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642B1 -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642B1
KR102616642B1 KR1020210062207A KR20210062207A KR102616642B1 KR 102616642 B1 KR102616642 B1 KR 102616642B1 KR 1020210062207 A KR1020210062207 A KR 1020210062207A KR 20210062207 A KR20210062207 A KR 20210062207A KR 102616642 B1 KR102616642 B1 KR 102616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rtion
support
cover member
disposed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4534A (ko
Inventor
이동준
이은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피엘비
이동준
이은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피엘비, 이동준, 이은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피엘비
Priority to KR1020210062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642B1/ko
Publication of KR20220154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rolled or pressed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e.g. metallic closures
    • B65D41/348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rolled or pressed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e.g. metallic closures having tear-off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26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initial opening or unauthorised access being indicated by a visual change using indicators other than tearable means, e.g. change of colour, pattern or opa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의 최초 개봉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를 연결하는 파단부재가, 커버부재의 최초 개방시 절단되게 되는데, 이때 파단부재를 구성하는 부분이 상하방향으로 전개 및 신장되면서 소성 변형된 후 절단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파단부재의 절단 및 변형 여부를 쉽게 인식할 수 있어, 커버부재의 최초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 BOTTLE CAP HAVING OPENING CHECK FUNCTION }
본 발명은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의 최초 개봉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약이나 건강보조식품 등의 내용물을 담는 병에는 부정한 방법을 통하여 소비자들을 속일 수 없도록 용기뚜껑의 무단 오픈 여부를 소비자가 직접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오픈체크 기능을 갖는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기존에 일반적으로 알려지고 있는 오픈체크구조는, 마개체와 지지체의 사이에 절취선을 통해 구획 구성되고, 일단에 절취용 손잡이를 갖는 오픈체크링을 뚜껑 둘레에 적정 범위로 구성하고 있다.
오픈체크링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는 절취선만을 두어 오픈체크링의 절취 후 마개체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절취되도록 하고 있다.
또는, 오픈체크링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는 일정 간격으로 가느다란 다수의 절취편을 형성시키고 오픈체크링의 절취 후 마개체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뜯어지면서 오픈상태가 체크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구조들은 개봉을 위해 반드시 오픈체크링을 절취하여야 하고, 절취된 오픈체크링은 곧바로 쓰레기로 폐기하여야 하기 때문에, 자원 낭비 및 처리에 따른 플라스틱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용기뚜껑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오픈체크링이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고 그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초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용기가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개봉여부를 쉽게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259287 등록특허 10-1957747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제작이 쉽고, 사용자가 용기뚜껑의 개봉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은,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의 상부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방과 상기 커버부재의 후방을 연결하여,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하는 힌지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전방에서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개봉되기 이전에, 대면하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를 연결하고 있는 파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는 회피홈이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파단부재는 상기 회피홈에 배치되며, 상기 파단부재는, 일단이 상기 회피홈의 저면에 연결된 제1지지부와; 일단이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에 연결된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부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손잡이부가 형성된 방향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부가 형성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파단부재 중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최초 회전하여 개방될 때, 상기 파단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전개 및 신장되면서 소성 변형된 후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력에 의해 신장된 후 절단된 상기 파단부재의 전체 길이는, 신장되기 전 상기 파단부재의 전체 길이보다 길다.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최초 회전하여 개방될 때, 상기 제2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커버부재와 함께 상승하고, 상기 손잡이부에서 가장 먼 거리에 배치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지지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의 일단 및 제2지지부의 일단이 배치된 일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연결부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파단부재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신장되어 소성 변형된 후 절단되며, 절단된 파단부재는 외력이 작용하기 전의 파단부재의 형상보다 상하방향으로 길게 소성 변형되어 상기 커버부재를 다시 닫았을 때 상기 회피홈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1지지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제1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타단은 서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제2지지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외력에 의한 상기 파단부재의 신장시 상기 연결부가 절단되고, 상기 제1지지부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일단은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수직선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지지부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커버부재의 최초 개봉시 파단부재가 변형되면서 절단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변형된 파단부재를 보고 커버부재의 최초 개봉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파단부재의 길이가 변형되거나 길어지면서 커버부재를 다시 닫았을 때, 파단부재의 절단된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가 회피홈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서, 사용자가 커버부재의 최초 개봉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에서 파단부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이 개방될 때 각 과정에서 파단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과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에서 파단부재의 정면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에서 파단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이 개방될 때 각 과정에서 파단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과정도이다.
본 발명의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0)와, 커버부재(20)와, 힌지부재(미도시)와, 손잡이부(25)와, 파단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용기 뚜껑은 의약품통, 껌통 등을 이루는 용기본체(미도시)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를 개폐한다.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중공형상으로 이루이지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의 상부 둘레를 따라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재(20)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를 개폐한다.
미도시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후방과 상기 커버부재(20)의 후방을 연결하여, 상기 커버부재(20)가 상기 베이스부재(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부(25)는 상기 커버부재(20)의 전방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25)를 잡고 상기 커버부재(2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손잡이부(25)는 상기 힌지부재의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단부재(30)는 상기 커버부재(20)가 상기 베이스부재(10)에 대하여 최초 개봉되기 이전에, 대면하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20)의 하부를 연결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에는 회피홈(11)이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파단부재(30)는 상기 회피홈(11)에 배치되어 있다.
위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에 회피홈(11)을 형성하고, 상기 회피홈(11)에 상기 파단부재(30)를 배치시킴으로서, 상기 파단부재(30)를 크게 형성할 수 있어, 사용자가 상기 파단부재(30)의 절단여부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파단부재(30)는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와 연결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부(31)는 일단이 상기 회피홈(11)의 저면에 연결된다.
상기 제2지지부(32)는 일단이 상기 커버부재(20)의 하부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33)는 상기 제1지지부(31)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부(32)의 타단을 연결한다.
상기 제1지지부(31)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부(32)의 일단은 상기 손잡이부(25)가 형성된 방향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지지부(31)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부(32)의 일단은 상기 손잡이부(25)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31)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부(32)의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25)의 수직 하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손잡이부(25)에 의한 상기 커버부재(20)의 상방향 회전시 상기 파단부재(30)가 전개되는 상하방향 변위를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31)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부(32)의 일단은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수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33)는 상기 제1지지부(31) 및 제2지지부(32)를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부(25)가 형성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33)는 상기 파단부재(30) 중 상기 손잡이부(25)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된다.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20)가 상기 베이스부재(1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최초 회전하여 개방될 때, 상기 파단부재(30)는 상하방향으로 전개 및 신장되면서 소성 변형된 후 절단되게 된다.
외력에 의한 상기 파단부재(30)의 신장시, 상기 파단부재(30)는 상기 제1지지부(31)의 일단, 상기 제2지지부(32)의 일단 또는 상기 연결부(33) 중 어느 곳이 절단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33)가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를 연결하는 절단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33)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절단선을 미리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지지부(31)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32)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제1지지부(31)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부(32)의 타단은 서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연결부(33)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단부재(30)는 '<'형상 또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에서는 상기 커버부재(20)의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파단부재(30)의 형상이 변형되는 과정을 도시하였다.
도 3(a)는 최초 개봉이 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20)가 상기 베이스부재(1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최초 회전하여 개방되게 된다.
초기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부(32)의 일단은 상기 커버부재(20)와 함께 상승하고, 이로 인해 상기 손잡이부(25)에서 가장 먼 거리에 배치된 상기 연결부(33)는 상기 제2지지부(32)의 상승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31)의 일단 및 제2지지부(32)의 일단이 배치된 일방향으로 도면에서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연결부(33)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단부재(3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전개된 후, 더 상승하게 되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단부재(30)는 더 신장되면서 소성 변형되게 되며, 그 후 더 상승함에 의해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단부재(30)는 절단되게 된다.
이렇게 절단된 파단부재(30)는 외력이 작용하기 전의 파단부재(30)의 형상보다 상하방향으로 길게 소성 변형되어,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20)를 다시 닫았을 때 상기 회피홈(11)의 외부로 노출된다.
특히,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가 상기 커버부재(2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신장될 때,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는 경사각도가 더 큰 각도로 영구 변형되면서 절단된 파단부재(30)는 상하방향 수직길이는 더 길어지게 변형된다.
따라서, 절단된 파단부재(30)의 상하방향길이는 절단 전의 파단부재(30)의 상하방향길이보다 더 길어져, 상기 커버부재(20)를 다시 닫았을 때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31) 및 제2지지부(32)는 상기 회피홈(11)의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특히, 상기 커버부재(20)의 최초 오픈시,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는 외력에 의해 신장되면서 소성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는 절단되기 전의 길이보다 더 길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커버부재(20)를 다시 닫았을 때 절단된 상기 제1지지부(31) 및 제2지지부(32)는 상기 회피홈(11)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더 길어지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가 상기 회피홈(11)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파단부재(30)가 절단되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20)가 이미 개봉되었다는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력에 의해 신장된 후 절단된 상기 파단부재(30)의 전체 길이는, 신장되기 전 상기 파단부재(30)의 전체 길이보다 길게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상기 파단부재(30)의 길이가 소성 변형되면서 길어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파단부재(30)가 절단되었을 때의 상기 회피홈(11)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1지지부(31) 및 제2지지부(32)의 길이를 더 길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파단부재(30)의 절단 사실을 보다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재(20)의 최초 개봉시 상기 파단부재(30)가 변형되면서 절단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커버부재(20)의 최초 개봉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파단부재(30)의 길이가 변형되거나 길어지면서 상기 커버부재(20)를 다시 닫았을 때 상기 파단부재(30)의 절단된 상기 제1지지부(31) 및 제2지지부(32)가 상기 회피홈(11)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커버부재(20)의 최초 개봉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에서 파단부재의 정면도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파단부재(30)의 형상에 차이가 있는 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파단부재(30)는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와 연결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33)는 상기 제1지지부(31)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부(32)의 타단을 서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지지부(31)는 상기 회피홈(11)의 저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후 타단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32)는 상기 커버부재(20)의 저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후 타단이 상기 제1지지부(31)와 같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33)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제1지지부(31)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부(32)의 타단을 연결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연결부(33)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1지지부(31)와 상기 연결부(33)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제2지지부(32)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가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33)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33)의 절단시 사용자가 상기 파단부재(30)의 절단 여부를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베이스부재, 11 : 회피홈
20 : 커버부재, 25 : 손잡이부,
30 : 파단부재, 31 : 제1지지부, 32 : 제2지지부, 33 : 연결부.

Claims (8)

  1.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의 상부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방과 상기 커버부재의 후방을 연결하여,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하는 힌지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전방에서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개봉되기 이전에, 대면하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를 연결하고 있는 파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는 회피홈이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파단부재는 상기 회피홈에 배치되며,
    상기 파단부재는,
    일단이 상기 회피홈의 저면에 연결된 제1지지부와; 일단이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에 연결된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부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손잡이부가 형성된 방향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부가 형성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파단부재 중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최초 회전하여 개방될 때,
    상기 제2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커버부재와 함께 상승하고, 상기 손잡이부에서 가장 먼 거리에 배치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지지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의 일단 및 제2지지부의 일단이 배치된 일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연결부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의 경사각도가 더 큰 각도로 영구 변형되고, 상기 파단부재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신장되어 소성 변형된 후 절단되며,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의 경사각도가 더 큰 각도로 영구 변형됨으로서, 절단된 파단부재는 외력이 작용하기 전의 파단부재의 형상보다 상하방향으로 길게 소성 변형되어 상기 커버부재를 다시 닫았을 때 절단된 파단부재는 상기 회피홈의 외부로 노출되며,
    외력에 의한 상기 파단부재의 신장시 상기 연결부가 절단되고,
    상기 제1지지부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손잡이부의 수직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제1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타단은 서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제2지지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6. 삭제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일단은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수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8. 삭제
KR1020210062207A 2021-05-13 2021-05-13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KR102616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207A KR102616642B1 (ko) 2021-05-13 2021-05-13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207A KR102616642B1 (ko) 2021-05-13 2021-05-13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534A KR20220154534A (ko) 2022-11-22
KR102616642B1 true KR102616642B1 (ko) 2023-12-27

Family

ID=84236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207A KR102616642B1 (ko) 2021-05-13 2021-05-13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6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592A1 (ko) * 2022-10-24 2024-05-02 주식회사 엠피엘비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642U (ko) * 1999-06-30 2001-01-26 김미숙 밀폐용기의 개방구조
KR200259287Y1 (ko) 2001-09-19 2001-12-29 한재만 병마개의 오픈 체크구조
KR101422326B1 (ko) * 2008-07-08 2014-07-22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KR20130017736A (ko) * 2011-08-11 2013-02-20 김경중 알에프아이디 파단 구조의 용기 뚜껑
KR101957747B1 (ko) 2018-12-19 2019-03-13 이은재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534A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4296C2 (ru) Крышка с контролем вскрытия
KR102616642B1 (ko)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CN101155734A (zh) 侧缘中具有可变形区域以允许转动的容器封口
CN109415141A (zh) 显篡改桥接件
US20100230375A1 (en) Water bottle with dosage cup
JP6102100B2 (ja) 打栓口栓
JP4906041B2 (ja) ヒンジ開閉式樹脂製キャップ
JP6942021B2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ATE385966T1 (de) Verschluss mit dosierer und zu öffnender sicherheitskappe, insbesondere für behälter mit einmal-dosierung
KR102177076B1 (ko)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US906157A (en) Fiber container.
EP3037362A1 (en) Bottle-shaped resin container
JP4227813B2 (ja) Te性を有するプレスオンツイストオフキャップ及び該キャップと容器との閉栓構造
JP2013203471A (ja) ヒンジキャップ
JP4415696B2 (ja) 不正開封防止及び分別回収機能付キャップ
JP2005231646A (ja) 不正開封防止及び分別回収機能付キャップ
JP4500626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6004990B2 (ja) 不正開封防止機能を備えた注出栓
KR20210034198A (ko) 위조 방지를 위한 용기의 구조
RU159788U1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ейнера
CN2299820Y (zh) 防伪盖
JPH0737950U (ja) 液体収納容器
JP4449463B2 (ja) 不正開封防止及び分別回収機能付キャップ
JP2005212816A (ja) 不正開封防止及び分別回収機能付キャップ
JP4543693B2 (ja) 不正開封防止及び分別回収機能付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