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684Y1 - 머그컵의 체결캡 구조 - Google Patents

머그컵의 체결캡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684Y1
KR200381684Y1 KR20-2005-0000513U KR20050000513U KR200381684Y1 KR 200381684 Y1 KR200381684 Y1 KR 200381684Y1 KR 20050000513 U KR20050000513 U KR 20050000513U KR 200381684 Y1 KR200381684 Y1 KR 2003816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ug
main
cup
drink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석환
Original Assignee
황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석환 filed Critical 황석환
Priority to KR20-2005-0000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6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6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6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녹차나 커피 등의 추출물을 우려 음용이 가능하되 추출물이 음용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머그컵의 체결캡 구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일정한 음용수가 채워질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단열용기로 제작되는 컵본체와, 그 컵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캡으로 이루어지는 머그컵에 있어서; 상기 체결캡은, 상기 컵본체의 수용부 상측에 결합되며 일측에 추출물을 걸러내고 음용수만 배출되도록 다수의 미세한 걸름용 통공이 천공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메인캡과, 상기 메인캡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보조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녹차나 커피 등의 추출물을 단순히 메인캡을 분리한 상태에서 추출물을 컵본체의 수용부에 넣은 후 온수 또는 냉수를 넣고 메인캡을 컵본체의 상부에 체결시켜 밀폐상태를 유지시켜 주어 우려낸 후 음용이 가능하므로 그 사용이 간단하고, 음용 후 머그컵을 세척하는 경우 간단히 메인캡을 분리하여 추출물을 버리고 간단히 세척할 수 있다.

Description

머그컵의 체결캡 구조 { cap structure of mug cup }
본 고안은 머그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녹차나 커피 등의 추출물을 우려 음용이 가능하되 추출물이 음용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머그컵의 체결캡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그컵은 음료 또는 커피와 같은 음용수를 담아 마시는 용기의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음료수의 뜨거운 열기가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손잡이만 달려 있으나, 근래에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것들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머그컵은 이중벽으로 이루어진 스테인레스 스틸의 내부에 플라스틱재 하우징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컵본체와, 이 컵본체의 상측 개방부를 개폐하는 캡을 갖추고 있어 컵본체의 내부에 음료, 커피, 약물 등과 같은 음용수를 채워 보온 또는 보냉하여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음용을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 머그컵에서는 추출물을 우려낼 때 찌꺼기가 발생되는 녹차나 원두커피 등을 사용하기 위한 필터링 수단이 구비되지 못하여 그 사용을 기피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물론, 이와같은 점을 개선한 형태의 머그컵이 등록실용신안 제20-0364716호의 "필터망을 갖춘 머그컵"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상부가 개방된 컵 용기(10)와, 상기 컵 용기(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음료출구(21a)가 마련된 메인-캡(21)과, 상기 메인-캡(21)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음료출구(21a)를 개폐하는 서브-캡(22)과, 상기 메인-캡(21)의 저면에 배치되며 추출물이 담겨져 보관되면서 하부가 상기 컵 용기(10)내로 수용되는 필터망(30)과, 상기 필터망(30)을 상기 메인-캡(21)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착탈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때, 상기 등록실용신안에 개시된 머그컵은 실제로 사용하기 추출물을 우려내기 위해서는 위해서는 메인-캡(21)의 저면에 착탈수단(40)에 의해 착탈되는 필터망(30)을 분리해낸 후 추출물을 필터망(30)에 넣은 후 다시 메인-캡(21)에 체결시켜 우려내야 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그 사용이 복잡하고, 사용후 세척을 위해서도 동일하게 필터망(30)을 분리하여야 하므로 그 과정 역시 복잡하다.
한편, 상기한 구성을 위해서는 메인-캡(21)의 구성과는 별개의 필터망(30)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그 구성부품이 많아지게 되고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머그컵의 캡에 추출물을 걸를 수 있는 기능을 가미하여 그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구조를 가지는 머그컵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머그컵의 체결캡 구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일정한 음용수가 채워질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단열용기로 제작되는 컵본체와, 그 컵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캡으로 이루어지는 머그컵에 있어서; 상기 체결캡은, 상기 컵본체의 수용부 상측에 결합되며 일측에 추출물을 걸러내고 음용수만 배출되도록 다수의 미세한 걸름용 통공이 천공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메인캡과, 상기 메인캡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보조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머그컵의 체결캡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머그컵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머그컵의 일측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체결캡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캡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머그컵(1)은 내부에 일정한 음용수가 채워질 수 있는 수용부(12)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단열용기로 제작된 컵본체(10)와, 그 컵본체(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캡(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컵본체(10)는 손잡이(14)가 일측에 형성되는 이중벽으로 이루어진 스테인레스 스틸의 내부에 플라스틱재 하우징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며 밑면을 갖는 원통형상이며, 단열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캡(20)은 컵본체(10)의 수용부 상측에 결합되며 일측에 음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구(42)가 형성된 메인캡(40)과, 그 메인캡(4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42)를 개폐하는 보조캡(30)으로 이루어지며, 그 재질은 합성수지재이다.
이때, 상기 메인캡(40)은 원판형상의 몸체의 테두리상에 하향하는 결합턱(44)이 형성되는데, 컵본체(10)의 상단에 결합시에 수용부(12) 내부의 음용수가 틈새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고무재질의 패킹(46)이 더 형성되어 컵본체(10)에 결합시 수용부의 내벽에 지지된다.
이와같은 메인캡(40)의 몸체 일측에는 녹차잎이나 원두커피 찌꺼기와 같은 추출물을 걸러내고 음용수만 배출되도록 다수의 미세한 걸름용 통공(42a)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천공되는 배출구(42)가 형성되고, 그 맞은편 가장자리에는 컵본체(10)가 일정하게 기울어지는 경우 수용부(12)내의 공기압과 대기중의 공기압이 평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배출구(42)를 통해 배출되는 음용수가 일정한 속도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압 조정용 통공(47)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42)는 미세한 걸름용 통공(42a)을 형성시 그물형상의 망을 지지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성형함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인캡(40)의 몸체 일측에는 안내홈(48)이 형성되고, 그 몸체의 중앙부에는 돌출턱(45a)이 돌출되어 결합홈(45)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캡(30)은 몸체의 중앙 하부에 상기 메인캡(4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홈(45)에 체결되는 끼움돌기(32)가 형성되고, 가장자리 일측에는 유출구(34)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통기구멍(36)이 형성되고, 몸체의 원호상에는 외측으로 상향하는 돌출편(3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캡(40)의 결합홈(45)에 보조캡(30)의 끼움돌기(32)를 체결한 상태에서 돌출편(38)을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밀게되면 끼움돌기(32)를 중심으로 보조캡(30)이 회전하며 유출구(34)과 배출구(42)가 일치됨과 동시에 통기구멍(36)과 공기압 조정용 통공(47)이 일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캡(30)의 하부에는 가이드턱(39)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메인캡(40)에 형성되는 안내홈(48)을 따라 보조캡(30)이 일정각도 이내에서만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턱(39)이 이동시에 원활히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메인캡(40)의 안내홈(48)은 상기 결합홈(45)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곡선형태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머그컵의 작용 및 사용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머그컵(1)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메인캡(40)을 컵본체(10)에서 분리한 후, 녹차나 커피 등의 추출물을 컵본체(10)의 수용부에 넣은 후 온수 또는 냉수를 넣고 메인캡(40)을 컵본체(10)의 상부에 체결시켜 밀폐상태를 유지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물을 우려낸 후 메인캡(40)의 상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체결되는 보조캡(30)의 돌출편(38)을 손가락으로 밀게 되면, 메인캡(40)의 결합홈(45)을 중심으로 보조캡(3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캡(30)은 그 하부에 구비되는 가이드턱(39)이 안내홈(48)에 의해 안내되어 안내홈(48)의 양단부에 걸려 더이상 이동하지 않게 되면, 메인캡(40)의 배출구(42)와 보조캡(30)의 유출구(34)가 일치하게 됨과 동시에 메인캡(40)의 공기압조정용 통공(36)과 보조캡(30)의 통기구멍(36)이 일치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머그컵(1)을 일정하게 기울이게 되면 배출구(42)의 걸름용 통공(42a)을 통해 추출물이 걸러진 상태의 음용수를 마실수 있게 된다.
한편, 머그컵(1)을 사용한 후에는 메인캡(4)을 컵본체(10)로 부터 분리하고 컵본체(10)의 수용부(12) 내에 남은 추출물을 제거한 상태로 세척하고, 매인캡(40)과 보조캡(30) 역시 간단히 세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녹차나 커피 등의 추출물을 단순히 메인캡(40)을 분리한 상태에서 추출물을 컵본체(10)의 수용부에 넣은 후 온수 또는 냉수를 넣고 메인캡을 컵본체(10)의 상부에 체결시켜 밀폐상태를 유지시켜 주어 우려낸 후 음용이 가능하므로 그 사용이 간단하고, 음용 후 머그컵을 세척하는 경우 간단히 메인캡(40)을 분리하여 추출물을 버리고 간단히 세척할 수 있고, 캡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적게 드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머그컵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머그컵의 일측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체결캡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캡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컵본체 12: 수용부 20: 체결캡
30: 보조캡 32: 끼움돌기 34: 유출구
36: 통기구멍 38: 돌출편 39: 가이드턱
40: 메인캡 42: 배출구 42a: 걸름용 통공
44: 결합턱 45: 결합홈 46: 패킹
47: 공기압 조정용 통공 48: 안내홈

Claims (5)

  1. 내부에 일정한 음용수가 채워질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단열용기로 제작된 컵본체(10)와, 그 컵본체(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캡(20)으로 이루어지는 머그컵에 있어서;
    상기 체결캡(20)은,
    상기 컵본체(10)의 수용부 상측에 결합되며 일측에 추출물을 걸러내고 음용수만 배출되도록 다수의 미세한 걸름용 통공(42a)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천공되는 배출구(42)가 형성되는 메인캡(40)과,
    상기 메인캡(4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42)를 개폐하는 보조캡(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그컵의 체결캡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캡(40)의 일측에는 상기 컵본체(10)가 일정하게 기울어지는 경우 수용부(12)내의 공기압과 대기중의 공기압이 평형을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배출구(42)를 통해 배출되는 음용수가 일정한 속도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압 조정용 통공(47)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그컵의 체결캡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캡(40)의 상부 중앙에는 결합홈(45)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안내홈(48)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캡(30)은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 하부에 상기 결합홈(45)에 체결되는 끼움돌기(32)가 형성되고, 가장자리 일측에는 상기 배출구(42)에 대응하는 유출구(34)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공기압 조정용 통공(47)에 대응하는 통기구멍(36)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안내홈(48)에 끼워져 일정각도로 보조캡(30)이 회전가능하도록 가이드턱(39)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그컵의 체결캡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캡(30)의 원호상에는 외측 상방으로 돌출편(38)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그컵의 체결캡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캡(40)의 가장자리에는 결합턱(44)이 형성되어 상기 컵본체(10)의 상단에 결합되되, 그 결합턱(44)의 외측에는 상기 수용부(12) 내부의 음용수가 틈새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리콘 고무재질의 패킹(46)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그컵의 체결캡 구조.
KR20-2005-0000513U 2005-01-07 2005-01-07 머그컵의 체결캡 구조 KR2003816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513U KR200381684Y1 (ko) 2005-01-07 2005-01-07 머그컵의 체결캡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513U KR200381684Y1 (ko) 2005-01-07 2005-01-07 머그컵의 체결캡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684Y1 true KR200381684Y1 (ko) 2005-04-14

Family

ID=43683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513U KR200381684Y1 (ko) 2005-01-07 2005-01-07 머그컵의 체결캡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6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9468B2 (en) Vacuum mug separable cap
US10005589B2 (en) Two-in-one drinking vessel
US20110162532A1 (en) Integrated beverage infuser lid
WO2009126555A2 (en) Method and device for enhancing aroma from beverage cup
KR101301178B1 (ko) 필터가 구비된 분리형 음료 용기
KR200474817Y1 (ko) 테이크아웃 컵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KR200455438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KR200381684Y1 (ko) 머그컵의 체결캡 구조
US11013359B2 (en) Drip contain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CN110234256B (zh) 用于冲泡饮料的浸泡设备和方法
WO2008034021A2 (en) Integrated beverage infuser and lid
KR200383573Y1 (ko) 음용 컵
KR200489129Y1 (ko)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
KR200458422Y1 (ko) 차 음용을 위한 물병 마개형 휴대용 인퓨저
CN219147288U (zh) 一种可装一次性液体的真空保温杯
KR200358662Y1 (ko) 캡 조립체를 갖춘 머그컵
KR102221396B1 (ko)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
CN218528392U (zh) 磁吸式泡饮杯
CN219088933U (zh) 一种手冲咖啡滤杯
KR102704939B1 (ko) 차 추출용기, 차 추출용기를 포함하는 차 추출 조립체, 차 추출용기를 포함하는 차 추출 병뚜껑
CN217743885U (zh) 一种泡茶保温杯
KR100552044B1 (ko) 티백
WO2019110441A1 (en) Drinking vessel with infusion chamber
WO2019110442A1 (en) Vessel with removeable v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