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90592A1 -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90592A1
WO2024090592A1 PCT/KR2022/016277 KR2022016277W WO2024090592A1 WO 2024090592 A1 WO2024090592 A1 WO 2024090592A1 KR 2022016277 W KR2022016277 W KR 2022016277W WO 2024090592 A1 WO2024090592 A1 WO 202409059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rtion
cover member
support
container lid
fra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627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동준
이은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피엘비
이동준
이은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피엘비, 이동준, 이은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피엘비
Priority to PCT/KR2022/01627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90592A1/ko
Publication of WO202409059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9059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lid having an opening confirmation function, and in particular, to a container lid having an opening confirmation function that can easily check whether the container has been opened for the first time.
  • bottles containing contents such as medicine or health supplements are equipped with an open check function that allows consumers to visually check whether the container lid has been opened without permission so that consumers cannot be deceived through fraudulent methods.
  • the generally known open check structure is comprised of a partition between the stopper body and the support body through a cut line, and an open check ring with a cut handle at one end configured to an appropriate range around the lid.
  • a number of thin cut piec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open state can be checked by being torn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stopper after cutting the open check ring.
  • container lids are generally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of synthetic resin, but since the open check ring is protruding, manufacturing is difficult and productivity is reduced.
  •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ontainer lid that is easy to manufacture using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has an opening confirmation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whether the container lid has been opened. .
  • the container lid having an opening confirma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member made of a hollow shape and coupl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body with the top open; a cover member that opens and closes the upper part of the base member; a hinge member connecting the rear of the base member and the rear of the cover member to allow the cover member to rotate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 handl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cover member; Before the cover member is opened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a breaking member connecting the upper part of the base member and the lower part of the cover member facing each other, wherein an avoidance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member.
  • the break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avoiding groove
  • the breaking member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avoiding groove; a second support portion at one e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ver member;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and
  • the connection portion is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based on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furthest from the handle portion among the fracture members, and the cover member is attached to the base member by an external force.
  • the total length of the broken member cut after being stretched by an external force is longer than the total length of the broken member before being stretched.
  •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rises together with the cover member, and the connection portion disposed at the furthest distance from the handle portion
  • the fracture member is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plastically deformed, and then cut.
  • the cut broken member is plastically deformed to be long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shape of the broken member before the external force was applied,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voidance groove when the cover member is closed again.
  •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be downwardly inclin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inclined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re close to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by
  •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a ' ⁇ ' shape,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disposed below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disposed above the connection portion.
  • the support portion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connection portion When the fracture member is stretched by an external force, the connection portion is cut, and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re disposed on the same vertical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re disposed below the handle portion.
  • the broken member when the cover member is first opened, the broken member is deformed and cut, so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cover member was opened for the first time by looking at the deformed broken membe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li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breakable member in the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fracture member in each process when the container lid is open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fracture member in the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breakable member in the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fracture member in each process when the container lid is opened.
  • the container lid with an opening confirma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member 10, a cover member 20, a hinge member (not shown), a handle portion 25, and , and includes a fracture member (30).
  • the container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not shown) forming a medicine container, gum container, etc., and opens and closes the upper part.
  • the base member 10 has a hollow shape and is coupl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body with the open top.
  • the cover member 20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member 10 and opens and closes the upper part of the base member 10.
  • the hinge member (not shown) connects the rear of the base member 10 and the rear of the cover member 20, so that the cover member 20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10 to form the container. Open and close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 the handle portion 25 protrudes from the front of the cover member 20.
  • the handle portion 25 is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hinge member.
  • the breaking member 30 connects the upper part of the base member 10 and the lower part of the cover member 20, before the cover member 20 is first opened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10, and there is.
  • An avoidance groove 11 is formed concave downward in the upper part of the base member 10, and the breakable member 30 is disposed in the avoidance groove 11.
  • the breakable member 30 can be formed to be large,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more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fracture member 30 has been cut.
  • the breakable member 30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31, a second support part 32, and a connection part 33.
  •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avoidance groove 11.
  •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32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ver member 20.
  • the connecting portion 33 connects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
  •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31 and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32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part 25 is formed.
  •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31 and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32 are disposed below the handle part 25.
  •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31 and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32 are disposed below the handle part 25, so that the cover member 20 by the handle part 25 is When rotating upward,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fracture member 30 can be increased.
  •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31 and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32 are arranged on the same vertical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 connection portion 33 is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portion 25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
  • the connecting portion 33 is disposed at the position furthest from the handle portion 25 among the breakable members 30.
  • the breakable member 30 expands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lastically deformed, and then is cut.
  •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 or the connection portion 33 is cut. This can be done, and preferably, the connecting portion 33 is cut to connect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
  •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portion 33 is reduced or a cutting line is formed in advance.
  • the first support part 3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 may have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 the first support part 31 is formed to slope upwar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 the second support part ( 32) is formed to slope downward from one end to the other.
  • connection part 33 the other end of the inclined first support part 3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32 approach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part 33.
  • the breakable member 30 is formed in a ' ⁇ ' shape or a '>' shape.
  • Figure 3 shows a process in which the shape of the breakable member 30 is deformed due to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cover member 20.
  • Figure 3(a) is in a state where it has not been opened for the first time.
  • the cover member 20 When an external force acts in the state shown in FIG. 3(a), the cover member 20 initially rotates up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10 due to the external force and opens.
  •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 rises together with the cover member 20, and this causes the connection portion disposed at the farthest distance from the handle portion 25.
  • connection portion 33 moves in one direction as shown above, the fracture member 30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3(c), and then, when it rises further, as shown in FIG. 3(d). Likewise, the broken member 30 is further stretched and plastically deformed, and then, as it rises further, the broken member 30 is cut, as shown in FIG. 3(e).
  • the broken member 30 cut in this way is plastically deformed long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shape of the broken member 30 before the external force was applied, so that the cover member 20 can be closed again as shown in FIG. 3(f). Whe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voidance groove (11).
  •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31 and 32 are As plastic deformation occur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clination angle becomes larger, the cut fractured member 30 is deformed to have a longer vertical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vertical length of the cut broken member 30 becomes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broken member 30 before cutting, as shown in FIG. 3(f) when the cover member 20 is closed again.
  • the first support part 3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voidance groove 11.
  • the cover member 20 when the cover member 20 is first opened, the first support part 3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 are stretched and p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so the first support part 3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 32) becomes longer than the length before being cut, and as a result, when the cover member 20 is closed again, the cut first support part 3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 are in the avoidance groove 11. The length exposed to the outside becomes longer.
  • the first support part 3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voidance groove 11 as above, the user can easily see that the breakable member 30 has been cut, and through this, the cover It is easy to recognize that the member 20 has already been opened.
  • the total length of the breakable member 30 cut after being stretched by an external force is longer than the total length of the breakable member 30 before being stretched.
  • the length of the fracture member 30 becomes longer as it is plastically deformed,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voidance groove 11 when the fracture member 30 is cut as described above.
  • the user can more easily recognize that the breakable member 30 has been cut.
  • the breakable member 30 when the cover member 20 is first opened, the breakable member 30 is deformed and cut, so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cover member 20 has been opened for the first time, and the breakable member 30 When the cover member 20 is closed again as its length is changed or lengthened, the cut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31 and 32 of the breakable member 30 are outside the avoidance groove 11. By being exposed,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whether the cover member 20 has been opened for the first time.
  •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breakable member in the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cond embodiment has a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breakable member 30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is.
  • the breakable member 30 consists of a first support part 31, a second support part 32, and a connection part 33.
  • the connecting portion 33 connects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 to each other.
  •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is formed by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avoidance groove 11 and then bending the other 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second support part 32 is formed by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cover member 20 and then bending the other end in the same horizontal direction as the first support part 31.
  • connection part 33 is formed in a ' ⁇ ' shape and connects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3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32, which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disposed below the connection portion 33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 disposed above the connection portion 33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33 is formed in a ' ⁇ ' shape,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33 is cut. The user can more easily recognize whether the breakable member 30 has been cut.
  • the container lid having an opening confirma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permitt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container lids and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의 최초 개봉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를 연결하는 파단부재가, 커버부재의 최초 개방시 절단되게 되는데, 이때 파단부재를 구성하는 부분이 상하방향으로 전개 및 신장되면서 소성 변형된 후 절단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파단부재의 절단 및 변형 여부를 쉽게 인식할 수 있어, 커버부재의 최초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본 발명은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의 최초 개봉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약이나 건강보조식품 등의 내용물을 담는 병에는 부정한 방법을 통하여 소비자들을 속일 수 없도록 용기뚜껑의 무단 오픈 여부를 소비자가 직접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오픈체크 기능을 갖는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기존에 일반적으로 알려지고 있는 오픈체크구조는, 마개체와 지지체의 사이에 절취선을 통해 구획 구성되고, 일단에 절취용 손잡이를 갖는 오픈체크링을 뚜껑 둘레에 적정 범위로 구성하고 있다.
오픈체크링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는 절취선만을 두어 오픈체크링의 절취 후 마개체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절취되도록 하고 있다.
또는, 오픈체크링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는 일정 간격으로 가느다란 다수의 절취편을 형성시키고 오픈체크링의 절취 후 마개체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뜯어지면서 오픈상태가 체크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구조들은 개봉을 위해 반드시 오픈체크링을 절취하여야 하고, 절취된 오픈체크링은 곧바로 쓰레기로 폐기하여야 하기 때문에, 자원 낭비 및 처리에 따른 플라스틱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용기뚜껑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오픈체크링이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고 그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초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용기가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개봉여부를 쉽게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제작이 쉽고, 사용자가 용기뚜껑의 개봉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은,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의 상부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방과 상기 커버부재의 후방을 연결하여,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하는 힌지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전방에서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개봉되기 이전에, 대면하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를 연결하고 있는 파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는 회피홈이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파단부재는 상기 회피홈에 배치되며, 상기 파단부재는, 일단이 상기 회피홈의 저면에 연결된 제1지지부와; 일단이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에 연결된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부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손잡이부가 형성된 방향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부가 형성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파단부재 중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최초 회전하여 개방될 때, 상기 파단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전개 및 신장되면서 소성 변형된 후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력에 의해 신장된 후 절단된 상기 파단부재의 전체 길이는, 신장되기 전 상기 파단부재의 전체 길이보다 길다.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최초 회전하여 개방될 때, 상기 제2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커버부재와 함께 상승하고, 상기 손잡이부에서 가장 먼 거리에 배치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지지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의 일단 및 제2지지부의 일단이 배치된 일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연결부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파단부재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신장되어 소성 변형된 후 절단되며, 절단된 파단부재는 외력이 작용하기 전의 파단부재의 형상보다 상하방향으로 길게 소성 변형되어 상기 커버부재를 다시 닫았을 때 상기 회피홈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1지지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제1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타단은 서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제2지지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외력에 의한 상기 파단부재의 신장시 상기 연결부가 절단되고, 상기 제1지지부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일단은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수직선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지지부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커버부재의 최초 개봉시 파단부재가 변형되면서 절단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변형된 파단부재를 보고 커버부재의 최초 개봉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파단부재의 길이가 변형되거나 길어지면서 커버부재를 다시 닫았을 때, 파단부재의 절단된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가 회피홈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서, 사용자가 커버부재의 최초 개봉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에서 파단부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이 개방될 때 각 과정에서 파단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과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에서 파단부재의 정면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에서 파단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이 개방될 때 각 과정에서 파단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과정도이다.
본 발명의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0)와, 커버부재(20)와, 힌지부재(미도시)와, 손잡이부(25)와, 파단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용기 뚜껑은 의약품통, 껌통 등을 이루는 용기본체(미도시)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를 개폐한다.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중공형상으로 이루이지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의 상부 둘레를 따라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재(20)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를 개폐한다.
미도시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후방과 상기 커버부재(20)의 후방을 연결하여, 상기 커버부재(20)가 상기 베이스부재(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부(25)는 상기 커버부재(20)의 전방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25)를 잡고 상기 커버부재(2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손잡이부(25)는 상기 힌지부재의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단부재(30)는 상기 커버부재(20)가 상기 베이스부재(10)에 대하여 최초 개봉되기 이전에, 대면하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20)의 하부를 연결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에는 회피홈(11)이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파단부재(30)는 상기 회피홈(11)에 배치되어 있다.
위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에 회피홈(11)을 형성하고, 상기 회피홈(11)에 상기 파단부재(30)를 배치시킴으로서, 상기 파단부재(30)를 크게 형성할 수 있어, 사용자가 상기 파단부재(30)의 절단여부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파단부재(30)는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와 연결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부(31)는 일단이 상기 회피홈(11)의 저면에 연결된다.
상기 제2지지부(32)는 일단이 상기 커버부재(20)의 하부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33)는 상기 제1지지부(31)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부(32)의 타단을 연결한다.
상기 제1지지부(31)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부(32)의 일단은 상기 손잡이부(25)가 형성된 방향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지지부(31)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부(32)의 일단은 상기 손잡이부(25)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31)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부(32)의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25)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손잡이부(25)에 의한 상기 커버부재(20)의 상방향 회전시 상기 파단부재(30)가 전개되는 상하방향 변위를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31)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부(32)의 일단은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수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33)는 상기 제1지지부(31) 및 제2지지부(32)를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부(25)가 형성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33)는 상기 파단부재(30) 중 상기 손잡이부(25)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된다.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20)가 상기 베이스부재(1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최초 회전하여 개방될 때, 상기 파단부재(30)는 상하방향으로 전개 및 신장되면서 소성 변형된 후 절단되게 된다.
외력에 의한 상기 파단부재(30)의 신장시, 상기 파단부재(30)는 상기 제1지지부(31)의 일단, 상기 제2지지부(32)의 일단 또는 상기 연결부(33) 중 어느 곳이 절단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33)가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를 연결하는 절단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33)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절단선을 미리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지지부(31)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32)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제1지지부(31)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부(32)의 타단은 서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연결부(33)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단부재(30)는 '<'형상 또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에서는 상기 커버부재(20)의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파단부재(30)의 형상이 변형되는 과정을 도시하였다.
도 3(a)는 최초 개봉이 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20)가 상기 베이스부재(1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최초 회전하여 개방되게 된다.
초기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부(32)의 일단은 상기 커버부재(20)와 함께 상승하고, 이로 인해 상기 손잡이부(25)에서 가장 먼 거리에 배치된 상기 연결부(33)는 상기 제2지지부(32)의 상승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31)의 일단 및 제2지지부(32)의 일단이 배치된 일방향으로 도면에서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연결부(33)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단부재(3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전개된 후, 더 상승하게 되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단부재(30)는 더 신장되면서 소성 변형되게 되며, 그 후 더 상승함에 의해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단부재(30)는 절단되게 된다.
이렇게 절단된 파단부재(30)는 외력이 작용하기 전의 파단부재(30)의 형상보다 상하방향으로 길게 소성 변형되어,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20)를 다시 닫았을 때 상기 회피홈(11)의 외부로 노출된다.
특히,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가 상기 커버부재(2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신장될 때,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는 경사각도가 더 큰 방향으로 소성변형되면서 절단된 파단부재(30)는 상하방향 수직길이는 더 길어지게 변형된다.
따라서, 절단된 파단부재(30)의 상하방향길이는 절단 전의 파단부재(30)의 상하방향길이보다 더 길어져, 상기 커버부재(20)를 다시 닫았을 때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31) 및 제2지지부(32)는 상기 회피홈(11)의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특히, 상기 커버부재(20)의 최초 오픈시,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는 외력에 의해 신장되면서 소성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는 절단되기 전의 길이보다 더 길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커버부재(20)를 다시 닫았을 때 절단된 상기 제1지지부(31) 및 제2지지부(32)는 상기 회피홈(11)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더 길어지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가 상기 회피홈(11)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파단부재(30)가 절단되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20)가 이미 개봉되었다는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력에 의해 신장된 후 절단된 상기 파단부재(30)의 전체 길이는, 신장되기 전 상기 파단부재(30)의 전체 길이보다 길게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상기 파단부재(30)의 길이가 소성 변형되면서 길어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파단부재(30)가 절단되었을 때의 상기 회피홈(11)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1지지부(31) 및 제2지지부(32)의 길이를 더 길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파단부재(30)의 절단 사실을 보다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재(20)의 최초 개봉시 상기 파단부재(30)가 변형되면서 절단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커버부재(20)의 최초 개봉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파단부재(30)의 길이가 변형되거나 길어지면서 상기 커버부재(20)를 다시 닫았을 때 상기 파단부재(30)의 절단된 상기 제1지지부(31) 및 제2지지부(32)가 상기 회피홈(11)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커버부재(20)의 최초 개봉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에서 파단부재의 정면도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파단부재(30)의 형상에 차이가 있는 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파단부재(30)는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와 연결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33)는 상기 제1지지부(31)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부(32)의 타단을 서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지지부(31)는 상기 회피홈(11)의 저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후 타단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32)는 상기 커버부재(20)의 저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후 타단이 상기 제1지지부(31)와 같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33)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제1지지부(31)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부(32)의 타단을 연결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연결부(33)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1지지부(31)와 상기 연결부(33)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제2지지부(32)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가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33)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33)의 절단시 사용자가 상기 파단부재(30)의 절단 여부를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기 뚜껑에 적용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8)

  1.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의 상부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방과 상기 커버부재의 후방을 연결하여,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하는 힌지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전방에서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개봉되기 이전에, 대면하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를 연결하고 있는 파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는 회피홈이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파단부재는 상기 회피홈에 배치되며,
    상기 파단부재는,
    일단이 상기 회피홈의 저면에 연결된 제1지지부와;
    일단이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에 연결된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부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손잡이부가 형성된 방향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부가 형성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파단부재 중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최초 회전하여 개방될 때, 상기 파단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전개 및 신장되면서 소성 변형된 후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2. 청구항1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신장된 후 절단된 상기 파단부재의 전체 길이는, 신장되기 전 상기 파단부재의 전체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3. 청구항1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최초 회전하여 개방될 때,
    상기 제2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커버부재와 함께 상승하고, 상기 손잡이부에서 가장 먼 거리에 배치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지지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의 일단 및 제2지지부의 일단이 배치된 일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연결부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파단부재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신장되어 소성 변형된 후 절단되며,
    절단된 파단부재는 외력이 작용하기 전의 파단부재의 형상보다 상하방향으로 길게 소성 변형되어 상기 커버부재를 다시 닫았을 때 상기 회피홈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제1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타단은 서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5.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제2지지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6. 청구항3에 있어서,
    외력에 의한 상기 파단부재의 신장시 상기 연결부가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7.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일단은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수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8.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PCT/KR2022/016277 2022-10-24 2022-10-24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WO2024090592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6277 WO2024090592A1 (ko) 2022-10-24 2022-10-24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6277 WO2024090592A1 (ko) 2022-10-24 2022-10-24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0592A1 true WO2024090592A1 (ko) 2024-05-02

Family

ID=90830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6277 WO2024090592A1 (ko) 2022-10-24 2022-10-24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090592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724A (ko) * 1999-06-30 1999-12-06 김미숙 밀폐용기의개폐장치
KR20110036736A (ko) * 2008-07-08 2011-04-08 니혼 크라운 코르크 가부시키가이샤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KR20130017736A (ko) * 2011-08-11 2013-02-20 김경중 알에프아이디 파단 구조의 용기 뚜껑
JP2014213895A (ja) * 2013-04-26 2014-11-17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容器蓋
KR101957747B1 (ko) * 2018-12-19 2019-03-13 이은재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KR20220154534A (ko) * 2021-05-13 2022-11-22 주식회사 엠피엘비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724A (ko) * 1999-06-30 1999-12-06 김미숙 밀폐용기의개폐장치
KR20110036736A (ko) * 2008-07-08 2011-04-08 니혼 크라운 코르크 가부시키가이샤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KR20130017736A (ko) * 2011-08-11 2013-02-20 김경중 알에프아이디 파단 구조의 용기 뚜껑
JP2014213895A (ja) * 2013-04-26 2014-11-17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容器蓋
KR101957747B1 (ko) * 2018-12-19 2019-03-13 이은재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KR20220154534A (ko) * 2021-05-13 2022-11-22 주식회사 엠피엘비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87049A2 (ko) 첨가재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
WO2014073819A1 (ko) 리필 립스틱 용기 및 리필캡
WO2013119088A2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WO2015111774A1 (ko) 측면 가압식 안전캡
WO2024090592A1 (ko)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WO2016032155A1 (ko) 디스펜서 용기
WO2020213856A1 (ko) 휴대용 텀블러
WO2020251317A1 (ko) 손잡이 하부에 따개가 형성된 수직형 병따개
WO2022225098A1 (ko) 오토 드롭퍼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WO2023249256A1 (ko) 친환경 화장품 드로퍼
WO2021187762A1 (ko) 부정 개봉 방지 지퍼 및 그를 포함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
WO2023214715A1 (ko)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
KR102616642B1 (ko) 개봉 확인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WO2019194379A1 (ko) 물티슈 인출용 보호케이스
WO2013015624A2 (ko) 복용여부를 확인 가능한 알약용기
WO2020189934A1 (ko) 약물을 수용하여 밀봉되는 용기
WO2020032360A1 (ko) 버튼 분리형 팩트
WO2021241971A1 (ko) 귀걸이 진열대
JP4401467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IT202100019367A1 (it) Tappo flip-top con cerniera con anello interno a prova di manomissione
WO2011096647A2 (ko) 마개 사출성형장치
WO2019093719A1 (ko) 택배 물품용 접이식 보관함
WO2020262778A1 (ko)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WO2023163529A1 (ko)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WO2012115325A1 (ko) 안전 캔 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