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490B1 - 용기 개폐용 캡 - Google Patents

용기 개폐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490B1
KR102129490B1 KR1020190123844A KR20190123844A KR102129490B1 KR 102129490 B1 KR102129490 B1 KR 102129490B1 KR 1020190123844 A KR1020190123844 A KR 1020190123844A KR 20190123844 A KR20190123844 A KR 20190123844A KR 102129490 B1 KR102129490 B1 KR 102129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xing ring
cap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현
오나래
Original Assignee
박수현
오나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현, 오나래 filed Critical 박수현
Priority to KR1020190123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490B1/ko
Priority to PCT/KR2020/013592 priority patent/WO202107121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 개폐용 캡(10)이 제공된다. 상기 용기 개폐용 캡(10)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걸림턱(210)이 형성되는 고정링(200); 및 상기 본체(100) 및 상기 고정링(200)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본체(100) 및 상기 고정링(200)을 상호 결합시키는 복수의 연결 팁(310)으로 구성되는 연결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200)에는, 상기 용기 개폐용 캡(10)이 용기 바디로부터 분리됨에 있어 상기 걸림턱(21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기 바디에 형성된 고정턱에 걸림이 없이 상기 고정링(200)이 상기 본체(100)와 결속된 일체로 분리되도록 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기 개폐용 캡 {BOTTLE CAP}
본 발명은 용기 개폐용 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캡의 하부에 해당하는 고정링이 캡의 상부에 해당하는 본체와 결속된 일체로 용기의 입구로부터 용리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용기 재활용 효율을 보다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개폐용 캡에 관한 발명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기 개폐용 캡은, 캡을 개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의해 용기의 제조 단계 이후 최초로 캡이 회전하여 개방될 때, 캡의 상부와 하부가 파단이 일어나면서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종래 용기의 상부에 대한 투시 정면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입구에 결합된 캡은 상부에 해당하는 본체(1)와, 하부에 해당하는 고정링(2)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체(1)와 고정링(2)의 사이에는 연결부(3)가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최초로 캡이 개방될 때 연결부(3)를 구성하는 복수의 연결 팁이 모두 끊어지면서 본체(1)와 고정링(2)이 서로 분리된다. 이때 복수의 연결 팁이 끊어지는 소리에 의하여, 또는 개방 전 복수의 연결 팁이 결합된 상태의 형상에 의하여, 사용자는 해당 용기가 이전에 개봉되지 않은 용기임을 간접적으로 확인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본체(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본체(1) 부분은 회전에 의해 용이하게 용기로부터 분리되나, 내주면에 걸림턱이 구비되는 고정링(2)은 용기 상부에 형성된 고정턱에 걸림으로써 사용자가 고정링(2)을 용기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고정링(2)이 용기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용기 입구에 잔류하게 되는 것은, 사용자가 용기로부터 캡을 개폐하는데 있어서는 크게 문제되지 않으나, 사용자가 용기를 사용한 이후에 용기를 재활용하는 단계에서 상당한 문제가 된다. 즉, 용기 제조 시 용기 바디와 캡(즉, 고정링(2))은 서로 다른 재료로 구성이 되므로, PET 용기와 같은 용기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고정링(2)을 용기 바디로부터 분리해야만 한다.
또한 고정링(2)이 용기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용기 입구에 잔류하게 되면, 사용자가 용기 입구로부터 직접 입으로 그 내용물을 흡인하는 경우에 외부에 노출되어 있던 고정링(2)이 사용자의 입술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위생상의 문제점이 대두될 수 있다.
하지만, 걸림턱의 작용으로 통상의 사용자들은 쉽게 고정링(2)을 빼낼 수 없고, 또한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고정링(2)을 따로 분리배출 해야한다는 사실에 대하여 정확한 인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쓰레기의 수거 또는 재사용 단계에서 별도의 인력과 많은 비용이 투입되어 용기로부터 고정링(2)을 끊어내는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캡의 하부에 해당하는 고정링의 일부 영역이 용기 입구의 고정턱에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정링이 캡의 상부와 결속된 일체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개폐용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최초로 캡을 회전시켜 개방할 때 고정링에 소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고정링의 원주가 증가되어 용기 입구와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개폐용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캡을 회전시켜 개방할 때 고정링의 측면 상에 상하방향으로 파단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사용 후에 고정링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개폐용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고정링; 및 상기 본체 및 상기 고정링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본체 및 상기 고정링을 상호 결합시키는 복수의 연결 팁으로 구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링에는, 상기 용기 개폐용 캡이 용기 바디로부터 분리됨에 있어 상기 걸림턱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기 바디에 형성된 고정턱에 걸림이 없이 상기 고정링이 상기 본체와 결속된 일체로 분리되도록 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단은, 상기 고정링의 측면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되어,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상기 고정링의 원주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부는 상기 고정링의 측면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부는, 상기 고정링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관통하는 홀(hole) 형태로 구비되는 변형유도부, 상기 변형유도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소성변형이 일어나는 제1 소성변형부 및 상기 변형유도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소성변형이 일어나는 제2 소성변형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소성변형부 및 상기 제2 소성변형부는, 상기 용기 개폐용 캡이 회전하면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상승할 때 각각 인장에 따른 응력을 받고, 그에 따라 상기 제1 소성변형부 및 상기 제2 소성변형부 각각은 소성변형되어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작용하는 응력에 의한 상기 제1 소성변형부의 길이 증가는, 상기 작용하는 응력에 의한 상기 제2 소성변형부의 길이 증가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단은,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지 않거나 또는 다른 영역보다 더 낮은 높이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취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단은, 상기 고정링의 측면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되어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상기 고정링의 원주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변형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변형부와 상기 취출부는, 상기 고정링의 원주 상에서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단은, 상기 고정링의 측면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파단 팁으로 구성되는 파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상기한 용기 개폐용 캡; 및 상기 용기 개폐용 캡과 결합되는 용기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에 의하면, 캡의 하부에 해당하는 고정링의 일부 영역이 용기 입구의 고정턱에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정링이 캡의 상부와 결속된 일체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에 의하면, 사용자가 최초로 캡을 회전시켜 개방할 때 고정링에 소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고정링의 원주가 증가되어 용기 입구와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에 의하면, 사용자가 캡을 회전시켜 개방할 때 고정링의 측면 상에 상하방향으로 파단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사용 후에 고정링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용기의 상부에 대한 투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1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변형부(220)에서 변형이 일어나기 전(a, c)과 변형이 일어난 후(b, d)의 상태를 나타낸 고정링(200)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출부(230)를 나타낸 고정링(20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단부(240)에서 파단이 일어나기 전(a)과 파단이 일어난 후(b)의 상태를 나타낸 고정링(200)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10)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10)은 본체(100), 고정링(200), 연결부(3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에 형성된 나사산은 용기 바디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릴 수 있고, 사용자가 시계 방향으로/반시계 방향으로 용기 개폐용 캡(10)을 회전시킴에 따라 용기 개폐용 캡(10)이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여 용기 바디에 결합/용기 바디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 '용기 바디'는, 용기의 전체 구성 중 용기 개폐용 캡(1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의미하며, 용기 개폐용 캡(10)이 결합되는 용기 상부의 입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링(200)은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걸림턱(21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턱(210)은 고정링(200)의 내주면에서 고정링(20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210)은 고정링(200)의 원주 전체에 대하여 일정한 높이(예를 들어, 0.4mm 등)로 돌출되어 있을 수도 있고, 원주 방향을 따라 변화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링(200)의 내주면에는 단일의 걸림턱(210)이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걸림턱(210)이 고정링(200)의 원주 상에서 일정 간격을 갖도록 또는 상이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걸림턱(210)은, 용기가 제작되어 최초 개봉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용기 바디의 상부 입구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턱에 걸려 고정링(200)이 용기 바디로부터 분리될 수 없도록 하는 수단에 해당하고, 걸림턱(210)의 개수, 배치, 형상 등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본체(100) 및 고정링(200) 사이에 구비되되, 본체(100) 및 고정링(200)을 상호 결합시키는 복수의 연결 팁(3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의 제조 단계에서는 본체(100) 및 고정링(200)이 결속된 일체로서 제조될 수 있고, 이때 본체(100) 및 고정링(200) 사이에는 양 모서리가 서로 맞닿는 지점, 즉 본체(100) 및 고정링(200)의 원주 상에 연결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복수의 연결 팁(310)이 일정 간격을 가지고 또는 상이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연결 팁(310)은 본체(100) 및 고정링(200)을 상호 결합시키도록 브릿지(bridg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 팁(310)의 개수는 실시예, 구현예, 제조 환경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예를 들어, 12개 등).
한편, 연결 팁(310)은 재료의 종류 및 구성 비율, 밀도, 두께, 길이 등의 변수에 따라 다양한 연성(延性, ductility)을 가질 수 있으며, 정해진 한도를 초과하는 응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연결 팁(310)에 파단이 일어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팁(310)은 작용하는 응력의 정도에 따라 파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10)을 개방하기 위한 응력이 작용하면, 연결부(3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연결 팁(310) 중 적어도 하나는 파단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00) 및 고정링(200)을 상호 결합시키는 연결 팁(310)이 적어도 하나 잔존함으로써, 본체(100) 및 고정링(200)은 결속된 일체로서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용기 개폐용 캡(10)의 개방 응력 작용 시에 복수의 연결 팁(310)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팁이 파단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10)의 고정링(200)에는, 용기 개폐용 캡(10)이 용기 바디로부터 분리됨에 있어 걸림턱(210)의 적어도 일부가 용기 바디에 형성된 고정턱에 걸림이 없이 고정링(200)이 본체(100)와 결속된 일체로 분리되도록 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기 바디의 상부에 위치하는 입구 부분에는 나사산 및 고정턱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 바디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은 본체(100)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릴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10)이 나사산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턱은 나사산의 하부에 구비되며, 용기 입구의 측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턱이 특정 높이 이상 돌출됨으로써, 고정링(200)에 형성된 걸림턱(210)이 고정턱에 걸리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10)의 고정링(200)에는 걸림턱(210)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턱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이하 도 2 내지 도 5에서 차례로 기술할 바와 같이 이러한 수단은 매우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수단에 의하여 걸림턱(210)의 적어도 일부가 용기 바디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턱에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링(200)은 사용자에 의한 최초 용기의 개봉 시에 본체(100)와 결속된 일체로 용기 바디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용기 사용 이후의 재활용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이하 명세서에서는 그러한 수단 중에서 변형부(220, 도 3), 취출부(230, 도 4) 및 파단부(240, 도 5)의 구성과 기능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그리고 예시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단은, 고정링(200)의 측면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되어,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고정링(200)의 원주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변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220)는 고정링(200)의 측면에 홀(hole)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최초로 용기를 개방하기 위해 용기 개폐용 캡(10)을 회전시키면, 용기 개폐용 캡(10)은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면서 조금씩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용기 개폐용 캡(10)이 상승함에 따라, 고정턱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고정링(200)의 걸림턱(210)에는 응력이 작용할 수 있다. 변형부(220)의 홀(hole)은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그 폭이 좌우로 증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정링(200)의 원주 길이 또한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220)는 고정링(200)의 측면에 변형 팁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변형부(220)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300)의 연결 팁(310)과 유사하게 고정링(200)의 측면 일 영역에서 양 끝단을 상호 결합시키는 브릿지(bridge)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 형태의 변형부(220)와 마찬가지로, 변형 팁 형태의 변형부(220)는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그 길이가 좌우로 증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정링(200)의 원주 길이 또한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팁 형태의 변형부(220)는 다양한 두께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형상 또한 두께가 일정한 심(sim) 형상, 얇은 두께의 필름 형상 등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변형 팁 형태의 변형부(220)는 하나의 가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가닥이 고정링(200)의 측면 양 끝단을 상호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변형부(220)의 세부적인 구성 및 기능에 관한 내용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변형부(220)는 고정링(200)의 측면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변형부(220)의 배치 관계(예를 들어, 변형부(220)의 개수 및 고정링(200)의 중심에 대한 각도 등)에 따라 증가되는 고정링(200)의 원주 길이가 상이할 수 있고, 이 또한 이하에서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변형부(220)에서 변형이 일어나기 전(a, c)과 변형이 일어난 후(b, d)의 상태를 나타낸 고정링(200)의 정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 및 (b)는 사각형의 변형부(220)의 변형이 일어나기 전(a)과 변형이 일어난 후(b)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의 (c) 및 (d)는 원형의 변형부(220)의 변형이 일어나기 전(c)과 변형이 일어난 후(d)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의 (a)를 참조하여 변형부(220)의 세부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220)는, 고정링(200)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관통하는 홀(hole) 형태로 구비되는 변형유도부(221), 변형유도부(221)의 상부에 구비되어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소성변형이 일어나는 제1 소성변형부(222) 및 변형유도부(221)의 하부에 구비되어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소성변형이 일어나는 제2 소성변형부(223)로 구성될 수 있다.
변형유도부(221)는 고정링(200)의 측면 중 일부 영역을 관통하는 홀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홀의 구체적인 형상에 따라 제1 소성변형부(222) 및 제2 소성변형부(223)의 길이, 두께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즉, 고정링(200)의 측면에서 변형유도부(221)의 상부에 띠 형상으로 잔존하는 부분이 제1 소성변형부(222), 변형유도부(221)의 하부에 띠 형상으로 잔존하는 부분이 제2 소성변형부(223)로 정의되므로, 변형유도부(221)가 차지하는 영역에 따라 제1 소성변형부(222) 및 제2 소성변형부(223)가 차지하는 영역도 또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유도부(221)는 사각형의 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소성변형부(222) 및 제2 소성변형부(223)는 변형부(2200의 영역에서 각각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부(220)의 구성이 도 3의 (a)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먼저, 제1 소성변형부(222)는 변형유도부(221)의 사각형 윗변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길이 방향에 걸쳐 두께가 일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두께가 일정하면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는 비율도 모든 지점에서 일정할 수 있고, 따라서 각각의 지점에 힘이 고르게 분산됨으로써 제1 소성변형부(222)에서 파단이 일어날 확률이 보다 낮아질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소성변형부(223)의 경우에도 길이 방향에 걸쳐 두께가 일정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2 소성변형부(223)에서 파단이 일어날 확률이 보다 낮아질 수 있다. 즉, 변형유도부(221)가 사각형의 홀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제1 소성변형부(222) 및 제2 소성변형부(223)의 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소성변형부(222) 및 제2 소성변형부(223)는, 용기 개폐용 캡(10)이 회전하면서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상승할 때 각각 인장에 따른 응력을 받고, 그에 따라 제1 소성변형부(222) 및 제2 소성변형부(223) 각각은 소성변형되어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이렇게 소성변형에 따라 길이가 증가되는 제1 소성변형부(222) 및 제2 소성변형부(223)의 구성은 도 3의 (b)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소성변형부(222) 및 제2 소성변형부(223)가 각각 인장에 따른 응력을 받으면, 그 두께가 얇아지면서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여기서, 소성변형이란 탄성변형과 구별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즉, 탄성변형은 물체에 힘을 가했을 때 형태의 변형이 일어났다가, 힘이 제거되면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소성변형은 물체에 힘을 가했을 때 형태의 변형이 일어나고, 힘이 제거되더라도 변형된 형태를 유지하는 영구변형의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소성변형부(222) 및 제2 소성변형부(223)는 인장에 따른 응력을 받으면 소성변형이 일어나므로, 힘이 제거된 이후에도 두께가 얇아지고 길이가 증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최초로 용기를 개방하기 위해 용기 개폐용 캡(10)을 회전시키면 변형부(220)에도 응력이 작용하고, 이때 제1 소성변형부(222) 및 제2 소성변형부(223)가 각각 응력에 의해 길이가 증가된 이후에는 다시 원래의 두께 및 길이로 복귀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최초로 용기 개폐용 캡(10)을 회전시킨 이후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링(200)의 원주가 증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220)에 탄성변형이 아닌 소성변형이 일어남으로써, 용기 개폐용 캡(10)이 한번 개방된 이후에는, 걸림턱(210)과 고정턱 간의 작용에도 불구하고 고정링(200)이 용이하게 용기 바디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소성변형부(222) 및 제2 소성변형부(223)는 소성변형이 일어나 그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파단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개폐용 캡(10)에 인장에 따른 응력이 작용하면, 제1 소성변형부(222) 및 제2 소성변형부(223)를 구성하는 고분자 사슬들은 변형 전보다 얇고 긴 형태의 중합체(polymer) 구조를 형성하도록 이동 및 재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사슬들의 재배열이 일어나는 소성변형 과정을 '넥변형(necking)'이라고 한다.
그리고 넥변형이 일어난 고분자 사슬들에는 '결정화(crystallization)'가 유도되어 해당 중합체 구조의 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결정화는 고분자 사슬들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규칙적인 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정리하면, 변형부(220)에서 가장 얇은 부분인 제1 소성변형부(222) 및 제2 소성변형부(223)에 응력이 집중되어 넥변형이 일어나고, 이후 결정화에 의해 강도가 증가된 각각의 소성변형부는 얇아진 두께에도 불구하고 파단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추가로, 고정링(200)의 원주가 증가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00)의 복수의 연결 팁(310) 중 적어도 일부는 파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연결 팁(310)이 파단되는 것은 고정턱에 걸리는 걸림턱(210)의 작용에 의한 것이므로, 고정링(200)의 원주 증가로 고정턱에 걸리는 영역이 감소하면 파단되는 연결 팁(310)의 개수도 감소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연결부(3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연결 팁(310) 중 적어도 하나가 파단되지 않고 결합을 유지하게 되고, 본체(100) 및 고정링(200)은 결속된 일체로서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용기 바디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최초로 용기 개폐용 캡(10)을 회전시킨 이후에는 연결 팁(310)이 더이상 파단되지 않을 수 있고, 그 이후부터 본체(100) 및 고정링(200)이 결속된 일체로서 용기 바디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변형유도부(221)는 원형의 홀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부(220)의 구성은 도 3의 (c)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홀 형태를 갖는 변형유도부(221)의 상부 및 하부에도 각각 제1 소성변형부(222) 및 제2 소성변형부(223)가 구비된다. 또한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제1 소성변형부(222) 및 제2 소성변형부(223)가 인장에 따른 응력을 받으면 그 두께가 얇아지고 길이가 증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성변형이 일어난 원형의 변형부(220)의 구성은 도 3의 (d)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유도부(221)는 타원형, 마름모형, 다각형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변형유도부(221)의 구체적인 형태는 더욱 다양할 수 있고, 도 3의 (a) 내지 (d)에 도시된 사각형 또는 원형의 변형유도부(221)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10)은, 작용하는 응력에 의한 제1 소성변형부(222)의 길이 증가가, 작용하는 응력에 의한 제2 소성변형부(223)의 길이 증가와 상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개폐용 캡(1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변형부(220)의 형성 위치, 구체적인 형상 등도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용기 개폐용 캡(10)의 측면이 지면과 항상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변형부(220)가 고정링(200)의 측면에서 정확하게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용기 개폐용 캡(10)의 개방 시에 작용하는 응력에 의한 제1 소성변형부(222) 및 제2 소성변형부(223)의 길이 증가의 양이 동일할 수도 있다.
이에 반해 도면에는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용기 개폐용 캡(10)의 측면이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때 변형부(220)의 형성 위치 및 구체적인 형태도 용기 개폐용 캡(10)의 형상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즉, 제1 소성변형부(222)와 제2 소성변형부(223)가 대칭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소성변형부(222)와 제2 소성변형부(223)의 두께 및 응력에 의한 길이 변화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변형부(22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구비되는 변형부(220)의 개수 및 배치 관계에 따라 변형이 일어나는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즉, 변형부(220)의 소성변형으로 인하여 증가되는 길이가 상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10)의 복수의 연결 팁(310) 중 파단되는 연결 팁(310)의 비율도 상이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자들은 변형부(220)의 개수, 배치 등을 상이하게 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용기 개폐용 캡(10)을 개방하는 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변형부
(각도)
변형부의 소성변형(mm) 연결부
유지(파단)
비고
1변형 2변형 3변형 4변형 전체
2개(180) 1.0 2.0 3.0 6(6) 원유지
2개(150) 1.8 0.8 2.6 5(7) 원유지
2개(150) 1.0 1.0 2.0 5(7) 원유지
2개(150) 1.1 0.9 2.0 5(7) 원유지
2개(150) 0.9 0.8 1.7 4(8) 원유지
2개(120) 1.8 0.5 2.3 4(8) 원유지
3개(120) 0.9 1.1 0.2 2.2 7(5) 원유지
3개(120) 0.5 0.4 0.8 1.7 5(7) 원유지
4개(90) 0.9 0.2 0.2 0.1 1.4 4(8) 원유지
1개 1.5 1.5 3(9) 원유지
1개 1.8 1.8 5(7) 원유지
1개 1.8 1.8 4(8) 원유지
1개 1.8 1.8 4(8) 원유지
[표 1]의 실험결과는 하나 또는 복수의 변형부(220)에서 소성변형이 일어났을 때 각각의 변형부(220)가 증가된 길이를 나타낸다. 참고로, 본 발명의 발명자가 실험에서 사용한 고정링(200)은 외부 원주 길이가 98mm, 변형 전의 변형부(220)의 길이가 2.2mm에 해당하는 것이다.
또한, [표 1]에 기재된 '연결부 유지(파단)'은 최초로 용기 개폐용 캡(10)이 개방되었을 때 파단되지 않고 유지된 연결 팁의 개수 및 파단된 연결 팁의 개수를 나타낸 것이다. 즉, 실험 대상이 되는 용기 개폐용 캡(10)의 연결부(300)는 최초에 각각 12개의 연결 팁(310)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변형부(220)의 증가된 길이에 따라 서로 상이한 개수의 연결 팁(310)이 파단되었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변형부(220)의 개수 및 배치(즉 각도)에 따라 각각의 변형부(220)가 증가되는 길이가 서로 상이함을 알 수 있다. 특히, 고정링(200)이 2개의 변형부(220)를 포함하면서, 양 변형부(220) 간에 서로 18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할 때 전체 길이가 가장 크게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출부(230)를 나타낸 고정링(200)의 평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링(200)에는, 용기 개폐용 캡(10)이 용기 바디로부터 분리됨에 있어 걸림턱(210)의 적어도 일부가 용기 바디에 형성된 고정턱에 걸림이 없이 고정링(200)이 본체(100)와 결속된 일체로 분리되도록 하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의 수단은 걸림턱(210)이 형성되지 않거나 또는 다른 영역보다 더 낮은 높이의 걸림턱(210)이 형성되는 취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4에는 걸림턱(21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해당하는 취출부(23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취출부(230)는 복수의 걸림턱(210) 중 일부가 형성되지 않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취출부(230)는 걸림턱(210)의 일부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더 낮은 높이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취출부(230)가 구비된 영역은 걸림턱(210)이 없거나 낮게 형성되어, 용기 바디에 형성된 고정턱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취출부(230)가 포함된 고정링(200)을 용기 바디로부터 분리시킬 때, 취출부(230)가 구비된 영역을 상부로 먼저 들어올린 후에 나머지 영역을 들어올릴 수 있다. 즉, 취출부(23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고정링(200)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수단은 고정링(200)의 측면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되어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고정링(200)의 원주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변형부(220)를 더 포함하고, 이와 같이 변형부(220)와 취출부(230)를 모두 구비하는 구성에서는 변형부(220)와 취출부(230)가 고정링(200)의 원주 상에서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취출부(230)가 형성되는 고정링(200)에 변형부(220)가 추가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고정링(200)은, 변형부(220) 및 취출부(230)를 모두 구비할 수도 있다.
고정링(200)이 복수의(예를 들어, 2개의) 변형부(220)를 포함할 때와 마찬가지로, 변형부(220) 및 취출부(230)의 배치 관계에 따라, 변형부(220)의 소성변형으로 증가되는 길이 및 연결 팁(310)이 파단되는 개수가 상이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변형부(220) 및 취출부(230)의 배치를 상이하게 하여 용기 개폐용 캡(10)을 개방하는 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의 [표 2]와 같다.
변형부
(취출부 각도)
취출부
길이(mm)
변형부의 소성변형(mm) 연결부
유지(파단)
비고
1변형 2변형 전체
없음 17 3(9) 원유지
없음 23 4(8) 취출(○)
1개(180) 17 1.6 1.6 2(10) 원유지
1개(180) 23 1.4 1.4 2(10) 취출(○)
1개(150) 17 0.7 0.7 2(10) 취출(△)
2개(120) 없음 0.8 1.1 1.9 5(7) 원유지
2개(100) 없음 0.4 0.9 1.3 5(7) 원유지
[표 2]의 실험결과는 취출부(230)만 형성되는 경우와, 취출부(230) 및 변형부(220)가 동시에 형성되는 경우에 각각의 변형부(220)가 증가된 길이를 나타낸다. 참고로, 본 발명의 발명자가 실험에서 사용한 고정링(200)은 외부 원주 길이가 98mm, 변형 전의 변형부(220)의 길이가 2.2mm에 해당하는 것이다.
또한, [표 2]에 기재된 '연결부 유지(파단)'은 최초로 용기 개폐용 캡(10)이 개방되었을 때 파단되지 않고 유지된 연결 팁의 개수 및 파단된 연결 팁의 개수를 나타낸 것이다. 즉, 실험 대상이 되는 용기 개폐용 캡(10)의 연결부(300)는 최초에 각각 12개의 연결 팁(310)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취출부(230)의 유무 및 변형부(220)의 증가된 길이에 따라 서로 상이한 개수의 연결 팁(310)이 파단되었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취출부(230)의 유무에 따라 각각의 변형부(220)가 증가되는 길이 및 파단되는 연결 팁(310)의 개수가 서로 상이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변형부(220) 및 취출부(230)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서도 변형부의 증가되는 길이가 상이함을 알 수 있다. 특히, 고정링(200)이 취출부(230) 및 변형부(220)를 동시에 포함하면서, 양 구성 간에 서로 18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할 때 전체 길이가 가장 크게 증가되고 취출(즉 고정링(200)의 분리)이 용이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단부(240)에서 파단이 일어나기 전(a)과 파단이 일어난 후(b)의 상태를 나타낸 고정링(200)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링(200)에는, 용기 개폐용 캡(10)이 용기 바디로부터 분리됨에 있어 걸림턱(210)의 적어도 일부가 용기 바디에 형성된 고정턱에 걸림이 없이 고정링(200)이 본체(100)와 결속된 일체로 분리되도록 하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의 수단은 변형부(220) 및/또는 취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의 수단은 고정링(200)의 측면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파단 팁으로 구성되는 파단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파단부(2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200)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파단부(240)가 파단되면 고정링(200)의 측면에서 파단부(240)를 경계로 분리가 일어날 수 있다. 즉, 고정링(200)이 더이상 견고한 원의 형상을 유지하지 않게 되어, 사용자는 용기 바디로부터 고정링(20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최초로 용기를 개방하기 위해 용기 개폐용 캡(10)을 회전시키면 파단부(240)에도 인장에 의한 응력이 작용하고, 작용한 응력이 특정한 크기 이상이 되면 파단부(240)가 파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단부(240)는 연결부(300)의 연결 팁(310)과 유사한 복수의 파단 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파단 팁이 모두 파단되었을 때 고정링(200)의 측면에서 파단부(240)를 경계로 분리가 일어날 수 있다.
파단부(240)는 취출부(230)와 동시에 구비될 수도 있고, 취출부(230) 및 변형부(220)와 동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변형부(220)가 구비되면 고정링(200)의 측면이 분리될 필요성이 낮으므로, 파단부(240)는 취출부(230)와 함께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10) 및 용기 개폐용 캡(10)과 결합되는 용기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에 의하면, 캡의 하부에 해당하는 고정링의 일부 영역이 용기 입구의 고정턱에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정링이 캡의 상부와 결속된 일체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에 의하면, 사용자가 최초로 캡을 회전시켜 개방할 때 고정링에 소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고정링의 원주가 증가되어 용기 입구와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에 의하면, 사용자가 캡을 회전시켜 개방할 때 고정링의 측면 상에 상하방향으로 파단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사용 후에 고정링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용기 개폐용 캡
100: 본체
200: 고정링
210: 걸림턱
220: 변형부
221: 변형유도부
222: 제1 소성변형부
223: 제2 소성변형부
230: 취출부
240: 파단부
300: 연결부
310: 연결 팁

Claims (10)

  1. 용기 개폐용 캡으로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고정링; 및
    상기 본체 및 상기 고정링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본체 및 상기 고정링을 상호 결합시키는 복수의 연결 팁으로 구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에는, 상기 용기 개폐용 캡이 용기 바디로부터 분리됨에 있어 상기 걸림턱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기 바디에 형성된 고정턱에 걸림이 없이 상기 고정링이 상기 본체와 결속된 일체로 분리되도록 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단은, 상기 고정링의 측면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되어,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상기 고정링의 원주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고정링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관통하는 홀(hole) 형태로 구비되는 변형유도부;
    상기 변형유도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소성변형되어 길이가 증가된 상태를 유지하되, 파단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소성변형부; 및
    상기 변형유도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소성변형되어 길이가 증가된 상태를 유지하되, 파단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소성변형부로 구성되는,
    용기 개폐용 캡.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고정링의 측면에 복수로 구비되는,
    용기 개폐용 캡.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하는 응력에 의한 상기 제1 소성변형부의 길이 증가는, 상기 작용하는 응력에 의한 상기 제2 소성변형부의 길이 증가와 상이한,
    용기 개폐용 캡.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지 않거나 또는 다른 영역보다 더 낮은 높이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취출부를 포함하는,
    용기 개폐용 캡.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와 상기 취출부는, 상기 고정링의 원주 상에서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용기 개폐용 캡.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고정링의 측면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파단 팁으로 구성되는 파단부를 더 포함하는,
    용기 개폐용 캡.
  10. 제 1 항에 따른 용기 개폐용 캡; 및
    상기 용기 개폐용 캡과 결합되는 용기 바디를 포함하는,
    용기.
KR1020190123844A 2019-10-07 2019-10-07 용기 개폐용 캡 KR102129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44A KR102129490B1 (ko) 2019-10-07 2019-10-07 용기 개폐용 캡
PCT/KR2020/013592 WO2021071211A1 (ko) 2019-10-07 2020-10-06 용기 개폐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44A KR102129490B1 (ko) 2019-10-07 2019-10-07 용기 개폐용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490B1 true KR102129490B1 (ko) 2020-07-02

Family

ID=71599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844A KR102129490B1 (ko) 2019-10-07 2019-10-07 용기 개폐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4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1211A1 (ko) * 2019-10-07 2021-04-15 박수현 용기 개폐용 캡
KR102526934B1 (ko) * 2021-12-09 2023-04-28 한백희 개선된 친환경 플라스틱 병뚜껑
KR102584229B1 (ko) * 2023-04-11 2023-10-05 엔비에스티(주) 위변조 방지수단을 구비한 음료 병 및 캡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02265A (ja) * 1985-12-12 1988-09-01 トリイ−テク システムズ インタ−ナシヨナル インコ−ポレ−テツド 分離可能または破断可能な下側部分を有する捩り切り証拠型プラスチックキャッブ及びその形成方法
JP2011006105A (ja) * 2009-06-25 2011-01-13 Yuuko Furuno 樹脂製ボトルキャップのエンドリング除去構造並びにこれを具えた容器
JP4921944B2 (ja) * 2006-12-07 2012-04-25 株式会社細川洋行 口栓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袋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02265A (ja) * 1985-12-12 1988-09-01 トリイ−テク システムズ インタ−ナシヨナル インコ−ポレ−テツド 分離可能または破断可能な下側部分を有する捩り切り証拠型プラスチックキャッブ及びその形成方法
JP4921944B2 (ja) * 2006-12-07 2012-04-25 株式会社細川洋行 口栓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袋体
JP2011006105A (ja) * 2009-06-25 2011-01-13 Yuuko Furuno 樹脂製ボトルキャップのエンドリング除去構造並びにこれを具えた容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1211A1 (ko) * 2019-10-07 2021-04-15 박수현 용기 개폐용 캡
KR102526934B1 (ko) * 2021-12-09 2023-04-28 한백희 개선된 친환경 플라스틱 병뚜껑
KR102584229B1 (ko) * 2023-04-11 2023-10-05 엔비에스티(주) 위변조 방지수단을 구비한 음료 병 및 캡 어셈블리
CN117184618A (zh) * 2023-04-11 2023-12-08 新伟智方有限公司 具备防伪变造装置的饮料瓶及盖组件
CN117184618B (zh) * 2023-04-11 2024-05-03 新伟智方有限公司 具备防伪变造装置的饮料瓶及盖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9490B1 (ko) 용기 개폐용 캡
US20200140148A1 (en) Bottle cap and fitment assembly and method
US8469213B2 (en) Synthetic resin container closure
JPH078437Y2 (ja) 易分離性帯輪部材を有する不正開封防止用閉鎖具
AU2005204644B2 (en) Tamper indicating closure with foldable tab
US4478343A (en) Tamper-indicating closure
US3463341A (en) Tamper-indicating closure
RU2407683C2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US4664278A (en) Tamper indicating package
CA1282734C (en) Tamper evident closure and bottle assembly
CN1047567C (zh) 带有具有凹形边缘部分的外条带的载片材料
EP1930248A1 (en) A Tamper Evident Spout Unit and a Bag Incorporating the Spout Unit
AU620003B2 (en) Tamper indicating packages
DE602004008965T2 (de) Trommelverschlussabdeckkappe mit kombination
JPS6216351A (ja) 開口明示性容器
WO1996000171A1 (de) Verschlusskappe mit garantiering
GB2198715A (en) Tamper-indicating band for a screw-threaded cap
GB2143512A (en) Container closure
US5074425A (en) Plastic closure cap
KR102363696B1 (ko) 용기 개폐용 캡
SK283598B6 (sk) Skrutkový uzáver na fľaše s bezpečnostným a ochranným prúžkom
EP0480740A1 (en) Tamper indicating closure having deflectable portion in top wall
JPH08156960A (ja) 除去容易なキャップ
EP4053035B1 (en) A tethered closure system
ITMI962470A1 (it) Chiusura di garanzia per una bottiglia per liquori di preg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