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696B1 - 용기 개폐용 캡 - Google Patents

용기 개폐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696B1
KR102363696B1 KR1020200175968A KR20200175968A KR102363696B1 KR 102363696 B1 KR102363696 B1 KR 102363696B1 KR 1020200175968 A KR1020200175968 A KR 1020200175968A KR 20200175968 A KR20200175968 A KR 20200175968A KR 102363696 B1 KR102363696 B1 KR 102363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ring
container
cap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3638A (ko
Inventor
박수현
오나래
Original Assignee
박수현
오나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현, 오나래 filed Critical 박수현
Publication of KR20210143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 개폐용 캡(10)이 제공된다. 상기 용기 개폐용 캡(10)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본체(100); 및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걸림턱(210)이 형성되는 고정링(20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200)은, 상기 고정링(200)의 측면 적어도 일 영역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되,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변형되어 고정링(200)의 원주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절개선(25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링(200)의 원주가 증가함에 따라, 용기 바디에 형성된 고정턱에 상기 걸림턱(210)이 걸리지 않고 상기 용기 바디로부터 상기 고정링(200)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기 개폐용 캡 {BOTTLE CAP}
본 발명은 용기 개폐용 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캡의 하부에 해당하는 고정링이 캡의 상부에 해당하는 본체와 결속된 일체로 용기의 입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용기 재활용 효율을 보다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개폐용 캡에 관한 발명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기 개폐용 캡은, 캡을 개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의해 용기의 제조 단계 이후 최초로 캡이 회전하여 개방될 때, 캡의 상부와 하부가 파단이 일어나면서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종래 용기의 상부에 대한 투시 정면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입구에 결합된 캡은 상부에 해당하는 본체(1)와, 하부에 해당하는 고정링(2)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체(1)와 고정링(2)의 사이에는 연결부(3)가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최초로 캡이 개방될 때 연결부(3)를 구성하는 복수의 연결 팁이 모두 끊어지면서 본체(1)와 고정링(2)이 서로 분리된다. 이때 복수의 연결 팁이 끊어지는 소리에 의하여, 또는 개방 전 복수의 연결 팁이 결합된 상태의 형상에 의하여, 사용자는 해당 용기가 이전에 개봉되지 않은 용기임을 간접적으로 확인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본체(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본체(1) 부분은 회전에 의해 용이하게 용기로부터 분리되나, 내주면에 걸림턱이 구비되는 고정링(2)은 용기 상부에 형성된 고정턱에 걸림으로써 사용자가 고정링(2)을 용기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고정링(2)이 용기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용기 입구에 잔류하게 되는 것은, 사용자가 용기로부터 캡을 개폐하는데 있어서는 크게 문제되지 않으나, 사용자가 용기를 사용한 이후에 용기를 재활용하는 단계에서 상당한 문제가 된다. 즉, 용기 제조 시 용기 바디와 캡(즉, 고정링(2))은 서로 다른 재료로 구성이 되므로, PET 용기와 같은 용기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고정링(2)을 용기 바디로부터 분리해야만 한다.
또한 고정링(2)이 용기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용기 입구에 잔류하게 되면, 사용자가 용기 입구로부터 직접 입으로 그 내용물을 흡인하는 경우에 외부에 노출되어 있던 고정링(2)이 사용자의 입술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위생상의 문제점이 대두될 수 있다.
하지만, 걸림턱의 작용으로 통상의 사용자들은 쉽게 고정링(2)을 빼낼 수 없고, 또한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고정링(2)을 따로 분리배출 해야한다는 사실에 대하여 정확한 인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쓰레기의 수거 또는 재사용 단계에서 별도의 인력과 많은 비용이 투입되어 용기로부터 고정링(2)을 끊어내는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최초로 캡을 회전시켜 개방할 때 고정링에 형성된 절개선 또는 홀 형태의 변형유도부에 의하여 고정링의 원주가 증가됨으로써, 고정링이 용기 입구의 고정턱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개폐용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절개선의 양 끝단에 수평 또는 곡선의 절개 모서리를 형성하거나, 원형의 절개선 홀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캡을 반복해서 개방하더라도 절개선 끝단에서 변형이 과도하게 진행되어 고정링이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개폐용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틈이 협소한 절개선을 형성하거나, 변형유도부의 홀을 차폐하는 가림막을 형성함으로써, 고정링의 내부 공간으로 이물질, 세균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위생 상태를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개폐용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은, 상기 고정링의 측면 적어도 일 영역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선; 및 상기 절개선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되,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고정링의 원주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변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링의 원주가 증가함에 따라, 용기 바디에 형성된 고정턱에 상기 걸림턱이 걸리지 않고 상기 용기 바디로부터 상기 고정링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선의 양 끝단은 각각 수평의 절개 모서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선의 양 끝단은 각각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의 절개 모서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선의 절개 모서리는 상기 절개선의 가로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선의 양 끝단에는 각각 원형의 절개선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부는, 상기 고정링의 측면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적어도 일 면이 상기 고정링의 다른 영역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개선은 상기 변형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은, 상기 고정링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관통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변형유도부; 및 상기 변형유도부의 홀을 차폐하는 가림막을 포함하며, 상기 변형유도부 및 상기 가림막은,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상기 고정링의 원주를 증가시킴으로써, 용기 바디에 형성된 고정턱에 상기 걸림턱이 걸리지 않고 상기 용기 바디로부터 상기 고정링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링은, 상기 가림막의 중앙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은, 상기 고정링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관통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변형유도부; 및 상기 고정링의 측면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적어도 일 면이 상기 고정링의 다른 영역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변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변형유도부와 연속되어, 상기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상기 고정링의 원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유도부는 홀 또는 다각형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및 상기 고정링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본체와 상기 고정링을 상호 결합시키는 복수의 연결 팁으로 구성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 팁 중 일부 연결 팁의 파단 강도는 상기 복수의 연결 팁 중 나머지 연결 팁의 파단 강도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 팁 사이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부가 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에 의하면, 사용자가 최초로 캡을 회전시켜 개방할 때 고정링에 형성된 절개선 또는 홀 형태의 변형유도부에 의하여 고정링의 원주가 증가됨으로써, 고정링이 용기 입구의 고정턱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에 의하면, 절개선의 양 끝단에 수평 또는 곡선의 절개 모서리를 형성하거나, 원형의 절개선 홀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캡을 반복해서 개방하더라도 절개선 끝단에서 변형이 과도하게 진행되어 고정링이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에 의하면, 틈이 협소한 절개선을 형성하거나, 변형유도부의 홀을 차폐하는 가림막을 형성함으로써, 고정링의 내부 공간으로 이물질, 세균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위생 상태를 보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용기의 상부에 대한 투시 정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1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절개선(250)이 형성된 고정링(200)의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림막(260)이 형성된 고정링(200)의 정면도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림막(260) 및 절개선(250)이 함께 형성된 고정링(200)의 정면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얇은 두께를 갖는 변형부(220)에 절개선(250)이 형성된 고정링(200)의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얇은 두께를 갖는 변형부(220)에 가림막(260)이 형성된 고정링(20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접힌 형태의 변형부(220)가 응력에 의해 펼쳐지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10)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10)은 본체(100), 고정링(200), 연결부(3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에 형성된 나사산은 용기 바디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릴 수 있고, 사용자가 시계 방향으로/반시계 방향으로 용기 개폐용 캡(10)을 회전시킴에 따라 용기 개폐용 캡(10)이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여 용기 바디에 결합/용기 바디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 '용기 바디'는, 용기의 전체 구성 중 용기 개폐용 캡(1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의미하며, 용기 개폐용 캡(10)이 결합되는 용기 상부의 입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링(200)은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걸림턱(21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턱(210)은 고정링(200)의 내주면에서 고정링(20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210)은 고정링(200)의 원주 전체에 대하여 일정한 높이(예를 들어, 0.4mm 등)로 돌출되어 있을 수도 있고, 원주 방향을 따라 변화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링(200)의 내주면에는 단일의 걸림턱(210)이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걸림턱(210)이 고정링(200)의 원주 상에서 일정 간격을 갖도록 또는 상이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걸림턱(210)은, 용기가 제작되어 최초 개봉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용기 바디의 상부 입구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턱에 걸려 고정링(200)이 용기 바디로부터 분리될 수 없도록 하는 수단에 해당하고, 걸림턱(210)의 개수, 배치, 형상 등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본체(100) 및 고정링(200) 사이에 구비되되, 본체(100) 및 고정링(200)을 상호 결합시키는 복수의 연결 팁(3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의 제조 단계에서는 본체(100) 및 고정링(200)이 결속된 일체로서 제조될 수 있고, 이때 본체(100) 및 고정링(200) 사이에는 양 모서리가 서로 맞닿는 지점, 즉 본체(100) 및 고정링(200)의 원주 상에 연결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복수의 연결 팁(310)이 일정 간격을 가지고 또는 상이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연결 팁(310)은 본체(100) 및 고정링(200)을 상호 결합시키도록 브릿지(bridg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 팁(310)의 개수는 실시예, 구현예, 제조 환경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예를 들어, 12개 등).
한편, 연결 팁(310)은 재료의 종류 및 구성 비율, 밀도, 두께, 길이 등의 변수에 따라 다양한 연성(延性, ductility)을 가질 수 있으며, 정해진 한도를 초과하는 응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연결 팁(310)에 파단이 일어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팁(310)은 작용하는 응력의 정도에 따라 파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10)을 개방하기 위한 응력이 작용하면, 연결부(3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연결 팁(310) 중 적어도 하나는 파단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00) 및 고정링(200)을 상호 결합시키는 연결 팁(310)이 적어도 하나 잔존함으로써, 본체(100) 및 고정링(200)은 결속된 일체로서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체(100)에 대한 고정링(200)의 결합 유지를 보강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용기 개폐용 캡(10)을 개방하기 위한 응력 작용 시에 복수의 연결 팁(310) 모두가 파단되어 고정링(200)이 용기 바디에 남아있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연결 팁(310) 사이에 고정링(200)의 결합 유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가 팁(32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부가 팁(320)의 폭은 연결 팁(310)의 폭과 실질상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클 수 있다.
도 2b에서는 복수의 연결 팁(310) 사이 공간 모두에 부가 팁(320)이 구비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연결 팁(310) 사이 공간 중 어느 하나 또는 일부에만 부가 팁(320)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체(100)와 고정링(200) 사이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연결 팁(310)에 더하여 부가 팁(320)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고정링(200)의 결합 유지를 보다 확고하게 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b에서는 연결 팁(310)과 부가 팁(320)의 구별을 위해 부가 팁(320)의 컬러를 상이하게 표현한 것에 불과하고, 연결 팁(310)과 부가 팁(320)은 사출 성형 등의 공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어 동일한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체(100)에 대한 고정링(200)의 결합 유지를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0)와 고정링(200)을 상호 결합시키는 복수의 연결 팁(310) 중 일부 연결 팁(310)의 파단 강도를 다른 연결 팁(310)의 파단 강도보다 더 높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되는 복수의 연결 팁(3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연결 팁(310)의 파단 강도를 나머지 연결 팁(310)의 파단 강도보다 더 높도록 함으로써(예를 들어, 연결 팁(310)의 두께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캡(10)의 회전에 의한 응력이 작용함에 따라 복수의 연결 팁(310) 모두가 파단되어 본체(100)와 고정링(200)의 결합이 해제되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연결 팁(310)의 파단 강도를 더 높게 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연결 팁(310)의 단면적을 크게 하거나, 연결 팁(310)과 본체(100) 및 고정링(200)의 연결 부분을 라운드형으로 구현하는 등, 다양할 수 있다.
용기 개폐용 캡(10)의 개방 응력 작용 시에 복수의 연결 팁(310)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팁이 파단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10)의 고정링(200)에는, 용기 개폐용 캡(10)이 용기 바디로부터 분리됨에 있어 걸림턱(210)의 적어도 일부가 용기 바디에 형성된 고정턱에 걸림이 없이 고정링(200)이 본체(100)와 결속된 일체로 분리되도록 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기 바디의 상부에 위치하는 입구 부분에는 나사산 및 고정턱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 바디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은 본체(100)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릴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10)이 나사산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턱은 나사산의 하부에 구비되며, 용기 입구의 측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턱이 특정 높이 이상 돌출됨으로써, 고정링(200)에 형성된 걸림턱(210)이 고정턱에 걸리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10)의 고정링(200)에는 걸림턱(210)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턱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이하 도 2 내지 도 6에서 차례로 기술할 바와 같이 이러한 수단은 매우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수단에 의하여 걸림턱(210)의 적어도 일부가 용기 바디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턱에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링(200)은 사용자에 의한 최초 용기의 개봉 시에 본체(100)와 결속된 일체로 용기 바디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용기 사용 이후의 재활용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이하 명세서에서는 그러한 수단 중에서 절개선(250), 가림막(260, 도 4에 도시됨) 및 접힌 형태의 변형부(220, 도 6에 도시됨)의 구성과 기능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그리고 예시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10)은 고정링(200)의 측면 적어도 일 영역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되,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변형되어 고정링(200)의 원주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절개선(2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절개선(250)의 구체적인 형태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함께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절개선(250)이 형성된 고정링(200)의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개선(250)은 고정링(200)의 측면에 세로 방향의 협소한 틈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최초로 용기를 개방하기 위해 용기 개폐용 캡(10)을 회전시키면, 용기 개폐용 캡(10)은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면서 조금씩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용기 개폐용 캡(10)이 상승함에 따라, 고정턱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고정링(200)의 걸림턱(210)에는 응력이 작용할 수 있다. 절개선(250)은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비틀리면서 그 상부 및 하부 끝단의 변형을 유도하며, 이에 따라 고정링(200)의 원주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링(200)은, 절개선(250)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되,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변형되어 고정링(200)의 원주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변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선(250)이 비틀림에 따라 변형이 일어나 길이가 증가되는 부분은 변형부(220)에 해당한다.
이때 도 3의 (a) 내지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절개선(250)이 형성된 부분을 확대하여 보면, 절개선(250)은 기둥 형태의 가로 폭이 좁은 틈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개선(250)은 도 3의 (a)와 같이 절개선(250)의 양 끝단이 각각 수평의 절개 모서리(25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절개선(250)을 구성하는 틈이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절개선(250)은 도 3의 (b)와 같이 절개선(250)의 양 끝단이 각각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의 절개 모서리(25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도 3의 (c)와 같이 곡선의 절개 모서리(251)가 절개선(250)의 가로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절개선(250)에 응력이 작용하게 되면, 절개선(250)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절개 모서리(251)가 서로 상이한 방향의 힘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절개 모서리(251)는 가로 방향으로 비틀려 인장되는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그리고 절개 모서리(251)가 비틀려 인장되면 변형부(220)에도 가로 방향으로 변형이 일어나 고정링(200)의 원주 길이가 적어도 일부 길이만큼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변형부(220)는 고정링(200)의 측면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적어도 일 면이 고정링(200)의 다른 영역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절개선(251)은 변형부(22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참고로, 도 3의 (a) 내지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수평 또는 곡선의 절개 모서리(251)를 갖는 절개선(250)은, 반복적으로 응력이 작용하더라도 과도하게 변형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즉, 수평 또는 곡선의 절개 모서리(251)는 절개선(250)의 양 끝단이 가로 방향으로 인장되는 것을 유도할 뿐이고, 세로 방향으로 틈이 계속 벌어져 고정링(200)이 파단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되는 절개선(250) 및 절개 모서리(251)의 형태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고정링(200)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는 한 보다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의 (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절개선(250)의 양 끝단에 각각 원형의 절개선 홀(252)이 형성될 수 있다. 원형의 절개선 홀(252)은 전술한 수평 또는 곡선의 절개 모서리(251)가 형성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절개선(250)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절개선 홀(252)이 형성되는 위치 및 크기가 필요에 따라 조절되어 제조됨으로써, 용기 개폐용 캡(10)의 반복적인 개방에 의하더라도 고정링(200)이 파단되지 않도록 그 변형의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3의 (d)에 도시되는 절개선 홀(252)의 위치 및 크기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고정링(200)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는 한 보다 다양한 위치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고정링(200)에는 절개선(250)이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절개선(250)이 고정링(200)의 중심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링(200)에 2개의 절개선(250)이 구비되는 경우에 양 절개선(250)은 120°, 150°, 180° 등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e) 및 (f)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링(200)의 높이에 대한 절개선(250)의 길이 및 배치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도 3의 (g) 및 (h)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절개선(250)이 고정링(20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세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절개선(250)의 개수, 각도 및 절개 모서리(251)의 형태를 상이하게 하여 고정링(200)을 제작할 수 있고, 각각의 요인에 따라 절개선(250)을 둘러싸는 변형부(220)의 변형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절개선(250)의 개수, 각도 및 절개 모서리(251)의 형태를 상이하게 하여 용기 개폐용 캡(10)을 개방하는 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절개선 변형부의 소성변형(mm) 연결 팁
파단(잔존)
고정링
잔존 유무
절개선
(각도)
절개 모서리 1변형 2변형 전체
없음 - - - 전체 파단 잔존
1개 에지 1.9 - 1.9 3(9) 취출
2개(180) 곡선 0.9 1.8 2.7 6(6) 취출
2개(150) 곡선 1.7 0.8 2.5 5(7) 취출
2개(120) 곡선 1.8 0.5 2.3 4(8) 취출
2개(150) 수평 1.8 0.8 2.6 6(6) 취출
2개(150) 1.9 0.9 2.7 5(7) 취출
1개 곡선 1.9 - 1.9 5(7) 취출
[표 1]에 기재된 '연결 팁 파단(잔존)'은 최초로 용기 개폐용 캡(10)이 개방되었을 때 파단된 연결 팁의 개수 및 파단되지 않고 잔존한 연결 팁의 개수를 나타낸 것이다. 즉, 실험 대상이 되는 용기 개폐용 캡(10)의 연결부(300)는 최초에 각각 12개의 연결 팁(310)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개선(250)의 유무와 개수, 2개의 절개선(250)이 이루는 각도, 절개 모서리(251)의 형태에 따라 서로 상이한 개수의 연결 팁(310)이 파단되었다.
또한, 각각의 요인에 따라 절개선(250)을 둘러싸는 변형부(220)의 길이가 소성변형으로 증가되는 정도가 서로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즉, 변형부(220)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최초에 구비되어 있던 12개의 연결 팁(310) 중에서 일부가 파단되지 않을 수 있고, 연결 팁(310) 중에서 일부가 잔존함으로써 고정링(200)이 본체(100)와 함께 일체로써 용기 바디로부터 취출될 수 있다.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고정링(200)의 원주를 증가시킴으로써, 용기 바디에 형성된 고정턱에 걸림턱(210)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수단에는 변형유도부(221) 및 가림막(260)이 포함될 수 있다. 변형유도부(221) 및 가림막(260)이 고정링(200)에 구비되는 형태는 도 4에 도시되므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림막(260)이 형성된 고정링(200)의 정면도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림막(260) 및 절개선(250)이 함께 형성된 고정링(200)의 정면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고정링(200)에는 변형유도부(221) 및 변형유도부(221)를 차폐하는 가림막(26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유도부(221)는 고정링(200)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도록 홀(hole)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하나의 변형유도부(221)가 형성된 상태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변형유도부(221)는 고정링(200)의 측면에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변형유도부(221)의 배치 관계(예를 들어, 변형유도부(221)의 개수 및 고정링(200)의 중심에 대한 각도 등)에 따라 증가되는 고정링(200)의 원주 길이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변형유도부(221)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만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유도부(221)는 사각형, 타원형, 마름모형, 다각형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변형유도부(221)의 구체적인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260)은, 도 4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변형유도부(221)의 홀을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림막(260)의 구체적인 형태는 변형유도부(221)의 형태에 의하여 원형, 사각형, 타원형 등으로 달라질 수 있으며, 가림막(260)의 두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림막(260)의 구성이 추가됨으로써, 변형유도부(221)의 홀을 통하여 고정링(2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물질, 세균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용기 개폐용 캡(10)을 개폐하더라도 제품의 위생 상태를 보존할 수 있다.
도 4의 (a)와 같이 변형유도부(221) 및 가림막(260)이 형성된 고정링(200)에 응력이 작용하면, 변형유도부(221) 및 가림막(260)의 변형에 의하여 고정링(200)의 원주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최초로 용기를 개방하기 위해 용기 개폐용 캡(10)을 회전시키면, 용기 개폐용 캡(10)은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면서 조금씩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용기 개폐용 캡(10)이 상승함에 따라, 고정턱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고정링(200)의 걸림턱(210)에는 응력이 작용할 수 있다. 변형유도부(221)의 홀 및 가림막(260)은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그 폭이 좌우로 증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정링(200)의 원주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변형유도부(221)의 변형에 의하여 고정링(200)의 원주 길이가 증가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 개폐용 캡(10)이 회전하면서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상승할 때, 홀 형태의 변형유도부(221)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변형부(220)는 각각 인장에 따른 응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면, 변형유도부(221)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한 띠 형상의 변형부(220)가 응력에 의하여 두께가 얇아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다. 즉, 변형유도부(221)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변형부(220)는 각각 소성변형되어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여기서, 소성변형이란 탄성변형과 구별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즉, 탄성변형은 물체에 힘을 가했을 때 형태의 변형이 일어났다가, 힘이 제거되면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소성변형은 물체에 힘을 가했을 때 형태의 변형이 일어나고, 힘이 제거되더라도 변형된 형태를 유지하는 영구변형의 의미를 가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최초로 용기를 개방하기 위해 용기 개폐용 캡(10)을 회전시키면 변형유도부(221)에도 응력이 작용하고, 이때 변형유도부(221)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한 변형부(220)가 각각 응력에 의해 길이가 증가된 이후에는 다시 원래의 두께 및 길이로 복귀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최초로 용기 개폐용 캡(10)을 회전시킨 이후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링(200)의 원주가 증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220)에 탄성변형이 아닌 소성변형이 일어남으로써, 용기 개폐용 캡(10)이 한번 개방된 이후에는, 걸림턱(210)과 고정턱 간의 작용에도 불구하고 고정링(200)이 용이하게 용기 바디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변형유도부(221)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한 변형부(220)는 소성변형이 일어나 그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파단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개폐용 캡(10)에 인장에 따른 응력이 작용하면, 변형부(220)를 구성하는 고분자 사슬들은 변형 전보다 얇고 긴 형태의 중합체(polymer) 구조를 형성하도록 이동 및 재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사슬들의 재배열이 일어나는 소성변형 과정을 '넥변형(necking)'이라고 한다.
그리고 넥변형이 일어난 고분자 사슬들에는 '결정화(crystallization)'가 유도되어 해당 중합체 구조의 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결정화는 고분자 사슬들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규칙적인 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정리하면, 변형유도부(221)의 상부 및 하부를 이루는 얇은 띠 형상의 변형부(220)에 응력이 집중되어 넥변형이 일어나고, 이후 결정화에 의해 강도가 증가되면 얇아진 두께에도 불구하고 파단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변형유도부(221)를 차폐하도록 구성되는 가림막(260) 또한 변형에 의하여 고정링(200)의 원주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용기 개폐용 캡(10)이 회전하면서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상승할 때, 가림막(260)은 인장에 따른 응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면, 가림막(260)은 두께가 얇아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고, 이와 같은 소성변형에 의하여 가로 길이가 증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림막(260)의 가로 길이가 적어도 일부 길이만큼 증가되면, 고정링(200)의 원주 길이도 그만큼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가림막(260)의 두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으나, 고정링(200)의 다른 영역보다는 더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가림막(260)의 두께가 고정링(200)의 다른 영역보다 더 얇게 형성됨으로써, 고정링(200)에 작용하는 응력이 가림막(260)을 가로 방향으로 인장시키는 데 집중될 수 있다. 이때 변형부(220)와 마찬가지로, 가림막(260)을 구성하는 고분자 사슬들은 응력에 의하여 변형 전보다 얇고 긴 형태의 중합체(polymer) 구조를 형성하도록 이동 및 재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그 고분자 사슬들에 '결정화(crystallization)'가 유도되어 해당 중합체 구조의 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가림막(260)이 변형유도부(221)의 홀을 차폐하는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즉, 가림막(260)은 변형유도부(221)의 홀에 대하여 고정링(200)의 내측면부, 외측면부, 중앙부 중에서 어느 한 곳에 형성됨으로써, 고정링(200)을 관통하는 홀을 차폐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200)에는 변형유도부(221) 및 가림막(260)과 함께, 가림막(260)의 중앙에 세로 방향으로 절개선(25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절개선(250)의 구성에 따른 기능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본 단락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하기로 한다.
추가적으로, 고정링(200)에는 변형유도부(221)가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변형유도부(221)가 고정링(200)의 중심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링(200)에 2개의 변형유도부(221)가 구비되는 경우에 양 변형유도부(221)는 150°, 180° 등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림막(260)의 유무, 변형유도부(221)의 개수 및 각도를 상이하게 하여 고정링(200)을 제작할 수 있고, 각각의 요인에 따라 변형부(220)의 변형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발명자는 가림막(260)의 유무, 변형유도부(221)의 개수 및 각도를 상이하게 하여 용기 개폐용 캡(10)을 개방하는 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의 [표 2]와 같다.
변형유도부 변형부의 소성변형(mm) 연결 팁
파단(잔존)
고정링
잔존 유무
변형유도부
(각도)
가림막 1변형 2변형 전체
없음 - - - 전체 파단 잔존
2개(180) 없음 0.9 1.8 2.7 6(6) 취출
2개(150) 없음 1.7 0.8 2.5 5(7) 취출
2개(150) 있음 1.3 0.8 2.1 8(4) 취출
2개(150) 있음(절개선 추가) 1.7 0.8 2.5 6(6) 취출
[표 2]에 기재된 '연결 팁 파단(잔존)'은 최초로 용기 개폐용 캡(10)이 개방되었을 때 파단된 연결 팁의 개수 및 파단되지 않고 잔존한 연결 팁의 개수를 나타낸 것이다. 즉 [표 1]에서와 마찬가지로, 실험 대상이 되는 용기 개폐용 캡(10)의 연결부(300)는 최초에 각각 12개의 연결 팁(310)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변형유도부(221)의 유무, 개수 및 가림막(260)의 유무에 따라 서로 상이한 개수의 연결 팁(310)이 파단되었다. 그리고 [표 2]의 마지막 행을 참조하면, 가림막(260)에 절개선(250)이 추가로 구비된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더 많은 개수의 연결 팁(310)이 잔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요인에 따라 변형유도부(221)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변형부(220)의 길이가 소성변형으로 증가되는 정도가 서로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즉, 변형부(220)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최초에 구비되어 있던 12개의 연결 팁(310) 중에서 일부가 파단되지 않을 수 있고, 연결 팁(310) 중에서 일부가 잔존함으로써 고정링(200)이 본체(100)와 함께 일체로써 용기 바디로부터 취출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의 (b)와 같이 고정링(200)에 가림막(260)과 절개선(250)이 동시에 구비되면, 각각의 구성이 단독으로 구비되는 것보다 작용하는 응력에 따라 고정링(200)의 원주 길이가 증가되는 효과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절개선(250)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보다 가림막(260)의 두께를 더 두껍게 형성하더라도, 사용자가 용기 개폐용 캡(10)을 개방하는 동작에 의하여 고정링(200)의 원주 길이가 용이하게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가림막(260)과 절개선(250)이 동시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절개선(250)의 구체적인 형태가 전술한 도 3의 (a) 내지 (h)와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링(200)에 구비되는 변형유도부(221), 가림막(260) 및/또는 절개선(250)의 구성에 의하여 고정링(200)의 원주가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링(200)의 원주가 증가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00)의 복수의 연결 팁(310) 중 적어도 일부는 파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연결 팁(310)이 파단되는 것은 고정턱에 걸리는 걸림턱(210)의 작용에 의한 것이므로, 고정링(200)의 원주 증가로 고정턱에 걸리는 영역이 감소하면 파단되는 연결 팁(310)의 개수도 감소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연결부(3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연결 팁(310) 중 적어도 하나가 파단되지 않고 결합을 유지하게 되고, 본체(100) 및 고정링(200)은 결속된 일체로서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용기 바디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최초로 용기 개폐용 캡(10)을 회전시킨 이후에는 연결 팁(310)이 더이상 파단되지 않을 수 있고, 그 이후부터 본체(100) 및 고정링(200)이 결속된 일체로서 용기 바디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얇은 두께를 갖는 변형부(220)에 절개선(250)이 형성된 고정링(200)의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얇은 두께를 갖는 변형부(220)에 가림막(260)이 형성된 고정링(200)의 사시도이다.
도 5의 (a) 및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220)는 고정링(200)의 측면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고정링(200)의 다른 영역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변형부(220)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은 결과적으로 고정링(200)의 측면 적어도 일부 영역에 변형유도부(221) 및 가림막(260)이 형성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개폐용 캡(10)이 회전하면서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상승할 때,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변형부(220)는 인장에 따른 응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면, 변형부(220)는 응력에 의하여 두께가 더욱 얇아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다. 즉, 고정링(200)의 다른 영역보다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변형부(220)에 인장에 따른 응력이 집중됨으로써, 변형부(220)가 소성변형되어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소성변형에 의하여 변형부(220)의 길이가 증가된 이후에는 다시 원래의 두께 및 길이로 복귀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최초로 용기 개폐용 캡(10)을 회전시킨 이후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링(200)의 원주가 증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른 영역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변형부(220)의 구성에 절개선(250)의 구성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구성이 고정링(200)에 동시에 형성되면, 각각의 구성이 단독으로 구비되는 것보다 작용하는 응력에 따라 고정링(200)의 원주 길이가 증가되는 효과가 커질 수 있다. 또한, 변형부(220)와 절개선(250)이 동시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절개선(250)의 구체적인 형태가 전술한 도 3의 (a) 내지 (h)와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추가적으로, 도 5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른 영역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변형부(220)의 구성에 변형유도부(221) 및 가림막(260)의 구성이 더 부가될 수도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변형부(220), 변형유도부(221), 가림막(260) 및 절개선(250)의 구성이 모두 포함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용기 개폐용 캡(10)을 제조하는 기술 수준, 설비, 환경 등의 조건에 따라 각각의 구성을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때 변형부(220)는 변형유도부(221)와 연속되어,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고정링(200)의 원주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얇은 두께를 갖는 변형부(220), 변형유도부(221) 및 가림막(260)의 구성이 고정링(200)에 함께 형성되는 경우에, 가림막(260)이 변형유도부(221)의 홀을 차폐하는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즉, 가림막(260)은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변형유도부(221)의 홀에 대하여 고정링(200)의 내측면부, 외측면부, 중앙부 중에서 어느 한 곳에 형성됨으로써, 고정링(200)을 관통하는 홀을 차폐할 수 있다. 또한 변형유도부(221)의 홀을 차폐하는 것에 더하여, 가림막(260)은 변형부(220)의 일 측면에 필름과 같은 형태로 추가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접힌 형태의 변형부(220)가 응력에 의해 펼쳐지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220)는 접힌 형태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최초로 용기를 개방하기 이전의 상태에서, 변형부(220)는 도 6의 (a)에서 좌측 도면과 같이 곡선으로 구부러지듯이 접혀 있거나, 도 6의 (b)에서 좌측 도면과 같이 지그재그로 접철되는 방식으로 접혀 있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용기를 개방하기 위해 용기 개폐용 캡(10)을 회전시키면, 용기 개폐용 캡(10)은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면서 조금씩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용기 개폐용 캡(10)이 상승함에 따라, 고정턱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고정링(200)의 걸림턱(210)에는 응력이 작용할 수 있다. 그러면 접혀 있던 변형부(220)는 도 6의 우측 도면들과 같이 가로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정링(200)의 원주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접힌 형태의 변형부(22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변형유도부(221), 가림막(260) 및 절개선(250)의 구성이 선택적으로 더 부가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복수의 구성들이 동시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절개선(250)의 구체적인 형태가 전술한 도 3의 (a) 내지 (h)와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링(200)은, 적어도 일 면이 고정링(200)의 두께보다 얇고, 변형에 필요한 응력이 고정링(200)보다 낮으며, 용기 개폐용 캡(10)의 개방 시 복수의 연결 팁(310)이 전부 절단되기 전에 고정링(200)의 원주를 증가시키도록 소성변형이 일어나는 변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링(200)은, 고정링(200)의 일부가 제거되고, 동일한 응력에서 변형부(220)보다 신장율이 높으며, 변형부(220)와 연속하여 형성되는 개방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고정링(200)에 홀 형태의 변형유도부(221)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고정링(200)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변형부(220)의 두께 조절만으로도 고정링(200)의 원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고정링(200)의 다른 영역보다 얇게 형성되는 변형부(220)에 소성변형이 일어남으로써 고정링(200)의 원주가 증가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링(200)은, 고정링(200)의 하부의 직경이 상부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고정링(200)의 직경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용기 개폐용 캡(10)이 처음 개방될 때 고정링(200)의 원주가 증가하면, 이후에는 본체(100) 및 고정링(200)이 일체로써 용기 바디로부터 반복 개폐될 수 있다. 이때 고정링(200)의 하부의 직경이 상부에 비해 크게 형성됨으로써, 고정링(200)을 포함하는 용기 개폐용 캡(10)은 용기 바디의 입구에 보다 용이하게 인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에 의하면, 사용자가 최초로 캡을 회전시켜 개방할 때 고정링에 형성된 절개선 또는 홀 형태의 변형유도부에 의하여 고정링의 원주가 증가됨으로써, 고정링이 용기 입구의 고정턱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에 의하면, 절개선의 양 끝단에 수평 또는 곡선의 절개 모서리를 형성하거나, 원형의 절개선 홀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캡을 반복해서 개방하더라도 절개선 끝단에서 변형이 과도하게 진행되어 고정링이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에 의하면, 틈이 협소한 절개선을 형성하거나, 변형유도부의 홀을 차폐하는 가림막을 형성함으로써, 고정링의 내부 공간으로 이물질, 세균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위생 상태를 보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용기 개폐용 캡
100: 본체
200: 고정링
210: 걸림턱
220: 변형부
221: 변형유도부
250: 절개선
251: 절개 모서리
252: 절개선 홀
260: 가림막
300: 연결부
310: 연결 팁
320: 부가 팁

Claims (13)

  1. 용기 개폐용 캡으로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고정링; 및
    상기 본체 및 상기 고정링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본체와 상기 고정링을 상호 결합시키는 복수의 연결 팁으로 구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은,
    상기 고정링의 측면 적어도 일 영역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선; 및
    상기 절개선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되,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고정링의 원주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변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연결 팁 중 일부 연결 팁의 파단 강도는 상기 복수의 연결 팁 중 나머지 연결 팁의 파단 강도보다 더 높게 구현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용기 개폐용 캡이 최초 개방 시에 소성 변형이 일어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링의 원주가 증가함에 따라, 용기 바디에 형성된 고정턱에 상기 걸림턱이 걸리지 않고 상기 용기 바디로부터 상기 고정링이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절개선의 양단에는 원형의 절개선 홀이 형성되는,
    용기 개폐용 캡.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고정링의 측면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적어도 일 면이 상기 고정링의 다른 영역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개선은 상기 변형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개폐용 캡.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 팁 사이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부가 팁을 더 포함하는,
    용기 개폐용 캡.
  13. 제 1 항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 및
    상기 용기 개폐용 캡에 결합되는 용기 바디를 포함하는,
    용기.
KR1020200175968A 2020-05-20 2020-12-16 용기 개폐용 캡 KR102363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402 2020-05-20
KR20200060402 2020-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638A KR20210143638A (ko) 2021-11-29
KR102363696B1 true KR102363696B1 (ko) 2022-02-17

Family

ID=7869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968A KR102363696B1 (ko) 2020-05-20 2020-12-16 용기 개폐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6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934B1 (ko) * 2021-12-09 2023-04-28 한백희 개선된 친환경 플라스틱 병뚜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760Y1 (ko) 2002-05-01 2002-08-14 신성기업 주식회사 포장용기 뚜껑
JP2011006105A (ja) 2009-06-25 2011-01-13 Yuuko Furuno 樹脂製ボトルキャップのエンドリング除去構造並びにこれを具えた容器
JP4921944B2 (ja) * 2006-12-07 2012-04-25 株式会社細川洋行 口栓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袋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9824A (en) * 1985-12-12 1987-12-01 Tri-Tech Systems International Inc. Tamper evident plastic caps with lower separable or breakaway portions and a method of forming them
US5248050A (en) * 1990-04-27 1993-09-28 Crown Cork Ag Cap having expandable guarantee strip
KR101880107B1 (ko) * 2016-12-16 2018-07-19 성보연 분리수거가 용이한 용기 마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760Y1 (ko) 2002-05-01 2002-08-14 신성기업 주식회사 포장용기 뚜껑
JP4921944B2 (ja) * 2006-12-07 2012-04-25 株式会社細川洋行 口栓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袋体
JP2011006105A (ja) 2009-06-25 2011-01-13 Yuuko Furuno 樹脂製ボトルキャップのエンドリング除去構造並びにこれを具えた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638A (ko) 202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4368B1 (de) Verschlusskappe mit garantiering
DE69630596T2 (de) Originalitätsverschluss mit garantieband
DE60216215T2 (de) Kindersicherheitsverschluss und Verpackung
RU2407683C2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KR102129490B1 (ko) 용기 개폐용 캡
DE602004008965T2 (de) Trommelverschlussabdeckkappe mit kombination
KR102363696B1 (ko) 용기 개폐용 캡
DE10207204A1 (de) Kombination aus einer Flasche mit rastgehaltertem Adapter und/oder einer Verschlusskappe
DE10146817A1 (de) Schraubverschluss
DE1959467A1 (de) Zur Aufnahme von mehreren verschiedenen Verschluessen geeigneter Behaelterabschluss
PT91908B (pt) Tamps roscada
WO2021099358A1 (de) Behälterverschluss
EP1451081B1 (de) Verschliessbare getränkeflasche
DE202020100758U1 (de) Unverlierbarer Verschluss mit stabilisiertem Öffnungswinkel
WO2000015504A2 (de) Verschlusskappe
EP0459941B1 (de) Schraubkappe mit beim erstmaligen Aufschrauben dehnbarem Garantieband
EP0451102B1 (de) Verschlusskappe aus Kunststoff
DE3623765A1 (de) Garantie-verschlussdeckel sowie mit diesem deckel ausgeruestetes behaeltnis
EP0017108B1 (de) Verschluss zum dichten Verschliessen und leichten Wiederöffnen einer Flasche
DE69005253T2 (de) Flaschenkappen.
JPH08156960A (ja) 除去容易なキャップ
SK283598B6 (sk) Skrutkový uzáver na fľaše s bezpečnostným a ochranným prúžkom
EP1029798A1 (de) Verschlusskappe
CH476610A (de) Sicherheitsverschluss an einem Gefäss
DE19827242A1 (de) Verschlußkappe, insbesondere Schraubkappe aus Kunststoff mit Garantie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