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747B1 -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 Google Patents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747B1
KR101957747B1 KR1020180165020A KR20180165020A KR101957747B1 KR 101957747 B1 KR101957747 B1 KR 101957747B1 KR 1020180165020 A KR1020180165020 A KR 1020180165020A KR 20180165020 A KR20180165020 A KR 20180165020A KR 101957747 B1 KR101957747 B1 KR 101957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base member
upper portion
opene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재
Original Assignee
이은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재 filed Critical 이은재
Priority to KR1020180165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7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의 최초 개봉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는, 오픈체크링 없이도 용기뚜껑의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절취되어 쓰레기로 버려지는 오픈체크링이 없어 제작이 용이하며 그에 따른 자원 낭비 및 환경오염 등을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 BOTTLE HAVING OPENING CHECK FUCTION }
본 발명은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의 최초 개봉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약이나 건강보조식품 등의 내용물을 담는 병에는 부정한 방법을 통하여 소비자들을 속일 수 없도록 용기뚜껑의 무단 오픈 여부를 소비자가 직접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오픈체크 기능을 갖는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기존에 일반적으로 알려지고 있는 오픈체크구조는,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체(3)와 지지체(4)의 사이에 절취선(5)을 통해 구획 구성되고, 일단에 절취용 손잡이(2)를 갖는 오픈체크링(1)을 뚜껑 둘레에 적정 범위로 구성하고 있다.
오픈체크링(1)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는 절취선(5)만을 두어 오픈체크링(1)의 절취 후 마개체(3)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절취되도록 하고 있다.
또는, 오픈체크링(1)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는 일정 간격으로 가느다란 다수의 절취편(6)을 형성시키고 오픈체크링(1)의 절취 후 마개체(3)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뜯어지면서 오픈상태가 체크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구조들은 개봉을 위해 반드시 오픈체크링(1)을 절취하여야 하고, 절취된 오픈체크링(1)은 곧바로 쓰레기로 폐기하여야 하기 때문에, 자원 낭비 및 처리에 따른 플라스틱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용기뚜껑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오픈체크링(1)이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고 그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259287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띠 형상의 오픈체크링 없이도 용기뚜껑의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절취되어 쓰레기로 버려지는 오픈체크링이 없어 제작이 용이하며 그에 따른 자원 낭비 및 환경오염 등을 절감시킬 수 있는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용기뚜껑으로 이루어진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은,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된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용기본체 및 베이스부재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방과 상기 커버부재의 후방을 연결하여,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용기본체 및 베이스부재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재의 전방에는 손잡이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개봉되기 이전에, 대면하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는 파단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파단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를 제외하고 상기 손잡이부에서 상기 연결부까지 상기 베이스부재의 둘레를 따라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형성된 부위에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는 상호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와 연결되는 상기 파단부의 상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연결되는 상기 파단부의 하부보다 얇게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최초 회전하여 개방될 때, 상기 파단부는 상기 커버부재와 연결된 상부가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단부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대면하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를 불연속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손잡이부 근처에는 상기 연결부재 근처보다 더 적은 갯수의 파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단부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대면하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를 불연속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손잡이부 근처에 배치된 파단부의 연결너비는 상기 연결부재 근처에 배치된 파단부의 연결너비보다 작다.
상기 파단부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대면하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를 불연속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파단부는 중심부가 외측방향에서 내측방향으로 휘어져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최초 개봉시, 상기 파단부는 상기 커버부재와 연결된 상부가 절단되면서 상부가 외측방향으로 휘어져 배치된다.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에는 오목한 밀봉홈이 상기 커버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파단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재가 개봉되기 이전에 상기 파단부의 상부는 상기 밀봉홈의 내부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최초 개봉시 상기 파단부의 상부는 절단되면서 상기 밀봉홈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커버부재가 개봉된 이후에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를 덮었을 때, 상기 파단부의 상부는 상기 밀봉홈에 삽입되어 밀착된다.
상기 파단부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대면하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를 불연속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파단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원주방향으로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최초 개봉될 때,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파단부는 직선형상으로 변형되면서 절단된다.
이때,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파단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양측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용기본체 또는 용기뚜껑에는 습기제거성분이 첨가되어 있다.
상기 습기제거성분은 옥수수분말 또는 왕겨분말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띠 형상의 오픈체크링 없이도 용기뚜껑의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절취되어 쓰레기로 버려지는 오픈체크링이 없어 제작이 용이하며 그에 따른 자원 낭비 및 환경오염 등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가 임의로 개봉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가 쉽게 개봉할 수 있고, 최초 개봉 이후에는 상기 파단부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용기뚜껑이 최초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기본체 및/또는 용기뚜껑에 천연 습기제거성분이 첨가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별도의 습기제거제를 배치하지 않아도 되어, 종래의 인공 습기제거제의 제조 및 폐기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인공 습기제거제의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용기뚜껑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측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을 취하여 본 평단면도,
도 6는 도 3에 용기뚜껑이 개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의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이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C-C선 및 도 9의 D-D선을 취하여 본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E-E선을 취하여 본 정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서 용기뚜껑을 개방한 상태와 다시 닫은 상태의 정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의 정면도,
도 16은 도 15에서 용기뚜껑이 개방되는 과정에서의 정면도,
도 17는 종래의 오픈 체크기능을 갖는 용기뚜껑의 측면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용기뚜껑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을 취하여 본 평단면도이고, 도 6는 도 3에 용기뚜껑이 개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는, 용기본체(10)와 용기뚜껑(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본체(10)는 내부에 수용물을 수납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용기는 의약품통, 껌통 등을 이룬다.
상기 용기본체(10)는 종래의 공지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용기뚜껑(20)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를 개폐한다.
이러한 상기 용기뚜껑(20)은 베이스부재(21)와, 커버부재(22)와, 연결부재(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재(21)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된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 둘레를 따라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재(22)는 상기 베이스부재(21)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본체(10) 베이스부재(21)의 상부를 개폐한다.
상기 연결부재(23)는 하부에 배치된 상기 베이스부재(21)의 후방과 상부에 배치된 상기 커버부재(22)의 후방을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재(23)가 상기 베이스부재(21)의 후방과 상기 커버부재(22)의 후방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22)가 상기 베이스부재(21)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용기본체(10) 및 베이스부재(21)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22)의 전방에는 손잡이부(25)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25)를 잡고, 상기 커버부재(22)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22)가 상기 베이스부재(21)에 대하여 최초로 회전하여 개봉되기 이전에, 대면하는 상기 베이스부재(21)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22)의 하부는 파단부(26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파단부(26a)는 상기 손잡이부(25)의 하부 즉 상기 손잡이부(25)가 형성된 부위를 제외하고 상기 손잡이부(25)에서 상기 연결부까지 상기 베이스부재(21)의 둘레를 따라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25)가 형성된 부위에서는 상기 파단부(26a)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부재(21)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22)의 하부는 상호 분리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22)와 연결되는 상기 파단부(26a)의 상부는 상기 베이스부재(21)와 연결되는 상기 파단부(26a)의 하부보다 얇게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22)가 상기 베이스부재(21)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최초 회전하여 개방될 때, 상기 파단부(26a)는 상기 커버부재(22)와 연결된 상부가 절단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단부(26a)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대면하는 상기 베이스부재(21)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22)의 하부를 불연속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즉 다수개의 파단부(26a)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상기 베이스부재(21)의 둘레와 상기 커버부재(22)의 둘레를 상호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파단부(26a)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갯수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단부(26a)는 도 2, 도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25) 근처에서 적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3)의 근처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손잡이부(25) 근처에는 상기 연결부재(23) 근처보다 더 적은 갯수의 파단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다시 말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25) 근처에 형성된 파단부(26a)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대적으로 크고, 상기 연결부재(23) 근처에 형성된 파단부(26a)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대적으로 좁다는 것이며, 이로 인해 상기 손잡이부(25) 근처에 존재하는 파단부(26a)의 갯수가 상기 연결부재(23) 근처에 존재하는 파단부(26a)의 갯수보다 적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25) 근처의 파단부(26a)가 상기 연결부재(23) 근처의 파단부(26a)보다 적은 갯수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25)를 잡고 상기 커버부재(22)를 최초 개봉할 때, 상기 커버부재(22)가 상방향으로 회전되는 시작점에서는 상기 손잡이부(25) 근처에 존재하는 적은 갯수의 파단부(26a)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22)가 비교적 쉽게 열리기 시작하게 되고, 상기 커버부재(22)가 상방향으로 회전되는 중반 이후에서는 상기 연결부재(23) 근처에 존재하는 많은 갯수의 파단부(26a)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22)는 비교적 강한 외력에 의해 파단부(26a)가 찢어지면서 열리게 된다.
만일, 상기 파단부(26a)가 상기 손잡이부(25)부터 연결부재(23)까지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커버부재(22)가 임의로 개봉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상기 커버부재(22)를 최초 개봉할 때 큰 힘이 든다.
그리고, 상기 파단부(26a)가 상기 손잡이부(25)부터 연결부재(23)까지 너무 드문드문하게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커버부재(22)를 최초 개봉할 때에는 쉬울 수 있으나, 상기 커버부재(22)가 약한 힘에도 임의로 개봉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재(23) 근처에 많은 파단부(26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커버부재(22)가 임으로 개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손잡이부(25) 근처에는 적은 파단부(26a)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커버부재(22)를 최초 개봉할 때 쉽게 커버부재(22)를 회전시켜 개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용기본체(10) 및/또는 용기뚜껑(20)에는 습기제거성분이 첨가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습기제거성분은 옥수수분말 또는 왕겨분말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10) 및/또는 용기뚜껑(20)에 천연 습기제거성분이 첨가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별도의 습기제거제를 배치하지 않아도 되어, 종래의 인공 습기제거제의 제조 및 폐기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인공 습기제거제의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재(22)가 임의로 개봉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가 쉽게 개봉할 수 있고, 최초 개봉 이후에는 상기 파단부(26a)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용기뚜껑(20)이 최초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의 띠 형상의 오픈체크링 없이도 용기뚜껑(20)의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절취되어 쓰레기로 버려지는 오픈체크링이 없어 제작이 용이하며 그에 따른 자원 낭비 및 환경오염 등을 절감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20)의 평단면도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파단부(26b)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파단부(26b)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대면하는 상기 베이스부재(21)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22)의 하부를 불연속적으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부(25) 근처에 배치된 파단부(26b)의 연결너비는 상기 연결부재(23) 근처에 배치된 파단부(26b)의 연결너비보다 작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손잡이부(25) 근처에 배치된 파단부(26b)의 크기가 크고 상기 연결부재(23) 근처에 배치된 파단부(26b)의 크기가 작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손잡이부(25)를 잡고 상기 커버부재(22)를 최초 개봉할 때, 상기 손잡이부(25) 근처에서는 연결너비가 작은 파단부(26b)가 비교적 잘 찢어지면서 상기 커버부재(22)가 잘 회전하고, 상기 연결부재(23) 근처에서는 연결너비가 큰 파단부(26b)가 비교적 큰 힘에 의해 찢어지면서 상기 커버부재(22)가 회전하여 개봉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 등에 의해 상술한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20)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20)이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의 C-C선 및 도 9의 D-D선을 취하여 본 정단면도이다.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파단부(26c)의 형상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파단부(26c)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대면하는 상기 베이스부재(21)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22)의 하부를 불연속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파단부(26c)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의 중심부가 외측방향에서 내측방향으로 휘어져 형성되어 있다.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22)가 최초 개봉 이후에 상기 파단부(26c)는 도 9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22)와 연결된 상부가 절단되면서 상부가 외측방향으로 더 휘어져 배치되게 된다.
이는 상기 파단부(26c)가 상기 베이스부재(21)와 커버부재(22)를 연결하고 있을 때 상기 파단부(26c)의 중심부가 외측방향에서 내측방향으로 휘어져 있기 때문이며, 상기 커버부재(22)의 개봉시 상기 파단부(26c)의 상부가 절단되면서 자유상태에 놓이게 된 상기 파단부(26c)의 상부가 상기 파단부(26c)의 최초 형상에 따른 힘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약간 휘어져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22)가 최초 개봉된 이후에는 상기 파단부(26c)의 상부가 외측방향으로 휘어지게 되고, 상기 커버부재(22)를 닫게 되면 상기 커버부재(22)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파단부(26c)의 상부가 상기 커버부재(22)의 하면에 눌려 상기 파단부(26c)는 외측방향으로 더 휘어지면서 돌출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22)를 최초 개봉한 이후에는 상기 파단부(26c)의 상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용기뚜껑(20)이 최초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단부(26c)의 갯수 또는 너비 등은 상술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20)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E-E선을 취하여 본 정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20)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에서 용기뚜껑(20)을 개방한 상태와 다시 닫은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커버부재(22)의 하면 및 상기 파단부(26d)의 형상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커버부재(22)의 하면에는 오목한 밀봉홈(27)이 상기 커버부재(2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파단부(26d)는 상기 베이스부재(21)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베이스부재(21)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상기 파단부(26d)는 제1실시예 내지 제2실시예의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파단부(26a,26b)와 달리, 연속적으로 연결되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22)가 개봉되기 이전에 상기 파단부(26d)의 상부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홈(27)의 내부에서 상기 커버부재(22)의 하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22)의 최초 개봉시 도 13 및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단부(26d)의 상부는 절단되면서 상기 밀봉홈(27)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커버부재(22)가 개봉된 이후에 상기 커버부재(22)가 상기 베이스부재(21)를 덮었을 때,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단부(26d)의 상부는 상기 밀봉홈(27)에 삽입되어 밀착된다.
상기 커버부재(22)의 최초 개봉 이전에, 상기 파단부(26d)의 상부가 상기 밀봉홈(27)의 내부에서 상기 커버부재(22)의 하면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커버부재(22)를 살짝 들게 되면 상기 파단부(26d)의 상부가 상기 밀봉홈(27) 내부에서 상기 커버부재(22)의 하면에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용기커버가 이미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부재(22)를 최초 개봉한 이후에 상기 커버부재(22)를 상기 베이스부재(21)에 덮게 되면, 상기 베이스부재(21)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상기 파단부(26d)의 상부가 상기 밀봉홈(27)의 삽입되어 밀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재(21)와 커버부재(22) 사이의 간극을 보다 잘 밀봉할 수 있어, 이물질 등이 상기 용기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5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20)의 정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에서 용기뚜껑(20)이 개방되는 과정에서의 정면도이다.
제5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파단부(26e)의 형상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파단부(26e)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대면하는 상기 베이스부재(21)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22)의 하부를 불연속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파단부(26e)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21)의 원주방향으로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파단부(26e)는 상기 손잡이부(25)의 양측에만 형성되고 나머지 구간에서는 다른 실시예의 파단부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파단부(26e)가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파단부(26e)가 상기 손잡이부(25)의 양측에 형성되도록 하고, 식별을 위해 다른 색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경사지게 형성된 파단부(26e)는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손잡이부(25)의 양측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된 파단부(26e)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22)가 상기 베이스부재(21)에 대하여 최초 개봉되게 되면,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파단부(26e)는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면서 신장되는 동시에 직선형상으로 변형되고, 더 큰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단부(26e)의 상부가 절단되게 된다.
경사지게 형성된 파단부(26e)는 상기 커버부재(22)가 개봉됨에 따라 신장되면서 직선형상으로 소성 변형되기 때문에, 그 이후에는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22)를 다시 닫게 되더라도 상기 파단부(26e)는 개봉전 초기의 경사진 형상과 다른 형상(예를 들어 직선 형상)으로 변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파단부(26e)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지 아니면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보고, 상기 용기뚜껑(20)이 최초 개봉인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힌지점 역할을 하는 상기 연결부재(23)로부터 가장 먼거리에 있는 상기 손잡이부(25)의 양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파단부(26e)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22)의 개봉시 상기 파단부(26e)의 신장이 보다 잘 이루어져 사용자가 상기 파단부(26e)의 상태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등에 의해 상술한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용기본체, 20 : 용기뚜껑, 21 : 베이스부재, 22 : 커버부재, 23 : 연결부재, 25 : 손잡이부, 26a, 26b, 26c, 26d. 26e : 파단부, 27 : 밀봉홈.

Claims (9)

  1.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용기뚜껑으로 이루어진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은,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된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용기본체 및 베이스부재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방과 상기 커버부재의 후방을 연결하여,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용기본체 및 베이스부재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재의 전방에는 손잡이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개봉되기 이전에, 대면하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는 파단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파단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를 제외하고 상기 손잡이부에서 상기 연결부까지 상기 베이스부재의 둘레를 따라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형성된 부위에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는 상호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와 연결되는 상기 파단부의 상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연결되는 상기 파단부의 하부보다 얇게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최초 회전하여 개방될 때, 상기 파단부는 상기 커버부재와 연결된 상부가 절단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에는 오목한 밀봉홈이 상기 커버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파단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가 개봉되기 이전에 상기 파단부의 상부는 상기 밀봉홈의 내부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최초 개봉시 상기 파단부의 상부는 절단되면서 상기 밀봉홈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커버부재가 개봉된 이후에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를 덮었을 때, 상기 파단부의 상부는 상기 밀봉홈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 또는 용기뚜껑에는 습기제거성분이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9.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습기제거성분은 옥수수분말 또는 왕겨분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KR1020180165020A 2018-12-19 2018-12-19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KR101957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020A KR101957747B1 (ko) 2018-12-19 2018-12-19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020A KR101957747B1 (ko) 2018-12-19 2018-12-19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747B1 true KR101957747B1 (ko) 2019-03-13

Family

ID=65761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020A KR101957747B1 (ko) 2018-12-19 2018-12-19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7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534A (ko) 2021-05-13 2022-11-22 주식회사 엠피엘비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WO2024090592A1 (ko) * 2022-10-24 2024-05-02 주식회사 엠피엘비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7035B2 (ja) * 2003-12-22 2010-03-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不正開封防止機能付きのヒンジキャップ
JP2018069205A (ja) * 2016-11-04 2018-05-10 株式会社アグリーム 乾燥剤及び乾燥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7035B2 (ja) * 2003-12-22 2010-03-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不正開封防止機能付きのヒンジキャップ
JP2018069205A (ja) * 2016-11-04 2018-05-10 株式会社アグリーム 乾燥剤及び乾燥処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534A (ko) 2021-05-13 2022-11-22 주식회사 엠피엘비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WO2024090592A1 (ko) * 2022-10-24 2024-05-02 주식회사 엠피엘비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0435A (en) Closure with integral self-sealing silicone valve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0445578B1 (ko) 힌지식캡
CN109533633B (zh) 具有触发打开机构的显窃启塑料食物容器
KR101957747B1 (ko)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JPH0744508U (ja) 合成樹脂製蓋
KR20080068067A (ko) 개방 확인용 마개
MX2014002368A (es) Cierre que evidencia manipulacion.
JPS6045149A (ja) 簡単に取除き可能な一体成形されたキヤツプを有するプラスチツク容器
US4569456A (en) Sealed container with replaceable plug insert
EP1721836A1 (en) Temper evident cap
JP2531916B2 (ja) 容器用蓋
JP3577122B2 (ja) 除去容易なキャップ
US20090050596A1 (en) Sealing Cap
JP2000177764A (ja) 密封容器
US20180244442A1 (en) Container pouring spout sealing structure
JP3606616B2 (ja) 容器口部から除去容易なキャップ
JP2004238045A (ja) Te性を有するプレスオンツイストオフキャップ及び該キャップと容器との閉栓構造
CN209757955U (zh) 一种瓶盖及应用该瓶盖的瓶子
JP7470372B2 (ja) キャップ
CN107758097B (zh) 一种具有防开启保护环的翻盖结构
JP5095871B1 (ja) ペットボトル容器及びボトルキャップ
AU2017100889A4 (en) A closure for a vessel
JP2002037296A (ja) 容易に分離可能なヒンジ蓋体
JP4083380B2 (ja) 液注出容器の中栓
WO2018187280A1 (en) Tamper evident seal for drug vial with frangible but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