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878A -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878A
KR20120064878A KR1020100126134A KR20100126134A KR20120064878A KR 20120064878 A KR20120064878 A KR 20120064878A KR 1020100126134 A KR1020100126134 A KR 1020100126134A KR 20100126134 A KR20100126134 A KR 20100126134A KR 20120064878 A KR20120064878 A KR 20120064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container body
stopper
material receiving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화
Original Assignee
이용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화 filed Critical 이용화
Priority to KR1020100126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4878A/ko
Publication of KR20120064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8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4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provided with a preformed weakened line
    • B65D51/28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provided with a preformed weakened line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1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65D41/044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용기본체의 내부에는 음용가능한 물(水)만 수용되도록 하고, 마개에는 액상이나 분말 또는 그래뉼(Granule) 형태로 이루어진 커피나 녹차, 홍삼, 동충하초(冬蟲夏草) 같은 각종 차(茶) 또는 매실쥬스, 사과쥬스, 구아바쥬스 같은 각종 쥬스나 희석하여 마실 수 있는 기능성 음료나 주류(酒類)의 원액 또는 원료가 선택적으로 분리?수용되도록 구성하여 소비자가 직접 마개에 수용된 각종 차나 쥬스, 기능성 음료 또는 주류의 원액이나 원료를 용기본체에 수용된 물에 간편하게 첨가?혼합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음료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나 유리 또는 도자기나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내부의 공간부와 연통된 상태에서 내용물을 주입하거나 따를 수 있도록 하는 토출구(吐出口)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토출구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거나 씌워지거나 또는 토출구의 내부에 끼워지게 결합되어 용기본체 내부의 공간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마개와; 상기 마개의 저면(底面) 중심으로부터 용기본체상의 공간부쪽으로 끼워지도록 튜브(Tube)의 형상을 이루면서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내부에는 용기본체상의 공간부에 수용된 내용물에 첨가?혼합할 수 있는 액상이나 분말 또는 그래뉼형태의 각종 차(茶)나 쥬스 또는 기능성 음료나 주류의 원액(原液)이나 원료가 수용되는 한편, 상기 차나 쥬스 또는 기능성 음료나 주류의 원액이나 원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그 하단부는 개방가능한 캡(Cap) 또는 외력에 의하여 찢어질 수 있는 밀봉시트(Sheet)로 덮여지는 단일관(單一管) 또는 다중관(多重管) 형태의 원료수용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음료 용기{BEVERAGE BOTTLE}
본 발명은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본체의 내부에는 음용가능한 물(水)만 수용되도록 하고, 마개에는 액상이나 분말 또는 그래뉼(Granule) 형태로 이루어진 커피, 녹차, 홍삼, 동충하초(冬蟲夏草) 같은 각종 차(茶)의 원액이나 원료 또는 매실쥬스, 사과쥬스, 구아바쥬스 같은 각종 쥬스의 원액이나 원료 또는 희석하여 마실 수 있는 기능성 음료나 주류(酒類)의 원액이나 원료가 선택적으로 분리?수용되도록 구성하여 소비자가 직접 마개에 수용된 각종 차나 쥬스, 기능성 음료 또는 주류의 원액이나 원료를 용기본체에 수용된 물에 간편하게 첨가?혼합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차와 쥬스, 기능성 음료, 주류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음료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택폭을 크게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소비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농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방부제 등 첨가물이 전혀 들어가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보관 및 유통이 가능하도록 한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가 복잡해지고 생활패턴이 빨라지면서 간편하게 마실 수 커피나 각종 차(茶) 또는 기능성 음료 등이 시판되고 있다.
이와 같은 커피나 각종 차 등의 음료는 통상 합성수지재 용기에 담겨진 상태로 공급되는데, 종래 시중에서 시판되는 각종 차나 쥬스 또는 기능성 음료나 주류 등이 수용되는 음료 용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내용물(11)이 수용되는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토출구(13)가 형성된 소정 형태의 용기본체(14)와, 상기 용기본체(14)상의 토출구(13)를 막아주는 마개(15)로 이루어지는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음료제조업체에서 이미 만들어진 동일한 맛을 내는 음료가 담겨지게 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맛을 내는 음료의 경우 소비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농도를 전혀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가 없다.
또, 음료제조업체에서는 음료를 제조하는 경우 음료의 종류별로 공급탱크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비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제조할 수 없어 음료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택폭이 크게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예로서, 녹차, 홍차, 동충하초차 등의 여러 가지 차종류 및 물에 희석하여 마실 수 있는 각종 쥬스 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 단일의 공급탱크를 이용하여 각각의 차와 쥬스를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차나 쥬스의 종류에 따라 각각 별도의 공급탱크가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 각각의 공급탱크에 부수적으로 운반라인 등이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음료제품의 제조가 제한되는 것이다.
또, 종래 시중에서 판매되는 각종 음료에는 장기간에 걸쳐 보관 및 유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방부제 등이 첨가되기 때문에 소비자의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용기본체의 내부에는 음용가능한 물(水)만 수용되도록 하고, 마개에는 액상이나 분말 또는 그래뉼(Granule) 형태로 이루어진 커피, 녹차, 홍삼, 동충하초(冬蟲夏草) 같은 각종 차차(茶)의 원액이나 원료 또는 매실쥬스, 사과쥬스, 구아바쥬스 같은 각종 쥬스의 원액이나 원료 또는 희석하여 마실 수 있는 기능성 음료나 주류(酒類)의 원액이나 원료가 선택적으로 분리?수용되도록 구성하여 소비자가 직접 마개에 수용된 각종 차나 쥬스, 기능성 음료 또는 주류의 원액이나 원료를 용기본체에 수용된 물에 간편하게 첨가?혼합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비자에게 다양한 종류의 차와 쥬스, 기능성 음료, 주류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음료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택폭을 크게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비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음료의 농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부제 등 첨가물이 들어가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보관 및 유통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는 합성수지나 유리 또는 도자기나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내부의 공간부와 연통된 상태에서 내용물을 주입하거나 따를 수 있도록 하는 토출구(吐出口)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토출구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거나 씌워지거나 또는 토출구의 내부에 끼워지게 결합되어 용기본체 내부의 공간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마개와; 상기 마개의 저면(底面) 중심으로부터 용기본체상의 공간부쪽으로 끼워지도록 튜브(Tube)의 형상을 이루면서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내부에는 용기본체상의 공간부에 수용된 내용물에 첨가?혼합할 수 있는 액상이나 분말 또는 그래뉼형태의 각종 차(茶)나 쥬스 또는 기능성 음료나 주류의 원액(原液)이나 원료가 수용되는 한편, 상기 차나 쥬스 또는 기능성 음료나 주류의 원액이나 원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그 하단부는 개방가능한 캡(Cap) 또는 외력에 의하여 찢어질 수 있는 밀봉시트(Sheet)로 덮여지는 단일관(單一管) 또는 다중관(多重管) 형태의 원료수용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개의 중심부에는 다른 부분 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거나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누름힘이 인가되면 내측으로 눌려지는 누름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의 저면 중심으로부터 원료수용관의 내측으로는 상기 누름부에 누름힘이 인가되는 경우 원료수용관의 아랫쪽으로 직선이동되어 원료수용관의 하단부를 막아주는 밀봉시트를 찢어 터트려주는 시트절개핀이 일체로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용기본체상의 토출구에는, 상부에 토출구의 상부면에 걸리는 환형(環形)의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아랫쪽으로는 토출구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다수개의 지지편이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편의 하단으로부터 중심쪽으로는 마개상의 원료수용관의 하단부를 막아주는 밀봉시트를 찢어 터트리기 위한 시트절개편이 상향(上向) 형성된 구조를 갖는 별도의 시트절개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용기본체의 내부에는 음용가능한 깨끗한 물(水)만 수용되고, 마개에는 액상이나 분말 또는 그래뉼(Granule) 형태로 이루어진 커피, 녹차, 홍삼, 동충하초(冬蟲夏草) 같은 각종 차(茶)의 원액이나 원료 또는 매실쥬스, 사과쥬스, 구아바쥬스 같은 각종 쥬스의 원액이나 원료 또는 희석하여 마실 수 있는 기능성 음료나 주류(酒類)의 원액이나 원료가 선택적으로 분리?수용된 상태에서 공급되기 때문에 소비자가 직접 마개에 수용된 각종 차나 쥬스, 기능성 음료 또는 주류의 원액이나 원료를 용기본체에 수용된 물에 간편하게 첨가?혼합하여 마실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을 적용하면 용기본체 내에 수용된 물을 일정량 만큼 마시거나 버리는 방식으로 미리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원료수용관에 수용된 커피나 각종 차 등의 원액이나 원료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는 자신의 취향에 따라 커피나 차 등의 원액이나 원료가 혼합된 물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을 적용하면, 음료제조업자는 용기본체에 단순히 깨끗한 물만을 담은 상태에서 커피나 각종 차 또는 기능성 음료나 주류의 원액이나 원료가 선택적으로 분리?수용된 마개를 결합하여 공급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단일의 물공급탱크만으로도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제조할 수 있어 설비비용 및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택폭이 크게 확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을 적용하면 용기본체에 깨끗한 물만 수용되면서 종래의 음료수에 첨가되는 방부제 등이 전혀 첨가되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보관 및 유통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음료 용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30)에서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나 유리 또는 도자기나 금속으로 성형되며,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부(32)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내부의 공간부(32)와 연통된 상태에서 내용물(34)을 주입하거나 따를 수 있도록 하는 토출구(吐出口:36)가 형성된 용기본체(38)가 마련된다.
상기 용기본체(38)의 상단에 형성된 토출구(36)의 외주면에는 용기본체(38) 내부의 공간부(32)에 수용된 내용물(34)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마개(40)가 나사결합되거나 씌워지거나 또는 토출구(36)의 내부에 끼워지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개(40)의 저면(底面) 중심에는 튜브(Tube)의 형상의 원료수용관(46)이 아랫쪽으로 연장?형성되어 토출구(36)에 마개(40)을 결합하는 경우 용기본체(38)상의 공간부(32)쪽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원료수용관(46)의 내부에는 용기본체(38)상의 공간부(32)에 수용된 물 물(水) 등의 내용물(34)에 첨가?혼합할 수 있는 액상이나 분말 또는 그래뉼형태의 각종 차(茶)나 쥬스 또는 기능성 음료나 주류의 원액이나 원료(42)가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원료수용관(46)의 하단부는 차나 쥬스 또는 기능성 음료나 주류의 원액이나 원료(42)가 수용된 상태에서 임의로 유출되지 않도록 개방가능한 캡(Cap) 또는 외력에 의하여 찢어질 수 있는 밀봉시트(Sheet:44)로 덮여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원료수용관(46)은 기본적으로 단일관(單一管)의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커피나 각종 차(茶) 또는 기능성 음료 등의 원액 또는 원료가 2가지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서로 분리?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중관(多重管)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시 마개(40)를 개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원료수용관(46)의 하단부를 막아주는 밀봉시트(44)를 간편하게 찢어 터트리기 위한 구성과, 마개(40)를 개봉한 상태에서 상기 원료수용관(46)상의 밀봉시트(44)를 간편하게 찢어 터트리기 위한 구성의 2가지 다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마개(40)를 개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원료수용관(46)상의 밀봉시트(44)를 터트리기 위한 구성의 예로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개(40)의 중심부에는 마개(40)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거나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누름힘이 인가되면 내측으로 눌려지는 누름부(48)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48)의 저면 중심으로부터 원료수용관(46)의 내측으로는 상기 누름부(48)에 누름힘이 인가되는 경우 원료수용(46)관의 내부 아랫쪽으로 직선이동되면서 원료수용관(46)의 하단부를 막아주는 밀봉시트(44)를 찢어 터트려주는 시트절개핀(50)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 마개(40)를 개봉한 상태에서 상기 원료수용관(46)상의 밀봉시트(44)를 터트리기 위한 구성의 예로서 도 2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38)상의 토출구(36)에 별도의 시트절개부재(52)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시트절개부재(52)는 상부에 토출구(36)의 상부면에 걸리는 환형(環形)의 걸림부(52a)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52a)의 내주면으로부터 아랫쪽으로는 토출구(36)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다수개의 지지편(52b)이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편(52b)의 하단으로부터 중심쪽으로는 마개(40)상의 원료수용관(46)의 하단부를 막아주는 밀봉시트(44)를 찢어 터트리기 위한 시트절개편(52c)이 상향(上向)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30)를 구성하는 용기본체(38)의 내부 공간부(32)에는 내용물(34)로서 음용가능한 깨끗한 물(水)만을 수용하고, 마개(40)상에 형성된 원료수용관(46)의 내부에는 커피, 각종 차(茶), 쥬스, 기능성 음료, 주류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료의 원액이나 원료(42)를 수용한 다음 원료수용관(46)의 하단부에 개봉가능한 캡을 씌우거나 외력에 의하여 찢어질 수 있는 밀봉시트(44)를 부착하여 원료(42)가 미리 유출되지 않도록 막아준 상태에서 용기본체(38)상의 토출구(36)에 마개(40)를 결합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한다.
이 상태에서 소비자가 물(水)만을 마시고자 하는 경우 토출구(36)에 결합된 마개(40)를 열어 용기본체(38)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마시면 된다.
한편, 소비자가 커피나 차 등을 마시고자 하는 경우, 마개(40)상의 원료수용관(46)의 내부에 수용된 커피나 차 등의 원액이나 원료(42)를 용기본체(38) 내부에 수용된 물에 첨가?혼합하여 마시면 되는데, 상기 커피나 차 등의 원액이나 원료(42)를 용기본체(38)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34) 즉, 물에 첨가하고자 하는 경우를 마개(40)를 개봉하지 않은 상태와 마개(40)를 개봉한 상태의 2가지 경우를 각각
먼저, 마개(40)를 개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료수용관(46)에 수용된 커피나 차 등의 원액이나 원료(42)를 용기본체(38)에 수용된 물에 첨가하고자 하는 경우,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40)의 상부 중심부에 형성된 누름부(48)를 누르면, 상기 누름부(48)가 아랫쪽으로 눌려짐과 동시에 누름부(48)의 저면중심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시트절개핀(50)이 아랫쪽으로 직선이동면서 원료수용관(46)의 하단부를 막아주고 있는 밀봉시트(44)를 찢어 터트려주고, 이에 따라 원료수용관(46)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커피나 차 등의 원액이나 원료(42)가 용기본체(38)내에 수용된 물에 자동적으로 투입되면서 첨가된다.
이 상태에서 소비자가 음료 용기(30)를 흔들어 물과 원료(42)가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한 다음 마개(40)를 열고 마시면 되는 것이다.
한편, 마개(40)를 개봉한 상태에서 원료수용관(46)에 수용된 커피나 차 등의 원액이나 원료(42)를 용기본체(38)에 수용된 물에 첨가하고자 하는 경우,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38)상의 토출구(36)에 결합된 마개(40)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마개(40)의 저면 중심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원료수용관(46)을 다시 토출구(36)의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삽입하여 원료수용관(46)의 하단부를 막아주고 있는 밀봉시트(44)의 면을 토출구(36)에 끼워져 결합된 시트절개부재(52)상의 시트절개편(52c)과 접촉시킨다.
그런 다음, 마개(40)를 시트절개편(52c) 쪽으로 힘을 가하여 누르면, 상기 밀봉시트(44)가 시트절개편(52c)에 의하여 찢어지면서 원료수용관(46)의 내부에 수용된 커피나 차 등의 원액이나 원료(42)가 용기본체(38)내에 수용된 물에 자동적으로 투입되면서 첨가된다.
이 상태에서 소비자가 음료 용기(30)를 흔들어 물과 원료(42)가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마시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 이외에 토출구(36)로부터 마개(40)를 분리시킨 후 거꾸로 든 상태에서 상기 원료수용관(46)의 하단부를 막아주는 캡을 벗겨내거나 밀봉시트(44)를 떼어낸 다음 원료수용관(46)에 수용된 원액이나 원료(42)를 용기본체(38) 내로 투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하는 경우, 용기본체(38) 내의 공간부(32)에 수용된 물을 일정량 만큼 마시거나 버리는 방식으로 미리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원료수용관(46)에 수용된 원액이나 원료(42)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는 자신의 취향에 따라 커피나 차 등의 원액이나 원료(42)가 혼합된 물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 음료제조업자는 용기본체(38)에 단순히 깨끗한 물만을 담은 상태에서 커피나 각종 차 또는 기능성 음료나 주류의 원액이나 원료(42)가 선택적으로 분리? 수용된 마개(40)를 결합하여 공급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단일의 물공급탱크만으로도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30 : 음료 용기 32 : 공간부
34 : 내용물 36 : 토출구
38 : 용기본체 40 : 마개
42 : 원료 44 : 밀봉시트
46 : 원료수용관 48 : 누름부
50 : 시트절개핀 52 : 시트절개부재
52a : 걸림부 52b : 지지편
52c : 시트절개편.

Claims (3)

  1. 합성수지나 유리 또는 도자기나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부(32)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내부의 공간부(32)와 연통된 상태에서 내용물(34)을 주입하거나 따를 수 있도록 하는 토출구(吐出口:36)가 형성된 용기본체(38)와;
    상기 용기본체(38)의 상단에 형성된 토출구(36)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거나 씌워지거나 또는 토출구(36)의 내부에 끼워지게 결합되어 용기본체(38) 내부의 공간부(32)에 수용된 내용물(34)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마개(40)와;
    상기 마개(40)의 저면(底面) 중심으로부터 용기본체(38)상의 공간부(32)쪽으로 끼워지도록 튜브(Tube)의 형상을 이루면서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내부에는 용기본체(38)상의 공간부(32)에 수용된 내용물(34)에 첨가?혼합할 수 있는 액상이나 분말 또는 그래뉼형태의 각종 차(茶)나 쥬스 또는 기능성 음료나 주류의 원액이나 원료(42)가 수용되는 한편, 상기 차나 쥬스 또는 기능성 음료나 주류의 원액이나 원료(42)가 수용된 상태에서 그 하단부는 개방가능한 캡(Cap) 또는 외력에 의하여 찢어질 수 있는 밀봉시트(Sheet:44)로 덮여지는 단일관(單一管) 또는 다중관(多重管) 형태의 원료수용관(4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40)의 중심부에는 마개의 다른 부분 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거나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누름힘이 인가되면 내측으로 눌려지는 누름부(48)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48)의 저면 중심으로부터 원료수용관(46)의 내측으로는 상기 누름부(48)에 누름힘이 인가되는 경우 원료수용관(46)의 내부 아랫쪽으로 직선이동되어 원료수용관(46)의 하단부를 막아주는 밀봉시트(44)를 찢어 터트려주는 시트절개핀(50)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38)상의 토출구(36)에는,
    상부에 토출구(36)의 상부면에 걸리는 환형(環形)의 걸림부(52a)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52a)의 내주면으로부터 아랫쪽으로는 토출구(36)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다수개의 지지편(52b)이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편(52b)의 하단으로부터 중심쪽으로는 마개(40)상의 원료수용관(46)의 하단부를 막아주는 밀봉시트(44)를 찢어 터트리기 위한 시트절개편(52c)이 상향(上向) 형성된 구조를 갖는 별도의 시트절개부재(52)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KR1020100126134A 2010-12-10 2010-12-10 음료 용기 KR201200648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134A KR20120064878A (ko) 2010-12-10 2010-12-10 음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134A KR20120064878A (ko) 2010-12-10 2010-12-10 음료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878A true KR20120064878A (ko) 2012-06-20

Family

ID=46684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134A KR20120064878A (ko) 2010-12-10 2010-12-10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48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39181A (zh) * 2019-12-25 2020-03-31 徐洪飞 一种洁厕液盛装组件及含有该组件的容器
CN111839384A (zh) * 2019-04-30 2020-10-30 布拉德肖国际有限公司 注入喷射式拖把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9384A (zh) * 2019-04-30 2020-10-30 布拉德肖国际有限公司 注入喷射式拖把
CN111839384B (zh) * 2019-04-30 2022-05-13 布拉德肖国际有限公司 注入喷射式拖把
CN110939181A (zh) * 2019-12-25 2020-03-31 徐洪飞 一种洁厕液盛装组件及含有该组件的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699B1 (ko)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CA2825063C (en) Bottle with dispensing device
JP2011016588A (ja) 飲料の注入方法
KR101554665B1 (ko)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
RU2404100C2 (ru) Колпачок для выпускного отверстия емкости
KR20140143102A (ko) 용기의 마개
KR101515423B1 (ko) 첨가물 투입 병마개
KR101553337B1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KR20120064878A (ko) 음료 용기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KR101740663B1 (ko)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KR101053388B1 (ko) 음료용기
CN208134822U (zh) 一种盛两种液体的饮料瓶
KR101628344B1 (ko) 용기 캡
KR200455718Y1 (ko) 리필수단이 구비된 음료용기
JP2007253948A (ja) プラスチック容器
US20140048505A1 (en) Multiple container device
KR200285759Y1 (ko) 액체분사용기
KR200429596Y1 (ko) 음료용기
US2011122A (en) Shaker top
KR101398750B1 (ko)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
CN219858472U (zh) 冷泡快装盖
KR101136131B1 (ko) 영역 분할형 페트병
KR101962112B1 (ko)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KR20100000038A (ko) 병뚜껑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