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20Y1 - 위조방지용 병마개 - Google Patents

위조방지용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20Y1
KR200300120Y1 KR20-2002-0026885U KR20020026885U KR200300120Y1 KR 200300120 Y1 KR200300120 Y1 KR 200300120Y1 KR 20020026885 U KR20020026885 U KR 20020026885U KR 200300120 Y1 KR200300120 Y1 KR 2003001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ottle
lower inner
main body
inn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호
Original Assignee
오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병호 filed Critical 오병호
Priority to KR20-2002-0026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1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for initially filling and for preventing subsequent re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65D51/221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65D51/2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being integral with, or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24Closures in which a part has to be ruptured to gain access to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15Upper closure of the 41-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37Intermediate closure(s)
    • B65D2251/0043Intermediate closure(s) of the 39-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9Lower closure of the 51-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052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made in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조방지용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위조업자가 한번 사용한 병에 원액이 아닌 가짜 원액을 주입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위조 및 위조제품의 시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물질의 투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토록 한 위조방지용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위조방지용 병마개는 가압부가 상기 병목의 상부로 돌출되고 배출구가 형성된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액체가 밖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메인홀이 상기 배출구에 연통된 하부내캡과, 상기 상부캡에 상부가, 하부내캡에 하부가 결합되고, 병목의 아래로 더 이상 내려가지 않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며, 하부에 형성된 밀봉막이 상기 가압부를 누름에 따라 하강하는 하부내캡에 의해 제거되는 하부외캡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위조방지용 병마개 {Bottle cap for falsification prevention}
본 고안은 위조방지용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위조업자가 한번 사용한 병에 원액이 아닌 가짜 원액을 주입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위조 및 위조제품의 시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물질의 투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토록 한 위조방지용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병에 액체를 넣어 판매되는 제품중 고가의 제품(예를 들어 양주)에는 위조되어 사용되는 문제를 예방하고자 다양한 형태의 병마개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병마개의 개폐여부를 소비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구조로서, 주로 병마개의 하단에 절단선이 미리 구획된 커버링을 장착하거나 또는 병마개의 외부에 비닐이나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진 커버지를 부착시키는 방식이 적용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병마개 구조는 외관의 저급함으로 인하여 고가의 양주병에는 적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커버링이나 커버지의 모조 및 부착이 용이하여 신뢰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즉, 위조 제조업자가 이미 소비된 빈 병 내에 가짜 원액을 주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제품을 믿고 구입할 수 없게 되어 제품의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커버지와 커버링 외에 병마개 캡의 내부에 볼 밸브를 적용시킨 위조방지 구조물이 개발되어 시판 중에 있다.
이러한 위조방지 구조물은 병을 세운 상태에서는 볼 밸브가 병의 입구를 막아 유해물질의 주입을 예방하게 되고 병을 기울인 상태에서는 병의 입구가 열리게 되어 양주를 따라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위조방지 구조물은 병을 일정각도로 기울인 상태에서 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서서히 주입하면 위조 원액의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위조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서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병 내부로 가짜 음용액의 재주입과 인체에 유해한 물질의 투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위조방지용 병마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품을 일단 사용하면 밀봉막이 파괴되어 음용액이외부로 누출되고, 병목에 삽입된 병마개를 강제로 이탈시키면 날개가 파손되어 외관으로 봐서 제품의 사용여부를 사전에 알 수 있는 위조방지용 병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병목에 삽입되어 위조를 방지하는 병마개에 있어서;
가압부가 상기 병목의 상부로 돌출되고 배출구가 형성된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액체가 밖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메인홀이 상기 배출구에 연통된 하부내캡과, 상기 상부캡에 상부가, 하부내캡에 하부가 결합되고, 병목의 아래로 더 이상 내려가지 않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며, 하부에 형성된 밀봉막이 상기 가압부를 누름에 따라 하강하는 하부내캡에 의해 제거되는 하부외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병마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위조방지용 병마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의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A-A선 및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병마개를 병에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병마개 20 : 상부캡
21 : 본체 22 : 걸림턱
23 : 결합돌기 24 : 연결부
25 : 가압부 26 : 하향돌기
27 : 암나사부 28 : 배출구
30 : 하부내캡 31 : 본체
32 : 외측돌부 33 : 보조통로
34 : 밀폐부 35 : 보조홀
36 : 눌림부 37 : 숫나사부
38 : 통공 39 : 메인홀
40 : 하부외캡 41 : 본체
42 : 걸림턱 43 : 결합홈
44 : 밀봉막 45 : 날개
46 : 파손확인용홈 47 : 안착홈
50 : 병 51 : 공간
52 : 병목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위조방지용 병마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위조방지용 병마개(10)는, 병목에 삽입되어 위조를 방지하는 병마개에 있어서,
가압부(25)가 상기 병목(52)의 상부로 돌출되고 배출구(28)가 형성된 상부캡(20)과,
상기 상부캡(20)에 상부가 나합되고 액체가 밖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메인홀(39)이 상기 배출구(28)에 연통된 하부내캡(30)과,
상기 상부캡(20)에 상부가, 하부내캡(30)에 하부가 결합되고, 병목의 아래로 더 이상 내려가지 않도록 걸림턱(42)이 형성되며, 하부에 형성된 밀봉막(44)이 상기 가압부(25)를 누름에 따라 하강하는 하부내캡(30)에 의해 제거되는 하부외캡(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캡(20)은 하방으로 하부내캡(30)이 수용되도록 본체(21)가 형성되고 본체(21)의 외측으로는 걸림턱(22)과 결합돌기(23)가 상하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31)의 상부와, 손으로 누름에 따라 아래로 하강하는 가압부(25)가 방사상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연결부(24)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이에 의해 연결부(24) 사이에는 배출구(28)가 구획되게 형성된다.
상부캡(20)이 연질로 되어 있고, 본체(21)와 가압부(25)가 연결부(24)로 연결되어 있어 가압부(25)를 누르면 가압부(25)가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 가압부(25)의 하방으로는 내측에 암나사부(27)가 형성된 하향돌기(26)가 돌출된다.
상기 상부캡(2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부가 상기 암나사부(27)에 나합되는 하부내캡(30)은 액체가 밖으로 배출되는 메인홀(39)이 형성되도록 본체(31)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31)에는 측방으로 통공(38)이 다수개 형성되어 결국 메인홀(39)로 유입된 액체는 통공(38), 상부캡(20)과 하부내캡(30) 사이의 공간(51), 상부캡(20)에 형성된 배출구(28)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본체(31)의 외측으로는 서로 이격되어 대응되게 나선형의 외측돌부(32)가 형성되고 서로 이격된 외측돌부(32) 사이가 결국 액체가 밖으로 배출되는 보조통로(33)가 된다.
상기 외측돌부(32)는 하부외캡(40)과 조립시 가이드 역할을 하고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개봉전 주사기 등을 통한 가짜 음용액의 투입을 방지한다.
상기 외측돌부(32)는 하부로 연장되어 밀폐부(34)가 되고 밀폐부(34)에는 보조홀(35)이 형성되어 보조통로(33)에 연통된다.
상기 밀폐부(34)에서 밀폐의 뜻은 상기 하부내캡(30)이 하부외캡(40)에 조립되는 경우 하부내캡(30)과 하부외캡(40) 사이로 액체가 흐르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상기 암나사부(27)에 나합되도록 외측으로 숫나사부(37)가 형성된 눌림부(36)가 상부에 형성되어 가압부(25)를 누르면 가압부(25)에 접촉된 눌림부(36)가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하부외캡(40)은 상부캡(20)과 하부내캡(30)의 조립시 고정시켜준다.
상기 상부캡(20)에 상부가, 하부내캡(30)에 하부가 결합되는 하부외캡(40)에는 상부캡(20)과 하부내캡(3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본체(41)가 형성되고, 본체(41)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상기 상부캡(20)의 걸림턱(22)과 대응되고 하부외캡(40)을 병목(52)에 삽입시 걸려 병(50)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42)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41)의 내측으로는 상기 상부캡(20)의 결합돌기(23)가 결합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홈(43)이 형성되고 본체(41)의 끝단부에는 내측으로밀봉막(44)이 형성된다.
상기 밀봉막(44)은 음용액 누출을 막아 음용액 누출에 의한 클레임을 방지할 수 있고 개봉(open)전에 음용액 위조방지 확인용도로 쓰인다.
즉, 유통단계에서는 밀봉막(44)에 의해 음용액 누출이 방지되어 음용액 누출에 의한 클레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개봉하기 전에 밀봉막이 제거되어 있으면 누군가에 의해 가짜 음용액을 투입하기 위하여 파괴하였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41)의 끝단부 외측으로는 본체의 일부를 절개하여 날개(45)가 형성되고 날개(45)와 본체(41) 사이에는 파손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방에서 파손확인용홈(46)이 형성된다.
상기 날개(45)는 보통 외측으로 펼친 상태로 있다가 하부외캡(40)을 회전하면서 병목(52)에 삽입하는 경우에 본체의 일부를 절개하여 생긴 안착홈(47)에 안착되고,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펼친 상태로 되돌아 간다.
상기한 구조에서 상부캡(20)과 하부외캡(40)의 재질은 연질고무이고 하부내캡(30)의 재질은 플라스틱이다.
도 2는 도 1에 의한 조립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A-A선 및 B-B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캡(20)의 암나사부(27)에는 하부내캡(30)의 숫나사부(37)가 나사결합되어 조립되고 상기 상부캡(20)의 결합돌기(23)가 하부외캡(40)의 결합홈(43)에 들어가 조립된다.
이때 상부캡(20)에 형성된 가압부(25)의 하면과 하부내캡(30)에 형성된 눌림부(36)의 상면이 서로 접촉되고, 상부캡(20)에 형성된 걸림턱(22)의 하면과 하부외캡(40)에 형성된 걸림턱(42)의 상면이 서로 접촉된다.
또한, 하부내캡(30)의 외면과 하부외캡(40)의 내면은 서로 밀착되고, 상부캡(20)과 하부내캡(30) 사이에는 공간(5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병마개(10)를 병목(52)에 삽입하는 경우 내부외캡(40)을 병목(52)에 대고 날개(45)가 펼쳐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병마개(10)가 병목(52)에 삽입되고, 걸림턱(42)이 병목(52)의 상부에 걸려 더 이상 내려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음용액을 마시기 위해서는 음용액의 누출을 막는 밀봉막(44)을 제거해야 된다.
이를 위해 가압부(25)를 누르면 눌림부(36)가 형성된 하부내캡930)이 하강하여 밀봉막(44)을 제거하게 된다.
밀봉막(44)을 제거한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병(50)을 기울이면 음용액이 2개의 통로로 유입되어 밖으로 배출된다.
첫번째는 음용액이 하부내캡(30)의 메인홀(39)과 측방에 형성된 통공(38)과, 하부내캡(30)과 상부캡(20) 사이의 공간(51)과, 배출구(28)를 따라 밖으로 배출된다.
두번째는 음용액이 하부내캡(30)의 밀폐부(34)에 형성된 보조홀(35)과, 외측돌부(32) 사이에 형성된 보조통로(33)와, 하부내캡(30)과 상부캡(20) 사이의 공간(51)과, 배출구(28)를 따라 배출된다.
즉 2개의 경로로 음용액이 병마개(10)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원활하게 밖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음용액을 마시기 위해서는 밀봉막(44)을 제거해야 하므로 밀봉막(44)이 제거되어 있다는 것은 음용을 위해 일단 개봉을 했다는 것을 의미하고, 개봉 전에 밀봉막(44)이 제거되어 있다는 것은 가짜 음용액이나 해로운 물질을 투입하기 위하여 파괴하였음을 의미하므로 위조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부내캡(30)이 주사기가 들어가지 못하는 플라스틱 재질이고 외측돌부(32)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개봉전 주사기 등을 통한 가까 음용액이나 해로운 물질의 투입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밀봉막(44)을 파손하지 않기 위해서 병마개(10)를 병(50)에서 이탈시킬 수도 있는 바, 이때 병마개(10)를 병목(52)에서 빼내면 펼쳐진 상태의 날개(450가 파손되므로 육안으로 쉽게 사용여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병 내부로 가짜 음용액의 재주입과 인체에 유해한 물질의 투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을 일단 사용하면 밀봉막이 파괴되어 음용액이 외부로 누출되고, 병목에 삽입된 병마개를 강제로 이탈시키면 날개가 파손되어 외관으로 봐서 제품의 사용여부를 사전에 알 수 있다.

Claims (7)

  1. 병목에 삽입되어 위조를 방지하는 병마개에 있어서;
    가압부가 상기 병목의 상부로 돌출되고 배출구가 형성된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액체가 밖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메인홀이 상기 배출구에 연통된 하부내캡과,
    상기 상부캡에 상부가, 하부내캡에 하부가 결합되고, 병목의 아래로 더 이상 내려가지 않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며, 하부에 형성된 밀봉막이 상기 가압부를 누름에 따라 하강하는 하부내캡에 의해 제거되는 하부외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병마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가, 상기 하부내캡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와, 방사상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이에 의해 연결부 사이에 상기 배출구가 구획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병마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의 본체에는 외측으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캡과 하부내캡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부외캡의 본체 내측에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병마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외캡의 본체 외측으로는 본체의 일부를 절개하여 날개가 형성되고 날개와 본체 사이에는 파손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방에서 파손확인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병마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에는 가압부의 하방으로 내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하향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하부내캡에는 외측으로 숫나사부가 형성된 눌림부가 상부에 형성되어, 암나사부와 숫나사부가 나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병마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내캡의 외측으로는 서로 이격되어 대응되게 나선형의 외측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돌부는 하부로 연장되어 밀폐부가 되며, 밀폐부에는 보조홀이 형성되어 외측돌부 사이의 보조통로에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병마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과 하부외캡은 연질이고, 하부내캡은 주사기가 들어가지 않는 플라스틱 재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병마개.
KR20-2002-0026885U 2002-09-09 2002-09-09 위조방지용 병마개 KR2003001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885U KR200300120Y1 (ko) 2002-09-09 2002-09-09 위조방지용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885U KR200300120Y1 (ko) 2002-09-09 2002-09-09 위조방지용 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0Y1 true KR200300120Y1 (ko) 2003-01-14

Family

ID=4939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885U KR200300120Y1 (ko) 2002-09-09 2002-09-09 위조방지용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499B1 (ko) 2006-09-28 2007-11-01 석광신 잠금기능이 있는 주입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499B1 (ko) 2006-09-28 2007-11-01 석광신 잠금기능이 있는 주입방지장치
WO2008039029A1 (en) * 2006-09-28 2008-04-03 Chang Hwan Kim Non-refillable pouring device with locking func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147629A (ja) 異種物質収容装置
US8162161B2 (en) Bottle container
KR200348302Y1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EP3720784B1 (en) Delivering tap equipped with internal silicone valve with liquid- sealing and tamper-preventing systems
KR200300120Y1 (ko) 위조방지용 병마개
WO2006116248A1 (en) Tip design for reducing capillary leakage and water loss for plastic container closures
KR200425704Y1 (ko) 위조방지용 원터치 안전 캡
KR200363544Y1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KR101020031B1 (ko) 병 및 병마개
KR100580638B1 (ko) 이중밸브를 갖는 병마개 조립체
KR200348303Y1 (ko) 개선된 위조방지용 병마개
KR200429169Y1 (ko) 위조방지용 안전 캡
KR200270815Y1 (ko) 위조 방지용 마개
KR101213073B1 (ko)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 및 그 용기
KR100299117B1 (ko) 다용도 병의 속 마개
KR200347206Y1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KR20030015167A (ko) 액체용기 마개
KR200311431Y1 (ko) 개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병마개
CN215923091U (zh) 一种液体密封盖
KR200425778Y1 (ko) 위조방지를 위한 뚜껑용 마개
KR20050076068A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KR200295520Y1 (ko) 마개조립체
KR100490947B1 (ko) 재충전 방지용 마개장치
US20220411253A1 (en) Dispensing tap for rigid and flexible containers, preferably of the bag-in-box type
KR20040062857A (ko) 개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병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