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711B1 - 병마개 - Google Patents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711B1
KR100966711B1 KR1020080064135A KR20080064135A KR100966711B1 KR 100966711 B1 KR100966711 B1 KR 100966711B1 KR 1020080064135 A KR1020080064135 A KR 1020080064135A KR 20080064135 A KR20080064135 A KR 20080064135A KR 100966711 B1 KR100966711 B1 KR 100966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inner cap
bottle
cap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126A (ko
Inventor
강민구
Original Assignee
강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구 filed Critical 강민구
Priority to KR1020080064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711B1/ko
Publication of KR20100004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for initially filling and for preventing subsequent re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양주병 마개의 외주면에 개방여부 표시부를 구비하여 양주병 마개가 최초로 개방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문자가 보이도록 함으로서 병마개의 개폐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위조행위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병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병의 개구에 설치되며 제1,제2톱니돌기가 상호 맞물리게 설치되는 제1,제2내캡으로 이루어지는 내캡(inner cap); 상기 내캡을 끼움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상기 제2내캡을 회전시킬 수 있게 한 외캡(outer cap); 및 상기 외캡과 내캡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내캡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제2내캡에 형성되는 제1,제2톱니돌기에 소정 텐션력을 부여할 수 있게 한 텐션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병마개에 의하면, 위조행위 자체를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법 제조 및 불법 유통을 근절시킬 수 있고, 또 이를 통해 건전한 유통질서를 확립할 수 있도록 하면서 소비자에게는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병마개, 위조방지, 라벨, 표시부, 톱니

Description

병마개{a bottle cap}
본 발명은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주병의 개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병마개에 개폐 유무를 일반 소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위조행위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신뢰성을 확보하고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주병의 마개로 사용되는 통상의 마개는, 단순히 양주병의 개구를 막아 개폐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또 상기 양주병의 마개 외부에 비닐 등의 코팅지를 사용하거나 라벨 등을 사용하여 개폐되지 않은 양주임을 확인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양주병 마개는 한번 개폐된 양주를 소비자들에게 속여서 다시 판매할 수 있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즉, 한번 개폐되어 상품의 가치가 떨어진 양주를 소비자에게 그대로 속여서 판매할 경우에도 소비자들은 이를 확인할 수 없어 신뢰성이 저하되고, 상품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양주병의 개폐유무를 일반 소비자들이 쉽게 확인할 수 없어 카페 등의 술집에서 소비자들이 양주를 마실 때 가짜 양주를 속아서 마시게 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여 소비자들이 기만을 당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주병 마개의 외주면에 개방여부 표시부를 구비하여 양주병 마개가 최초로 개방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문자가 보이도록 함으로서 병마개의 개폐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위조행위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병마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병마개는, 위조행위 자체를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법 제조 및 불법 유통을 근절시킬 수 있고, 또 이를 통해 건전한 유통질서를 확립할 수 있도록 하면서 소비자에게는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병마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병의 개구에 개폐되게 설치되는 병마개에 있어서, 상호 끼움 결합되는 제1,제2내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제2내캡의 상부에 상호 대면하는 면에는 원주(圓周) 방향으로 제1,제2톱니돌기를 맞물리게 형성하고, 상기 제1,제2내캡의 하부에 상호 대면하는 면에는 제1,제2걸림돌기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1내캡의 외주면에는 라벨지를 부착하고 제2내캡의 외주면에는 소정 부위만을 투명하게 형성하여 병마개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라벨지가 제2내캡에 투명하게 형성되는 부위를 통해 외부로 보여질 수 있게 한 내캡(inner cap); 상기 내캡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는 투명한 소재로 상기 내캡을 끼움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제1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돌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내캡의 하부에 제2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제1,제2고정돌기를 상호 맞물리게 결합함에 의해 상기 제2내캡을 회전시킬 수 있게 한 외캡(outer cap); 및 상기 외캡과 내캡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내캡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내캡을 상기 제2내캡 측으로 가압함에 의해 상기 제1,제2톱니돌기가 소정 텐션력을 가지면서 상호 맞물릴 수 있게 한 텐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부재는 판스프링, 소정 두께를 갖는 부직포 혹은 스펀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의하면, 최초 개방시에만 외캡이 내캡으로부터 소정 각도 헛돌게 하여 표시부를 통해 문자를 보이도록 함으로서 병마개의 개폐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양주병의 마개로 이용하면 양주의 불법 제조 및 불법 유통을 근절시킬 수 있고, 건전한 유통질서를 확립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는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의 결합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외캡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제2내캡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제2내캡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제1내캡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마개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는 양주병 등과 같은 병(미도시)의 개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내캡(inner cap)(10)과 외캡(outer cap)(20) 및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텐션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캡(10)은 제1내캡(11)과 제2내캡(12) 및 상기 제1내캡(1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병의 개방 여부에 따라 제2내캡(12)을 통해 외부로 보여지게 한 라벨지(11d)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제2내캡(11,12)은 상호 회전을 억제할 수 있게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라벨지(11d)의 회전 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제1,2내캡(11,12)이 초기 상태에서 소정 각도만큼 헛돈 후 상기 제1,제2내캡(11,12)이 함께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라벨지(11d)가 외부로 보여지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2내캡(12)의 외부면은 소정 부위만이 투명하게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내캡(11)은 상면이 막힌 제1원통체(11a)이며, 상부의 저면으로는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圓周) 방향으로 제1톱니돌기(11b)를 형성하고, 상기 제1원통체(11a)의 하단면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제1걸림돌기(11c)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내캡(12)은 제1내캡(11)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제2원통체(12a)이며, 상기 제2원통체(12a)의 상단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1톱니돌기(11b)에 대응하도록 제1톱니돌기(12b)를 형성하고, 상기 제2원통체(12a)의 하단 부에 환 형상으로 안쪽으로 돌출되게 하여, 그 돌출되는 부위에 제2걸림돌기(12c)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2걸림돌기(12c)는 상기 제1걸림돌기(11c)에 걸려 상기 내외캡이 일체로 회전되게 한다.
이와 같은 제1,제2내캡(11,12)은 상기 외캡(20)과 함께 회전되게 하기 위해, 상기 제2내캡(12)의 하부에 제2고정돌기(12d)를 형성하여, 상기 외캡(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고정돌기(21b)에 결합한다.
또한, 상기 라벨지(11d)는 제1,제2내캡(11,1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내캡(11)의 외주면에 부착되는데, 이러한 라벨지(11d)가 마개의 개폐 여부의 표시하여 양주병의 위조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제2내캡(12)의 외주면에는 소정 부위를 투명하게 하여 상기 제1내캡(11)에 부착된 라벨지(11d)의 문자가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라벨지를 보고 병마개의 개폐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외캡(20)은 내캡(10)을 감쌀 수 있게 하부만이 개구되게 중공 내부를 갖는 외캡몸체(21a)를 구성하며, 하부에는 상기 제2내캡(12)의 제2고정돌기(12d)와 대응하도록 제1고정돌기(21b)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함에 의해 함께 회전되게 한다.
이와 같은 외캡(20)은 하부만이 개구되는 중공구조를 갖게 하기 위해, 상기 외부몸체(21a)를 관통되게 형성한 후 폐쇄판(20a)으로서 상부를 막도록 설치한다. 즉, 관통되는 외부몸체(21a)의 상부에 폐쇄판(20a)을 접착(w)함으로서 하부만이 개구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부몸체(21a)와 폐쇄판(20a)의 접착은 접착제를 이 용하거나, 열융착 혹은 초음파에 의한 다양한 방법으로 첩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몸체(20a)를 폐쇄판(20a)으로 부착하는 이유는, 상기 제1,제2내캡(11,12)의 조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1,제2내캡(11,12)을 외캡(20)의 상부로부터 조립한 후 폐쇄판(20a)을 일체화되게 접착하여 조립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텐션부재(30)는 상기 외캡(20)과 내캡(1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원통체(11a)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원통체(11a)가 제2원통체(12a) 측으로 소정 텐션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다. 즉, 상기 텐션부재(30)에 의해 상기 제1,제2내캡(11,12)에 형성되는 제1,제2톱니돌기(11b,12b)가 상호 맞물려 작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텐션부재(30)는 소정 두께를 갖는 부직포(31a)로 형성함이 좋은데, 그 외 소정 쿠션을 갖는 스펀지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텐션부재(30)를 스프링(31b)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부재(30)를 상기 외캡(20)과 내캡(1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내캡(11)에 구비되는 제1원통체(11a)의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부직포(31a) 혹은 스펀지 및 스프링(31b)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텐션부재(30)는 상기 외캡(20)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가압력이 발생되어, 즉 상기 제1원통체(11a)를 소정 텐션력을 보유하면서 아래 방향으로 눌러 상기 제1원통체(11a)의 상부면에서 저면 가장자리로 형성되는 제1톱니돌기(11b)가 제2내캡(12)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제2톱니돌기(12b)와 소정 텐션력을 가지면서 결합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제2톱니돌기(11b,12b)에 의해 상기 제1,제2내캡(11,12)은 상기 텐션부재(30)에 의해 소정 쿠션을 받으면서 제1,제2톱니돌기(11b,12b)가 맞물려 어느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1,제2내캡(11,12)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제2걸림돌기(11c,12c)에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도 억제하게 되고, 이때부터 외캡(2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제2걸림돌기(11c,12c)는 초기에는 상호 이격되는 위치로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제2내캡(11,1,2)이 소정 각도만큼 헛돌게 된 후 상기 제1,제2걸림돌기(11c,12c)가 상호 맞물리는 순간부터 외캡(20)을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제1,제2고정돌기(12d,21b)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상기 제1내캡(11)의 외주면으로 설치되는 라벨지(11d)를 외부로 보여지게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외캡(20)은 투명하게 형성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병마개의 개방을 위해 상기 외캡(20)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1,제2고정돌기(21b,12d)가 맞물려 제2내캡(12)이 회전되고, 이때에는 상기 제1,제2내캡(11,12)이 헛돌게 된다. 이후, 상기 제1,제2걸림돌기(11c,12c)가 상호 맞물리는 부위에서부터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역방향으로 회전은 상기 제1,제2톱니돌기(11b,12b)에 의해 억제되는데, 이는 상기 텐션부재(30)에 의해 제1,제2톱니돌기(11b,12b)가 맞물리게 됨으로서 역방향으로 회전은 방지된다. 즉, 본 발명은 병마개의 최초 개방시에는 상기 텐션부재(30)의 텐션력에 의해 제1,제2내캡(11,12)의 상부로 형성되는 제1,제2톱니돌기(11b,12b)가 소정 텐션을 받으면서 헛돌게 되고, 이후 제1,제2내캡(11,12)의 하부로 형성되는 제1,제2걸림돌기(11c,12c)가 맞물리는 부위부터는 상기 제1,제2걸림돌기(11c,12c)에 의해 제1,제2내캡(11,12)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제2톱니돌기(11b,12b)가 다시 역방향으로의 회 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텐션부재(30)로서 제1내캡(11)을 제2내캡(12) 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병마개의 개방을 위해 상기 외캡(20)을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외캡(20)은 제1,제2고정돌기(21b,12d)에 의해 결합되어 있음으로서 제2내캡(2)을 함께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제1내캡(11)은 본 발명의 특징인 텐션부재(30)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게 힘을 부여받게 됨으로서, 상기 제1,제2내캡(11,12)의 상부로 형성되는 제1,제2톱니돌기(11b,12b)가 상기 텐션부재(30)에 의해 소정 텐션을 받으면서 일방향으로 타고 넘어가 상기 제1내캡(11)은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내캡(12)만이 회전되게 한다. 즉, 헛돌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내캡(12)만이 일정각도 헛돌아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제2내캡(12)의 하부로 형성되는 제1,제2걸림돌기(11c,12c)가 상호 맞물리는 위치부터 상기 제1,제2내캡(11,12)이 함께 회전되면서 병마개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제1내캡(11)의 외주면으로 설치되는 라벨지(11d)를 외부로 보여지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내캡(11)이 일정각도 회전 이동함에 의해 상기 제2내캡(12)에 형성되는 투명부(미도시)를 통해 라벨지(11d)의 문구가 외부로 보여지게 하여, 개방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한번 사용된 마개를 다시 사용할 수 없게 함으로서 사용자가 위조 여부를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제2내캡(11,12)에 형성되는 제1,제2톱니돌기(11b,12b)가 소정 텐션력으로 상호 맞물려 작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텐션부 재(30)를 설치하였으며, 이러한 텐션부재(30)의 설치 기술은 종래의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진보된 기술로서, 본 발명의 병마개를 위조 방지용 병마개로서의 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의 결합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외캡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제2내캡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제2내캡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제1내캡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마개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내캡 11 - 제1내캡
12 - 제2내캡 11b,12b - 제1,제2톱니돌기
20 - 외캡 30 - 텐션부재

Claims (2)

  1. 병의 개구에 개폐되게 설치되는 병마개에 있어서,
    상호 끼움 결합되는 제1,제2내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제2내캡의 상부에 상호 대면하는 면에는 원주(圓周) 방향으로 제1,제2톱니돌기를 맞물리게 형성하고, 상기 제1,제2내캡의 하부에 상호 대면하는 면에는 제1,제2걸림돌기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1내캡의 외주면에는 라벨지를 부착하고 제2내캡의 외주면에는 소정 부위만을 투명하게 형성하여 병마개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라벨지가 제2내캡에 투명하게 형성되는 부위를 통해 외부로 보여질 수 있게 한 내캡(inner cap);
    상기 내캡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는 투명한 소재로 상기 내캡을 끼움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제1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돌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내캡의 하부에 제2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제1,제2고정돌기를 상호 맞물리게 결합함에 의해 상기 제2내캡을 회전시킬 수 있게 한 외캡(outer cap); 및
    상기 외캡과 내캡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내캡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내캡을 상기 제2내캡 측으로 가압함에 의해 상기 제1,제2톱니돌기가 소정 텐션력을 가지면서 상호 맞물릴 수 있게 한 텐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재는 판스프링, 소정 두께를 갖는 부직포 혹은 스펀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KR1020080064135A 2008-07-03 2008-07-03 병마개 KR100966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135A KR100966711B1 (ko) 2008-07-03 2008-07-03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135A KR100966711B1 (ko) 2008-07-03 2008-07-03 병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126A KR20100004126A (ko) 2010-01-13
KR100966711B1 true KR100966711B1 (ko) 2010-06-29

Family

ID=41813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135A KR100966711B1 (ko) 2008-07-03 2008-07-03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7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395B1 (ko) * 2011-07-21 2011-10-11 한국해양연구원 천정 이동형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선박용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7155U (ja) * 1992-10-16 1994-05-17 北海製罐株式会社 容 器
US5356012A (en) 1993-05-06 1994-10-18 Yi Tang Container with counter
US5638970A (en) 1989-02-03 1997-06-17 Senetics, Inc. Child-resistant indicator cap
KR20030018891A (ko) * 2001-08-31 200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멀티 스레드 처리방법
KR200318891Y1 (ko) 2003-04-19 2003-07-04 주식회사 비제이엘 병마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8970A (en) 1989-02-03 1997-06-17 Senetics, Inc. Child-resistant indicator cap
JPH0637155U (ja) * 1992-10-16 1994-05-17 北海製罐株式会社 容 器
US5356012A (en) 1993-05-06 1994-10-18 Yi Tang Container with counter
KR20030018891A (ko) * 2001-08-31 200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멀티 스레드 처리방법
KR200318891Y1 (ko) 2003-04-19 2003-07-04 주식회사 비제이엘 병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126A (ko)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442Y1 (ko) 위조방지용 알에프아이디 안전 캡
KR200417222Y1 (ko) 위조방지용 안전 캡
ES2365201T3 (es) Tapa para un envase.
US6029807A (en) Security case with stress contour for collectible items
JP2017193381A (ja) 異種物質収容装置
EP3310682A1 (fr) Bouteille comportant un bouchage de sécurité
ES2554654T3 (es) Extremo de lata con inserto de película
KR100966711B1 (ko) 병마개
US20100300914A1 (en) Container for beverages
EA013177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ытия бутылок,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бутылок с алкогольными напитками или со спиртосодержащими жидкостями
KR20110037442A (ko) 병마개 및 그 병마개에 내장되는 위조방지용 알에프아이디 태그
TWI628118B (zh) 具有防非法開啟辨識功能之容器
EP1717160B1 (en) Bottle closure with warranty seal
KR101138257B1 (ko) 위조방지용 병마개
KR20100049144A (ko) 병마개
KR100957653B1 (ko) 병마개
US9682797B2 (en) Safety mechanism for containers
CN209757981U (zh) 一种撬开式防伪瓶盖
KR200458665Y1 (ko) 빨대공을 구비한 병마개
JP3203751U (ja) 改ざん防止容器
KR20110130121A (ko) 재밀봉 가능한 이지 오픈 엔드
JP2009292502A (ja) 飲料容器
CN219340040U (zh) 盖体、容器与盖体的组合、以及带盖体的容器
KR20110059063A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CN110902137A (zh) 一种防伪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