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418B1 - 페트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페트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418B1
KR102248418B1 KR1020200098925A KR20200098925A KR102248418B1 KR 102248418 B1 KR102248418 B1 KR 102248418B1 KR 1020200098925 A KR1020200098925 A KR 1020200098925A KR 20200098925 A KR20200098925 A KR 20200098925A KR 102248418 B1 KR102248418 B1 KR 102248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body
lid
end ring
pet contain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복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소지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소지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소지음
Priority to KR1020200098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418B1/ko
Priority to PCT/KR2021/010193 priority patent/WO20220309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42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igid bead or projections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and coacting with bead or projections on the container
    • B65D41/344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igid bead or projections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and coacting with bead or projections on the container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트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상기 주입구의 외면 둘레에 형성된 나선결합부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내면 둘레에 뚜껑 나선결합부가 형성되고, 외면 둘레에는 회전작동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널링부가 형성되는 뚜껑본체; 및 상기 뚜껑본체의 하부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엔드링;을 포함하고, 상기 엔드링은 내면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뚜껑본체가 주입구에 결합시 구속돌기에 걸림되는 간섭돌기; 상기 뚜껑본체와 엔드링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양측 끝단이 상기 뚜껑본체와 엔드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뚜껑본체의 회전작동시 형태 변형을 일으키는 이음돌부; 및 상기 이음돌부와 이음돌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양측 끝단이 상기 뚜껑본체와 엔드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뚜껑본체의 회전작동시 일단이 분리되는 봉인돌부;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페트용기 뚜껑{PET container lid}
본 발명은 페트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페트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된 뚜껑본체의 분리시 하부에 위치하는 엔드링도 함께 분리할 수 있도록 한 페트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사용되는 페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용기의 주요특성은 무엇보다도 가볍고 투명하며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식음료의 용기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페트용기가 발명된 이래 탄산음료 산업의 호황과 재료의 장점으로 인해 업계에서 즉시 활용되었으며, 1999년경에는 1년에 1,000억 병이 생산될 정도로 호황을 누리게 되었다. 처음에는 대부분 음료수나 소스류 등과 같은 액체를 담는 용기로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맥주나 소주를 담는 주류는 물론 안약, 세제 등 다양한 패키지 재료로 사용되고 있어 이제는 소비자들의 생활환경에 필수적인 존재로 다가서고 있다.
한편, 상기 페트용기의 주입구(주둥이부)에는 내용물(식음료 등)의 보존을 위한 밀전(密栓)과 더불어 개봉여부 파악의 봉인(封印) 기능을 제공하는 뚜껑(cap)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통상의 페트용기는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본체와 그 용기본체의 주입구에 뚜껑이 구비결합되는바, 상기 용기본체의 주입구 외둘레에는 뚜껑의 체결을 위한 나선형(螺旋形)의 체결돌기 및 뚜껑의 분리방지를 위한 환형(環形)의 구속돌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본체의 주입구를 밀봉·밀전하는 뚜껑본체와 상기 뚜껑본체를 봉인하는 엔드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본체의 내둘레에는 상기 주입구 외둘레의 체결돌기에 대응하는 나선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엔드링의 내둘레에는 상기 주입구 외둘레의 구속돌기에 걸림되는 다수의 간섭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때문에, 상기 뚜껑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페트용기의 주입구로부터 분리하더라도 상기 엔드링은 그 내둘레의 간섭돌기가 상기 주입구 외둘레의 구속돌기에 걸림되어 구속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결국 엔드링은 페트용기에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그런데, 페트용기와 뚜껑은 PET와 PE(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로 서로 다른 재질인 관계로, 상기 페트용기의 재활용성(재자원화) 충족을 위해서는 이종재료인 뚜껑 및 그 뚜껑의 부속인 상기 엔드링까지 모두 분리해내어 가능한 한 단일소재로서 회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가위 또는 니퍼 등과 같은 절단도구를 이용해서 상기 엔드링을 잘라내는 방법으로 페트용기에서 분리해 왔으나, 해당방법의 번거로움으로 대개의 페트용기는 엔드링이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로 회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로 인해 분리수거가 어려워 일반쓰레기로 버려져 자원낭비는 물론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는 문제가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1626호를 통해,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용기가 개시되었는바, 종래의 상기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용기는, 주입구에 엔드링을 규제하는 링 멈춤 상부 플랜지(구속돌기)의 일부를 슬로프(slope) 형상으로 잘라내어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엔드링을 회전시키면 상기 엔드링 내둘레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 플랩(간섭돌기)이 상기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를 벗어나도록 함을 통해 상기 주입구로부터 엔드링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엔드링의 제거구조 달성을 위해서는 상기 유도용 플랜지 잘림부가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지금까지와는 다른 형태로 페트용기의 주입구를 제작해야만 하는 호환성 결여의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실제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뒤따른다.
결국, 페트용기의 형태변형 없이도 그 페트용기로부터 뚜껑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엔드링이 함께 분리(제거)될 수 있는 페트용기 뚜껑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1626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193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페트용기의 주입구로부터 뚜껑본체을 분리해내는 과정에서 상기 뚜껑본체 하측의 엔드링의 형태변형을 유발되도록 하여, 뚜껑본체의 분리시 상기 주입구 외면 둘레의 구속돌기에 의한 상기 엔드링의 구속력이 상실되고 이로써 상기 엔드링까지 함께 분리될 수 있는 페트용기 뚜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페트용기 뚜껑은 상기 주입구의 외면 둘레에 형성된 나선결합부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내면 둘레에 뚜껑 나선결합부가 형성되고, 외면 둘레에는 회전작동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널링부가 형성되는 뚜껑본체; 및 상기 뚜껑본체의 하부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엔드링;을 포함하고, 상기 엔드링은 내면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뚜껑본체가 주입구에 결합시 구속돌기에 걸림되는 간섭돌기; 상기 뚜껑본체와 엔드링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양측 끝단이 상기 뚜껑본체와 엔드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뚜껑본체의 회전작동시 형태 변형을 일으키는 이음돌부; 및 상기 이음돌부와 이음돌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양측 끝단이 상기 뚜껑본체와 엔드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뚜껑본체의 회전작동시 일단이 분리되는 봉인돌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섭돌기는 곡면 형상으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상부 경사면과 수직면 및 하부 경사면이 연속형성되고, 양측 끝단은 곡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음돌부는 엔드링의 상면을 따라 곡면지게 형성되고, 상기 봉인돌부는 뚜껑본체의 회전작동시 상부의 파단이 용이하도록 원뿔, 사디리꼴, 반원뿔, 반사다리꼴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페트용기 뚜껑은 페트용기의 주입구로부터 뚜껑본체을 분리해내는 과정에서 상기 뚜껑본체는 물론 상기 뚜껑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엔드링까지 동시에 분리될 수 있음으로써, 재활용성의 충족을 위한 단일소재로서 상기 페트용기의 회수가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페트용기 뚜껑은 엔드링 분리의 사용자 니즈(needs)를 충족시켜줌은 물론 경쟁력있는 상품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함으로써 삶의 질을 높여주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한편, 버려지는 폐자원으로부터 자원을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폐자원 재순환산업에 관한 정책과 회수기술 확립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트용기 뚜껑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페트용기 뚜껑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페트용기 뚜껑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페트용기 뚜껑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페트용기 뚜껑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페트용기 뚜껑의 시제품을 나타낸 사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트용기 뚜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페트용기 뚜껑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페트용기 뚜껑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페트용기 뚜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본원발명의 페트용기 뚜껑(100)이 적용되는 페트용기(10)는 상부에 주입구(12)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12)의 외면 둘레에는 나선결합부(14)가 형성되며, 상기 나선결합부(14)의 하부에 위치한 주입구(12)에는 환형 형상의 구속돌기(1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페트용기(10)는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페트용기가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본원발명인 페트용기 뚜껑(100)은 뚜껑본체(200)와 엔드링(300)으로 대별된다.
그리고 본원발명의 페트용기 뚜껑(100)은 페트용기(10)의 주입구(20)에 결합된 뚜껑본체(200)의 분리시 형태변형을 일으켜 상기 뚜껑본체(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엔드링(300)도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다.
상기 뚜껑본체(200)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며 평면상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뚜껑본체(200)는 페트용기(10)의 주입구(20)에 나선결합되어, 상기 페트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식음료 등)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본체(200)는 내면 둘레에 뚜껑 나선결합부(210)가 형성되고, 외면 둘레에는 회전작동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널링부(2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뚜껑본체(200)는 내면 둘레에 상기 페트용기(10)를 구성하는 주입구(12)의 나선 결합부(14)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뚜껑 나선결합부(210)을 형성하고, 외면 둘레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널링(knurling)부(22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엔드링(300)은 뚜껑본체(20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엔드링(300)은 페트용기(10)의 주입구(20)에 결합된 상기 뚜껑본체(200)의 봉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엔드링(300)은 내면 둘레에 동일선상으로 간격을 두고 간섭돌기(310)가 형성되고, 상부 끝단에는 간격을 두고 뚜껑본체(200)와 일체로 형성되는 이음돌부(320)가 형성되며, 상기 이음돌부(320)의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봉인돌부(33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섭돌기(310)는 뚜껑본체(200)가 페트용기(10)의 주입구(20)에 결합시 상기 주입구(20)를 구성하는 환형 형상의 구속돌기(16)에 걸림된다.
여기서, 상기 간섭돌기(310)는 곡면 형상으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상부 경사면(311)과 수직면(312) 및 하부 경사면(313)이 연속형성되고, 양측 끝단(314)은 곡면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간섭돌기(310)는 주입구(20)의 구속돌기(16)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 경사면(313)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구속돌기(16)에 지지될 수 있도록 수직면(312)을 돌출형성하고, 상기 주입구(20)의 구속돌기(16)와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부 경사면(311)을 경사지게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음돌부(320)는 엔드링(300)의 상면을 따라 곡면지게 형성되어 뚜껑본체(200)의 회전작동시 형태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이음돌부(320)는 페트용기(10)의 주입구(20)에서 뚜껑본체(200)가 분리될 때, 상기 뚜껑본체(200)의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형태변형을 일으키고 엔드링(300)을 구속돌기(16)에서 벗어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봉인돌부(330)는 뚜껑본체(200)의 회전작동시 뚜껑본체(200)와 연결된 상부 부분이 파단(破斷, fracture)되며 그에 따른 상기 뚜껑본체(200)의 개봉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봉인돌부(330)는 뚜껑본체(200)이 회전작동시 원활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원뿔, 사디리꼴, 반원뿔, 반사다리꼴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봉인돌부(330)는 원활한 작용을 위해 도시된 도 4와 같이 상기 이음돌부(320)와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페트용기 뚜껑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지름을 가지며 평면상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면 둘레에 뚜껑 나선결합부(210)가 형성되며, 외면 둘레에는 회전작동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널링부(220)가 형성되는 뚜껑본체(200)와,
링 형상으로 내면 둘레에 동일선상으로 간격을 두고 간섭돌기(310)가 형성되고, 상부 끝단에는 간격을 두고 뚜껑본체(200)와 일체로 형성되는 이음돌부(320)가 형성되며, 상기 이음돌부(320)의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봉인돌부(330)가 형성되는 엔드링(300)이 일체로 형성되는 페트용기 뚜껑(100)을 일체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페트용기 뚜껑(100)은 페트용기(10)의 주입구(12)에 구비결합된 상태로, 상기 페트용기(10) 내부에 담긴 내용물의 보존을 위해 상기 주입구(12)를 밀봉·밀전함과 아울러 개봉여부 파악의 봉인 가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후, 상기 페트용기(10)의 내부에 담긴 내용물을 사용자가 음용하고, 뚜껑본체(200)와 엔드링(300)으로 구성되는 페트용기 뚜껑(100)을 페트용기(10)의 주입구(12)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페트용기(10)의 주입부(12)에 구비결합된 뚜껑본체(2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뚜껑본체(200)가 상기 주입부(12)를 따라 상승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뚜껑본체(200)를 페드용기(10)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함을 통해 주입부(12)의 개방하고, 사용자는 상기 페트용기(10)에 담긴 식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뚜껑본체(200)의 하측에 일체로 구성된 상기 엔드링(300)이 상기 뚜껑본체(200)와 함께 상기 주입부(12)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의거, 단일소재의 페트용기(10)로 회수가 가능한 것이며, 이로써 재활용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입부(12)의 개봉을 위해 상기 주입부(12)에 구비결합된 상기 뚜껑본체(2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뚜껑본체(200) 내면 둘레에 형성된 뚜껑 나선결합부(210)가 상기 페트용기(10)의 주입부(12) 외면 둘레에 형성된 나선결합부(14)를 타고 도는 작용으로 상기 뚜껑본체(200)가 상기 주입부(12)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과정을 연속에 따라 페트용기(10)의 주입부(12)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이때, 상기 주입부(12) 외면 둘레의 구속돌기(16)에 엔드링(300) 내면 둘레의 간섭돌기(310)가 걸림상태인 것에 따라, 결국 상기 뚜껑본체(200)와 엔드링(300)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는 현상이 유발되는 것이며, 그러한 과정에서 상기 엔드링(300)의 상단에 형성되어 뚜껑본체(200)의 하단으로 이어진 봉인돌부(330)가 인장력(引張力, tension)에 파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엔드링(300)의 다른 상단에 형성되어 뚜껑본체(200)의 다른 하단으로 이어진 이음돌부(320)에 의해 상기 뚜껑본체(200)의 회전작동시 상기 이음돌부(320)가 형성된 엔드링(300)의 일부위가 상측으로 들리게 되어 형태변형의 작용이 유발되는 것이다.
즉, 상기 엔드링(300)의 형태변형에 따른 형태보존 능력(링형태의 보존능력 저하)의 상실로 인하여, 상기 엔드링(300) 내면 둘레의 간섭돌기(310)가 페트용기(10)의 주입부(12) 외면 둘레의 구속돌기(16)를 타고 넘어, 상기 엔드링(300)이 주입부(12)를 완전히 벗어나게 되고 상기 뚜껑본체(200)와 함께 엔드링(300)이 페트용기(10)로부터 동시에 분리되는 것이 가능케 된다.
이로써, 단일소재로 분리된 페트용기(10)의 회수 및 그에 따른 재활용성이 극대화를 도모하기 위한, 상기 뚜껑본체(200) 및 뚜껑본체(200)의 하부에 위치한 엔드링(300) 모두의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원발명인 페트용기 뚜껑(100)에 의하면, 페트용기(10)의 주입부(12)로부터 상기 뚜껑본체(200)를 분리해내는 과정에서, 상기 뚜껑본체(200)는 물론 상기 엔드링(300)까지 동시에 분리될 수 있음에 따라, 재활용성의 충족을 위한 단일소재로서 상기 페트용기(10)의 회수가 가능케 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본체(2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페트용기(10)의 주입부(12)로부터 분리해내는 과정에서 상기 엔드링(300)의 형태변형(링형태 보존능력 저하)을 유발, 상기 주입부(12) 외면 둘레의 구속돌기(16)로부터 간섭돌기(310)가 벗어날 수 있도록 함을 통해, 상기한 엔드링(300)을 주입부(12)로부터 보다 손쉽고 용이하게 분리해내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페트용기 12 : 주입구
14 : 나선결합부 16 : 구속돌기
100 : 페트용기 뚜껑 200 : 뚜껑본체
210 : 뚜껑 나선결합부 220 : 널링부
300 : 엔드링 310 : 간섭돌기
311 : 상부 경사면 312 : 수직면
313 : 하부 경사면 314 : 끝단
320 : 이음돌부 330 : 봉인돌부

Claims (3)

  1. 페트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페트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밀전과 개봉여부를 확인하는 뚜껑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의 외면 둘레에 형성된 나선결합부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내면 둘레에 뚜껑 나선결합부가 형성되고, 외면 둘레에는 회전작동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널링부가 형성되는 뚜껑본체; 및
    상기 뚜껑본체의 하부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엔드링;을 포함하고,
    상기 엔드링은 내면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뚜껑본체가 주입구에 결합시 구속돌기에 걸림되는 간섭돌기;
    상기 뚜껑본체와 엔드링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양측 끝단이 상기 뚜껑본체와 엔드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뚜껑본체의 회전작동시 형태 변형을 일으키는 이음돌부; 및 상기 이음돌부와 이음돌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이음돌부와 동일선상에 형성되고, 양측 끝단이 상기 뚜껑본체와 엔드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뚜껑본체의 회전작동시 일단이 분리되는 봉인돌부;로 구성되고,
    상기 간섭돌기는 곡면 형상으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상부 경사면과 수직면 및 하부 경사면이 연속형성되고, 양측 끝단은 곡면지게 형성되며,
    상기 이음돌부는 엔드링의 상면을 따라 곡면지게 형성되고,
    상기 봉인돌부는 뚜껑본체의 회전작동시 상부의 파단이 용이하도록 원뿔, 사디리꼴, 반원뿔, 반사다리꼴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용기 뚜껑.
  2. 삭제
  3. 삭제
KR1020200098925A 2020-08-07 2020-08-07 페트용기 뚜껑 KR102248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925A KR102248418B1 (ko) 2020-08-07 2020-08-07 페트용기 뚜껑
PCT/KR2021/010193 WO2022030979A1 (ko) 2020-08-07 2021-08-04 페트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925A KR102248418B1 (ko) 2020-08-07 2020-08-07 페트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418B1 true KR102248418B1 (ko) 2021-05-06

Family

ID=7591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925A KR102248418B1 (ko) 2020-08-07 2020-08-07 페트용기 뚜껑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48418B1 (ko)
WO (1) WO202203097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269B1 (ko) * 2021-07-27 2022-02-08 한백희 친환경 플라스틱 병뚜껑
WO2022030979A1 (ko) * 2020-08-07 2022-02-10 주식회사 미소지음 페트용기 뚜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2531A (ja) * 2008-06-09 2009-12-17 Japan Crown Cork Co Ltd タンパーエビデント特性を備えた合成樹脂製容器蓋
KR20120101626A (ko) 2009-06-25 2012-09-14 유키 후루노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용기
JP2013126881A (ja) * 2011-12-16 2013-06-27 Nippon Closures Co Ltd 合成樹脂製容器蓋及びこれと容器との組み合わせ
KR20150001931U (ko) 2015-04-10 2015-05-20 양복주 용기용 에코 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3312A (ja) * 2009-09-17 2011-03-31 Tadao Takakura 分別回収率を高めるペットボトル用キャップ
KR200483233Y1 (ko) * 2015-08-25 2017-04-18 한미약품 주식회사 병마개
KR102248418B1 (ko) * 2020-08-07 2021-05-06 주식회사 미소지음 페트용기 뚜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2531A (ja) * 2008-06-09 2009-12-17 Japan Crown Cork Co Ltd タンパーエビデント特性を備えた合成樹脂製容器蓋
KR20120101626A (ko) 2009-06-25 2012-09-14 유키 후루노 수지제 병 뚜껑의 엔드링 제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용기
JP2013126881A (ja) * 2011-12-16 2013-06-27 Nippon Closures Co Ltd 合成樹脂製容器蓋及びこれと容器との組み合わせ
KR20150001931U (ko) 2015-04-10 2015-05-20 양복주 용기용 에코 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979A1 (ko) * 2020-08-07 2022-02-10 주식회사 미소지음 페트용기 뚜껑
KR102355269B1 (ko) * 2021-07-27 2022-02-08 한백희 친환경 플라스틱 병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0979A1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63699B1 (en) Vented beverage closure
RU2578581C2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и упаковка с индикацией вскрытия
CA2266118C (en) Valved bottle cap
US6206222B1 (en) Resealable closure on seamed can end
US8720717B2 (en) End closure with full panel opening
KR102248418B1 (ko) 페트용기 뚜껑
EP1547934B1 (en) Closure with frangible membrane
US4437593A (en) Overcap for spice canister
CN1701028A (zh) 留有擅自动用证据的瓶盖
CN113015683A (zh) 具有稳定的打开角度的牵连式封闭件
US5957316A (en) Valved bottle cap
US4526279A (en) Severing overcap for container
AU2003252090A1 (en) Beverage closure with open/close spout
US6082567A (en) Cap skirt with single bead and container neck structure
US7810681B2 (en) Internal container bore mount fitment
US20100140268A1 (en) Dispensing closure with removable membrane
US20070108153A1 (en) Drinking and pouring closure with a piercing cutter device for composite packagings or container and bottle spouts sealed with a film material
US20220041339A1 (en) Single anchor closure
KR102177073B1 (ko)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KR102177076B1 (ko)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US20220153467A1 (en) Pet container cap with simultaneously separable end ring
EP4282775A2 (en) A cap for closing a container
JP5164581B2 (ja) 分別機能付ヒンジキャップ
KR200335171Y1 (ko) 병마개
JP7073136B2 (ja) 容器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