출성형하여 제조되는데, 원통형 몸체(110)의 상부 외면상에는 제 1 수나사부(111)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원통형 몸체(110)의 하부 외면상에는 제 2 수나사부(113)가 돌출하여 형성된다. 상부 뚜껑(112)의 방사상 내주면에 형성된 제 1 암나사부(115)와 원통형 몸체(110)의 제 1 수나사부(111)간 나사결합에 의해서 상부 뚜껑(112)이 원통형 몸체(11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하부 뚜껑(114)의 방사상 내주면에 형성된 제 2 암나사부(117)와 원통형 몸체(110)의 제 2 수나사부(113)간 나사결합에 의해서 하부 뚜껑(114)이 원통형 몸체(110)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된다.
하부 뚜껑(114)의 제 2 암나사부(117)와 원통형 몸체(110)의 제 2 수나사부(113)간 나사결합을 할 때, 원통형 몸체(110)의 하부 끝단에 형성된 하부 입구 테두리(116)가 내용물 상케이스(120)의 환형 플랜지(121)의 상부면을 누르면서 함께 체결된다.
상기 내용물 상케이스(120)와 상기 내용물 하케이스(130)는 본 발명에 따른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100)의 핵심부품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알칼리 환원수 생성을 위한 컴파운드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알칼리 환원수 생성을 위한 컴파운드는 다공질 천연재료로서 음이온 발생과 원적외선을 방사하며 미네랄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제주 화산송이와, 합성수지, ORP 파우더 및 음이온을 원료로 한다. 상기 컴파운드는 합성수지 80∼90중량부, ORP 파우더 5∼10중량부, 제주 화산송이(Jeju scoria) 5~10중량부, 음이온 파우더 2∼5중량부로 조성된다.
상기 합성수지는, 바람직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로 이루어진다.
상기 ORP 파우더는 마그네슘 (Mg) 파우더 30중량%, 이산화규소(SiO2) 30중량%, 산화칼슘(CaO) 10중량%, 산화아연(ZnO) 10중량%, 산화마그네슘(MgO) 10중량%, 셀레늄 산화물(SeO2) 5중량%, 산화칼륨(K2O) 5중량%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 중 하나로서, 상기 컴파운드는 제주 화산송이(Jeju scoria)를 함유하는데, 제주도 화산송이는 화산섬 제주에 어디서나 쉽게 눈에 띄는 살아 숨 쉬는 돌로서, 소위 송이(scoria)라 불리우고 있다. 송이란 제주도 방언으로 가벼운 돌이란 뜻으로 지하 마그마가 화산 폭발 시 1,600℃의 고온으로 지상으로 분출될 때 생성된 제주화산 분출물로서, 고열에 의해 도자기처럼 소성된 아주 희귀한 화산-미네랄 (Volcano-Mineral) 성분이다.
제주도에만 있는 송이는 인체 혈육과 유사한 약 알카리성 자원으로 기생화산(오름)으로 생성돼 제주 전역에 거쳐 산출되며 제주섬 내 200억㎥ 정도의 엄청난 양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송이는 기공이 많고 가벼우며 색깔은 적갈색, 황갈색, 흑색 및 암회색을 띤다. 음이온 발생과 상온에서 92% 이상, 200℃로 가열 시는 94% 이상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이상적인 흑사체다. 특히 황토, 옥, 맥반석, 게르마늄석 등에는 없는 이산화티타늄이 천연상태로 3~7% 존재하여 반영구적으로 항균, 살균 ,탈취는 물론 유기물 분해 기능이 있는 신비의 천연 물질이다.
송이는 주된 결정상이 사장석(plagioclase), 휘석(pyroxene) 및 자철석(hematit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산화규소(SiO2),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산화철(Fe2O3)로 이루어지며, SiO2 + Al2O3 + Fe2O3의 총 함량이 70.1 ~ 77.4%를 차지한다. 송이는 pH 7.7 정도의 염기성이며, 중금속 흡착, 탈취, 항균, 항곰팡이, 전자파차단 및 높은 원적외선 방출 등 인간에게 매우 유익한 기능을 지닌 광물이다. 송이는 황토, 옥, 맥반석, 및 게르마늄석 등에는 없는 이산화티타늄 3∼7% 포함하고 있다. 이산화티타늄은 광촉매 작용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광촉매 작용에 의해 활성산소가 생성되고 활성산소는 대기오염물질, 수질오염물질, 및 악취물 등을 분해시킨다. 이산화티타늄의 광촉매 작용에 따라, 송이는 항균, 살균, 탈취 및 유기물분해 기능 등을 반영구적으로 갖게 된다.
송이는 세계적인 물질로서 제주도 특별법에서 보존자원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제주도의 구좌지역과 한림, 금악을 중심으로 많이 분포돼 있고 산북지역의 많은 오름들이 대부분 송이로 구성돼 있다. 송이를 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농약 등에 오염되지 않은 지역에서 채취한 송이를 분쇄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분쇄기를 사용하여 직경 1 ~ 5cm 정도로 1차 분쇄한 후, 다시 분쇄기를 이용하여 300 ~ 350 나노 크기로 2차 분쇄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음이온 파우더의 성분은 산화지르코늄(ZrO2) 32중량%, 이산화규소(SiO2) 35중량%, 알루미나(Al2O3) 15중량%, 기타성분 5중량%를 함유하고 있고, 작열후 측정한 작열감량(LOI)이 13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컴파운드를 이용하여 사출이나 압출, 취입성형 등 다양한 성형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제품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내용물 상케이스와 내용물 하케이스가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내용물 상케이스와 내용물 하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내용물 상케이스(120)는 대략적으로 "모자"의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상세하게는 환형 플랜지(121) 및 상기 환형 플랜지(121)와 일체를 이루면서 상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상케이스 본체(122)를 포함한다. 환형 플랜지(121)에는 다수의 걸림홈(123)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케이스 본체(122)의 측벽(124)과 상부면(126)에는 다수의 절개홈(125)이 수직방향을 따라서 일정범위에 걸쳐서 절개하여 형성된다. 상기 상부면(126)에는 다수의 관통공들(127)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절개홈(125)과 상기 다수의 관통공들(127)은 물 순환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케이스 본체(122)에서 상부면(126)의 내부 하부면상에는 보강기둥(128)이 하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된다.
내용물 하케이스(130)는 원판형상을 가지며, 내용물 하케이스(130)의 방사상 외주면에는 다수의 제 1 걸림돌기(132)가 돌출하여 형성된다. 내용물 하케이스(130)의 상부면상에는 링형태의 스페이서(134)(도 2 참조)가 상방향으로 일정높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된다. 상기 내용물 상케이스(120)와 상기 내용물 하케이스(130)를 조립하려는 경우, 내용물 상케이스(120)의 환형 플랜지(121) 하부면이 내용물 하케이스(130)의 스페이서(134)와 그 외곽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내용물 하케이스(130)의 제 1 걸림돌기(132)가 내용물 상케이스(120)의 걸림홈(123) 내에 찰칵하고 삽입됨으로써, 내용물 상케이스(120)와 내용물 하케이스(130)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내용물 상케이스(120)와 내용물 하케이스(130)의 결합에 의해 공간(S)이 한정된다. 상기 공간(S)에는 필요에 따라서 녹차, 우엉차, 옥수수차, 마테차 등의 차 잎을 보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필요에 따라서 내용물 상케이스(120)를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 내용물 상케이스(120) 내부에 녹차, 우엉차, 옥수수차, 또는 마테차 등의 차입을 담은 후, 내용물 하케이스(130)를 뒤집어진 내용물 상케이스(120)의 위쪽에서 아랫쪽으로 내리누르면서 내용물 하케이스(130)의 제 1 걸림돌기(132)가 내용물 상케이스(120)의 걸림홈(123) 내로 후크방식으로 압입되게 하여 체결하게 된다.
도 5에는 내용물 상케이스(120)와 내용물 하케이스(130)가 하부 뚜껑(114) 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케이스(120)와 내용물 하케이스(130)의 결합공간(S) 내에 녹차, 우엉차, 옥수수차, 또는 마테차 등의 차입을 담거나, 혹은 빈 공간 그대로 내용물 상케이스(120)와 내용물 하케이스(130)를 일체로 결합한 다음에는 하부 하부 뚜껑(114)내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케이스(120)와 내용물 하케이스(130)의 결합 테두리 외측에는 고무 패킹(140)이 인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다음에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부 뚜껑(114)의 제 2 암나사부(117)와 원통형 몸체(110)의 제 2 수나사부(113)간 나사결합을 통해서 원통형 몸체(110)의 하부 입구 테두리(116)가 내용물 상케이스(120)의 환형 플랜지(121)의 상부면을 누르게 하면서 하부 뚜껑(114)을 원통형 몸체(110)의 하부에 결합시키게 된다. 다음에는, 원통형 몸체(110) 내에 물을 담은 후 상부 뚜껑(112)을 원통형 몸체(110)의 상부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면, 알칼리 환원수 생성용기(100) 내에 담긴 물이 내용물 상케이스(120)와 접촉하고, 또한, 내용물 상케이스(120)에 관통하여 형성된 절개홈(125)과 다수의 관통공들(127)을 통해서 내용물 상케이스(120)의 내부를 드나들면서 내용물 하케이스(130), 및 필요에 따라서 내용물 상케이스(120)와 내용물 하케이스(130) 사이의 공간(S)에 채워진 녹차, 우엉차, 옥수수차, 또는 마테차 등의 차입과 접촉하거나, 내용물 하케이스(130)와 접촉하면서, 물이 알칼리 수로 변환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미네랄이 물에 이온상태로 용출되어 미네랄의 함량이 풍부해지는 것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녹차, 우엉차, 옥수수차, 또는 마테차 등의 차입과 접촉함으로써 우러나오는 차의 풍미를 즐길 수도 있게 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200)는, 위에서 언급한 제 1 실시 예와는 달리, 물을 알칼리수로 환원시키는 기능을 하는 내용물 케이스들을 원통형 몸체(210)의 하부 바닥에 일체로 장착시킨 구조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원통형 몸체(210)의 측벽(202) 하부 내측에서 방사상 안쪽으로 제 2 걸림돌기(204)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2 걸림돌기(204) 주변에는 내용물 케이스(220)가 배치된다. 상기 내용물 케이스(22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내용물 상케이스(120) 및 상기 내용물 하케이스(130)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알칼리 환원수 생성을 위한 컴파운드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는 상기 내용물 케이스(220)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내용물 케이스(220)의 상부면 상에는 다수의 관통공(227)이 형성된다.상기 내용물 케이스(220)의 측벽(224)에는 다수의 걸림편(222)이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222)의 양측 위치에서 상기 측벽(224)에는 절개홈(225)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관통공들(227)과 상기 절개홈들(225)은 물 유동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측벽(224) 내측에는 다수의 환형 스페이서들(228)이 배치되는데, 상기 환형 스페이서들(228)은 상기 내용물 케이스(220)의 내측 상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상기 환형 스페이서들(228)은 물과의 접촉면적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내용물 케이스(220)는 알칼리 환원수 생성용기(200)의 측벽(202)에 형성된 상기 제 2 걸림돌기(204)에 상기 내용물 케이스(220)의 걸림편(222)이 걸리는 방식으로 원통형 몸체(210)의 하부 바닥에 상기 내용물 케이스(220)가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의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200) 내에 물을 담은 후 상부 뚜껑(도시되지 않음)을 용기의 상부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면, 알칼리 환원수 생성용기(200) 내에 담긴 물이 내용물 케이스(220)와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내용물 케이스(220)에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들(227) 및 상기 내용물 케이스(220)의 측벽에 형성된 절개홈들(225)을 통해서 내용물 케이스(220)의 내부를 드나들면서 물이 알칼리 수로 변환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미네랄이 물에 이온상태로 용출되어 미네랄의 함량이 풍부해지는 것이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300)는, 위에서 언급한 제 2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물을 알칼리수로 환원시키는 기능을 하는 내용물 케이스들을 원통형 몸체(310)의 하부 바닥에 일체로 장착시킨 구조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원통형 몸체(310)의 측벽(302) 하부 내측에서 방사상 안쪽으로 제 3 걸림돌기(304)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3 걸림돌기(304) 주변에는 내용물 케이스(320)가 배치된다. 상기 내용물 케이스(32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내용물 상케이스(120) 및 상기 내용물 하케이스(130)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알칼리 환원수 생성을 위한 컴파운드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내용물 케이스(320)의 상부면 상에는 다수의 관통공(327)이 형성된다.상기 내용물 케이스(320)의 측벽(324)에는 걸림편(322)이 환형 플랜지의 형태로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관통공들(327)은 물 유동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내용물 케이스(220)는 알칼리 환원수 생성용기(300)의 측벽(302)에 형성된 상기 제 3 걸림돌기(304)에 상기 내용물 케이스(320)의 걸림편(322)이 걸리는 방식으로 원통형 몸체(310)의 하부 바닥에 상기 내용물 케이스(320)가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의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300) 내에 물을 담은 후 상부 뚜껑(도시되지 않음)을 용기의 상부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면, 알칼리 환원수 생성용기(300) 내에 담긴 물이 내용물 케이스(320)와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내용물 케이스(320)에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들(327)을 통해서 내용물 케이스(320)의 내부를 드나들면서 물이 알칼리 수로 변환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미네랄이 물에 이온상태로 용출되어 미네랄의 함량이 풍부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알칼리 환원수 생성용기들(100,200,300)에 물을 담아 두기만 하여도 본 발명에 따른 알칼리 환원수 생성을 위한 컴파운드를 이용하여 제조된 내용물 케이스들에 혼재된 미네랄에 의해 알칼리 환원수가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알칼리 환원수는 인체흡수가 빨라서 갈증해소 효과가 탁월하며, 산성화된 몸을 알칼리성으로 되돌려서 신체기능을 개선시키고, 노화의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성인병 예방, 체내 노폐물의 배출촉진, 만성설사, 소화불량, 위산과다증상에 대한 개선효과가 있으며, 아토피치료 및 피부병 예방효과 등 인체에 유익한 여러가지 효능을 갖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200,300 : 알칼리 환원수 생성용기 110,210,310 : 원통형 몸체
111,113 : 수나사부 112 : 상부 뚜껑
114 : 하부 뚜껑 115,117 : 암나사부
116 : 하부 입구 테두리 120 : 내용물 상케이스
121 : 환형 플랜지 122 : 상케이스 본체
123 : 걸림홈 124,202,224,302 : 측벽
125,225 : 절개홈 126 : 상부면
127,227,327 : 관통공 128 : 보강기둥
130 : 내용물 하케이스 132,204,304 : 걸림돌기
134,228 : 스페이서 140 : 고무 패킹
222,322 : 걸림편 S : 공간

Claims (10)

  1.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100)로서,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 몸체(110);
    상기 원통형 몸체(11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부 뚜껑(112);
    상기 원통형 몸체(11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하부 뚜껑(114);
    환형 플랜지(121) 및 상기 환형 플랜지(121)와 일체를 이루면서 상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상케이스 본체(122)를 구비하고, 상기 원통형 몸체(110)와 상기 하부 뚜껑(114) 사이에 체결되는 내용물 상케이스(120);
    상기 원통형 몸체(110)와 상기 하부 뚜껑(114) 사이에서 상기 상케이스(120) 하류에 체결되고, 원판형상을 가지며, 방사상 외주면에는 다수의 제 1 걸림돌기(132)가 돌출하여 형성된 내용물 하케이스(130); 및
    상기 원통형 몸체(110)와 상기 하부 뚜껑(114) 사이에서 상기 하케이스(130) 하류에 체결되는 고무패킹(140);을 포함하며,
    상기 내용물 상케이스(120)와 상기 내용물 하케이스(130)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80∼90중량부, ORP 파우더 5∼10중량부, 제주 화산송이(Jeju scoria) 5~10중량부, 음이온 파우더 2∼5중량부로 조성된 알칼리 환원수 생성을 위한 컴파운드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상기 하부 뚜껑(114)을 상기 원통형 몸체(110)의 하부에 체결할 때 상기 원통형 몸체(110)의 하부 끝단에 형성된 하부 입구 테두리(116)가 상기 내용물 상케이스(120)의 상기 환형 플랜지(121)의 상부면을 누르면서 함께 체결되는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플랜지(121)에는 다수의 걸림홈(123)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케이스 본체(122)의 측벽(124)과 상부면(126)에는 다수의 절개홈(125)이 수직방향을 따라서 일정범위에 걸쳐서 절개하여 형성되며, 상기 상부면(126)에는 다수의 관통공들(127)이 형성된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하케이스(130)의 상부면상에는 링형태의 스페이서(134)가 상방향으로 일정높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상케이스(120)와 상기 내용물 하케이스(130)를 조립하려는 경우, 상기 내용물 상케이스(120)의 상기 환형 플랜지(121) 하부면이 상기 스페이서(134)와 그 외곽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걸림돌기(132)가 상기 걸림홈(123) 내에 찰칵하고 삽입됨으로써, 상기 내용물 상케이스(120)와 상기 내용물 하케이스(130)가 일체로 결합되는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상케이스(120)와 상기 내용물 하케이스(130)의 결합에 의해 공간(S)이 한정되고, 상기 공간(S)에는 녹차, 우엉차, 옥수수차 또는 마테차의 차 잎이 수용되는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
  5.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200)로서,
    측벽(202)의 하부 내측에서 방사상 안쪽으로 제 2 걸림돌기(204)가 돌출하여 형성된 원통형 몸체(210) 및;
    상기 원통형 몸체(210)의 내부에서 상기 제 2 걸림돌기(204) 주변에 배치되고, 고밀도 폴리에틸렌 80∼90중량부, ORP 파우더 5∼10중량부, 제주 화산송이(Jeju scoria) 5~10중량부, 음이온 파우더 2∼5중량부로 조성된 알칼리 환원수 생성을 위한 컴파운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내용물 케이스(220);를 포함하며,
    상기 내용물 케이스(220)의 상부면 상에는 다수의 관통공(227)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케이스(220)의 측벽(224)에는 다수의 걸림편(222)이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222)의 양측 위치에서 상기 측벽(224)에는 절개홈(225)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케이스(220)는 상기 제 2 걸림돌기(204)에 상기 걸림편(222)이 걸리는 방식으로 상기 원통형 몸체(210)의 하부 바닥에 장착되는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224) 내측에는 다수의 환형 스페이서들(228)이 배치되고, 상기 환형 스페이서들(228)은 상기 내용물 케이스(220)의 내측 상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
  7.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300)로서,
    측벽(302)의 하부 내측에서 방사상 안쪽으로 제 3 걸림돌기(304)가 돌출하여 형성된 원통형 몸체(310) 및;
    상기 원통형 몸체(310)의 내부에서 상기 제 3 걸림돌기(304) 주변에 배치되고, 고밀도 폴리에틸렌 80∼90중량부, ORP 파우더 5∼10중량부, 제주 화산송이(Jeju scoria) 5~10중량부, 음이온 파우더 2∼5중량부로 조성된 알칼리 환원수 생성을 위한 컴파운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내용물 케이스(320);를 포함하며,
    상기 내용물 케이스(320)의 상부면 상에는 다수의 관통공(327)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케이스(320)의 측벽(324)에는 걸림편(322)이 환형 플랜지의 형태로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내용물 케이스(320)는 상기 제 3 걸림돌기(304)에 상기 걸림편(322)이 걸리는 방식으로 상기 원통형 몸체(310)의 하부 바닥에 장착되는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
  8. 삭제
  9. 제 1 항, 제 5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ORP 파우더는 마그네슘 (Mg) 파우더 30중량%, 이산화규소(SiO2) 30중량%, 산화칼슘(CaO) 10중량%, 산화아연(ZnO) 10중량%, 산화마그네슘(MgO) 10중량%, 셀레늄 산화물(SeO2) 5중량%, 산화칼륨(K2O) 5중량%로 구성된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
  10. 삭제
KR1020160154306A 2016-11-18 2016-11-18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 KR101731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306A KR101731219B1 (ko) 2016-11-18 2016-11-18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
PCT/KR2017/013023 WO2018093171A2 (ko) 2016-11-18 2017-11-16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306A KR101731219B1 (ko) 2016-11-18 2016-11-18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219B1 true KR101731219B1 (ko) 2017-04-27

Family

ID=58702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306A KR101731219B1 (ko) 2016-11-18 2016-11-18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31219B1 (ko)
WO (1) WO2018093171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3171A3 (ko) * 2016-11-18 2018-08-09 박동국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
KR102169043B1 (ko) * 2020-02-03 2020-10-22 이우종 귀사문석이 포함된 휴대용 텀블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036B1 (ko) * 2005-05-30 2006-11-23 (주)바이오세라 알칼리환원수 제조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1393158B1 (ko) * 2012-05-03 2014-05-08 박기춘 알칼리 환원기능을 가지는 성형 컴파운드 및 이를 이용해 성형된 알칼리 환원수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854B1 (ko) * 2004-12-29 2007-02-22 류정관 물병
KR100911118B1 (ko) * 2007-10-15 2009-08-11 한기호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생성기
KR20140110430A (ko) * 2013-03-07 2014-09-17 최예진 화산송이를 이용한 휴대용 여과 장치
KR101731219B1 (ko) * 2016-11-18 2017-04-27 박동국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036B1 (ko) * 2005-05-30 2006-11-23 (주)바이오세라 알칼리환원수 제조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1393158B1 (ko) * 2012-05-03 2014-05-08 박기춘 알칼리 환원기능을 가지는 성형 컴파운드 및 이를 이용해 성형된 알칼리 환원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3171A3 (ko) * 2016-11-18 2018-08-09 박동국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
KR102169043B1 (ko) * 2020-02-03 2020-10-22 이우종 귀사문석이 포함된 휴대용 텀블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3171A2 (ko) 2018-05-24
WO2018093171A3 (ko)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219B1 (ko) 알칼리 환원수 생성 용기
US20130098814A1 (en) System and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by means of the environment, of water and/or of water obtained from a municipal or collective supply, and/or of water obtained from a well, and/or of water obtained in domestic and industrial vessels
JP4363631B2 (ja) 味覚改良剤を備えたボトル
KR101791817B1 (ko) 제주 화산송이를 이용한 알칼리 환원수 생성용 컴파운드 및 이를 함유한 용기
CN202820932U (zh) 装有麦饭石的电热水壶
KR20090011222U (ko) 휴대용 정수기
KR200408986Y1 (ko)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제조용기
KR200479296Y1 (ko) 정수재 및 그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
KR101682850B1 (ko) 복합 환원수의 제조장치
KR101929496B1 (ko) 수소함유수 제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텀블러
KR20120088356A (ko) 미네랄 알칼리 이온 활성수로 변환시키는 정수장치
CN2863775Y (zh) 矿物离子水棒
US10106444B2 (en) Vitality stick system and method
KR200272652Y1 (ko) 천연물질을 이용한 알칼리 환원 정수기
KR200408984Y1 (ko)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제조용기
US20210177127A1 (en) Water enrichment Bottle
KR20120133815A (ko)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가 부착된 생수통 뚜껑 결합장치
JP3150945U (ja) アルカリ活性水生成器
KR101580430B1 (ko) Ph 조절용 기능성 컴파운드 및 이를 함유한 용기
KR20150012004A (ko) 정수재를 이용한 휴대용 기능성 물병
CN205709967U (zh) 一种水龙头净水器
CN202567487U (zh) 双安全容器
CN217366648U (zh) 一种空气消毒、香薰装置
KR200409036Y1 (ko) 정수용 캡슐
KR20230138842A (ko) 수돗물, 식수 등의 물의 정화와 지장수, 약수 등의 생성에 유용한 물 저장 사용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