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198A - 위조 방지를 위한 용기의 구조 - Google Patents

위조 방지를 위한 용기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198A
KR20210034198A KR1020190115820A KR20190115820A KR20210034198A KR 20210034198 A KR20210034198 A KR 20210034198A KR 1020190115820 A KR1020190115820 A KR 1020190115820A KR 20190115820 A KR20190115820 A KR 20190115820A KR 20210034198 A KR20210034198 A KR 20210034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rt
container
protruding
bottle cap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희
Original Assignee
안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진희 filed Critical 안진희
Priority to KR1020190115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4198A/ko
Publication of KR20210034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1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마개(01)를 용기 입구(21)에 결합 시키면 상하로 결합하는 힘에 의하여 병마개의 몸체(02)와 브릿지(05)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연결된 스커트(04)가 용기 입구(21)의 외부면(23)의 원주를 따라 스커트 매입 돌출턱(36, 걸림부위)에 형성된 공간(본 특허에서는 '보관 공간'으로 칭한다)에 진입하여 머무르는 구조로서, 병마개(01)를 용기 입구(23)로부터 개봉할 경우에는 스커트(04)가 몸체(02)로부터 분리되고 보관 공간(32)에 머무른다. 분리되어서 보관 공간(32)에 머무르는 스커트(04)가 임의로(강제로) 벗겨지지 않도록 용기 입구 외부의 일정 위치에 원주를 따라 다양한 형태로 돌출한 스커트 매입 돌출턱(36, 걸림부위)에 관한 모든 것이다.

Description

위조 방지를 위한 용기의 구조{Structure of and Bottle and Bottle Neck}
본 발명은 플라스틱 병 마개(01)의 스커트(04)와 결합하는 용기 입구(21) 외부면(23) 또는 용기 외부 면에 설치한 스커트 걸림 부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병마개를 용기 입구에 결합한 후, 개봉 여부 및 위조 방지를 판단하는 용기의 개봉 식별 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 입구에 결합한 플라스틱 병마개의 몸체 하부면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스커트(04)가 개봉 시에 몸체로 부터 분리되어 용기 입구 외부면(23) 또는 용기 외부면의 일정한 위치에 설치된 스커트 매입 돌출턱(36, 일명 : 걸림부위)의 보관 공간(32)에 보관 되는 것을 이용한 기술이다. 이때에 분리된 스커트(04)는 원래의 모양을 유지한 상태로는 결코 보관 공간(32)으로 부터 빼내거나 분리시킬 수 없는 구조를 갖는다.
이 분야의 종래 기술을 간단히 기술하자면, 기존의 플라스틱 병마개는 병마개가 용기 입구(21)에 결합 시에 몸체 하부면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스커트(04)의 걸림돌기가 용기 입구 외부면에 돌출로 설치된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에 맞물려 있다가 병마개를 여는 방향으로 개봉 할 경우에 몸체로 부터 스커트가 분리되어 용기 입구의 걸림돌기와 결합하여 노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일반적인 제품(음료, 저가 제품 등)에 적용되고 있다. 이 방법의 문제점은 완제품에 있어서 병마개에 열을 가하면, 열에 약한 수지가 주원료인 병마개의 특성 때문에 스커트(04)가 쉽게 늘어 나거나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변형된 스커트가 병마개의 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고도 용기 입구로 부터 통째로 벗겨 낼 수 있다. 이러한 결함 때문에 위조 방지나, 내용물 안전에 문제점으로 대두 된다. 본 특허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예방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병마개(01)를 용기 입구(21)에 결합 시키면 상하로 결합하는 힘에 의하여 병마개의 몸체와 브릿지(05)로 연결된 스커트(04)가 용기 입구(21)의 외부면(23)의 원주를 따라 스커트 매입 돌출턱(36)에 형성된 공간(32, 본 특허에서는 '보관 공간'으로 칭한다)에 진입하여 머무른다. 병마개(01)를 용기 입구(21)로부터 개봉할 경우에는 브릿지(05)가 파손되면서 스커트(04)가 몸체(02)로부터 분리되고, 보관 공간(32)에 머무른다. 분리되어서 보관 공간(32)에 머무르는 스커트(04)가 임의로(강제로) 벗겨지지 않도록 용기 입구 외부의 일정 위치에 원주를 따라 다양한 형태로 돌출한 수평 걸림턱(41, 42)을 설치한다.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설명은 도면과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에서 설명토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위조 방지 역할을 한다.
2. 분리된 스커트가 스커트 매입 돌출턱의 보관 공간에 보관됨으로써, 폐기물(분리된 스커트)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기존 병마개와 용기입구가 결합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을 'A-A'로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와 용기입구가 결합한 단면도이다.(신제품 대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 입구 외부면에 설치되는 스커트 매입 돌출턱(걸림부위)에 병마개의 스커트가 결합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 입구의 스커트 매입 돌출턱(걸림부위) 부분에 대한 확대 입체도이다.
도 6은, '도 3'을 'B-B'로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 입구에 설치되는 스커트 매입 돌출턱(걸림부위)의 수평 걸림 돌기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 입구 외부면에 설치되는 스커트 매입 돌출턱(걸림부위)를 전개한 평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를 개봉 시에 스커트가 분리되어 보관 공간에 머무르는 상태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우선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고, 실시 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기존 병마개와 용기입구가 결합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을 'A-A'로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병마개 몸체 측면(02)의 하부면에 브릿지(05)에 의하여 스커트(04)를 장착한 병마개가 용기입구에 결합한 단면도이다. 상기 스커트(04)는 걸림돌기 B(26)에 결합한다. 병마개를 개봉 시에 상기 스커트는 브릿지(05)가 파손되면서 분리되어 용기 입구 외부면(23)에 남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와 용기입구가 결합한 단면도이다(신제품 대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 입구 외부면에 설치되는 스커트 매입 돌출턱(걸림부위)에 병마개의 스커트가 결합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스커트 매입 돌출턱(36, 걸림부위)은 용기 입구 외부면(23)의 나사선(22)의 하부에 설치한다. 용기와 일체형이며 원주를 따라 설치한다. 용기 입구 외부면으로부터 내측 수평 걸림턱(41), 진입틈(31), 외측 수평 걸림턱(42)의 순서로 설치된다. 수평 걸림턱(41, 42)의 상부면(37)에는 빗면(40)을 구비한다. 내측 수평 걸림턱(41)과 외측 수평 걸림턱(42)의 사이에는 진입틈(31)이 있다. 상부면(37)은 빗면(40)과 수평면을 갖는다. 스커트 매입 돌출턱(36)은 용기의 몸체(28), 스커트의 진입 틈(31), 보관 공간(32), 수직 걸림턱(29), 수평 걸림턱(41, 42), 스커트 매입 돌출턱의 지지대(34), 노출 창(35)으로 구성된다. 수직 걸림턱(29)은 내측 수평 걸림턱(41)의 하부면(43)과 지지대 (34) 사이에 위치하며 용기 입구(21) 외부면(23)과 일체형으로 원주를 따라 돌출형으로 설치된다. 진입틈(31)의 폭은 외측 수평 걸림턱(42)과 내부 수평 걸림턱(42)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하가 뚫려 있다. 그 폭은 언제나 스커트(04)의 두께의 폭 보다 좁아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 입구의 스커트 매입 돌출턱(걸림부위) 부분에 대한 확대 입체도이다. 스커트가 수직으로 진입이 가능하도록 원주를 따라 몸체의 일정 위치의 상부가 일정폭과 깊이로 개방되어 진입로를 구비한다. 진입로와 같은 높이의 스커트 매입 돌출턱(36)의 몸체에 수평 걸림턱(41, 42)를 하나 이상 구비한다. 진입로가 끝나는 위치로 부터 아래 방향에 보관 공간(32)을 갖는다. 병마개의 스커트는 진입틈(31)을 통과하기 수월하도록 한 면이 경사면(역 삼각형 타잎)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다. 도 6은, '도 3'을 'B-B'로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수직 걸림턱(29)은 항상 노출 창(35)을 통하여 보이며, 하나 이상 설치한다. 지지대(34)는 용기 입구 외부면(23)과 일체형을 설치된다. 원주를 따라 하나 이상 설치되며 노출창(35)을 갖는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 입구에 설치되는 스커트 매입 돌출턱(걸림부위)의 수평 걸림 돌기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 입구 외부면에 설치되는 스커트 매입 돌출턱(걸림부위)를 전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를 개봉 시에 스커트가 분리되어 보관 공간에 머무르는 상태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근거하여,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용기 내의 저장 공간(39)에 보관 중인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스커트를 구비한 병마개를 본 발명품인 용기의 입구에 결합한다. 결합 시의 회전하며 하강하는 힘에 의하여 스커트(04)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스커트 매입 돌출턱(36, 걸림부위)의 진입틈(31)을 통과하여 보관 공간(32)에 머무르면서 결합이 종료된다. 병마개(32)를 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병마개가 상승하고 그와 동시에 스커트(04)도 상승한다. 그러나 스커트(04)의 두께는 진입틈(31)의 폭 보다 두껍기 때문에 통과하지 못하고 브릿지(05)가 파손되며 병마개 몸체(02)로부터 분리되어 보관 공간(32)에 머무른다. 이러한 현상으로 제품을 사용한 흔적을 남기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결합 한 후에 보관 공간(32)에 위치하는 스커트(04)는 병마개 몸체 측면(02)과 분리되지 않고는 결코 병마개를 열 수 없기 때문에 위조 방지의 예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보관 공간(32)은 사방이 둘러싸여서 공간이 폐쇄되어 있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PET 용기의 프리폼(,Pre-Form) 용기에 적용하는 것을 기본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고안한 내용을 다른 분야인 어떠한 포장 제품 류, 기계류, 각종 시설류 등에도 일부 또는 전부를 적용 또는 응용할 수 있다.
병마개 부문
01 : 병마개 02 : 몸체(병마개 측면)
03 : 상부면(병마개) 04 : 스커트
05 : 브릿지 07 : 나사선(병마개)
08 : 차단판 09 : 널(Knurl, 룰렛)
10 : 절취(분리) 선 11 : 분리 흔적 부위
용기 부문
20 : 용기 21 : 용기 입구
22 : 나사선(용기) 23 : 외부면(용기 입구)
24 : 상부면(용기 입구) 25 : 내부면(용기 입구)
26 : 걸림돌기 B
27 : 허리 부위 28 : 용기 몸체
29 : 수직 걸림턱 31 : 진입 틈
32 : 보관 공간(분리된 스커트) 34 : 스커트 매입 돌출턱 지지대
35 : 노출 창(보관 공간) 36 : 스커트 매입 돌출턱(걸림부위)
37 : 상부면(스커트 매입 돌출턱) 38 : 외부면(스커트 매입 돌출턱)
39 : 저장 공간(내용물) 40 : 빗면(수평 걸림 턱)
41 : 내측 수평 걸림 턱 42 : 외측 수평 걸림 턱
43 : 하부면(수평 걸림 턱) 44 : 바닥 부위
용어 및 부호 설명
* 스커트 매입 돌출턱 : 결합 시에 병마개의 스커트가 매입되는 공간을 구비하며, 개봉 시에는 병마개 몸체로부터 분리된 스커트를 노출되지 않고 보관하는 기능을 갖는다.
* 스커트 매입 돌출턱의 구조 : 몸체, 스커트의 진입 틈, 보관 공간, 수직 걸림턱, 수평 걸림턱, 스커트 매입 돌출턱의 지지대, 노출 창.

Claims (13)

  1. 용기 입구의 상부가 개방되고 용기 입구 외부면의 원주를 따라 돌출로 나사선을 갖는 용기에 있어서, 용기입구 외부면 또는 용기 외부면의 일정 위치에 원주를 따라 돌출형인 스커트 매입 돌출턱(36, 걸림부위)을 하나이상 갖는 것과 이와 결합하는 병마개에 관한 모든 것
  2. 청구항 1에 있어서,
    스커트 매입 돌출턱(36, 걸림부위)의 전체 구조에 있어서, 몸체 측면, 스커트의 진입틈, 보관 공간, 수직 걸림턱, 수평 걸림턱, 스커트 매입 돌출턱의 지지대, 노출 창 등을 구비하는 스커트 매입 돌출턱(걸림부위)의 모든 것
  3. 청구항 2에 있어서,
    용기 입구 외부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원주를 따라 돌출형으로서 내측 수평 걸림턱, 진입틈, 외측 수평 걸림턱의 순서로 형성되는 수평 걸림턱에 관한 모든 것
  4. 청구항 2에 있어서,
    병마개의 몸체 측면의 하단 부위에 일체형으로 장착한 스커트의 두께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고 있으며 상하가 완전하게 뚫려 있고, 대치하는 내측 수평 걸림턱의 빗변과 외측 수평 걸림턱의 빗변이 역 사다리 형상을 가지며, 두 수평 걸림턱 간의 상부면의 폭이 하부면의 폭보다 항상 넓은 경사각을 유지하는 진입 틈
  5. 청구항 2에 있어서,
    내측 수평 걸림턱의 아래에 위치하며, 용기 입구 외부면과 원주를 따라 돌출형이며, 용기 몸체와 일체형으로서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수직 걸림 돌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외부 수평 걸림턱의 원주의 내경보다 항상 넓은 내경을 가지며 지지대에 의하여 용기 입구 외부면과 일체형인 스커트 매입 돌출턱(걸림부위)의 몸체 측면
  7. 청구항 2에 있어서,
    내측 수평 걸림턱, 진입틈, 외측 수평 걸림턱, 몸체 측면, 용기 입구 외부면에 의하여 생성되며 진입틈으로 진입하는 병마개의 스커트를 보관하는 중공의 보관 공간과, 스커트가 보관 공간에 진입한 후에 병마개 몸체와 분리되거나 원형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는 한 그 보관 공간으로부터 절대 빠져 나오지 못하는 구조를 갖는 보관 공간의 구조에 대한 모든 것
  8. 청구항 6에 있어서,
    용기 입구 외부면괴 일체형이며, 지지대, 노출창을 하나 이상 구비하는 몸체 측면의 스커트 매입 돌출턱의 몸체 측면
  9. 청구항 6에 있어서,
    용기 입구 외부면의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서 돌출로 설치되고 내측 수평 걸림턱 하부면과 지지대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며, 열리는 방향으로 예각 면을 가지며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수직 걸림턱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스커트 매입 돌출턱(걸림부위) 구조의 전체 또는 일부를 외캡 또는 내캡에 적용하는 어린이 보호용 병마개
  11. 용기 입구 외부면 또는 용기의 외부면의 일정 위치에 원주를 따라 설치되는 돌출형인 스커트 매입 돌출턱(걸림부위)과 이와 결합하는 병마개에 있어서, 병마개의 스커트가 스커트 매입 돌출턱이 구비하는 보관 공간에 진입한 후에는, 스커트가 병마개 몸체와 분리되거나 스커트의 원래 형상이 변형 또는 파손되지 않는 한 상기한 보관 공간으로부터 절대 빠져 나오지 못하는 구조를 갖는 용기에 대한 모든 것
  12. 국내 출원번호 10-2008-0104675인 위조 방지용 용기 마개의 내캡 또는 외캡에 적용하는 스커트 매입 돌출턱(걸림부위)에 대한 모든 것
  13. 용기 입구 외부면 또는 용기의 외부면의 일정 위치에 원주를 따라 설치되는 돌출형인 스커트 매입 돌출턱과 이와 결합하는 병마개에 있어서, 병마개의 스커트가 매입하는 스커트 매입 돌출턱의 진입틈이 홈의 형태 즉, 'U 자형'을 띠며, "U" 자의 상단 부위 양쪽 또는 한쪽에 스커트 걸림턱(상기 문자와 비슷한 형상)을 구비하는 스커트 매입 돌출턱의 모든 것으로서, 구비하는 보관 공간에 진입한 후에는, 스커트가 병마개 몸체와 분리되거나 스커트의 원래 형상이 변형 또는 파손되지 않는 한 상기한 보관 공간으로부터 절대 빠져 나오지 못하는 구조를 갖는 용기에 대한 모든 것
KR1020190115820A 2019-09-20 2019-09-20 위조 방지를 위한 용기의 구조 KR202100341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820A KR20210034198A (ko) 2019-09-20 2019-09-20 위조 방지를 위한 용기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820A KR20210034198A (ko) 2019-09-20 2019-09-20 위조 방지를 위한 용기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198A true KR20210034198A (ko) 2021-03-30

Family

ID=75265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820A KR20210034198A (ko) 2019-09-20 2019-09-20 위조 방지를 위한 용기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41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9690A (zh) * 2022-07-18 2022-09-06 烟台海普制盖有限公司 防伪瓶盖以及防伪酒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9690A (zh) * 2022-07-18 2022-09-06 烟台海普制盖有限公司 防伪瓶盖以及防伪酒瓶
CN115009690B (zh) * 2022-07-18 2024-05-10 烟台海普制盖有限公司 防伪瓶盖以及防伪酒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1592A (en) Hinged dispensing closure with a tamper-evident seal
CA1224440A (en) Tamper-evident dispensing closure
US6557714B2 (en) Tamper-evident package
EP1921019B1 (en) An anti-tamper closure
BR0310004B1 (pt) Fechamento de tampa oscilante com mecanismo de fixação à prova de violação para recipientes contendo material de circulação livre
US20130313218A1 (en) Bottle Closures and Containment Systems
BR112017022046B1 (pt) Recipiente refechável
BR112019023858B1 (pt) Fecho e recipiente
UA82383C2 (uk) Відкидний закупорювальний засіб, литий у закритому положенні
KR20210034198A (ko) 위조 방지를 위한 용기의 구조
KR20210127224A (ko)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WO2003051723A1 (fr) Corps principal de contenant en resine synthetique, et moule de preformage
CN106628575B (zh) 一种防伪酒瓶及其防伪方法
DE19734874A1 (de) Verschluß
ITBO20010665A1 (it) Elemento di chiusura per contenitori
ES2927266T3 (es) Sistema que incluye un tapón y un recipiente y método para su fabricación
JP5330921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5330922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WO2014124653A1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утылки (варианты)
JP4415675B2 (ja) 不正開封防止鍔付ヒンジキャップ
ES2960284T3 (es) Sistema de cierre indicador de manipulación
EP3915897B1 (en) Child-resistant container having cap retainer features
KR102616642B1 (ko)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JP2005112357A (ja) タンパーエビデント機能を強化したボトルのノズル構造
KR20220123008A (ko)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