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3008A -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3008A
KR20220123008A KR1020227024564A KR20227024564A KR20220123008A KR 20220123008 A KR20220123008 A KR 20220123008A KR 1020227024564 A KR1020227024564 A KR 1020227024564A KR 20227024564 A KR20227024564 A KR 20227024564A KR 20220123008 A KR20220123008 A KR 20220123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tamper
synthetic resin
skir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오모리
다카시 스기야마
티모시 마이클 마주르키에비츠
프라나브 바트
크리스토퍼 브란카
Original Assignee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00814A external-priority patent/JP746682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00813A external-priority patent/JP7466827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23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30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16Devices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16Devices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closure members
    • B65D55/165Devices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closure members by an element constrained within the container neck, i.e. the element passing through the container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08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ope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 B65D2401/30Tamper-ring remaining connected to closure after initial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25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은, 천장면벽 및 천장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통형 스커트벽을 갖고, 스커트벽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본체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파단 교락부를 통해 본체의 스커트벽에 접속되고, 내주면에 상기 걸림 턱부에 걸리는 걸림 수단이 배치되는 통형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를 포함한다. 본체의 스커트벽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출편이 배치된다. 본체의 스커트벽과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를 접속하며 또한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대한 상기 본체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비파단 접속편이 배치된다. 적어도 돌출편이 존재하는 각도 영역에 있어서, 걸림 수단을 구성하는 걸림편에는, 용기의 입구 목부에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을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입구 목부의 걸림 턱부와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 사이에 위치하는, 연장부가 형성된다. 돌출편의 외면에는 융기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본 발명은, 입구 목부의 외주면에 수나사산 및 이 수나사산의 하방에 위치하는 걸림 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에 적용되며, 용기의 입구 목부를 개봉한 후에 있어서도 용기 뚜껑의 전체가 용기의 입구 목부로부터 분리되는 일이 없는, 탬퍼 에비던트 특성을 갖춘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입구 목부의 외주면에 수나사산 및 이 수나사산의 하방에 위치하는 걸림 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에 적용되는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으로서, 하기 특허문헌 1 내지 3에는, 천장면벽 및 상기 천장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통형 스커트벽을 갖고, 스커트벽의 내주면에는 입구 목부의 수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본체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파단 교락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상기 스커트벽에 접속되며, 내주면에 걸림 턱부에 걸리는 걸림 수단이 배치되는 통형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형태의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이 개시되어 있다. 걸림 수단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접속되는 기단으로부터 상방 및 반경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걸림편, 또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며 또한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접속되는 기단으로부터 상방 및 반경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1개의 걸림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의 스커트벽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출편이 배치되어 있고, 돌출편의 둘레 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는, 본체의 스커트벽과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를 접속하며 또한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대한 본체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비파단 접속편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용기 뚜껑을 용기의 입구 목부에 장착하여 입구 목부를 밀봉할 때에는, 입구 목부에 용기 뚜껑을 씌워서 끼워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켜, 용기 뚜껑의 암나사산을 입구 목부의 수나사산에 나사 결합시킨다. 나사 결합의 진행에 따라 입구 목부에 대하여 용기 뚜껑이 하강되고,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수단은 입구 목부의 걸림 턱부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 그 하방에 위치된다. 입구 목부를 개봉할 때에는, 용기 뚜껑을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켜 입구 목부의 수나사산과 용기 뚜껑의 암나사산의 나사 결합을 해제한다. 나사 결합의 해제에 따라 용기 뚜껑의 본체는 입구 목부에 대하여 상승되지만,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는 걸림 수단이 입구 목부의 걸림 턱부에 걸림으로써 상승이 저지되고, 따라서 파단 교락부에 응력이 생성되어 파단 교락부가 파단된다. 파단 교락부가 파단된 후에 본체가 상승을 계속하여,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로부터 본체가 상방으로 이격되면, 이에 따라 비파단 접속편이 변형되지만, 비파단 접속편이 파단되는 일은 없이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는 입구 목부에 계속해서 장착되어, 본체가 입구 목부로부터 이탈된 후에 있어서도 본체는 비파단 접속편을 통해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계속해서 접속되고, 따라서 용기의 입구 목부로부터 분리되는 일은 없다. 용기 뚜껑의 본체가 입구 목부로부터 이탈된 후에 있어서는, 비파단 접속편의 소정 부위를 선회 중심으로 하여 용기 뚜껑의 본체가 입구 목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선회된다. 그리고, 용기 뚜껑의 본체가 소정 각도를 넘어 선회되면, 스커트벽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편의 선단부가 입구 목부의 걸림 턱부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 걸림 턱부의 상면측에 위치하고, 이에 의해 본체가 입구 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것이 저지되어, 본체는 입구 목부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유지되며, 입구 목부가 개봉된 상태로 유지된다. 돌출편의 선단부가 걸림 턱부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을 때에는, 돌출편이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이어서 탄성적으로 복원되는 것에 기인하여 소리가 발생되고, 이에 의해 소비자는 용기 뚜껑의 본체가 소요 개방 위치까지 선회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829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2-76771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14-31202호 공보
그런데, 최근에 있어서의 환경 문제 및 재료 비용 삭감의 관점에서 포장 용기의 경량화가 요청되고, 용기 뚜껑에 있어서도 박육화와 함께 축선 방향 치수의 저감이 요청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의 경험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용기 뚜껑에는, 특히 입구 목부의 축선 방향 길이가 비교적 짧고, 이에 따라 용기 뚜껑의 축선 방향 치수가 비교적 짧은(즉, 상하 방향 높이는 비교적 낮은) 경우, 입구 목부를 개봉하기 위해 입구 목부로부터 이탈된 본체를 입구 목부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이에 의해 돌출편의 선단부가 입구 목부의 걸림 턱부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 걸림 턱부의 상측에 위치할 때에, 용기 뚜껑의 축선 방향 치수가 비교적 짧은 것에 기인하여 돌출편의 연장 길이도 비교적 짧아져 버리므로, 돌출편과 걸림 턱부의 상호 간섭량이 과소해져, (1) 돌출편의 선단부가 일단 걸림 턱부의 상측이 된 후에 우발적으로 돌출편의 선단부가 걸림 턱부의 하측으로 되돌아가 버려, 본체가 소요 개방 위치에 유지되지 않는 경향이 있고, (2) 돌출편이 걸림 턱부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을 때의 소리의 발생이 불충분하여, 소비자는 본체가 소요 개방 위치까지 선회된 것을 인식할 수 없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하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먼저, 일본 특허 출원 제2019-025644호의 명세서에 있어서, 적어도 돌출편이 존재하는 각도 영역에는, 입구 목부에 용기 뚜껑을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입구 목부의 걸림 턱부와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 사이에 위치하는 연장부를 걸림편에 형성함으로써, 용기 뚜껑의 축선 방향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경우라도, 입구 목부로부터 이탈된 본체가 소요 개방 위치까지 선회되면, 본체는 이러한 소요 개방 위치에 충분히 확실하게 유지되고, 그리고 또한 본체가 소요 개방 위치로 선회될 때에는 소비자가 청취할 수 있는 소리가 충분히 확실하게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그런데, 본 발명자들이 앞서 제안한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도, 아직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잔류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즉, 용기 뚜껑의 본체는, 소요 개방 위치에 있어서 돌출편의 하부의 외면이 연장부의 상부의 외면과 접촉함으로써 소요 개방 위치에 유지되지만, 용기 뚜껑의 축선 방향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경우에는 돌출편의 축선 방향 치수도 비교적 짧아지기 때문에, 본체가 소요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용기의 입구 목부에 대한 본체의 선회 각도가 충분히 크지 않아, 사용자가 용기의 입구 목부의 상단부에 입을 대었을 때에, 스커트벽의 하단이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하여 버려 사용자를 불쾌하게 만들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돌출편의 축선 방향 치수가 비교적 짧아짐으로써, 돌출편의 하부의 외면이 연장부의 상부의 외면에 충분히 확실하게 접촉할 수 없게 되어, 용기 뚜껑의 본체가 소요 개방 위치에 유지되지 않게 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주된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자들이 앞서 제안한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에 개량을 더욱 가하여, 용기 뚜껑의 축선 방향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경우라도, 본체가 소요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용기의 입구 목부에 대한 본체의 선회 각도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고, 그리고 본체는 소요 개방 위치에 충분히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를 더욱 가한 결과, 돌출편의 외면에 융기부를 형성하고, 입구 목부에 용기 뚜껑이 장착되어 입구 목부가 밀봉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입구 목부를 개봉하기 위해 본체가 개방 방향으로 회전되고, 파단 교락부가 파단되어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로부터 본체가 상방으로 이동되고, 비파단 접속편의 소정 부위를 선회 중심으로 하여 본체가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넘어 선회되면, 돌출편의 하부가 연장부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 돌출편의 융기부가 연장부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주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를 더욱 가한 결과, 연장부의 외면에는 피결합 수단을, 돌출편의 외면에는 피결합 수단에 결합하는 결합 수단을 각각 형성하고, 입구 목부에 용기 뚜껑이 장착되며 입구 목부가 밀봉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입구 목부를 개봉하기 위해 본체가 개방 방향으로 회전되고, 파단 교락부가 파단되어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로부터 본체가 상방으로 이동되고, 비파단 접속편의 소정 부위를 선회 중심으로 하여 본체가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넘어 선회되면, 돌출편의 하부가 연장부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 돌출편의 결합 수단이 연장부의 피결합 수단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주된 기술적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따르면,
입구 목부의 외주면에 수나사산 및 상기 수나사산의 하방에 위치하는 걸림 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에 적용되는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으로서, 천장면벽 및 상기 천장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통형 스커트벽을 갖고, 상기 스커트벽의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본체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파단 교락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상기 스커트벽에 접속되며, 내주면에 상기 걸림 턱부에 걸리는 걸림 수단이 배치되는 통형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수단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접속되는 기단으로부터 상방 및 반경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걸림편, 또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며 또한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접속되는 기단으로부터 상방 및 반경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환형의 걸림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기 스커트벽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출편이 배치되고, 그리고 또한 상기 본체의 스커트벽과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를 접속하며 또한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대한 상기 본체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비파단 접속편이 배치되는 것인,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돌출편이 존재하는 각도 영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에는 상기 입구 목부에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을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입구 목부의 상기 걸림 턱부와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 사이에 위치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의 외면에는 융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 목부에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이 장착되며 상기 입구 목부가 밀봉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입구 목부를 개봉하기 위해 상기 본체가 개방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파단 교락부가 파단되어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로부터 상기 본체가 상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비파단 접속편의 소정 부위를 선회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본체가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넘어 선회되면, 상기 돌출편의 하부가 상기 연장부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 상기 돌출편의 상기 융기부가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에 따르면,
입구 목부의 외주면에 수나사산 및 상기 수나사산의 하방에 위치하는 걸림 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에 적용되는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으로서, 천장면벽 및 상기 천장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통형 스커트벽을 갖고, 상기 스커트벽의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본체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파단 교락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상기 스커트벽에 접속되며, 내주면에 상기 걸림 턱부에 걸리는 걸림 수단이 배치되는 통형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수단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접속되는 기단으로부터 상방 및 반경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걸림편, 또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며 또한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접속되는 기단으로부터 상방 및 반경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환형의 걸림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기 스커트벽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출편이 배치되고, 그리고 또한 상기 본체의 스커트벽과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를 접속하며 또한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대한 상기 본체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비파단 접속편이 배치되는 것인,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돌출편이 존재하는 각도 영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에는 상기 입구 목부에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을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입구 목부의 상기 걸림 턱부와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 사이에 위치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는 피결합 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의 외면에는 상기 피결합 수단에 결합하는 결합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입구 목부에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이 장착되며 상기 입구 목부가 밀봉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입구 목부를 개봉하기 위해 상기 본체가 개방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파단 교락부가 파단되어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로부터 상기 본체가 상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비파단 접속부의 소정 부위를 선회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본체가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넘어 선회되면, 상기 돌출편의 하부가 상기 연장부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 상기 돌출편의 상기 결합 수단이 상기 연장부의 상기 피결합 수단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편의 내면에는, 상기 입구 목부에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을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림 턱부의 하방에 있어서 반경 방향 내방으로 돌출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돌출편이 존재하는 각도 영역 이외에 있어서도 형성되는 것이 안성맞춤이다. 상기 걸림 수단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접속되는 기단으로부터 상방 및 반경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걸림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걸림편의 각각의 둘레 방향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연장부의 각각의 상기 외면은,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고, 이어서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내방으로 후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고 상기 연장부의 각각의 상기 외면에 있어서의,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부위는 종단면에 있어서 오목 원호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커트벽의 외주면의 하단부 및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의 외주면의 상단부에는 각각, 상기 특정 영역을 제외하고,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원호 형상의 돌조가 형성되고, 상기 융기부의 직경 방향으로의 돌출량은, 상기 돌조의 직경 방향으로의 돌출량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는 피결합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의 상기 융기부에는 상기 피결합 수단에 결합하는 결합 수단이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고, 특히 상기 연장부의 각각의 상기 외면은,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고, 이어서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내방으로 후퇴하며,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부위와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내방으로 후퇴하는 부위의 경계 영역이 상기 피결합 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돌출편의 상기 융기부(상기 융기부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돌출편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돌조 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조 또는 상기 홈이 상기 결합 수단을 구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따라 제공되는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에 있어서는, 본체는 돌출편의 외면에 형성된 융기부가 연장부의 외면에 접촉됨으로써 소요 개방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용기 뚜껑의 축선 방향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경우라도, 본체가 소요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용기의 입구 목부에 대한 본체의 선회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융기부가 충분히 확실하게 연장부의 외면에 접촉함으로써, 본체는 소요 개방 위치에 충분히 확실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에 따라 제공되는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에 있어서는, 본체는 돌출편의 외면에 형성된 결합 수단이 연장부의 외면에 형성된 피결합 수단에 결합함으로써 소요 개방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용기 뚜껑의 축선 방향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경우라도, 본체는 충분히 확실하게 소요 개방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본체가 소요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용기의 입구 목부에 대한 본체의 선회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용기 뚜껑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용기 뚜껑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용기 뚜껑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용기 뚜껑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용기 뚜껑을 용기의 입구 목부에 장착한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용기 뚜껑의 본체를 용기의 입구 목부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본체를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승시킨 개봉 조작 중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용기 뚜껑의 본체를, 입구 목부로부터 이탈시킨 후에 입구 목부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얼마쯤 선회시킨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용기 뚜껑의 본체를 용기의 입구 목부로부터 이탈시킨 후에 입구 목부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소정 개방 위치까지 선회한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돌출편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용기 뚜껑의 다른 적합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9와 같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서술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적절한 합성 수지로 사출 성형 또는 압축 성형에 의해 안성맞춤으로 일체 성형할 수 있는, 전체를 번호 2로 나타내는 용기 뚜껑은, 본체(4)와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6)를 포함한다. 본체(4)는, 원형 천장면벽(8)과 이 천장면벽(8)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스커트벽(10)을 갖는다. 천장면벽(8)의 내면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2조의 시일 돌조, 즉 내측 환형 돌조(12) 및 외측 환형 돌조(14)가, 형성된다. 천장면벽(8)의 내면의 중앙 영역에는, 변형 방지 수단(15)이 마련된다. 변형 방지 수단(15)은, 천장면벽(8)의 내면 중앙에 있어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5a)와, 이 돌출부(15a)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복수(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8개)의 리브(15b)와, 리브(15b)의 직경 방향 외측단이 내주면에 접속되는 원환 돌조(15c)로 구성된다. 변형 방지 수단(15)의 존재에 기인하여 천장면벽(8)의 강성은 증대되며, 이에 의해, 용기 내에 예컨대 탄산 음료를 수용하여 용기의 입구 목부를 용기 뚜껑(2)로 밀봉함으로써 용기 내가 양압이 되는 경우라도, 천장면벽(8)의 변형이 방지된다. 스커트벽(10)의 외주면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는 그곳에 걸리는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16)이 반복 형성된다. 스커트벽(10)의 외주면의 하단부에는, 후술하는 특정 영역을 제외하고,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돌조(17)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조(17)의 직경 방향 외방으로의 돌출량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커트벽(1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18)이 형성된다. 이 암나사산(18)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절결(20)이 형성된다.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6)는 전체로서 원통 형상이며, 후술하는 파단 교락부 및 한 쌍의 비파단 접속편을 통해 본체(4)의 스커트벽(10)에 접속된다.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6)의 외주면의 상단부에는, 스커트벽(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조(17)와 대응하는 돌조(21)가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다. 돌조(21)의 직경 방향 외방으로의 돌출량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6)의 내주면에는 걸림 수단(22)이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걸림 수단(22)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9개의 호형 걸림편(24a 내지 24i)으로 구성된다. 호형 걸림편(24a 내지 24i)의 각각은,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6)의 내주면에 접속되는 기단으로부터 축선 방향 상방 및 반경 방향 내방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걸림 수단(22)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9개의 호형 걸림편(24a 내지 24i)으로 구성되지만, 원한다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6)의 내주면에 접속되는 기단으로부터 축선 방향 상방 및 반경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환형의 걸림편으로 걸림 수단(22)을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용기 뚜껑(2)에 있어서는, 적어도 후술하는 돌출편(34)이 형성되는 영역에 있어서, 걸림편(24a 내지 24i)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26)가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걸림편(24a 내지 24i)의 각각에 있어서, 둘레 방향 양측부로부터 연장되는 직사각 형상의 2개의 연장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와 함께 도 9를 참조함으로써 명확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연장부(26)의 각각의 외면은,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이어서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내방으로 후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부위(26a)는, 종단면도에 있어서 오목 원호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내방으로 후퇴하는 부위(26b)는, 원뿔대 형상이면 좋다. 연장부(26)의 각각의 내면은 평탄한 면이면 좋다. 걸림편(24a 내지 24i)의 각각의 주부, 즉 연장부(26) 이외의 부위의 내면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 돌기(2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걸림 돌기(28)는 상방을 향하여 점차 돌출량이 증대하고, 상면은 실질상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이 적합하다. 걸림 돌기(28)의 각각은, 걸림편(24a 내지 24i)의 각각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중앙부, 즉 상기 연장부(26)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된다. 원한다면, 걸림편(24a 내지 24i)의 각각의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 걸림 돌기(28)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번호 30으로 나타내는 특정 영역에 있어서, 본체(4)의 스커트벽(10)의 하단 가장자리(후술하는 돌출편(34)이 접속되는 단부 가장자리)는 다른 영역의 하단 가장자리보다 상방으로 변위되고, 또한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6)의 상단 가장자리(후술하는 돌출편(34)의 하단 가장자리와 대향하는 단부 가장자리)는 다른 영역의 상단 가장자리보다 하방으로 변위되며, 스커트벽(10)과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6) 사이에는 정면도에 있어서 가로로 길게 연장되는 개구(32)가 생성된다. 개구(32)의 둘레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스커트벽(10)에는 그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돌출편(34)이 형성된다. 도 2와 함께 도 9를 참조함으로써 명확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돌출편(34)은 실질상 수직으로 아래로 연장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용기 뚜껑(2)에 있어서는, 돌출편(34)의 외면에는 융기부(35)가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바와 같이, 융기부(35)는, 돌출편(34)의 외면의 하반부에 있어서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된다. 원한다면, 융기부(35)는, 돌출편(34)의 외면의 상하 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도 좋다. 융기부(35)의 단면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이고, 그 직경 방향으로의 돌출량은, 스커트벽(10) 및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6)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돌조(17) 및 돌조(21)의 직경 방향으로의 돌출량에 대응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융기부(35), 돌조(17), 및 돌조(21)의 직경 방향으로의 돌출량은, 실질상 동일하다. 그 때문에, 용기 뚜껑(2)가 단체 또는 용기의 입구 목부에 장착된 상태로 반송될 때에, 융기부(35)의 둘레 방향 양 단부면에 어떠한 부재가 걸려 버리는 것이 가급적 방지된다. 또한, 상하 방향에서 보아, 융기부(35)의 상단과 돌조(17)의 상단은, 실질상 같은 높이에 위치한다.
도 2 및 도 3에 명확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영역(30)에 있어서는, 상기 돌출편(34)에 인접하여 그 둘레 방향 양측에 한 쌍의 비파단 접속편(38a 및 38b)이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비파단 접속편(38a)은, 스커트벽(10)의 하단 가장자리에 접속되는 상단부(40a), 이 상단부(40a)에 이어서 둘레 방향 일측(도 2 및 도 3에 있어서 우측)으로 실질상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 틸팅부(42a), 중간부(44a), 중간부(44a)에 이어서 제1 틸팅부(42a)의 하방에서 둘레 방향 타측(도 2 및 도 3에 있어서 좌측)으로 실질상 수평으로 연장되어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6)에 접속되는 제2 틸팅부(46a)로 구성된다. 비파단 접속편(38b)도, 스커트벽(10)의 하단 가장자리에 접속되는 상단부(40b), 이 상단부(40b)에 이어서 둘레 방향 일측(도 2 및 도 3에 있어서 좌측)으로 실질상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 틸팅부(42b), 중간부(44b), 중간부(44b)에 이어서 제1 틸팅부(42b)의 하방에서 둘레 방향 타측(도 2 및 도 3에 있어서 우측)으로 실질상 수평으로 연장되어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6)에 접속되는 제2 틸팅부(46b)로 구성된다. 원한다면, 비파단 접속편(38a)에 있어서의 제1 틸팅부(42a) 및 제2 틸팅부(46a)와 비파단 접속편(38b)에 있어서의 제1 틸팅부(42b) 및 제2 틸팅부(46b)를 실질상 수평이 아니라 소정 방향으로 경사시킬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함으로써 명확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비파단 접속편(38a)과 비파단 접속편(38b)은 선대칭이 아니며 구성 요소의 둘레 방향 치수가 얼마쯤 상이하다(이 이유에 대해서는 상기 특허문헌 2의 기재를 참조하고자 함).
번호 30으로 나타내는 특정 영역, 즉 돌출편(34) 및 한 쌍의 비파단 접속편(38a 및 38b)이 존재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는,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6)를 본체(4)의 스커트벽(10)의 하단에 접속하는 복수 개의 파단 교락부(48)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커트벽(10)의 내면 및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6)의 내면에 걸쳐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이 좁은 돌조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6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폭이 좁은 돌조에 있어서의 스커트벽(10)과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6)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파단 교락부(48)를 구성한다(도 3를 참조하고자 함). 원한다면, 한 쌍의 비파단 접속편(38a 및 38b)이 존재하는 영역에 있어서도, 예컨대 제1 틸팅부(42a 및 42b)와 스커트벽(10) 사이 혹은 제2 틸팅부(46a 및 46b)와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6) 사이에 혹은 돌출편(34)과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6) 사이에, 파단 교락부를 배치할 수도 있다.
도 5에는 용기 뚜껑(2)과 함께 용기의 입구 목부(50)도 도시된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적절한 합성 수지 혹은 유리로 형성할 수 있는 용기의 입구 목부(50)는, 전체로서 원통 형상이며, 그 상면은 개구된다. 입구 목부(5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52)과 이 수나사산(52)의 하방에 위치하는 걸림 턱부(54)가 형성된다.
입구 목부(50)에 용기 뚜껑(2)을 장착하여 입구 목부(50)를 밀봉할 때에는, 입구 목부(50)에 용기 뚜껑(2)을 씌워서 끼워 폐쇄 방향(도 5에 있어서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입구 목부(50)의 수나사산(52)에 용기 뚜껑(2)의 암나사산(18)을 나사 결합시킨다. 수나사산(52)에 대한 암나사산(18)의 나사 결합의 진행에 따라 용기 뚜껑(2)는, 입구 목부(50)에 대하여 점차 하강한다. 도 5에 나타내는 상태까지 입구 목부(50)에 대하여 용기 뚜껑(2)가 하강되면, 용기 뚜껑(2)의 본체(4)에 있어서의 천장면벽(8)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내측 환형 돌조(12) 및 외측 환형 돌조(14)가 각각 입구 목부(5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밀접되고, 이에 의해 입구 목부(50)가 밀봉된다. 용기 뚜껑(2)의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6)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있는 걸림편(24a 내지 24i)의 각각에 있어서의 주부 즉 연장부(26) 이외의 부분은,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입구 목부(50)의 걸림 턱부(54)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돌기(28)의 상면은 걸림 턱부(54)의 하면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한편, 걸림편(24a 내지 24i)의 각각에 있어서의 연장부(26)는, 본체(4)의 스커트벽(10)과 입구 목부(50)의 걸림 턱부(54) 사이에 위치하며, 스커트벽(10)의 내주면과 걸림 턱부(54)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한다.
입구 목부(50)를 개봉할 때에는, 용기 뚜껑(2)을 개방 방향(도 5에 있어서 상방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입구 목부(50)의 수나사산(52)에 대한 용기 뚜껑(2)의 암나사산(18)의 나사 결합을 점차 해제한다. 나사 결합을 점차 해제하면 용기 뚜껑(2)의 본체(4)는 개방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승되지만,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6)는 걸림편(24a 내지 24i)의 걸림 돌기(28)의 상면이 입구 목부(50)의 걸림 턱부(54)의 하면에 걸려 상승이 저지되고, 이에 기인하여 파단 교락부(48)에 상당한 응력이 생성되어, 파단 교락부(48)가 파단된다. 그러한 후에 있어서는, 용기 뚜껑(2)의 본체(4)는 개방 방향으로의 회전과 함께 상승하여,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6)로부터 상방으로 점차 이격된다. 도 6을 참조함으로써 명확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6)로부터 본체(4)가 점차 상방으로 이격되면, 비파단 접속편(38a)의 제1 틸팅부(42a) 및 비파단 접속편(38b)의 제2 틸팅부(46b)는, 각각의 중간부(44a) 및 제2 틸팅부(46b)의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도 6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선회, 즉 시계 방향으로 틸팅되고, 한편 비파단 접속편(38a)의 제2 틸팅편(46a) 및 비파단 접속편(38b)의 제1 틸팅부(42b)는, 각각의 하단 및 상단을 중심으로 하여 도 6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 즉 반시계 방향으로 틸팅되고, 이에 따라 비파단 접속편(38a 및 38b)에 있어서의 제1 틸팅부(42a 및 42b)와 제2 틸팅부(46a 및 46b)의 연직선에 대한 경사 각도가 점차 저감된다. 도 6과 함께 도 7을 참조함으로써 명확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입구 목부(50)의 수나사산(54)에 대한 용기 뚜껑(2)의 암나사산(18)의 나사 결합이 완전히 해제되면, 용기 뚜껑(2)의 본체(4)는, 입구 목부(50)로부터 이탈된다. 그러나, 본체(4)는 비파단 접속편(38a 및 38b)을 통해, 입구 목부(50)에 계속해서 장착되어 있는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6)에 계속해서 접속되므로, 용기의 입구 목부(50)로부터 이격되는 일은 없다.
용기 뚜껑(2)의 본체(4)가 입구 목부(50)로부터 이탈된 후에 있어서는, 비파단 접속편(38a 및 38b)의 중간부(44a 및 44b)를 선회 지점으로 하여 본체(4)를 입구 목부(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7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선회한다. 이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편(34)은, 그 연장 단부가 걸림편(24a 및 24i)의 일측부(걸림편(24a)에 있어서는 도 4에 있어서 좌측부, 걸림편(24i)에 있어서는 도 4에 있어서 우측부)에 접촉하고,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걸림편(24a 및 24i)의 외측면을 따라 상승하고, 이어서 걸림편(24a 및 24i)의 연장부(26)(걸림편(24a)에 있어서는 도 4에 있어서 좌측의 연장부(26), 걸림편(24i)에 있어서는 도 4에 있어서 우측의 연장부(26))의 외측면에 있어서의 오목 원호형의 부위(26a)를 따라 상승한다. 그러한 후에, 돌출편(34)의 하부는 연장부(26)의 오목 원호형의 부위(26a)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편(34)의 융기부(35)가 연장부(26)의 외면에 접촉된다. 이렇게 하여 용기 뚜껑(2)의 본체(4)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개방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돌출편(34)이 연장부(26)의 원호형의 영역(26a)을 타고 넘어 탄성적으로 복원될 때에는, 소리가 생성된다.
본 발명의 용기 뚜껑(2)에 있어서는, 본체(4)는 돌출편(34)의 외면에 형성된 융기부(35)가 연장부(26)의 외면에 접촉됨으로써 소요 개방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용기 뚜껑의 축선 방향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경우라도, 본체(4)가 소요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용기의 입구 목부(50)에 대한 본체(4)의 선회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융기부(35)가 충분히 확실하게 연장부(26)의 외면에 접촉함으로써, 본체(4)는 소요 개방 위치에서 충분히 확실하게 유지된다.
내용물의 음식을 도중에 중단한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내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본체(4)를 입구 목부(50)에 접근하는 방향(도 8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선회시켜 재차 입구 목부(50)에 씌워서 끼우고, 그리고 용기 뚜껑(2)을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켜 입구 목부(50)의 수나사산(52)에 용기 뚜껑(2)의 암나사산(18)을 나사 결합시키고, 이렇게 하여 용기 뚜껑(2)을 재차 도 5에 나타내는 상태로 위치시켜, 입구 목부(50)를 가밀봉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다른 적합한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돌출편(34)의 융기부(35)에 결합 수단이 배치되고, 그리고 걸림편(24a 내지 24i)의 연장부(26)의 외측면에는 피결합 수단이 배치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융기부(35)의 표면에는 융기부(35)의 전체 폭에 걸쳐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돌조(37a, 37b 및 37c)가 상하 방향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이러한 돌조(37a, 37b 및 37c)가 결합 수단을 구성한다. 한편, 걸림편(24a 내지 24i)의 연장부(26)에 있어서는, 외주면에 있어서의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외방으로 돌출하는 오목 원호형의 부위(26a)와,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내방으로 후퇴하는 부위(26b)의 경계 영역(26c)이, 피결합 수단을 구성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돌출편(34)의 하부가 연장부(26)의 오목 원호형의 부위(26a)를 타고 넘어 개방 위치로 선회되면, 연장부(26)의 경계 영역(26c)이 돌출편(34)의 돌조(37a)와 돌조(37b) 사이(혹은 돌조(37b)와 돌조(37c) 사이)에 결합되고, 이렇게 하여 본체(4)가 도 10에 나타내는 개방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돌출편(34)의 융기부(35)에 결합 수단을 배치하고 있지만, 원한다면 융기부(35)를 생략하고 돌출편(34)의 외면에 결합 수단을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하 방향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3개의 돌조(37a, 37b 및 37c)로 결합 수단을 구성하고 있지만, 1개 또는 2개 혹은 4개 이상의 돌조로 결합 수단을 구성할 수도 있고, 혹은 연장부(26)의 전체 폭에 걸쳐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 또는 복수 개의 홈으로 결합 수단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술한 구성 이외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실질상 동일하여도 좋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용기 뚜껑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변형 내지 수정이 가능한 것은 긴 설명을 요하지 않는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걸림편(24a 내지 24i)의 각각의 둘레 방향 양 측부에 연장부(26)를 형성하고 있지만, 걸림편(24a 내지 24i)의 각각의 적절한 부위(예컨대 중앙부 혹은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둔 복수 개의 부위)에 1개 혹은 3개 이상의 연장부를 형성할 수도 있고, 원한다면 걸림편(24a 내지 24i)의 둘레 방향폭과 실질상 동일한 폭을 갖는 1개의 연장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걸림편(24a 내지 24i)의 각각에 연장부(26)를 형성하고 있지만, 원한다면 특정한 복수 개의 걸림편에만 혹은 돌출편(34)이 존재하는 각도 영역에 배치된 걸림편에만 연장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또한,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돌출편(34)이 존재하는 각도 영역에 2개의 걸림편(24a 및 24i)이 존재하지만, 돌출편(34)이 존재하는 각도 영역에 1개의 걸림편만이 존재하는 형태로 하고, 이러한 1개의 걸림편에만 연장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걸림편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환형인 경우도, 돌출편(34)이 존재하는 각도 영역에 1개 또는 복수 개의 연장부를 형성하고, 돌출편(34)이 존재하는 각도 영역뿐만 아니라 그 외의 각도 영역에도 걸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연장부를 형성하거나, 혹은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환형의 연장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돌출편(34)은 단일편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복수 개의 편으로 돌출편을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단일편의 돌출 단부(하단)로부터 기단(상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1개 또는 복수 개의 슬릿을 형성하여 복수 개의 부분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돌출편(34)의 둘레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비파단 접속편(38a 및 38b)이 배치되어 있지만, 1개 혹은 3개 이상의 비파단 접속편을 배치할 수도 있다.
2: 용기 뚜껑 4: 본체
6: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 8: 천장면벽
10: 스커트벽 18: 암나사산
22: 걸림 수단 24a 내지 i: 걸림편
26: 연장부 34: 돌출편
35: 융기부 37a 내지 37b: 돌조(걸림 수단)
38a: 비파단 접속편 38b: 비파단 접속편
48: 파단 교락부 50: 입구 목부
52: 수나사산 54: 걸림 턱부

Claims (16)

  1. 입구 목부의 외주면에 수나사산 및 상기 수나사산의 하방에 위치하는 걸림 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에 적용되는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으로서, 천장면벽 및 상기 천장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통형 스커트벽을 갖고, 상기 스커트벽의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본체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파단 교락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상기 스커트벽에 접속되며, 내주면에 상기 걸림 턱부에 걸리는 걸림 수단이 배치되는 통형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수단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접속되는 기단으로부터 상방 및 반경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걸림편, 또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며 또한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접속되는 기단으로부터 상방 및 반경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환형의 걸림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기 스커트벽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출편이 배치되고, 그리고 또한 상기 본체의 스커트벽과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를 접속하며 또한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대한 상기 본체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비파단 접속편이 배치되는 것인,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돌출편이 존재하는 각도 영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에는 상기 입구 목부에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을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입구 목부의 상기 걸림 턱부와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 사이에 위치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의 외면에는 융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 목부에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이 장착되며 상기 입구 목부가 밀봉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입구 목부를 개봉하기 위해 상기 본체가 개방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파단 교락부가 파단되어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로부터 상기 본체가 상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비파단 접속편의 소정 부위를 선회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본체가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넘어 선회되면, 상기 돌출편의 하부가 상기 연장부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 상기 돌출편의 상기 융기부가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의 내면에는, 상기 입구 목부에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을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림 턱부의 하방에 있어서 반경 방향 내방으로 돌출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것인,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돌출편이 존재하는 각도 영역 이외에 있어서도 형성되는 것인,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수단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접속되는 기단으로부터 상방 및 반경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걸림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걸림편의 각각의 둘레 방향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인,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각각의 상기 외면은,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고, 이어서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내방으로 후퇴하는 것인,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각각의 상기 외면에 있어서의,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부위는, 종단면에 있어서 오목 원호형인 것인,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벽의 외주면의 하단부 및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의 외주면의 상단부에는 각각, 상기 특정 영역을 제외하고,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원호 형상의 돌조가 형성되고,
    상기 융기부의 직경 방향으로의 돌출량은, 상기 돌조의 직경 방향으로의 돌출량에 대응하는 것인,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는 피결합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의 상기 융기부에는 상기 피결합 수단에 결합하는 결합 수단이 형성되는 것인,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각각의 상기 외면은,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고, 이어서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내방으로 후퇴하며,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부위와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내방으로 후퇴하는 부위의 경계 영역이, 상기 피결합 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돌출편의 상기 융기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돌조 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조 또는 상기 홈이 상기 결합 수단을 구성하는 것인,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10. 입구 목부의 외주면에 수나사산 및 상기 수나사산의 하방에 위치하는 걸림 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에 적용되는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으로서, 천장면벽 및 상기 천장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통형 스커트벽을 갖고, 상기 스커트벽의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본체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파단 교락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상기 스커트벽에 접속되며, 내주면에 상기 걸림 턱부에 걸리는 걸림 수단이 배치되는 통형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수단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접속되는 기단으로부터 상방 및 반경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걸림편, 또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며 또한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접속되는 기단으로부터 상방 및 반경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환형의 걸림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기 스커트벽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출편이 배치되고, 그리고 또한 상기 본체의 스커트벽과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를 접속하며 또한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대한 상기 본체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비파단 접속편이 배치되는 것인,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돌출편이 존재하는 각도 영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에는 상기 입구 목부에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을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입구 목부의 상기 걸림 턱부와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 사이에 위치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는 피결합 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의 외면에는 상기 피결합 수단에 결합하는 결합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입구 목부에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이 장착되며 상기 입구 목부가 밀봉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입구 목부를 개봉하기 위해 상기 본체가 개방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파단 교락부가 파단되어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로부터 상기 본체가 상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비파단 접속부의 소정 부위를 선회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본체가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넘어 선회되면, 상기 돌출편의 하부가 상기 연장부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 상기 돌출편의 상기 결합 수단이 상기 연장부의 상기 피결합 수단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각각의 상기 외면은,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고, 이어서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내방으로 후퇴하며,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부위와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내방으로 후퇴하는 부위의 경계 영역이, 상기 피결합 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돌출편의 상기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돌조 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조 또는 상기 홈이 상기 결합 수단을 구성하는 것인,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의 내면에는, 상기 입구 목부에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을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림 턱부의 하방에 있어서 반경 방향 내방으로 돌출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것인,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돌출편이 존재하는 각도 영역 이외에 있어서도 형성되는 것인,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수단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상기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에 접속되는 기단으로부터 상방 및 반경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걸림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걸림편의 각각의 둘레 방향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인,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각각의 상기 외면은,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고, 이어서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내방으로 후퇴하는 것인,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각각의 상기 외면에 있어서의, 상방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부위는, 종단면에 있어서 오목 원호형인 것인,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KR1020227024564A 2020-01-07 2021-01-07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KR202201230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00814 2020-01-07
JP2020000814A JP7466828B2 (ja) 2020-01-07 2020-01-07 合成樹脂製容器蓋
JP2020000813A JP7466827B2 (ja) 2020-01-07 2020-01-07 合成樹脂製容器蓋
JPJP-P-2020-000813 2020-01-07
PCT/JP2021/000323 WO2021141079A1 (ja) 2020-01-07 2021-01-07 合成樹脂製容器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3008A true KR20220123008A (ko) 2022-09-05

Family

ID=76788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564A KR20220123008A (ko) 2020-01-07 2021-01-07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52177B2 (ko)
EP (1) EP4089028A4 (ko)
KR (1) KR20220123008A (ko)
CN (1) CN114929589A (ko)
BR (1) BR112022011612A2 (ko)
MX (1) MX2022008322A (ko)
WO (1) WO20211410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93436B2 (en) * 2019-04-15 2024-05-28 Alpla Werke Alwin Lehner Gmbh & Co. Kg Container closure
DE102022112981A1 (de) * 2022-05-23 2023-11-23 Bericap Holding Gmbh Verschlusselement zum Verringern und Festhalten von Flüssigkeitsrückständ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8290A (ja) 2008-07-08 2010-01-28 Japan Crown Cork Co Ltd 合成樹脂製容器蓋
JP2012076771A (ja) 2010-09-30 2012-04-19 Japan Crown Cork Co Ltd 合成樹脂製容器蓋
JP2014031202A (ja) 2012-08-03 2014-02-20 Nippon Closures Co Ltd 合成樹脂製容器蓋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53091A1 (en) * 2007-01-31 2008-08-06 Obrist Closures Switzerland GmbH A tamper evident closure cap, a container and a combination thereof
WO2010004919A1 (ja) * 2008-07-08 2010-01-14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蓋
KR100981240B1 (ko) * 2010-03-23 2010-09-10 권시중 공회전 방지 버팀대가 구비된 포장용기 마개
JP6068899B2 (ja) 2012-09-24 2017-01-25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蓋
JP6061357B1 (ja) 2015-07-08 2017-01-18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キャップおよびキャップ付き容器
CN108290663B (zh) * 2015-10-22 2020-06-05 奥布里斯特封闭瑞士有限公司 显窃启封闭体
JP7162235B2 (ja) 2017-07-28 2022-10-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ロボットハンド装置、ロボットハンドシステム及び保持方法
MX2021000302A (es) * 2018-07-11 2021-04-12 Closure Systems Int Inc Cierre de torsion y vuelta.
US11401078B2 (en) * 2018-11-04 2022-08-02 Novembal Usa Inc. Tethered plastic screw stopper
AT17738U1 (de) * 2019-01-07 2023-01-15 Alpla Werke Alwin Lehner Gmbh & Co Kg Verschlusskappe zum Verschließen eines Behälters
US11312549B2 (en) * 2019-06-19 2022-04-26 Taiwan Hon Chuan Enterprise Co., Ltd. Bottle cap with non-break plat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8290A (ja) 2008-07-08 2010-01-28 Japan Crown Cork Co Ltd 合成樹脂製容器蓋
JP2012076771A (ja) 2010-09-30 2012-04-19 Japan Crown Cork Co Ltd 合成樹脂製容器蓋
JP2014031202A (ja) 2012-08-03 2014-02-20 Nippon Closures Co Ltd 合成樹脂製容器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2008322A (es) 2022-08-08
EP4089028A4 (en) 2024-01-24
BR112022011612A2 (pt) 2022-08-30
US20230034260A1 (en) 2023-02-02
WO2021141079A1 (ja) 2021-07-15
US11952177B2 (en) 2024-04-09
EP4089028A1 (en) 2022-11-16
CN114929589A (zh) 2022-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4582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CA2294657C (en) Tamper-evident closure with abutment
JP7217166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5520768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5697505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EP3842358B1 (en) Capping device intended to be fixed to a neck of a container
KR20220123008A (ko)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GB2512620A (en) Tamper Evident Child Resistant Flip-Top Closure
JP6081738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5330921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5995481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7347938B2 (ja) 樹脂製容器口部と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との組み合わせ
BRPI0813134B1 (pt) sistema de fechamento e método de formação de gargalo
JP5590913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7404156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7466828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7466827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RU2809536C1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контейнера, образованное из синтетической смолы
JP7409813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7348789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7505181B2 (ja) キャップ構造
JP7195091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7370290B2 (ja) 樹脂製キャップ
JP7198494B2 (ja) 液体用収納容器
JP7037915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及び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