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1626A -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용기 - Google Patents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1626A
KR20120101626A KR1020127001468A KR20127001468A KR20120101626A KR 20120101626 A KR20120101626 A KR 20120101626A KR 1020127001468 A KR1020127001468 A KR 1020127001468A KR 20127001468 A KR20127001468 A KR 20127001468A KR 20120101626 A KR20120101626 A KR 20120101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ring
ring
bottle cap
bottle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1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후루노
Original Assignee
유키 후루노
사노 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키 후루노, 사노 도루 filed Critical 유키 후루노
Publication of KR20120101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1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53Means facilitating removal of the closure, e.g. cams,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1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5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especially suited for or with means facilitating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페트 병 등의 병 뚜껑의 뚜껑 열림시에, 병 본체측에 남는 엔드링을 병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한다. 병 본체(1)에 남는 엔드링(25)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체(250)는, 일부 범위에서 돌출체(250)를 형성하지 않은 상태의 유도용 돌출체 비설치부(255)에 의해 분단되고, 한편 링 멈춤 상부 플랜지(15)는 그 일부에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151)를 형성하며, 유도용 돌출체 비설치부(255)와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151)를 서로 인접 배치한 제거 개시 정점 설정 상태로 함으로써, 엔드링에 대한 링 멈춤 상부 플랜지(15)에 의한 규제를 일부 범위에서 해제한 유효 유도 존(Z)을 확보하고, 이 부위에서 엔드링(25)에 대해 그 제거 개시에 있어서의 분리 유도 경사 자세를 현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용기{Structure for removing end-ring of resin bottle cap, and container provid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페트 병 등의 병 뚜껑의 뚜껑 열림시에, 병 본체측에 남는 엔드링을 병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료 용기로서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를 주요 재료로 하는 이른바 페트(PET) 병이 보급되어 있다. 이 페트 병을 회수하여 재자원화함에 있어서는 가능한 한 단일 소재로서 회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회 계발의 성과로부터 적어도 이종 재료인 뚜껑 본체나 랩 필름에 대해서는 용이하게 제거할 수도 있어 분리된 상태로 회수에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뚜껑에는 뚜껑이 열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병 본체측에 남는 엔드링이 약화부(弱化部)를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고, 이 부재에 대해서는 그 분리가 매우 귀찮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엔드링을 부착한 채로 병 본체가 회수되어 있는 것이 현상이었다. 이러한 현상을 고려하여 이 엔드링의 제거를 행하기 쉽게 하는 수공구의 제안이나, 뚜껑과 병 본체의 상호의 구조를 연구한 제안 등이 이루어져 있다. 이 중에서 수공구에 대해서는 일반 가정에 수공구를 준비시킬 때까지의 의식을 요구하는 것은 현실성이 없어 보급에는 이르지 못한다. 또한, 용기 자체의 구성에 대해서도 현재 제품의 양산 태세를 유지할 수 있는 현실적인 개량은 대부분은 제안되어 있지 않아 실제 시장에도 등장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선행기술로서는, 일본공개특허 2006-232392「뚜껑 둘레형상 밴드를 병 입구부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뚜껑 부착 병형 수지 용기」를 들 수 있다. 이는 기술적 착안으로서, 상기 엔드링(뚜껑 둘레형상 밴드)의 빠짐 방지 규제를 하고 있는 링 멈춤 상부 플랜지(병 입구부 둘레방향 돌기(8))를 일부 슬로프 형상으로 잘라내고, 또한 엔드링을 수납하는 부위에 이 슬로프 형상의 잘림부에 엔드링의 돌출 플랩(돌출편(7))을 유도하는 돌기(13)를 형성하며 엔드링을 회전시킴으로써, 이 잘림부를 개시점으로서 엔드링을 링 멈춤 상부 플랜지로부터 벗어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엔드링이 상하의 링 멈춤 플랜지에 끼워져 전체적인 변형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잘림부에 유도되는 충분한 변형 상태는 얻을 수 없거나 또는 그 상태를 현출시킨다고 하면, 이른바 괴력이라고도 해야 할 조작력을 필요로 하고, 결과적으로 목적은 달성할 수 없다.
특허문헌 1: 일본특개 2006-232392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엔드링의 분리를 행함에 있어서 엔드링 자체의 변형을 전제로 하지 않고, 단지 엔드링의 자세를 기울이도록 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확실히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신규의 엔드링의 제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용기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는, 병 본체의 뚜껑 닫음부에 장착되는 병 뚜껑에 부설되고, 뚜껑 열림시에 뚜껑 본체로부터 잘려떨어져 병 본체에서의 링 멈춤 상부 플랜지 하방에 남는 엔드링을 병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엔드링은 그 내주측에 링 멈춤 상부 플랜지의 하방에 남기 위한 빠짐 방지용 돌출체를 구비하고, 또한 돌출체는 일부 범위에서 돌출체를 형성하지 않은 상태의 유도용 돌출체 비설치부에 의해 분단되도록 구성되며, 한편 상기 링 멈춤 상부 플랜지는 그 일부에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유도용 돌출체 비설치부와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를 서로 인접 배치한 제거 개시 정점(定點) 설정 상태로 함으로써, 엔드링에 대한 링 멈춤 상부 플랜지에 의한 규제를 일부 범위에서 해제한 유효 유도 존을 확보하고, 이 부위에서 엔드링에 대해 그 제거 개시에 있어서의 분리 유도 경사 자세를 현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는,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요건에 덧붙여, 상기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잘린 끝면은, 그 중 적어도 조작 방향 측에서의 잘린 끝면이 제거 조작 방향 측으로 향하여 유도 경사면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는,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요건에 덧붙여, 상기 제거 조작 방향은 병 뚜껑의 이완 방향과 반대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는, 상기 청구항 1, 2 또는 3에 기재된 요건에 덧붙여, 상기 유효 유도 존은, 병 뚜껑 닫음부의 둘레방향 범위에서 50°~100°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는, 상기 청구항 1, 2, 3 또는 4에 기재된 요건에 덧붙여, 상기 유도용 돌출체 비설치부의 치수인 돌출체 비설치부 치수는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의 치수인 잘림부 치수와 같거나 또는 그것보다 짧은 치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는, 상기 청구항 1, 2, 3, 4 또는 5에 기재된 요건에 덧붙여, 상기 엔드링과 병 본체의 사이에는 제거 개시 정점 설정 상태를 현출시키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는, 상기 청구항 6에 기재된 요건에 덧붙여, 상기 인디케이터는 링 멈춤 상부 플랜지의 하방에 설치되는 링 멈춤 하부 플랜지의 일부를 잘라내어 맞춤 오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엔드링에도 대응하는 맞춤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는, 상기 청구항 1, 2, 3, 4, 5, 6 또는 7에 기재된 요건에 덧붙여, 상기 병 뚜껑을 상기 병 본체에 제조시에 초기 폐전(閉栓)함에 있어서, 초기 폐전시에서의 병 뚜껑과 일체의 엔드링의 정지 위치는 엔드링측 인디케이터가 용기측 인디케이터보다 병 뚜껑의 이완 측으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를 구비한 용기는, 상기 청구항 1~8에 기재된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청구항 1O에 기재된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를 구비한 용기는, 상기 청구항 9에 기재된 요건에 덧붙여, 상기 용기에는 엔드링을 제거하기 위한 조작 설명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우선,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엔드링을 제거 개시 정점 설정 상태로 하면, 그 때만 제거 조작을 위한 유효 유도 존이 충분히 확보되고, 엔드링에 대해 분리 유도 경사 자세를 확실히 현출시킬 수 있어 엔드링의 용이하고 확실한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뚜껑을 열기 전의 단계에서는, 유도용 돌출체 비설치부와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를 인접시키지 않고 제거 개시 정점 설정 상태로 하지 않으면, 엔드링과 링 멈춤 상부 플랜지의 규제에 관해서는 서로 비규제 범위가 분산되고, 결과적으로 엔드링은 분리 유도 경사 자세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종래와 마찬가지로 엔드링이 유지된 상태이고, 제조시에 뚜껑을 닫는 공정 및 소비자가 뚜껑을 여는 경우에서도 엔드링의 제거 구조의 존재가 결함을 가져오지 않는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분리 유도 경사 자세를 현출시킨 후, 엔드링에 거의 변형을 주지 않아도 분리 개시 동작이 가능함과 동시에, 부드러운 엔드링의 회전이 가능하여 엔드링의 제거 조작이 용이하게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뚜껑 본체를 여는 동작에 따라 엔드링도 벗어나 버리는 현상의 발생을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유효 유도 존은 병 뚜껑 닫음부 전체둘레의 거의 1/4 정도의 범위이기 때문에, 뚜껑 본체의 개전(開栓)시에 엔드링을 분리하는 데에 충분한 회전 범위를 확보할 수 있고, 그 결과 엔드링이 벗어나 버리는 현상의 발생을 회피하면서 개전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와 유도용 돌출체 비설치부 각각의 치수 설정에 의해 실용상 충분한 유효 유도 존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엔드링을 분리함에 있어서 인디케이터의 적절한 마크를 맞춤으로써, 용이하게 유도용 돌출체 비설치부와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를 서로 인접 배치한 제거 개시 정점 설정 상태로 할 수 있고, 엔드링의 제거 동작이 용이하게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인디케이터는 홈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인디케이터에 의한 지시가 보다 명확화되고, 또한 손으로 더듬는 상태로도 조작을 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시각장해가 있는 사람도 확실히 조작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이른바 유니버설 디자인 대응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병 뚜껑의 초기 개전시에 엔드링이 부주의하게 벗어나 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각 엔드링의 제거 구조를 구비한 용기가 제공되고, 용기로서의 기능이 향상되어 이른바 에콜로지컬한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청구항 1O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엔드링의 제거 수법이 병 측에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 소비자에 대해 페트 병 등의 회수시에 엔드링의 제거를 적극적으로 촉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용기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용기의 뚜껑 닫음부를 확대하고, 병 본체에 엔드링이 들어간 상태와 이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종단 측면도로서, 병 본체에 대해 병 뚜껑을 끼운 상태와 분리한 상태를 함께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엔드 뚜껑과 병 본체와 엔드링의 걸림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병 본체로부터 엔드링을 분리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병 본체에서의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병 본체와 엔드링의 분리에 있어서의 위치맞춤을 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8은 용기에서의 엔드링의 분리를 위한 조작 설명 표시를 부설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형태는, 이하 서술하는 실시예를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함과 동시에, 또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내에서 개변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하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부호 C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용기로서, 이는 크게 나누면 병 본체(1)와 병 뚜껑(2)에 의해 구성되고, 또 양자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병 뚜껑(2)으로부터 분리되는 엔드링(25)의 분리 조작의 단서가 되는 인디케이터(3)가 설치되어 있다. 병 본체(1)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를 주요 재료로 한 예를 들면 투명한 페트 병이라고 불리는 수지 용기로서, 이것에는 별도 랩(10)이 몸통부(11)에 대해 감겨지도록 장착된다. 또, 이 랩(10) 및 병 뚜껑(2)은 병 본체를 구성하는 수지 소재와는 통상 별종의 것이 적용되어, 병 본체(1)를 회수함에 있어서 이들은 제거되어 회수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우선, 병 본체(1)에 대해 더 설명한다. 병 본체(1)의 몸통부(11)는 각통 형상, 원통 형상 혹은 육각통 형상 등의 100~2000cc정도의 적절한 용적을 가진다. 이 몸통부(11)의 꼭대기부에는 뚜껑 닫음부(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여기서 말하는 뚜껑 닫음부(12)는 몸통부(11)의 어깨부로부터 상방의 대략 병 뚜껑(2)이 씌워지는 범위를 개략적으로 뚜껑 닫음부로 하는 것이다. 뚜껑 닫음부(12)의 상단은 주입구(13)가 개방되고, 주입구(13)의 근처에서 하방으로 향하여 수나사산(14)이 적절히 형성되어 있다. 또, 수나사산(14)은 연속된 나선 수나사 형상 이외에 적절히 일부 분단되는 등 적절한 형상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 수나사산(14)의 더욱 하방에는 링 멈춤 상부 플랜지(15)가 형성된다. 또, 링 멈춤 상부 플랜지(15)에 대향하여 그 하방에는 링 멈춤 하부 플랜지(16)가 형성되는 것으로, 통상 그 직경은 링 멈춤 하부 플랜지(16)가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이 링 멈춤 하부 플랜지(16)를 형성 부위의 일례로서 이용하여 상기 인디케이터(3)에서의 용기측 인디케이터(31)가 설치된다. 이들 링 멈춤 상부 플랜지(15)와 링 멈춤 하부 플랜지(16)에 의해 그 사이가 실질적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되는데, 이 부분을 링 수납부(17)로 한다. 이 링 수납부(17)의 높이방향의 치수는, 후술하는 엔드링(25)을 보유유지한 상태에서 엔드링(25)이 상하로 약간 움직이는 것과 같은, 말하자면, 약간의 덜거덕거림을 가지는 여유가 있는 치수 설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링 멈춤 상부 플랜지(15)의 상방으로서 수나사산(14)보다 하방의 사이는, 후술하는 엔드링(25)의 빠짐이 우선 도모되는 부위로서, 여기를 링 빠짐부(18)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 부분인 링 멈춤 상부 플랜지(15)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이 취해지고 있다. 우선, 링 멈춤 상부 플랜지(15)는 도 1, 4에 확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부에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151)가 형성된다. 이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151)를 구성하는 한 쌍의 잘린 끝면(152, 153)에 대해서는, 그 중 적어도 엔드링(25)의 제거 조작 방향 측에서의 잘린 끝면(152)이 일례로서 엔드링(25)의 제거 조작 방향(화살표(D)로 나타냄) 측으로 향하여 유도 경사면(152f)을 구성하고 있다. 또, 제거 조작 방향(D)이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엔드링(25)을 분리 유도 경사 상태로 한 후, 회전시켜 분리 조작을 하는 것으로부터 그 회전시키는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우회전 방향(도 5 중에서 화살표는 좌측 방향이 됨)인데, 좌회전 설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대향하는 다른 잘린 끝면(153)에 대해서도, 제거 조작 방향측의 잘린 끝면(14)과 거의 평행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각 잘린 끝면(152, 153)은,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대향하고 있는 그것의 면 자체는 평행이 아니라 약간 바깥쪽이 열린 상태로 되어 있다. 특히 잘린 끝면(152)에 대해서는, 그 능선부를 유도 테두리(152e)로 하고, 그 최외단부를 꼭대기 테두리부(152t)로 한다. 또,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151)의 개구폭을 잘림부 치수(W1)로 하는 것이고, 또한 제거 조작 방향측의 잘린 끝면(152)에 대해서는 그 하단 부근이 엔드링(25)의 분리를 위한 유도 개시점(P)이 된다. 또한, 전술한 링 멈춤 하부 플랜지(16)에서의 용기측 인디케이터(31)는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151)의 형성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병 본체(1)에 끼워넣어지는 병 뚜껑(2)에 대해 설명한다. 이는 뚜껑 본체(21)에 대해, 그 내측에 암나사산(22)이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산(14)과 나사결합하여 병 뚜껑(2)의 체결을 한다. 그리고, 뚜껑 본체(21)는 약화부(23)를 개재하여 엔드링(25)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약화부(23)는 구체적으로 일정 간격마다 점재하는 복수의 접속 위치에서 양자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으로, 사용시에 뚜껑 본체(21)를 이완 방향으로 돌려 가면, 엔드링(25)은 링 멈춤 상부 플랜지(15)에 저지되어 상승하지 않는 반면, 뚜껑 본체(21)는 상승하고, 이 상승을 받아 약화부(23)가 파손되어 엔드링(25)을 남긴 상태로 뚜껑 본체(21)가 개전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엔드링(25)과 뚜껑 본체(21)의 분리 구조는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개전시에 엔드링(25)의 회전을 막는 상태를 현출시킨 후에 뚜껑 본체(21)의 비틀림 개전 조작에 의해 양자가 약화부(23)에서 분리되는 것도 존재한다.
이하, 이 엔드링(25)을 그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우선, 이 엔드링(25)은 원환상의 링 본체(25A)에 대해, 그 내측에 빠짐 방지용 돌출체(250)를 구비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 조각의 돌출 플랩(251)에 의해 돌출체(250)를 구성한 것을 예시한다. 즉,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본체(25A)의 내측에는 원주를 일례로서 8등분한 것 중 7개소에 돌출 플랩(251)이 형성되는 것으로, 그 자유단(252)이 상방으로 향함과 동시에 자연 상태에서 약간 안쪽으로 기울어 넘어지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그 기부(基部)측은 링 본체(25A)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있다.
이들 돌출 플랩(251)은 각각 돌출 플랩 폭치수(WF)를 가지고, 인접하는 돌출 플랩(251)에 대해서는 돌출 플랩간 갭(254)을 확보하면서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일부에서 1장의 돌출 플랩(251)을 배제한 것과 같은 유도용 돌출체 비설치부(255)가 형성된다. 이 유도용 돌출체 비설치부(255)의 폭을 돌출체 비설치부 치수(W2)로 하는 것이고, 이는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 플랩 폭치수(WF)에 대해 돌출 플랩간 갭 치수(WG)의 2배의 치수를 더한 치수가 되는 것이다. 또, 돌출 플랩(251) 1조각당 피치 치수를 돌출 플랩 피치 치수(WP)로 하는 것이고, 이는 실질적으로 돌출 플랩 폭치수(WF)와 돌출 플랩간 갭 치수(WG)의 합이 된다. 또, 돌출 플랩(251)에 대해서는, 엔드링(25)의 제거 동작의 설명에서 유도용 돌출체 비설치부(255)에 후속하는 것부터 차례대로 f1, f2…fn으로서도 함께 표시하고, 특히 유도용 돌출체 비설치부(255)의 바로 뒤 돌출 플랩(251)에 대해서는 유도 개시 플랩(f1)으로서도 표기한다.
그리고, 전술한 인디케이터(3) 중에서 엔드링측 인디케이터(32)는 이 유도 개시 플랩(f1)이 형성되는 부위에 설치된다.
또, 이 돌출체(250)는 분단 형성되어 있는 타입의 경우, 상기와 같이 돌출 플랩(251)과 같은 가동 타입의 것이 아니라 고정된 다수의 돌기형상의 것이나 혹은 가동 타입이어도 요동(가동)방향을 링 수납부(17)를 이른바 목조임 형상으로 둘레방향으로 한 것 등이 존재한다. 또한, 돌출체(250)가 분단되지 않고, 링 본체(25A)의 내주면에 연속하면서 상단연을 자유상태로 한 립형상의 것도 존재한다. 그러나, 어떤 형태이어도 상기 유도용 돌출체 비설치부(255)를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작동은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이고, 이하 그 작동 태양을 설명하는데, 거기에 앞서서 병 뚜껑(2)에 요구되는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병 뚜껑(2)은 제조부터 폐기의 단계까지 상황마다 요구되는 기능이 다르고, 이들 다른 기능을 종합적으로 만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즉, 이들 기능은 (1)초기 폐전시(제조시) 기능, (2)수송 진열시 기능, (3)초기 개전시 기능, (4)음용시 기능, (5)재폐전시 기능, (6)재개전시 기능, (7)폐기시 기능이다.
우선, (1)초기 폐전시(제조시) 기능으로서는, 엔드링(25)을 동반한 병 뚜껑(2)이 신속 확실히 병 본체(1)에 장착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엔드링(25)이 원활하게 링 수납부(17)에 진입할 수 있는 구조, 기능이 요구된다. 또한, (2)수송 진열시 기능으로서는, 확실한 폐전 유지와 엔드링(25)의 유지 기능이 요구된다. 또한, (3)초기 개전시 기능으로서는, 엔드링(25)이 부드럽게 뚜껑 본체(21)로부터 잘려 떨어지고, 또한 링 수납부(17)에 확실히 잔류하는 기능이 요구된다. 또한, (4)음용시 기능으로서는, 엔드링(25)이 링 수납부(17)에 머물고, 음용자의 입술에 닿는 것과 같은 자세 변화가 없도록 하는 기능이다. 또한, (5)재폐전시 기능으로서는, 엔드링(25)이 뚜껑 본체(21)의 하단 둘레면에 대체로 접근하여 그 부위의 손상 등을 방지하는 기능이다. 또한, (6)재개전시 기능으로서는, 뚜껑 본체(21)의 개전 동작에 따라 엔드링(25)도 빠져나가 버리는 것과 같은 사태의 발생을 완전히 막는 기능이다. 그리고, (7)폐기시 기능으로서는, 그때까지 확실히 장착되어 있는 것이 요구되었던 엔드링(25)을 매우 용이하게 병 본체(1)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기능이다.
본 발명은 이 (7)폐기시 기능을 구비한 병 뚜껑(2)의 엔드링(25)의 제거 구조를 상기 각 기능을 만족시키면서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각 기능은 폐기시 기능을 제외하고 전부 실용화가 달성되어 있는 것이고, 따라서 본 발명의 본질은 이미 실용화가 달성되어 있는 기능을 전혀 저해하지 않고 새로운 폐기시 기능을 발휘시키는 점에 있다. 즉, 엔드링(25)은 평상시에는 벗어나는 것을 완전히 저지하고 있는데, 일단 폐기를 위해 엔드링(25)을 떼어낼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작동하여 엔드링(25)의 분리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시발 상태에서는 인디케이터(3)를 이용하여 용기측 인디케이터(31)와 엔드링측 인디케이터(32)를 위치맞춤한다(도 5(a-1)~(a-5) 참조).
또, 도 5(a-1)~(a-5)는, 설명을 위해 원통형상의 뚜껑 닫음부(12)의 측면을 평면적으로 당겨펼친 것과 같은 형태로 도시하고 있다.
이 시발 준비의 상태에서는,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151)와 유도용 돌출체 비설치부(255)가 인접한 제거 개시 정점 설정 상태가 된다. 이 상태를 엔드링(25)으로부터 보면, 링 멈춤 상부 플랜지(15)에 의한 상방에의 규제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있다. 즉, 도 5(a-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151)가 설치되어 있는 범위에서는 엔드링(25)에 대해 돌출 플랩(251)이 존재하지만, 상방으로의 이동은 허용되어 있다. 한편,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151)의 제거 조작 방향측에 인접하는 링 멈춤 상부 플랜지(15)가 존재하는 부위에서는, 엔드링(25) 측에서 유도용 돌출체 비설치부(255)가 존재하기 때문에, 엔드링(25)은 이 범위에서도 상방으로의 이동이 허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범위를 유효 유도 존(Z)이라고 하는 것이고, 또한 그 치수를 유효 유도 존 치수(W3)로서 나타내는 것이다. 유효 유도 존 치수(W3)는 잘림부 치수(W1)와 돌출체 비설치부 치수(W2)의 합이고, 유효 유도 존(Z)이 형성되는 상태는 용기측 인디케이터(31)와 엔드링측 인디케이터(32)가 합치한 제거 개시 정점 설정 상태가 되었을 때만 초래된다.
이와 같이 유효 유도 존 치수(W3)가 확보되어 있을 때는, 엔드링(25)의 분리 유도 경사 자세가 용이하게 얻어진다. 즉, 도 5(a-2), 도 4(b-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3)의 부분을 상방으로 손가락 등으로 누르면, 이 부위에서는 엔드링(25)을 규제하기 위한 링 멈춤 상부 플랜지(15)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 상방으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또, 그것에 인접하는 제거 조작 방향 측에서는, 엔드링(25) 측에서 유도용 돌출체 비설치부(255)가 설치되고, 돌출 플랩(251)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비록 그 상방에 링 멈춤 상부 플랜지(15)가 존재했어도, 이 부위에서도 엔드링(25)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그 결과,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링(25)은 링 수납부(17)에 보유지지되면서도 링 수납부(17)의 상하방향의 치수 여유도 더해져 미시적으로는 변형이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경사질 뿐인 자세, 즉 분리 유도 경사 자세를 용이하게 현출시키는 것이다.
또, 여기서 엔드링(25)의 경사에 대해 설명하면, 도 4(b-1)~(b-6), 도 4(c-1)~(c-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시에 엔드링(25)은 링 멈춤 하부 플랜지(16)에 놓인 상태로 그 경사각은 0°이다. 그리고, 정상시이어도 엔드링(25)은 링 수납부(17) 내에서 상하방향의 여유 치수에 의해 다소의 유동(상하방향의 덜거덕거림)이 있고, 도 4(b-1)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덜거덕거림을 이용하여 엔드링(25)이 기울어지면 경사각(β0)이 출현한다. 그리고, 분리 유도 경사 상태에서의 경사각(β1)은 경사각(β0)보다 더 커진다. 그리고, 엔드링의 분리 동작이 진행되면, 도 4(b-2)~(b-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경사각(β2, β3, β4, β5)은 더 증가하는 것이고, 그 때의 작동 태양을 이하에 설명한다. 또, 도 4에서의 경사각(β0~β5) 및 도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실시보다는 과장하여 표현하고 있다.
즉, 이러한 분리 유도 경사 자세가 얻어진 상태에서, 손끝의 조작에 의해 엔드링(25)을 도 5(a-3) 중에서 화살표(D)로 나타내는 우회전 형상(평면적으로 도시하면 화살표(D)는 좌측방향으로 향해 있음)으로 이동시키면, 돌출 플랩(251) 중에서 최초의 유도 개시 플랩(f1), 즉 유도용 돌출체 비설치부(255)에 후속하는 유도 개시 플랩(f1)은 링 멈춤 상부 플랜지(15)에서의 잘린 끝면(152)에서의 유도 개시점(P)에 오르고, 그 유도 경사면(152f)(더 미시적으로는 유도 테두리(152e))으로 안내되어 상방으로 어긋나 가는 것이다(도 5(a-3), 도 4(b-3)~(b-4) 참조). 이를 계속함으로써, 도 5(a-4)~(a-5), 도 4(b-2)~(b-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플랩(251)에서의 후속 돌출 플랩(f2, f3,…fn(이 실시예에서는 f7))이 순차적으로 링 멈춤 상부 플랜지(15)를 마치 비스듬히 가로지르도록 하여 링 수납부(17)에서 링 빠짐부(18)로 이동해 가는 것이다. 이 때, 링 수납부(17)에서 링 빠짐부(18) 측으로 엔드링(25) 자체가 자연히 향하게 되는 경계 위치는 유도 테두리(152e) 상에서의 꼭대기 테두리부(152t)의 위치이고, 도 5(a~1)~(a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 개시 정점 설정 상태로부터 약간의 회전으로 링 빠짐부(18) 측으로의 이동 경향이 얻어진다.
더 자세하게 보면, 도 5(a-3)의 III-III선 확대 단면도에 있어서, 링 멈춤 상부 플랜지(15)에서의 최대직경부, 즉 꼭대기 테두리부(152t)를 지나는 부위를 꼭대기 테두리선(125tL)으로 나타내고, 또한 돌출 플랩(251)에서의 자유단(252)을 통과하는 선을 자유단선(252L)으로 나타내면, 돌출 플랩(251)의 자유단선(252L)이 꼭대기 테두리선(152tL)을 넘기조차 하면, 도면 중 화살표(A) 방향으로 엔드링(25)이 빠져나가는 경향이 주어지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엔드링(25)은 거의 변형되지 않고 단지 자세를 기울이는 것만으로 확실한 제거가 도모된다. 그리고, 엔드링(25)이 링 수납부(17) 측으로 빠져나갔다고 해도 엔드링(25)의 내주 하방은 링 멈춤 상부 플랜지(15)에 덮어씌워지는 상태로 되어 있고, 도시하는 한에서는 도 5(a-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적으로는 마치 빠져나갈 수 없는 상태로 표현된다. 또, 그 후는 반대로 수나사산(14)이 이완되는 방향에 따르도록, 예를 들면 좌회전으로 회전시키면서 벗어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러한 분리 수법에 대해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 본체(1) 또는 랩(10)에 조작 설명 표시(4)를 마련해 둠으로써, 소비자에게 확실한 엔드링(25)의 분리 처리에 대한 의식을 양성하여 분별 회수를 재촉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요점인 엔드링(25)의 제거 조작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앞에 서술한 병 뚜껑(2)에 대해 상황마다 요구되는 기능과 엔드링(25)의 제거 구조의 관계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우선, 설계시에서는 수나사산(14)과 암나사산(22)의 각각의 형성 위치를 미리 설계함으로써, 초기 폐전시에 제거 개시 정점 설정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덧붙여 초기 폐전시에서는, 뚜껑 본체(21)와 엔드링(25)의 분리에 있어서 뚜껑 본체(21)를 회전시키는 것을 고려하면, 초기 폐전시의 엔드링(25)의 정지 위치, 즉 뚜껑 본체(21)를 동반한 병 뚜껑(2)의 조임 완료 위치는, 엔드링측 인디케이터(32)가 용기측 인디케이터(31)와 적절한 각도, 병 뚜껑(2)의 이완 측으로 어긋나게 위치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이 상황, 위치관계를 각각 초기 폐전 상태 또는 초기 폐전 위치라고 정의하고, 또 이 상태에서의 용기측 인디케이터(31)와 엔드링측 인디케이터(32)의 어긋남을 초기 어긋남 설정 각도(θS)라고 하면,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폐전 상태에서의 초기 어긋남 설정 각도(θS)는 이론적으로 1°정도로도 지장 없지만, 실제는 5°~90°정도의 범위로 설정된다. 그리고, 초기 폐전 위치로부터 병 뚜껑(2)의 이완 방향(좌회전)으로 돌리고, 만약 엔드링(25)이 도중에 잘려떨어진 경우에서도 엔드링(25)도 함께 돌았다고 하여 엔드링(25)이 제거 개시 정점 설정 상태를 현출시킬 때까지의 각도를 개전 여유 각도(θM)라고 하면, 이 개전 여유 각도(θM)는 270°~355°정도 확보된다. 많은 사양의 병 뚜껑(2)은 개전 여유 각도(θM)의 범위에서 뚜껑 본체(21)와 엔드링(25)의 분리가 완료된다.
이러한 상황은 전술한 병 뚜껑에 요구되는 (1)초기 폐전시(제조시) 기능, (2)수송 진열시 기능, (3)초기 개전시 기능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폐전이 확실히 실행, 유지되고, 초기 개전시에도 엔드링(25)의 탈락 등을 회피한다. 그리고, 일단 개전 후는 제거 개시 정점 설정 상태라는 매우 한정된 상태, 즉 병 본체(1)와 엔드링(25)의 상호 관계가 한 바퀴 360°의 범위 중에서 0°로부터 오차 덜거덕거림을 보아도 1°~2°정도의 어긋남 상태로 수납되어 있지 않는 한, 엔드링(25)이 벗어나 버리는 조건인 분리 유도 경사 자세는 취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 상황은 병 뚜껑(2)에 요구되는 상기 (4)음용시 기능, (5)재폐전시 기능, (6)재개전시 기능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엔드링(25)이 확실히 링 수납부(17)에 머무는 상황을 현출시킨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이상 서술한 형태를 최량의 형태 중 하나로 하는 것인데, 또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우선, 도 6(a-1), (a-2)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링 멈춤 상부 플랜지(15)가 비교적 얇은 두께 치수일 때의 잘린 끝면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유도 경사면(152f)이 형성되면서도 정면에서 보아 기울어진 상태로는 형성되지 않는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것은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151)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151)는 반드시 잘린 끝면(152)을 기울어지게 하지 않아도 되는 실시예이다. 즉, 링 멈춤 상부 플랜지(15)의 형성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수직 방향으로 단순하게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이 실시예가 가능한 것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울어진 잘린 끝면(152)을 구비한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151)를 필수로 하는 것이 아니며, 요컨대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151)가 존재하고, 또한 한편으로 엔드링(25) 측에 유도용 돌출체 비설치부(255)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엔드링(25)에 대해 분리를 위한 분리 유도 경사 자세를 충분히 현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게 엔드링(25)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인디케이터(3)의 다른 실시예로서, 오목형으로 한 인디케이터(3R)의 다른 실시예이다. 즉, 링 멈춤 하부 플랜지(16)의 일부를 잘라내어 용기측 인디케이터(31R)를 형성하고, 한편 엔드링(25)도 그 일부를 잘라내어 엔드링측 인디케이터(32R)를 형성하며, 이들을 맞춤으로써 분리의 조작 개시 상태, 즉 제거 개시 정점 설정 상태를 얻도록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손끝의 감촉으로 엔드링(25)의 분리를 위한 조작 개시 상태가 용이하게 얻어지고, 시각장해가 있는 사람도 조작하기 쉬워, 이른바 유니버설 디자인 대응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엔드링측 인디케이터(32R)는 그 오목한 형상을 정면에서 보아 위로 갈수록 오므라드는 형상, 횡단면에서 보아 위가 돌출된 형상(차양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할 때에는, 인디케이터(3R)의 제거 개시 정점 설정 상태를 포착한 손끝이 그대로 엔드링(25)을 상방으로 쉽게 어긋나게 하도록 걸려 있어, 엔드링(25)을 분리 유도 경사 자세로 하면서 바로 제거 조작에 들어갈 수 있다. 또, 인디케이터(3)에 대해서는 상기 각 실시예가 바람직하지만, 단지 제거 개시 정점 설정 상태만을 안내하고, 제거 개시에 있어서 엔드링(25)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위치에 대해서는 다른 위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엔드링(25)의 제거 구조를 소비자에게 주지시키기 위한 표시로서, 이러한 표시를 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분별 자원 회수를 재촉하는 것이다. 또, 상기 설명에 있어서, 병 본체(1)에 대해서는 가장 보급되어 있는 이른바 PET병을 예로 들었지만, 이 이외의 재료, 예를 들면 종래의 유리 용기 등이어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1 병 본체
10 랩
11 몸통부
12 뚜껑 닫음부
13 주입구
14 수나사산
15 링 멈춤 상부 플랜지
151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
152 잘린 끝면
152e 유도 테두리
152f 유도 경사면
152t 꼭대기 테두리부
152tL 꼭대기 테두리선
153 잘린 끝면
16 링 멈춤 하부 플랜지

Claims (10)

  1. 병 본체의 뚜껑 닫음부에 장착되는 병 뚜껑에 부설되고, 뚜껑 열림시에 뚜껑 본체로부터 잘려 떨어져 병 본체에서의 링 멈춤 상부 플랜지 하방에 남는 엔드링을 병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엔드링은, 그 내주측에 링 멈춤 상부 플랜지의 하방에 남기 위한 빠짐 방지용 돌출체를 구비하고, 또한 돌출체는, 일부 범위에서 돌출체를 형성하지 않은 상태의 유도용 돌출체 비설치부에 의해 분단되도록 구성되며, 한편 상기 링 멈춤 상부 플랜지는, 그 일부에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유도용 돌출체 비설치부와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를 서로 인접 배치한 제거 개시 정점(定點) 설정 상태로 함으로써, 엔드링에 대한 링 멈춤 상부 플랜지에 의한 규제를 일부 범위에서 해제한 유효 유도 존을 확보하고, 이 부위에서 엔드링에 대해 그 제거 개시에 있어서의 분리 유도 경사 자세를 현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잘린 끝면은, 그 중 적어도 조작 방향 측에서의 잘린 끝면이, 제거 조작 방향 측으로 향하여 유도 경사면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조작 방향은, 병 뚜껑의 이완 방향과 반대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유도 존은, 병 뚜껑 닫음부의 둘레방향 범위에서 50°~100°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용 돌출체 비설치부의 치수인 돌출체 비설치부 치수는,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의 치수인 잘림부 치수와 같거나 또는 그것보다 짧은 치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링과 병 본체의 사이에는, 제거 개시 정점 설정 상태를 현출시키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링 멈춤 상부 플랜지의 하방에 설치되는 링 멈춤 하부 플랜지의 일부를 잘라내어 맞춤 오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엔드링에도 대응하는 맞춤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병 뚜껑을 상기 병 본체에 제조시에 초기 폐전(閉栓)함에 있어서, 초기 폐전시에서의 병 뚜껑과 일체의 엔드링의 정지 위치는, 엔드링측 인디케이터가 용기측 인디케이터보다 병 뚜껑의 이완 측으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9. 상기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는 엔드링을 제거하기 위한 조작 설명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127001468A 2009-06-25 2010-05-12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용기 KR201201016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51245 2009-06-25
JP2009151245A JP4560127B1 (ja) 2009-06-25 2009-06-25 樹脂製ボトルキャップのエンドリング除去構造並びにこれを具えた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626A true KR20120101626A (ko) 2012-09-14

Family

ID=4304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1468A KR20120101626A (ko) 2009-06-25 2010-05-12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447179B1 (ko)
JP (1) JP4560127B1 (ko)
KR (1) KR20120101626A (ko)
WO (1) WO201015059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076B1 (ko) 2019-11-28 2020-11-10 주식회사 리페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KR102177073B1 (ko) 2019-06-26 2020-11-10 주식회사 리페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WO2020262778A1 (ko) 2019-06-26 2020-12-30 박미정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KR102248418B1 (ko) 2020-08-07 2021-05-06 주식회사 미소지음 페트용기 뚜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8915B2 (ja) * 2010-10-29 2014-12-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剥離容器の製造方法
EP2780242A1 (en) * 2011-11-18 2014-09-2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neck, a cap, and a food package comprising such neck and cap
JP6003802B2 (ja) * 2013-05-21 2016-10-05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アンカーボルト取り付け工法
WO2021071211A1 (ko) * 2019-10-07 2021-04-15 박수현 용기 개폐용 캡
KR102129490B1 (ko) * 2019-10-07 2020-07-02 박수현 용기 개폐용 캡
KR102363696B1 (ko) * 2020-05-20 2022-02-17 박수현 용기 개폐용 캡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457A (ja) * 1993-09-30 1995-04-18 Kishimoto Akira 開封されていないことを保証する広口容器用スクリューキャップ
JPH0912046A (ja) * 1995-06-29 1997-01-14 Shibasaki Seisakusho:Kk 閉止装置
JPH1135055A (ja) * 1997-07-16 1999-02-09 Shibazaki Seisakusho Ltd 閉止装置及び容器
JPH11292112A (ja) * 1998-04-07 1999-10-26 Ueno Hiroshi 易開封性打栓式樹脂キャップ
JPH11349014A (ja) * 1998-06-11 1999-12-21 Shibazaki Seisakusho Ltd 閉止装置
JP2001335055A (ja) * 2000-05-25 2001-12-04 Shirouma Science Co Ltd 打栓キャップ離脱方法、打栓キャップ離脱装置と打栓キャップ
JP4492768B2 (ja) * 2000-06-27 2010-06-30 東洋製罐株式会社 タンパーエビデンス性容器
JP4547073B2 (ja) * 2000-07-04 2010-09-22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ボトル・キャップ組立体及び締結状態の検査方法
JP2006232392A (ja) * 2005-02-22 2006-09-07 Shinichi Fujii キャップ周状バンドをボトル口部より容易に取り除くことの出来るキャップ付きボトル型樹脂容器
JP2007106451A (ja) * 2005-10-13 2007-04-26 Toshimitsu Yukimura リサイクルボトルキャップ
WO2008072981A2 (en) * 2006-12-11 2008-06-19 Vin Singlz Limite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amper evident seals
WO2008095863A1 (en) * 2007-02-08 2008-08-14 Obrist Closures Switzerland Gmbh Tamper evident closure and container for receiving tamper evident closure and combination thereof
JP3139309U (ja) * 2007-06-12 2008-02-14 忠司 今村 不正開封防止リングのストッパー解除装置
JP2009083858A (ja) * 2007-09-27 2009-04-23 Aoki Technical Laboratory Inc キャップのタンパーリング切断用開口部を有するペットボト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073B1 (ko) 2019-06-26 2020-11-10 주식회사 리페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WO2020262778A1 (ko) 2019-06-26 2020-12-30 박미정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KR102177076B1 (ko) 2019-11-28 2020-11-10 주식회사 리페트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KR102248418B1 (ko) 2020-08-07 2021-05-06 주식회사 미소지음 페트용기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47179A1 (en) 2012-05-02
JP2011006105A (ja) 2011-01-13
EP2447179B1 (en) 2015-07-29
WO2010150597A1 (ja) 2010-12-29
EP2447179A4 (en) 2012-11-21
JP4560127B1 (ja)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1626A (ko)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용기
RU2578581C2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и упаковка с индикацией вскрытия
US8251236B1 (en) Closure with lifting mechanism
KR101422326B1 (ko)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
AU2005245119B2 (en) Tamper-evident lid
US8720717B2 (en) End closure with full panel opening
RU2448882C2 (ru) Составное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с внешним захватным слоем
JP5215798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US20130098914A1 (en) Container
US20130313218A1 (en) Bottle Closures and Containment Systems
KR101744846B1 (ko) 다목적 친환경캡
CN110573434B (zh) 合成树脂容器盖
EP3464098A1 (en) Container cap comprising tamper evidence means
US6068151A (en) Tamper-indicating plastic closure having pilfer band
JP4846526B2 (ja) 合成樹脂製容器
WO2022029110A1 (en) Multipart closure
WO2016096557A1 (en) A cap for a container and a package comprising such a cap
US20130299447A1 (en) Bottle cap for cutting seal attached to spout of bottle
JP4447405B2 (ja) 開封識別容器
JP4834229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CN110562592B (zh) 合成树脂容器盖
JP3306733B2 (ja) タンパーエビデント特性を有する合成樹脂製容器蓋
WO2021161575A1 (ja) ペットボトルキャップ及びペットボトル
JP6647115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US20070012646A1 (en) Vessel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