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62778A1 -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62778A1
WO2020262778A1 PCT/KR2019/017152 KR2019017152W WO2020262778A1 WO 2020262778 A1 WO2020262778 A1 WO 2020262778A1 KR 2019017152 W KR2019017152 W KR 2019017152W WO 2020262778 A1 WO2020262778 A1 WO 202026277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id body
lid
protrusion
pet container
end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715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미정
Original Assignee
박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7620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77073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5594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77076B1/ko
Application filed by 박미정 filed Critical 박미정
Priority to CN201980092291.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3453992A/zh
Priority to EP19935378.0A priority patent/EP4005944A1/en
Priority to US17/439,593 priority patent/US20220153467A1/en
Priority to JP2021552688A priority patent/JP2022538951A/ja
Publication of WO202026277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6277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3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formed separately but connected to the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Definitions

  • a normal PET container has a lid attached to the container body containing the contents and the injection part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jection part of the container body is a spiral binding for fastening the lid.
  • An annular protrusion is formed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protrusion and the lid.
  • an interference protrusion that is caught by the constraining protrusion of the injection port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and is connected integrally with the lower part of the lid body, and the lid body
  • the joint protrusion that causes shape deformation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lid and the oth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lid body are integrally connected, but are broken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lid body and a seal that allows the identification of whether the lid body is opened accordingly. Protrusions are formed.
  • the end ring is form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starting from the top from the top and being inclined in one direction, while the gap is widened by the joint protrusion that maintains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lid body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lid body.
  • a number of cutout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at cause a decrease in the ring-shaped preservation capacity according to the ac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d of a PET container that provides a sealing function of checking whether or not to be opened, as well as a tight seal for preservation of the contents in a state of being provided and coupled to the injection unit, wherein A lid body provided and coupled to the injection unit for; And, integrally formed under the lid body, constrained by an annular protrusion protruding under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jection part, and exhibits a sealing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lid body is opened, while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lid body by a user Including; an end ring that causes shape deformation and is separated from the injection part with the lid body, wherein the end ring includes an interference protrusion constrained to the annular projection when the lid body is provided and coupled to the injection part.
  • the interference protrusion forms a simple protrusion capable of causing a shape change of the deformable part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lid body from the injection part, and crossing the annular protrusion during the shape chang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d of a PET container that provides a sealing function of checking whether or not to be opened as well as tight seal for preservation of the contents in a state of being provided and coupled to the injection unit, wherein the lid is provided to keep the contents tight.
  • a lid body provided and coupled to the injection unit for; And, integrally formed under the lid body, constrained by an annular protrusion protruding under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jection part, and exhibits a sealing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lid body is opened, while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lid body by a user Including; but, the lid body and the end ring form a mutually separating structure by a cutout portion, and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lid body and the end ring by causing a shape deformation to be separated from the injection part together with the lid body
  • the annular protrusion can be crossed.
  • a plurality of interfering protrusions causing shape deformation so that they protrude at regular intervals, respectively, connect the lower end of the lid body and the upper end of the end ring, and are broken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lid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aling protrusion is formed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ope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itutional relationship of the end ring in the end ring simultaneous separation type PET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end ring simultaneous separation type PET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6 to 8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relationship of the end-ring simultaneous separation type PET container li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itution of the end rings in the lid of the pet container for simultaneous separation of the end ring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end ring simultaneous separation type PET container li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relationship of the interference protrusion in the end-ring simultaneous separation type PET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and 17 are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of an end-ring deformation relationship when the end-ring simultaneous separation type PET container lid is separat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id body 1 is provided and coupled to the injection part of the PET container to prevent leakage of contents (food and beverage, etc.) contained in the PET container, and corresponds to the spiral binding protrusion around the injection part of the PET container.
  • the binding protrusion 11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 a knurling part 12 is further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id body 1 to prevent slipping when the user holds it by hand and rotates it clockwise/counterclockwise.
  • the end ring 2 represents the sealing function of the lid body 1 provided and coupled to the injection part of the PET container.
  • the lid body 1 is a PET container ( An interference protrusion 21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jection unit 910, which is engaged with the annular protrusion 920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jection unit 910 when provided and coupled to the injection unit 910 of the 900).
  • the joint protrusion 22 that leads to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lid body 1 and causes shape deformation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lid body 1, and the other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lid body 1
  • a sealing protrusion 23 is formed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lid body 1 is opened or not.
  • the joint protrusion 22 that is form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starting from the top and at the same time is form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starting from the top, and maintaining a connection state with the lid body 1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lid body 1
  • a plurality of cutouts 24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cause a decrease in the storage capacity of the ring shape due to the action of opening the gap.
  • the joint protrusion 22 is connected to the lid body 1 to cause the gap between the cutout 24 to be widened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lid body 1, and protrude from the top and one end of the cutout 24 Starting from,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lid body 1 in a state formed long to have a certain range.
  • the sealing protrusion 23 is connected to the lid body 1 and represents a sealing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know whether the lid body 1 is opened or not according to the action of being broken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lid body 1
  • the bar is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a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lid body 1 in a state formed short to have a predetermined range at the other end of the cutout 24.
  • the lid body 1 is to prevent leakage of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PET container 900 in a state provided and coupled to the injection part 910 of the PET container 900, and the injection part of the PET container 900 (910)
  • a binding protrusion 11 corresponding to the binding protrusion 930 protruding in a spiral manner on the outer circumferenc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 the end ring 2 is for realizing the sealing function of the lid body 1 provided and coupled to the injection part 910 of the PET container 900,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lid body ( 1) includes an interference protrusion 21-1 confined to the annular protrusion 920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jection unit 910 when it is provided and coupled to the injection unit 910, while the incision 24- 1)
  • the interference protrusion (21-1) is able to cross the annular protrusion (920) to allow the shape deformation that opens outward.
  • a number of deformation portions 25 are provided.
  • a sealing protrusion (23-1) is formed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open.
  • the cutout 24-1 is connect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from the boundary of the lid body 1 (the uppermost end in the drawing) " "It is desirable to form a mold.
  •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relationship of the interference protrusion in the end-ring simultaneous separation type PET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in the end-ring simultaneous separation type PET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the interference protrusion 21-2 representing the constitutive relationship causes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part 25 as described above in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lid body 1, and the shape deformation It may be in the form of a simple protrusion that can be crossed over the annular protrusion 920.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relationship of the end ring simultaneous separation type pet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nd ring simultaneous separation type PET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2), as described above and Figure 12, the lid body (1) provided and coupled to the injection portion 910 of the PET container 900 for preservation of the contents, and the lid body (1) integrally under the It is formed as and is constrained by the annular protrusion 920 protruding below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jection part 910 and represents a sealing function of identifying whether the lid body 1 is opened, while the user separates the lid body 1 It includes an end ring (2) separated from the injection part (910) of the PET container (900) together with the lid body (1) by causing shape deformation in the process, the lid body (1) and the end ring (2) It forms a mutually separated structure by the cutout 24-2.
  • the binding protrusion 11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and the knurled portion 1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as described in Fig. 12 and above.
  • the lid body 1 Is bound to the annular protrusion 920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jection unit 910 when provided and coupled to the injection unit 910 of the pet container 900, but the lid body 1 from the pet container 900 )
  • a plurality of interference protrusions (21-3) that cause shape deformation so that they can ride over the annular protrusion 920 protrude at regular intervals, respectively, and the lower end of the lid body 1 and the end ring ( While connecting the upper end of 2), a sealing protrusion 23-2 is formed that is broken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lid body 1, and enables the identification of whether the lid body 1 is opened according to the broken state.
  • the interference protrusion 21-3 has both end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lid body 1 and the upper end of the end ring 2 and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jection part 910 of the PET container 900. As it is bent to one side to be constrained by the annular projection 920 " "Forming a bar,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lid body 1 from the injection part 910, it is spread by the annular projection 920 to separate the lid body 1 and the end ring 2 from each other,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void interference of the annular protrusion 920 so that the sealing protrusion 23-2 can be broken and the end ring 2 can be simultaneously separated.
  • the lid body 1 By rotating the lid body 1 provided and coupled to the injection part 910 of the PET container 900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lid body 1 is raised along the injection part 910
  • the injection part 910 can be opened by completely separating from the fed container 900 in a continuation of the process,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drink food and beverage contained in the PET container 900.
  • the lid body 1 provided and coupled to the injection part 91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for opening of the injection part 910, a binding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id body 1 ( 11)
  • the lid body 1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jection unit 910 by rotating the binding protrusion 93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jection unit 910 of the PET container 900. It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injection part 910 of the PET container 900 in succession.
  • the interference protrusion 21 arou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end ring 2 is an injection part of the PET container 900 ( 910) Riding over the annular projection 920 of the outer circumference, as shown in Figure 15, the end ring 2 is completely out of the injection portion 910 and the end ring 2 together with the lid body 1 ) It becomes possible to be separated from the PET container 900 at the same time.
  • the lid body 1 and the end ring 2 that is a part of the lid body 1 are separated. Is possible (see Fig. 15).
  • Figures 18 to 20 are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nd ring simultaneous separation type PET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ring simultaneous separation type li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e operation of -1) is as follows.
  • the end ring simultaneous separation type PET container lid (A-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nd coupled to the injection part 910 of the PET container 900 as shown in FIGS. 18 to 20 (Fig. 10), the injection unit 910 is sealed and airtight in order to preserve the contents (food and beverage, etc.) contained in the PET container 900,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sealing whether or not to be opened.
  • the lid body 1 provided and coupled to the injection part 91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for opening of the injection part 910, a binding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id body 1 ( 11) by the action of riding on the binding protrusion 93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jection part 910 of the PET container 900, the lid body 1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jection part 910, and the process It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injection part 910 of the PET container 900 in succession.
  • the protruding end of the end ring 2 interfering protrusion 21-1 which was constrained by the annular protrusion 920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jection part 910, is the annular protrusion. It is bent downward due to the interference of 920, and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9, the deformable part 25 is formed according to the process in which the protruding tip of the interference protrusion 21-1 is bent downward.
  • the sealing protrusion 23-1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end ring 2 a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lid body 1
  • the interfering protrusion 21-1 is completely bent downward during the breakage by the tensile force and continuing the process, as shown in FIG. 19, the interfering protrusion 21-1 arou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end ring 2 ) Is able to ride over the annular protrusion 920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jection part 910 of the PET container 900, thereby, as shown in FIG. 20, the end ring 2 is the lid body (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separate from the injection part 910 of the PET container 900 along 1).
  • Figures 21 to 24 are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nd ring simultaneous separation type PET container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ring simultaneous separation typ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peration of the lid (A-2) is as follows.
  • the lid body 1 of the lid A-2 provided and coupled to the injection part 91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s shown in FIG. 23, the end ring 2 interfering protrusion 21-3, which was constrained by the annular protrusion 920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jection part 910, is the annular protrusion 920 ) Is completely unfolded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lid body (1) and the end ring (2)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sealing protrusion (23-)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end ring (2) a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lid body (1).
  • the lid body 1 is separated from the injection part 910 of the PET container 900
  • the PET container 900 can be recovered as a single material to satisfy recyclability (recycling). It can work.
  • the gap between the incision part 24 is opened, and the end ring accordingly (2) Induces shape deformation (lower ring shape preservation ability), the interference protrusion 21, 21-1, 21-2, 21-3 ) Through the escap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is possible to more easily and easily separate the end ring 2 from the injection unit 9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페트용기의 주입부에 구비결합된 뚜껑본체(뚜껑)를 분리해낼 때 그 뚜껑본체 하측의 엔드링까지 함께 분리될 수 있도록 한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입구에 구비결합된 상태로 내용물의 보존을 위한 밀전과 더불어 개봉여부 파악의 봉인 기능을 제공하는 페트용기의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내용물 보존의 밀전을 위해 상기 주입구에 구비결합되는 뚜껑본체; 및, 상기 뚜껑본체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의 외둘레 하측에 형성된 환형돌기에 의해 구속되며, 상기 뚜껑본체 개봉여부 파악의 봉인 기능을 나타내는 한편 사용자에 의한 상기 뚜껑본체의 분리과정에서 형태변형을 일으켜 상기 뚜껑본체와 함께 상기 주입구로부터 동시분리되는 엔드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본 발명은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페트용기의 주입부에 구비결합된 뚜껑본체(뚜껑)를 분리해낼 때 그 뚜껑본체 하측의 엔드링까지 함께 분리될 수 있도록 한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사용되는 페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용기의 주요특성은 무엇보다도 가볍고 투명하며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식음료의 용기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페트용기가 발명된 이래 탄산음료 산업의 호황과 재료의 장점으로 인해 업계에서 즉시 활용되었으며, 1999년경에는 1년에 1,000억 병이 생산될 정도로 호황을 누리게 되었다. 처음에는 대부분 음료수나 소스류 등과 같은 액체를 담는 용기로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맥주나 소주를 담는 주류는 물론 안약, 세제 등 다양한 패키지 재료로 사용되고 있어 이제는 소비자들의 생활환경에 필수적인 존재로 다가서고 있다.
한편, 상기 페트용기의 주입부(주둥이)에는 내용물(식음료 등)의 보존을 위한 밀전(密栓)과 더불어 개봉여부 파악의 봉인(封印) 기능을 제공하는 뚜껑(cap)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통상의 페트용기는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본체와 그 용기본체의 주입부에 뚜껑이 구비결합되는바, 상기 용기본체의 주입부 외둘레에는 뚜껑의 체결을 위한 나선형(螺旋形)의 결속돌기 및 뚜껑의 분리방지를 위한 환형(環形)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본체의 주입부를 밀봉·밀전하는 뚜껑본체와 상기 뚜껑본체를 봉인하는 엔드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본체의 내둘레에는 상기 주입부 외둘레의 결속돌기에 대응하는 나선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엔드링의 내둘레에는 상기 주입부 외둘레의 환형돌기에 걸림되는 다수의 간섭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때문에, 상기 뚜껑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페트용기의 주입부로부터 분리하더라도 상기 엔드링은 그 내둘레의 간섭돌기가 상기 주입부 외둘레의 환형돌기에 걸림되어 구속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결국 엔드링은 페트용기에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그런데, 페트용기와 뚜껑은 PET와 PE(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로 서로 다른 재질인 관계로, 상기 페트용기의 재활용성(재자원화) 충족을 위해서는 이종재료인 뚜껑 및 그 뚜껑의 부속인 상기 엔드링까지 모두 분리해내어 가능한 한 단일소재로서 회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가위 또는 니퍼 등과 같은 절단도구를 이용해서 상기 엔드링을 잘라내는 방법으로 페트용기에서 분리해 왔으나, 해당방법의 번거로움으로 대개의 페트용기는 엔드링이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로 회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로 인해 분리수거가 어려워 일반쓰레기로 버려져 자원낭비는 물론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는 문제가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1626호를 통해,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용기가 개시되었는바, 종래의 상기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용기는, 주입부에 엔드링을 규제하는 링 멈춤 상부 플랜지(환형돌기)의 일부를 슬로프(slope) 형상으로 잘라내어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엔드링을 회전시키면 상기 엔드링 내둘레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 플랩(간섭돌기)이 상기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를 벗어나도록 함을 통해 상기 주입부로부터 엔드링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엔드링의 제거구조 달성을 위해서는 상기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가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지금까지와는 다른 형태로 페트용기의 주입부를 제작해야만 하는 호환성 결여의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실제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뒤따른다.
결국, 페트용기의 형태변형 없이도 그 페트용기로부터 뚜껑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엔드링이 함께 분리(제거)될 수 있는 페트용기 뚜껑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페트용기의 주입부로부터 뚜껑본체(뚜껑)을 분리해내는 과정에서 상기 뚜껑본체 하측의 엔드링의 형태변형을 유발되도록 하여, 뚜껑본체의 분리시 상기 주입부 외둘레에 돌출된 환형돌기에 의한 상기 엔드링(내둘레에 형성된 간섭돌기)의 구속력이 상실되고 이로써 상기 엔드링까지 함께 분리(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입구에 구비결합된 상태로 내용물의 보존을 위한 밀전과 더불어 개봉여부 파악의 봉인 기능을 제공하는 페트용기의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내용물 보존의 밀전을 위해 상기 주입구에 구비결합되는 뚜껑본체; 및, 상기 뚜껑본체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의 외둘레 하측에 형성된 환형돌기에 의해 구속되며, 상기 뚜껑본체 개봉여부 파악의 봉인 기능을 나타내는 한편 사용자에 의한 상기 뚜껑본체의 분리과정에서 형태변형을 일으켜 상기 뚜껑본체와 함께 상기 주입구로부터 동시분리되는 엔드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본체는, 상기 주입구 외둘레에 형성된 나선형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나선돌기가 내둘레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널링부가 외둘레에 더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엔드링은, 상기 뚜껑본체가 상기 주입구에 구비결합될 때 상기 주입구의 구속돌기에 걸림되는 간섭돌기가 내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뚜껑본체의 하단 일부위와 일체로 이어지며, 상기 뚜껑본체의 분리과정시 형태변형을 유발하는 이음돌부와, 상기 뚜껑본체의 하단 다른 일부위와 일체로 이어지되, 상기 뚜껑본체의 분리과정시 파단되며 그에 따른 상기 뚜껑본체의 개봉여부를 파악이 가능토록 하는 봉인돌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엔드링에는, 최상단으로부터 시작해서 최하단과 근접하도록 길게 절개됨과 동시에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기 뚜껑본체의 분리과정시 상기 뚜껑본체과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이음돌부에 의해 간극이 벌어지는 작용에 따른 링형태의 보존능력 저하를 유발하는 절개부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이음돌부는, 상기 뚜껑본체와 이어져 상기 뚜껑본체의 분리과정시 상기 절개부의 간극 벌어짐을 유발하기 위해, 상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절개부의 일단으로부터 시작해서 일정범위를 갖도록 길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뚜껑본체 하단과 이어지고, 상기 봉인돌부는, 상기 뚜껑본체와 이어지며 상기 뚜껑본체의 분리과정시 파단되는 작용에 따라 상기 뚜껑본체의 개봉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 봉인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 상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절개부의 타단에서 소정범위를 갖도록 짧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뚜껑본체 하단과 이어진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뚜껑본체의 분리과정에서 상기 뚜껑본체와 연결된 상기 이음돌부의 상승으로 간극이 벌어짐에 따라 상기 주입부 외둘레의 구속돌기에 의한 이음돌부의 구속력이 상실되도록 하는 형태변형을 유발하기 위해, 최상단으로부터 시작해서 최하단 근접위치까지 길게 절개되며, 일방향으로 경사도를 갖는 슬로프형을 이룬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주입부에 구비결합된 상태로 내용물의 보존을 위한 밀전과 더불어 개봉여부 파악의 봉인 기능을 제공하는 페트용기의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내용물 보전의 밀전을 위해 상기 주입부에 구비결합되는 뚜껑본체; 및, 상기 뚜껑본체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주입부의 외둘레 하측에 돌출된 환형돌기에 의해 구속되며, 상기 뚜껑본체 개봉여부 파악의 봉인기능을 나타내는 한편 사용자에 의한 상기 뚜껑본체의 분리과정에서 형태변형을 일으켜 상기 주입부로부터 상기 뚜껑본체와 함께 분리되는 엔드링;을 포함하되, 상기 엔드링은, 상기 뚜껑본체가 상기 주입부에 구비결합된 경우 상기 환형돌기에 구속되는 간섭돌기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뚜껑본체의 경계부위로부터 수평 및 수직으로 이어져 "
Figure PCTKR2019017152-appb-I000001
"형을 이루는 절개부의 형성에 따라, 상기 주입부로부터의 상기 뚜껑본체 분리과정시 상기 간섭돌기가 상기 환형돌기를 타고 넘을 수 있음이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변형을 일으키는 다수의 변형부가 마련되고, 상기 변형부의 상단에는, 상기 뚜껑본체의 하단과 일체로 이어지도록 돌출되는 한편 상기 뚜껑본체의 분리과정시 파단되며, 그 파단상태에 따른 상기 뚜껑본체의 개봉여부 파악이 가능토록 하는 봉인돌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섭돌기는, 상기 환형돌기에 구속될 수 있게 상기 변형부 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돌출선단이 상향된 경사도를 가지며, 상기 주입부로부터 상기 뚜껑본체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환형돌기에 의해 하향절곡되며, 그 하향절곡에 따른 상기 변형부의 형태변형을 유발하는 한편 상기 변형부의 형태변형시 상기 환형돌기를 타고 넘는 것이 가능케 된다.
더하여, 상기 간섭돌기는, 상기 주입부로부터 상기 뚜껑본체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변형부의 형태변형을 유발하고, 그 형태변형시 상기 환형돌기를 타고 넘는 것이 가능한 단순돌기의 형태를 이룬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주입부에 구비결합된 상태로 내용물의 보존을 위한 밀전과 더불어 개봉여부 파악의 봉인 기능을 제공하는 페트용기의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내용물 보전의 밀전을 위해 상기 주입부에 구비결합되는 뚜껑본체; 및, 상기 뚜껑본체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주입부의 외둘레 하측에 돌출된 환형돌기에 의해 구속되며, 상기 뚜껑본체 개봉여부 파악의 봉인기능을 나타내는 한편 사용자에 의한 상기 뚜껑본체의 분리과정에서 형태변형을 일으켜 상기 주입부로부터 상기 뚜껑본체와 함께 분리되는 엔드링;을 포함하되, 상기 뚜껑본체와 상기 엔드링은, 절개부에 의해 상호 분리구조를 이루고, 상기 뚜껑본체와 상기 엔드링의 경계부 내둘레에는, 상기 뚜껑본체와 상기 엔드링을 이어주는 한편 상기 뚜껑본체가 상기 주입부에 구비결합된 경우 상기 환형돌기에 구속되되 상기 페트용기로부터의 상기 뚜껑본체 분리과정시 상기 환형돌기를 타고 넘을 수 있게 형태변형을 일으키는 다수의 간섭돌기가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되고, 상기 뚜껑본체의 하단과 상기 엔드링의 상단을 이어주는 한편 상기 뚜껑본체의 분리과정시 파단되며 그 파단상태에 따른 상기 뚜껑본체의 개봉여부 파악이 가능토록 하는 봉인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섭돌기는, 양단이 상기 뚜껑본체의 하단부와 상기 엔드링의 상단부에 일체로 이어지고 상기 환형돌기에 구속될 수 있게 일측으로 절곡돌출됨에 따라 "
Figure PCTKR2019017152-appb-I000002
"형을 이루는 한편, 상기 주입부로부터 상기 뚜껑본체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환형돌기에 의해 펼쳐져, 상기 뚜껑본체와 상기 엔드링을 상호 이격시키고 그 상호 이격에 따른 상기 봉인돌부의 파단 및 상기 엔드링의 동시분리가 가능토록 상기 환형돌기의 간섭회피가 가능케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은, 페트용기의 주입부로부터 뚜껑본체(뚜껑)을 분리해내는 과정에서 그 뚜껑본체는 물론 상기 뚜껑 하측의 엔드링까지 동시에 분리될 수 있음으로써, 재활용성(재자원화)의 충족을 위한 단일소재로서 상기 페트용기의 회수가 가능케 되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뚜껑본체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페트용기의 주입부로부터 분리해내는 과정에서 상기 엔드링의 형태변형(링형태 보존능력 저하)을 유발하여 상기 주입부 외둘레에 형성된 환형돌기로부터 엔드링의 내둘레에 형성된 간섭돌기가 벗어날 수 있게 함을 통해, 엔드링을 주입부로부터 보다 손쉽고 용이하게 분리해내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술한 효과의 발휘로, 엔드링 분리의 사용자 니즈(needs)를 충족시켜줌은 물론 경쟁력있는 상품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함으로써 삶의 질을 높여주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한편, 버려지는 폐자원으로부터 자원을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폐자원 재순환산업에 관한 정책과 회수기술 확립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에 있어서, 엔드링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의 사용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에 있어서, 엔드링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의 사용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에 있어서, 간섭돌기의 다른 구성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분리시의 엔드링 변형관계를 나타낸 동작예시단면도.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작동상태단면도.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작동상태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에 있어서 엔드링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의 사용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A)은, 내용물의 보존을 위해 페트용기의 주입부에 구비결합되는 뚜껑본체(1)와, 상기 뚜껑본체(1)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주입부의 외둘레 하측에 형성된 환형돌기에 의해 구속되며 뚜껑본체(1) 개봉여부 파악의 봉인 기능을 나타내는 한편 사용자에 의한 상기 뚜껑본체(1)의 분리과정에서 형태변형을 이일으켜 뚜껑본체(1)와 함께 상기 페트용기의 주입부로부터 동시분리되는 엔드링(2)을 포함한다.
뚜껑본체(1)는, 페트용기에 담긴 내용물(식음료 등)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보전을 위하여 페트용기의 주입부에 구비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페트용기의 주입부 외둘레의 나선형 결속돌기에 대응되는 결착돌기(11)가 내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뚜껑본체(1)의 외둘레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널링부(knurling part, 12)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엔드링(2)은, 페트용기의 주입부에 구비결합된 상기 뚜껑본체(1)의 봉인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본체(1)가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에 구비결합될 때 그 주입부(910) 외둘레의 환형돌기(920)에 걸림되는 간섭돌기(21)가 내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뚜껑본체(1)의 하단 일부위와 일체로 이어지며 뚜껑본체(1)의 분리과정시 형태변형을 유발하는 이음돌부(22)와, 상기 뚜껑본체(1)의 하단 다른 일부위와 일체로 이어지되 뚜껑본체(1)의 분리과정시 파단(破斷, fracture)되며 그에 따른 상기 뚜껑본체(1)의 개봉여부 파악이 가능토록 하는 봉인돌부(23)가 형성된다.
더하여, 최상단으로부터 시작해서 최하단과 근접하도록 길게 절개됨과 동시에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기 뚜껑본체(1)의 분리과정시 그 뚜껑본체(1)과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이음돌부(22)에 의해 간극이 벌어지는 작용에 따른 링형태의 보존능력 저하를 유발하는 절개부(24)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다.
상기 이음돌부(22)는, 뚜껑본체(1)와 이어져 상기 뚜껑본체(1)의 분리과정시 절개부(24)의 간극 벌어짐을 유발하는바, 상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절개부(24)의 일단으로부터 시작해서 일정범위를 갖도록 길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뚜껑본체(1) 하단과 이어진다.
상기 봉인돌부(23)는, 뚜껑본체(1)와 이어지며 상기 뚜껑본체(1)의 분리과정시 파단되는 작용에 따라 뚜껑본체(1)의 개봉여부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 봉인 기능을 나타는바, 상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절개부(24)의 타단에서 소정범위를 갖도록 짧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뚜껑본체(1) 하단과 이어진다.
상기 절개부(24)는, 뚜껑본체(1)의 분리과정에서 그 뚜껑본체(1)와 연결된 상기 이음돌부(22)의 상승으로 간극이 벌어짐에 따라 상기 주입부(910) 외둘레의 환형돌기(920)에 의한 상기 이음돌부(22)의 구속력이 상실되도록 하는 형태변형(링형태의 보존능력 저하)을 유발하는바, 최상단으로부터 시작해서 최하단 근접위치까지 길게 절개되어 있으며, 일방향으로 경사도를 갖는 슬로프형(slope type)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에 있어서 엔드링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의 사용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A-1)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의 보존을 위해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에 구비결합되는 뚜껑본체(1)와, 상기 뚜껑본체(1)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주입부(910)의 외둘레 하측에 돌출된 환형돌기(920)에 의해 구속되며 뚜껑본체(1) 개봉여부 파악의 봉인기능을 나타내는 한편 사용자에 의한 상기 뚜껑본체(1)의 분리과정에서 형태변형을 일으켜 상기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로부터 뚜껑본체(1)와 함께 분리되는 엔드링(2)을 포함한다.
뚜껑본체(1)는, 상기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에 구비결합된 상태로 페트용기(900)에 담긴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 외둘레에 나선형으로 돌출된 결속돌기(930)에 대응하는 결착돌기(11)가 내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뚜껑본체(1)의 외둘레에는, 도 8 및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결착돌기(11)가 내둘레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널링부(12)가 외둘레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엔드링(2)은,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에 구비결합된 상기 뚜껑본체(1)의 봉인기능구현을 위한 것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본체(1)가 상기 주입부(910)에 구비결합된 경우 주입부(910)의 외둘레에 돌출된 상기 환형돌기(920)에 구속되는 간섭돌기(21-1)를 포함하는 한편 절개부(24-1) 형성에 따라 상기 페트용기(900)로부터의 뚜껑본체(1) 분리과정시 상기 간섭돌기(21-1)가 상기 환형돌기(920)를 타고 넘을 수 있음이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변형을 일으키는 다수의 변형부(25)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변형부(25)의 상단에는, 상기 뚜껑본체(1) 하단과 일체로 이어지도록 돌출되는 한편 뚜껑본체(1)의 분리과정시 파단되며, 그 파단상태에 따른 상기 뚜껑본체(1)의 개봉여부 파악이 가능토록 하는 봉인돌부(23-1)가 형성된다.
상기 간섭돌기(21-1)는,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 외둘레에 돌출된 상기 환형돌기(920)에 구속될 수 있게 상기 변형부(25) 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돌출선단이 상향된 경사도를 갖는 바, 상기 주입부(910)로부터 뚜껑본체(1)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환형돌기(920)에 의해 하향절곡되며 그에 따른 변형부(25)의 형태변형을 유발하는 한편 상기 변형부(25)의 형태변형시 상기 환형돌기(920)를 타고 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절개부(24-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본체(1)의 경계부위(도면상 최상단)로부터 수평 및 수직으로 이어져 "
Figure PCTKR2019017152-appb-I000003
"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에 있어서 간섭돌기의 다른 구성관계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제2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에 있어서 다른 구성관계를 나타내는 간섭돌기(21-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본체(1)의 분리과정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변형부(25)의 형태변형을 유발하고 그 형태변형시 상기 환형돌기(920)를 타고 넘음이 가능한 단순돌기의 형태일 수 있다.
다른 한편, 첨부도면 중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A-2)은, 도 12 및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용물의 보존을 위해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에 구비결합되는 뚜껑본체(1)와, 상기 뚜껑본체(1)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주입부(910)의 외둘레 하측에 돌출된 환형돌기(920)에 의해 구속되며 뚜껑본체(1) 개봉여부 파악의 봉인기능을 나타내는 한편 사용자에 의한 상기 뚜껑본체(1)의 분리과정에서 형태변형을 일으켜 상기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로부터 뚜껑본체(1)와 함께 분리되는 엔드링(2)을 포함하되, 상기 뚜껑본체(1)와 엔드링(2)은 절개부(24-2)에 의해 상호 분리구조를 이룬다.
상기 뚜껑본체(1)에는, 도 12 및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결착돌기(11)가 내둘레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널링부(12)가 외둘레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24-2)에 의해 상호 분리구조를 이룬 뚜껑본체(1)와 엔드링(2)의 경계부 내둘레에는, 그들(뚜껑본체와 엔드링)을 이어주는 한편 상기 뚜껑본체(1)가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에 구비결합된 경우 상기 주입부(910)의 외둘레에 돌출된 환형돌기(920)에 구속되되 상기 페트용기(900)로부터의 뚜껑본체(1) 분리과정시 상기 환형돌기(920)를 타고 넘을 수 있게 형태변형을 일으키는 다수의 간섭돌기(21-3)가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되어 있고, 상기 뚜껑본체(1)의 하단과 엔드링(2)의 상단을 이어주는 한편 뚜껑본체(1)의 분리과정시 파단되며, 그 파단상태에 따른 상기 뚜껑본체(1)의 개봉여부 파악이 가능토록 하는 봉인돌부(2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섭돌기(21-3)는, 양단이 상기 뚜껑본체(1)의 하단부와 엔드링(2)의 상단부에 일체로 이어지고 상기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 외둘레에 돌출된 상기 환형돌기(920)에 구속될 수 있게 일측으로 절곡돌출됨에 따라 "
Figure PCTKR2019017152-appb-I000004
"형을 이루는 바, 상기 주입부(910)로부터 뚜껑본체(1)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환형돌기(920)에 의해 펼쳐져 뚜껑본체(1)와 엔드링(2)을 상호 이격시키고 그에 따른 상기 봉인돌부(23-2)의 파단 및 상기 엔드링(2)의 동시분리가 가능토록 상기 환형돌기(920)의 간섭회피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뚜껑(A)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분리시의 엔드링 변형관계를 나타낸 동작예시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A)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에 구비결합된 상태로, 상기 페트용기(900) 내부에 담긴 내용물(식음료 등)의 보존을 위해 상기 주입부(910)를 밀봉·밀전함과 아울러 개봉여부 파악의 봉인 가능을 제공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뚜껑(A)을 주입부(910)로부터 분리해내는 것으로 상기 페트용기(900)에 담긴 내용물을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바, 상술한 바와 같은 뚜껑(A)의 분리과정에서 뚜껑본체(1)의 하측에 연결된 엔드링(2)이 상기 뚜껑본체(1)와 함께 분리되도록 함을 통해 페트용기(90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에 구비결합된 상기 뚜껑본체(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뚜껑본체(1)가 상기 주입부(910)를 따라 상승되도록 하고 그 과정의 연속으로 페드용기(900)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함을 통해 주입부(910)의 개방을 이룰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페트용기(900)에 담긴 식음료를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뚜껑본체(1)의 하측에 일체로 구성된 상기 엔드링(2)이 상기 뚜껑본체(1)와 함께 상기 주입부(910)로부터 분리(제거)되는 것에 의거, 단일소재의 페트용기(900)로 회수가 가능한 것이며, 이로써 재활용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입부(910)의 개봉을 위해 그 주입부(910)에 구비결합된 상기 뚜껑본체(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뚜껑본체(1) 내둘레에 형성된 결착돌기(11)가 상기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 외둘레에 형성된 결속돌기(930)를 타고 도는 작용으로 상기 뚜껑본체(1)가 상기 주입부(910)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과정을 연속에 따라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이때, 상기 주입부(910) 외둘레의 환형돌기(920)에 엔드링(2) 내둘레의 간섭돌기(21)가 걸림상태(도 16 참조)인 것에 따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국 뚜껑본체(1)와 엔드링(2)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는 현상이 유발되는 것이며, 그러한 과정에서 상기 엔드링(2)의 상단에 형성되어 뚜껑본체(1)의 하단으로 이어진 봉인돌부(23)가 인장력(引張力, tension)에 의해 파단되고 또한 상기 엔드링(2)의 다른 상단에 형성되어 뚜껑본체(1)의 다른 하단으로 이어진 이음돌부(22)에 의해 상기 절개부(24)를 기준으로 상기 이음돌부(22)가 형성된 엔드링(2)의 일부위가 상측으로 들리게 되어 절개부(24)의 간극이 벌어지는 형태변형의 작용이 유발되는 것이며, 이러한 엔드링(2)의 형태변형에 따른 형태보존 능력(링형태의 보존능력 저하)의 상실로 인하여,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드링(2) 내둘레의 간섭돌기(21)가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 외둘레의 환형돌기(920)를 타고 넘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드링(2)이 주입부(910)를 완전히 벗어나게 되고 상기 뚜껑본체(1)와 함께 엔드링(2)이 페트용기(900)로부터 동시에 분리되는 것이 가능케 된다.
이로써, 단일소재로 분리된 페트용기(900)의 회수 및 그에 따른 재활용성이 극대화를 도모하기 위한, 상기 뚜껑본체(1) 및 그 뚜껑본체(1)의 부속인 엔드링(2) 모두의 분리가 가능하다(도 15 참조).
그리고,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작동상태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뚜껑(A-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A-1)은,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에 구비결합(도 10 참조)된 상태로, 상기 페트용기(900) 내부에 담긴 내용물(식음료 등)의 보존을 위해 상기 주입부(910)를 밀봉·밀전함과 아울러 개봉여부 파악의 봉인 가능을 제공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뚜껑(A-1)을 주입부(910)로부터 분리해내는 것으로 상기 페트용기(900)에 담긴 내용물을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바, 상술한 바와 같은 뚜껑(A-1)의 분리과정에서 뚜껑본체(1)의 하측에 연결된 엔드링(2)이 상기 뚜껑본체(1)와 함께 분리되도록 함을 통해 페트용기(90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에 구비결합된 상기 뚜껑본체(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뚜껑본체(1)가 상기 주입부(910)를 따라 상승되도록 하고 그 과정(회전)의 연속으로 페트용기(900)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함을 통해 주입부(910)의 개방을 이룰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페트용기(900)에 담긴 식음료를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뚜껑본체(1)의 하측에 일체로 구성된 상기 엔드링(2)이 상기 뚜껑본체(1)와 함께 상기 주입부(910)로부터 분리(제거)되는 것에 의거, 단일소재의 페트용기(900)로 회수가 가능한 것이며, 이로써 재활용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입부(910)의 개봉을 위하여 그 주입부(910)에 구비결합된 상기 뚜껑본체(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뚜껑본체(1) 내둘레에 형성된 결착돌기(11)가 상기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 외둘레에 형성된 결속돌기(930)를 타고 도는 작용으로 상기 뚜껑본체(1)가 상기 주입부(910)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과정의 연속에 따라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즉,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부(910) 외둘레에 돌출된 환형돌기(920)에 구속되어 있던 상기 엔드링(2) 간섭돌기(21-1)의 돌출선단이 상기 환형돌기(920)의 간섭으로 하측으로 절곡되고, 그에 따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간섭돌기(21-1)의 돌출선단이 하측으로 절곡되는 과정에 따라 상기 변형부(25)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변형에 따른 형태보존 능력(링형태의 보존능력 저하)의 상실로, 상기 엔드링(2)의 상단에 형성되어 뚜껑본체(1)의 하단으로 이어진 봉인돌부(23-1)가 인장력에 의해 파단되고 또한 그 과정의 연속시 상기 간섭돌기(21-1)가 완전히 하향 절곡되는 것에 따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드링(2) 내둘레의 간섭돌기(21-1)가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 외둘레에 돌출된 환형돌기(920)를 타고 넘을 수 있게 되고, 그로써,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드링(2)이 뚜껑본체(1)를 따라서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로부터 동시에 분리되는 것이 가능케 된다.
이로써, 단일소재로 분리된 페트용기(900)의 회수 및 그에 따른 재활용성이 극대화를 도모하기 위한, 상기 뚜껑본체(1) 및 그 뚜껑본체(1)의 부속인 엔드링(2) 모두의 분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작동상태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엔드링 동시분리형 뚜껑(A-2)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부(910)의 개봉을 위해 그 주입부(910)에 구비결합된 상기 뚜껑(A-2)의 뚜껑본체(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부(910) 외둘레에 돌출된 환형돌기(920)에 구속되어 있던 상기 엔드링(2) 간섭돌기(21-3)가 상기 환형돌기(920)의 간섭으로 완전히 펼쳐지게 되고, 그에 따라 뚜껑본체(1)와 엔드링(2)이 상호 이격됨으로써 상기 엔드링(2)의 상단에 형성되어 뚜껑본체(1)의 하단으로 이어진 봉인돌부(23-2)가 인장력에 의해 파단되고 또한 상기 간섭돌기(21-3)가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 외둘레에 돌출된 환형돌기(920)를 타고 넘을 수 있게 되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드링(2)이 뚜껑본체(1)를 따라서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로부터 동시에 분리되는 것이 가능케 된다.
정리하여, 본 발명의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A)(A-1)(A-2)에 의하면,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로부터 상기 뚜껑본체(1)를 분리해내는 과정에서 그 뚜껑본체(1)는 물론 상기 엔드링(2)까지 동시에 분리될 수 있음에 따라, 재활용성(재자원화)의 충족을 위한 단일소재로서 상기 페트용기(900)의 회수가 가능케 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뚜껑본체(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페트용기(900)의 주입부(910)로부터 분리해내는 과정에서 상기 절개부(24)의 간극 벌어지도록 하고 그에 따라 엔드링(2)의 형태변형(링형태 보존능력 저하)을 유발, 상기 주입부(910) 외둘레의 환형돌기(920)로부터 간섭돌기(21)(21-1)(21-2)(21-3)가 벗어날 수 있도록 함을 통해, 상기한 엔드링(2)을 주입부(910)로부터 보다 손쉽고 용이하게 분리해내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버려지는 폐자원으로부터 자원을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폐자원 재순환산업에 있어, 페트용기의 주입부로부터 뚜껑본체(뚜껑)을 분리해내는 과정에서 그 뚜껑본체는 물론 상기 뚜껑 하측의 엔드링까지 동시에 분리됨에 따른 재활용성의 충족을 위한 단일소재로서 상기 페트용기의 회수가 가능하다.

Claims (11)

  1. 주입구에 구비결합된 상태로 내용물의 보존을 위한 밀전과 더불어 개봉여부 파악의 봉인 기능을 제공하는 페트용기의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내용물 보존의 밀전을 위해 상기 주입구에 구비결합되는 뚜껑본체; 및,
    상기 뚜껑본체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의 외둘레 하측에 형성된 환형돌기에 의해 구속되며, 상기 뚜껑본체 개봉여부 파악의 봉인 기능을 나타내는 한편 사용자에 의한 상기 뚜껑본체의 분리과정에서 형태변형을 일으켜 상기 뚜껑본체와 함께 상기 주입구로부터 동시분리되는 엔드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는, 상기 주입구 외둘레에 형성된 나선형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나선돌기가 내둘레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널링부가 외둘레에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링은, 상기 뚜껑본체가 상기 주입구에 구비결합될 때 상기 주입구의 구속돌기에 걸림되는 간섭돌기가 내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뚜껑본체의 하단 일부위와 일체로 이어지며, 상기 뚜껑본체의 분리과정시 형태변형을 유발하는 이음돌부와,
    상기 뚜껑본체의 하단 다른 일부위와 일체로 이어지되, 상기 뚜껑본체의 분리과정시 파단되며 그에 따른 상기 뚜껑본체의 개봉여부를 파악이 가능토록 하는 봉인돌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링에는, 최상단으로부터 시작해서 최하단과 근접하도록 길게 절개됨과 동시에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기 뚜껑본체의 분리과정시 상기 뚜껑본체과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이음돌부에 의해 간극이 벌어지는 작용에 따른 링형태의 보존능력 저하를 유발하는 절개부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돌부는, 상기 뚜껑본체와 이어져 상기 뚜껑본체의 분리과정시 상기 절개부의 간극 벌어짐을 유발하기 위해, 상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절개부의 일단으로부터 시작해서 일정범위를 갖도록 길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뚜껑본체 하단과 이어지고,
    상기 봉인돌부는, 상기 뚜껑본체와 이어지며 상기 뚜껑본체의 분리과정시 파단되는 작용에 따라 상기 뚜껑본체의 개봉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 봉인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 상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절개부의 타단에서 소정범위를 갖도록 짧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뚜껑본체 하단과 이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뚜껑본체의 분리과정에서 상기 뚜껑본체와 연결된 상기 이음돌부의 상승으로 간극이 벌어짐에 따라 상기 주입부 외둘레의 구속돌기에 의한 이음돌부의 구속력이 상실되도록 하는 형태변형을 유발하기 위해, 최상단으로부터 시작해서 최하단 근접위치까지 길게 절개되며, 일방향으로 경사도를 갖는 슬로프형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7. 주입부에 구비결합된 상태로 내용물의 보존을 위한 밀전과 더불어 개봉여부 파악의 봉인 기능을 제공하는 페트용기의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내용물 보전의 밀전을 위해 상기 주입부에 구비결합되는 뚜껑본체; 및, 상기 뚜껑본체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주입부의 외둘레 하측에 돌출된 환형돌기에 의해 구속되며, 상기 뚜껑본체 개봉여부 파악의 봉인기능을 나타내는 한편 사용자에 의한 상기 뚜껑본체의 분리과정에서 형태변형을 일으켜 상기 주입부로부터 상기 뚜껑본체와 함께 분리되는 엔드링;을 포함하되,
    상기 엔드링은, 상기 뚜껑본체가 상기 주입부에 구비결합된 경우 상기 환형돌기에 구속되는 간섭돌기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뚜껑본체의 경계부위로부터 수평 및 수직으로 이어져 "
    Figure PCTKR2019017152-appb-I000005
    "형을 이루는 절개부의 형성에 따라, 상기 주입부로부터의 상기 뚜껑본체 분리과정시 상기 간섭돌기가 상기 환형돌기를 타고 넘을 수 있음이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변형을 일으키는 다수의 변형부가 마련되고, 상기 변형부의 상단에는, 상기 뚜껑본체의 하단과 일체로 이어지도록 돌출되는 한편 상기 뚜껑본체의 분리과정시 파단되며, 그 파단상태에 따른 상기 뚜껑본체의 개봉여부 파악이 가능토록 하는 봉인돌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돌기는, 상기 환형돌기에 구속될 수 있게 상기 변형부 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돌출선단이 상향된 경사도를 가지며,
    상기 주입부로부터 상기 뚜껑본체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환형돌기에 의해 하향절곡되며, 그 하향절곡에 따른 상기 변형부의 형태변형을 유발하는 한편 상기 변형부의 형태변형시 상기 환형돌기를 타고 넘는 것이 가능케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돌기는, 상기 주입부로부터 상기 뚜껑본체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변형부의 형태변형을 유발하고, 그 형태변형시 상기 환형돌기를 타고 넘는 것이 가능한 단순돌기의 형태를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10. 주입부에 구비결합된 상태로 내용물의 보존을 위한 밀전과 더불어 개봉여부 파악의 봉인 기능을 제공하는 페트용기의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내용물 보전의 밀전을 위해 상기 주입부에 구비결합되는 뚜껑본체; 및, 상기 뚜껑본체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주입부의 외둘레 하측에 돌출된 환형돌기에 의해 구속되며, 상기 뚜껑본체 개봉여부 파악의 봉인기능을 나타내는 한편 사용자에 의한 상기 뚜껑본체의 분리과정에서 형태변형을 일으켜 상기 주입부로부터 상기 뚜껑본체와 함께 분리되는 엔드링;을 포함하되, 상기 뚜껑본체와 상기 엔드링은, 절개부에 의해 상호 분리구조를 이루고,
    상기 뚜껑본체와 상기 엔드링의 경계부 내둘레에는, 상기 뚜껑본체와 상기 엔드링을 이어주는 한편 상기 뚜껑본체가 상기 주입부에 구비결합된 경우 상기 환형돌기에 구속되되 상기 페트용기로부터의 상기 뚜껑본체 분리과정시 상기 환형돌기를 타고 넘을 수 있게 형태변형을 일으키는 다수의 간섭돌기가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되고, 상기 뚜껑본체의 하단과 상기 엔드링의 상단을 이어주는 한편 상기 뚜껑본체의 분리과정시 파단되며 그 파단상태에 따른 상기 뚜껑본체의 개봉여부 파악이 가능토록 하는 봉인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돌기는, 양단이 상기 뚜껑본체의 하단부와 상기 엔드링의 상단부에 일체로 이어지고 상기 환형돌기에 구속될 수 있게 일측으로 절곡돌출됨에 따라 "
    Figure PCTKR2019017152-appb-I000006
    "형을 이루는 한편,
    상기 주입부로부터 상기 뚜껑본체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환형돌기에 의해 펼쳐져, 상기 뚜껑본체와 상기 엔드링을 상호 이격시키고 그 상호 이격에 따른 상기 봉인돌부의 파단 및 상기 엔드링의 동시분리가 가능토록 상기 환형돌기의 간섭회피가 가능케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PCT/KR2019/017152 2019-06-26 2019-12-06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WO2020262778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92291.2A CN113453992A (zh) 2019-06-26 2019-12-06 端环同时分离型聚对苯二甲酸乙二醇酯容器盖子
EP19935378.0A EP4005944A1 (en) 2019-06-26 2019-12-06 Pet container cap with simultaneously separable end ring
US17/439,593 US20220153467A1 (en) 2019-06-26 2019-12-06 Pet container cap with simultaneously separable end ring
JP2021552688A JP2022538951A (ja) 2019-06-26 2019-12-06 エンドリング同時分離型ペット容器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208 2019-06-26
KR1020190076208A KR102177073B1 (ko) 2019-06-26 2019-06-26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KR10-2019-0155948 2019-11-28
KR1020190155948A KR102177076B1 (ko) 2019-11-28 2019-11-28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62778A1 true WO2020262778A1 (ko) 2020-12-30

Family

ID=74059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7152 WO2020262778A1 (ko) 2019-06-26 2019-12-06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53467A1 (ko)
EP (1) EP4005944A1 (ko)
JP (1) JP2022538951A (ko)
CN (1) CN113453992A (ko)
WO (1) WO202026277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6482A (en) * 1987-03-27 1988-02-23 Owens-Illinois Closure Inc. Tamper indicating package and molded plastic closure therefor
JPH06336255A (ja) * 1993-05-28 1994-12-06 San Besuto:Kk ダンパー・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US6102224A (en) * 1997-12-17 2000-08-15 Pepsico. Aroma release bottle and cap
JP2002037288A (ja) * 2000-07-31 2002-02-06 Daiwa Can Co Ltd 開封認知部材付き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2003200951A (ja) * 2001-10-31 2003-07-15 Masao Horiie 容器のキャップ
KR20120101626A (ko) 2009-06-25 2012-09-14 유키 후루노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1637B2 (ja) * 1993-07-19 2000-06-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キャップ
ATE179135T1 (de) * 1994-06-24 1999-05-15 Crown Cork Ag Schraubkappe mit garantieband
JP4435924B2 (ja) * 2000-01-28 2010-03-24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タンパーエビデント特性を備えた合成樹脂製容器蓋
AU2002351976A1 (en) * 2002-04-05 2003-10-20 Plamatec Ag Container screw-closure cap
CN202295663U (zh) * 2011-09-14 2012-07-04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盖子及容器
JP5942538B2 (ja) * 2012-03-29 2016-06-29 凸版印刷株式会社 キャップ
JP2017119538A (ja) * 2015-12-28 2017-07-06 美智也 川▲崎▼ 蓋の保持と不正開栓防止リングを外せるペットボトル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6482A (en) * 1987-03-27 1988-02-23 Owens-Illinois Closure Inc. Tamper indicating package and molded plastic closure therefor
JPH06336255A (ja) * 1993-05-28 1994-12-06 San Besuto:Kk ダンパー・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US6102224A (en) * 1997-12-17 2000-08-15 Pepsico. Aroma release bottle and cap
JP2002037288A (ja) * 2000-07-31 2002-02-06 Daiwa Can Co Ltd 開封認知部材付き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2003200951A (ja) * 2001-10-31 2003-07-15 Masao Horiie 容器のキャップ
KR20120101626A (ko) 2009-06-25 2012-09-14 유키 후루노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38951A (ja) 2022-09-07
CN113453992A (zh) 2021-09-28
US20220153467A1 (en) 2022-05-19
EP4005944A1 (en) 202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11052A1 (ko) 분리수거가 용이한 용기 마개
WO2018088723A1 (ko) 다목적 친환경캡
WO2021015472A1 (ko) 분리 배출이 용이한 페트병의 라벨
CA2266118C (en) Valved bottle cap
EP3604163B1 (en) Cap for a drink bottle or similar recipient
WO2022030979A1 (ko) 페트용기 뚜껑
CA2037728E (en) Resealable bottle cap with push-pull closure
WO2013119088A2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US7445130B2 (en) Closure cap
CN1262660A (zh) 一种可重新封闭的封盖
WO2020262778A1 (ko)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US20100294083A1 (en) Tool for removing a pour spout from a bottle
KR102177076B1 (ko)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CN1100058A (zh) 瓶子及其类似物的密封盖
KR102177073B1 (ko)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US4199071A (en) Closure with improved pull tab
WO2022186587A1 (ko) 재활용 합성수지병
WO2020111600A1 (ko) 이중 캔
WO2023214789A1 (ko)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조립체
JP3748604B2 (ja) 分別廃棄容易な合成樹脂製容器蓋
CN113993791A (zh) 无箔盖
WO2014208788A1 (ko) 마개의 개봉 표시용 탭
WO2010107181A2 (ko) 용기
WO2010107280A2 (ko) 용기
CN216888052U (zh) 一种用于酒瓶的防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353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5268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9353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