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233Y1 - 병마개 - Google Patents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233Y1
KR200483233Y1 KR2020150005689U KR20150005689U KR200483233Y1 KR 200483233 Y1 KR200483233 Y1 KR 200483233Y1 KR 2020150005689 U KR2020150005689 U KR 2020150005689U KR 20150005689 U KR20150005689 U KR 20150005689U KR 200483233 Y1 KR200483233 Y1 KR 2004832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spout
cap
stopp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825U (ko
Inventor
오강석
Original Assignee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5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233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8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8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2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2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병의 주둥이와 결합되는 병마개에 있어서, 상기 병의 주둥이와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병의 주둥이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마개부의 하단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마개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부의 개봉시 파단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마개부를 회전시켜 상기 병의 주둥이로부터 분리시킬 때 쉽게 파단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다른 부분보다 작은 값의 전단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개봉시에 상기 연결부가 쉽게 파단될 수 있으며, 150 내지 250개/min의 속도로 비교적 고속의 장착 속도를 가진 고속 캡핑기에서도 상기 연결부의 파단 없이 장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병마개{Bottle Cap}
본 고안은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봉시에 연결부가 쉽게 파단될 수 있으며, 비교적 고속의 장착 속도를 가진 고속 캡핑기에서도 연결부의 파단 없이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 등을 보관하는 하는 병의 주둥이는 외부 습기를 차단하기 위하여 병마개에 의하여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1에는 이러한 병마개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병마개(1)는, 병(B)의 주둥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부(2)와, 병(B)의 주둥이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3)와, 상기 마개부(2)의 하단부와 상기 결합부(3)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마개부(2)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부(2)의 개봉시 파단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부(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개부(2)를 사용자가 돌리면 상기 마개부(2)가 상기 결합부(3)에 대하여 상대 회전함으로써, 상기 연결부(4)가 파단되고, 상기 마개부(2)가 병(B)의 주둥이로부터 회전하면서 분리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3)는 개봉 후에도 병(B)의 주둥이에 그대로 결합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종래의 병마개(1)는, 상기 연결부(4)가 전체 길이에 걸쳐서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연결부(4)의 전단 강도가 전체 길이에 걸쳐서 동일한 막대 형상을 가지는 바, 상기 연결부(4)의 전단 강도가 지나치게 강한 경우에는 악력이 약한 노약자 등에 의하여 병마개를 개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병마개(1)는, 상기 연결부(4)의 전단 강도가 지나치게 약한 경우에는 병마개를 병(B) 주둥이에 장착하는 캡핑기(Capping machine)가 고속으로 작동할 경우 상기 연결부(4)가 캡핑 공정에서 의도하지 않게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로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종래의 병마개(1)는 60 내지 80개/min의 병마개 장착 속도 이상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4)의 전단 강도 및 형상 설계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으며, 이러한 설계 요구는 150 내지 250개/min의 병마개 장착 속도를 가진 고속 캡핑기(High-speed Capping machine)에서 특히 중요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개봉시에 연결부가 쉽게 파단될 수 있으며, 비교적 고속의 장착 속도를 가진 고속 캡핑기에서도 연결부의 파단 없이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병마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병마개는, 병의 주둥이와 결합되는 병마개에 있어서, 상기 병의 주둥이와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병의 주둥이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마개부의 하단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마개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부의 개봉시 파단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마개부를 회전시켜 상기 병의 주둥이로부터 분리시킬 때 쉽게 파단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다른 부분보다 작은 값의 전단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상하로 연장된 막대 형상을 가지며, 상단부가 상기 연결부의 다른 부분보다 작은 값의 전단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의 전단 강도는, 상기 연결부의 단면적의 값으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20 내지 30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150 내지 250개/min의 가공 속도를 가진 캡핑기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미리 정한 최소 전단 강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마개부는, 원판 형상의 수평부; 상기 병의 주둥이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부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원형 파이프 형상의 수직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 파이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의 내면에는, 병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흡습제를 수용할 수 있는 흡습제 수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흡습제 수용부는, 하방으로 연장된 원형 파이프 형상의 부분으로서, 상단부는 상기 수평부의 내면에 결합되어 있고,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는 본체부;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를 밀봉하는 봉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평부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봉합 부재의 테두리는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 테두리에 열봉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병의 주둥이와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병의 주둥이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마개부의 하단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마개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부의 개봉시 파단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부의 다른 부분보다 작은 값의 전단 강도를 가지므로, 개봉시에 상기 연결부가 쉽게 파단될 수 있으며, 150 내지 250개/min의 속도로 비교적 고속의 장착 속도를 가진 고속 캡핑기에서도 상기 연결부의 파단 없이 장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병마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병마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병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병마개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병마개가 병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병마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병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병마개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병마개(100)는, 의약품 등이 들어있는 병(B)의 주둥이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병마개(Bottle Cap)로서, 마개부(10)와, 결합부(20)와, 연결부(30)와, 흡습제 수용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병마개(100)는 다양한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을 주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마개부(10)는, 병(B)의 주둥이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수평부(11)와, 수직부(12)와 암나사부(13)를 구비한다.
상기 수평부(11)는, 중심축선(C1)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원판 형상의 부분으로서, 병(B)의 주둥이를 막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수평부(11)의 외경(L1)은 25 내지 50mm가 적당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부(11)의 외경(L1)은 37mm이다.
상기 수직부(12)는, 상기 수평부(11)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중심축선(C1)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된 원형 파이프 형상의 부분으로서, 상기 수직부(12)의 내주면이 병(B)의 주둥이와 결합된다.
상기 수직부(12)의 높이(L2)는 15 내지 50mm가 적당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부(12)의 높이(L2)는 25mm이다.
상기 암나사부(13)는, 상기 수직부(12)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B)의 주둥이에 형성된 수나사부(S)에 나사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병(B)의 주둥이 하단부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마개부(1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중심축선(C1)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된 원형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수직부(12)와 동일한 외경(L1)을 가지고 있다.
상기 결합부(20)의 높이(L3)는 3 내지 20mm가 적당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5mm이다.
상기 결합부(20)의 하단부에는, 병(B)의 주둥이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 홈부(H)에 삽입되는 부분인 이탈 방지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21)는, 상기 결합부(20)의 하단부 중 일부가 상기 중심축선(C1)을 향하여 내측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이탈 방지부(21)가 상기 결합 홈부(H)에 삽입되어 장착되면, 상기 결합부(20)가 상기 병(B)의 주둥이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된다.
상기 결합부(20)에는 상기 결합부(20)가 상기 병(B)의 주둥이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회전 방지 수단(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마개부(10)의 하단부와 상기 결합부(2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마개부(10)의 하단부 테두리 둘레를 따라 복수 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마개부(10)를 상기 병(B)의 주둥이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켜 상기 병(B)의 주둥이로부터 분리 개봉시킬 때, 쉽게 파단될 수 있는 정도의 전단 강도(shearing strength)를 가진다.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중심축선(C1)을 따라 상하로 연장된 원형 봉 형상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31)가 상기 연결부(30)의 다른 부분보다 작은 값의 전단 강도를 가지고 있다.
상기 연결부(30) 각각의 전단 강도는, 상기 연결부(30)의 단면적의 값으로 조절되는 것이 가장 간편하다.
상기 연결부(30)의 상단부(31) 직경(D1)은 0.2 내지 0.4mm가 적당하며, 상기 연결부(30)의 하단부(32)의 직경(D2)는 0.5 내지 1.0mm가 적당하며, 상기 연결부(30)의 높이(H1)는 0.3 내지 1.5mm가 적당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30)의 상단부(31) 직경(D1)은 0.3mm이며, 상기 연결부(30)의 하단부(32) 및 중앙부(33)의 직경(D2)는 0.8mm이고, 상기 연결부(30)의 높이(H1)는 0.5mm이다.
상기 복수 개 연결부(30) 전체의 전단 강도는, 상기 연결부(30)의 개수로 조절되는 것이 가장 간편하다.
상기 연결부(30)는 20 내지 30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24개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30)는, 150 내지 250개/min의 가공 속도를 가진 캡핑기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미리 정한 최소 전단 강도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복수 개 연결부(30) 전체의 전단 강도는, 상기 연결부(30)의 개수와, 상기 연결부(30)의 단면적과, 상기 연결부(30)의 높이(H1)를 조절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흡습제 수용부(40)는, 병(B)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흡습제를 수용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상기 마개부(10)의 내면에 배치되며, 본체부(41)와, 봉합 부재(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흡습제로는 일반적으로 작은 알갱이 형태의 실리카 겔(silica gel)이 사용된다.
상기 본체부(41)는, 상기 중심축선(C1)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된 원형 파이프 형상의 부분으로서, 흡습제를 수용할 수 있는 중공 형태의 내부 공간(42)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41)의 상단부는 별도의 결합이나 접착 행위가 필요없도록 처음부터 상기 수평부(11)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41)의 하단부는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봉합 부재(43)는, 복수 개의 관통공(44)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본체부(41)의 개방된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41)를 밀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습제를 상기 본체부(41)의 내부 공간(42)에 투입한 후, 상기 봉합 부재(43)의 테두리는 상기 본체부(41)의 하단부 테두리에 고주파로 열봉합된다. 이러한 흡습제의 투입 및 열봉합은 자동화 기계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습제가 상기 관통공(44)을 통하여 병(B)의 내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봉합 부재(43)의 상면에 별도의 차단막(미도시)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차단막(미도시)은 여과지 계열의 종이가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의 병마개(100)는, 병(B)의 주둥이와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마개부(10); 상기 마개부(10)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병(B)의 주둥이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20); 상기 마개부(10)의 하단부와 상기 결합부(2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마개부(1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부(10)의 개봉시 파단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부(30);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30)의 상단부(31)와 하단부(3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부(30)의 다른 부분보다 작은 값의 전단 강도를 가지므로, 개봉시에 상기 연결부(30)가 쉽게 파단될 수 있으며, 150 내지 250개/min의 속도로 비교적 고속의 장착 속도를 가진 고속 캡핑기에서도 상기 연결부(30)의 파단 없이 장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병마개(100)는, 상기 연결부(30)가 상하로 연장된 막대 형상을 가지며, 상단부(31)가 상기 연결부(30)의 다른 부분보다 작은 값의 전단 강도를 가지므로, 개봉시에 상기 연결부(30)의 상단부(31)에서 파단이 일어나는 바, 파단 위치가 일정하지 않은 종래의 병마개(1)와 달리, 파단된 연결부(30) 모두가 상기 결합부(2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파단된 연결부(30) 모두가 상기 결합부(20)에 부착되면 상기 마개부(10)의 하단부에는 상기 연결부(30)가 부착되어 있지 않게 되므로, 상기 연결부(30)의 날카로운 절단면에 의하여 사용자가 부상을 당할 위험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병마개(100)는, 상기 연결부(30)의 전단 강도가 상기 연결부(30)의 단면적의 값으로 조절되므로, 상기 연결부(30)의 형상과 재질을 모두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상기 연결부(30)의 전단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병마개(100)는, 상기 연결부(30)는, 20 내지 30개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개봉시에 상기 연결부(30)가 쉽게 파단될 수 있는 동시에, 장착시에는 150 내지 250개/min의 속도로 비교적 고속의 장착 속도를 가진 고속 캡핑기에서도 상기 연결부(30)의 파단 없이 장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병마개(100)는, 상기 연결부(30)가 150 내지 250개/min의 가공 속도를 가진 캡핑기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미리 정한 최소 전단 강도를 구비하므로, 종래의 60 내지 80개/min의 가공 속도를 가진 저속 캡핑기에 비하여 가공 속도가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병마개(100)는, 상기 마개부(10)가 원판 형상의 수평부(11); 상기 병(B)의 주둥이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부(11)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원형 파이프 형상의 수직부(12);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 파이프 형상이므로, 일반적인 원형 주둥이를 가진 병(B)에 사용하기 용이하며, 전체적인 금형 제작도 쉽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병마개(100)는, 상기 수평부(11)의 내면에는 병(B)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흡습제를 수용할 수 있는 흡습제 수용부(40)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흡습제를 작은 봉투에 담은 후 그 봉투를 밀봉하여 병 내부에 투입하는 종래와는 달리, 습기에 취약한 의약품 등이 들어있는 병(B)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병마개(100)는, 상기 흡습제 수용부(40)가, 하방으로 연장된 원형 파이프 형상의 부분으로서 상단부는 상기 수평부(11)의 내면에 결합되어 있고,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는 본체부(41); 복수 개의 관통공(44)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본체부(4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41)를 밀봉하는 봉합 부재(43)를 포함하므로, 단순한 구조로 상기 흡습제 수용부(40)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병마개(100)는, 상기 본체부(41)가 상기 수평부(11)의 내면에 처음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삽입식 또는 접착식과 달리 상기 흡습제 수용부(40)가 캡핑기와의 간섭으로 인하여 병마개 장착시에 상기 마개부(10)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병마개(100)는, 상기 봉합 부재(43)의 테두리가 상기 본체부(41)의 하단부 테두리에 열봉합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삽입식 또는 접착식과 달리 상기 봉합 부재(43)가 병마개 장착시 또는 사용시에 상기 본체부(41)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병마개 10 : 마개부
11 : 수평부 12 : 수직부
13 : 암나사부 20 : 결합부
21 : 이탈 방지부 30 : 연결부
31 : 상단부 32 : 하단부
33 : 중앙부 40 : 흡습제 수용부
41 : 본체부 42 : 내부 공간
43 : 봉합 부재 44 : 관통공
1 : 종래의 병마개 2 : 마개부
3 : 결합부 4 : 연결부
B : 병 C1 : 중심축선
H : 결합 홈부 S : 수나사부

Claims (10)

  1. 병의 주둥이와 결합되는 병마개에 있어서,
    상기 병의 주둥이와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병의 주둥이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마개부의 하단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마개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부의 개봉시 파단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마개부를 회전시켜 상기 병의 주둥이로부터 분리시킬 때 쉽게 파단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다른 부분보다 작은 값의 전단 강도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상하로 연장된 원형 봉 형상을 가지며, 20 내지 30개가 마련되어 있으며, 150 내지 250개/min의 가공 속도를 가진 캡핑기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미리 정한 최소 전단 강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하로 연장된 막대 형상을 가지며, 상단부가 상기 연결부의 다른 부분보다 작은 값의 전단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전단 강도는, 상기 연결부의 단면적의 값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원판 형상의 수평부; 상기 병의 주둥이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부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원형 파이프 형상의 수직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 파이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의 내면에는, 병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흡습제를 수용할 수 있는 흡습제 수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 수용부는,
    하방으로 연장된 원형 파이프 형상의 부분으로서, 상단부는 상기 수평부의 내면에 결합되어 있고,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는 본체부;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를 밀봉하는 봉합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평부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부재의 테두리는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 테두리에 열봉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KR2020150005689U 2015-08-25 2015-08-25 병마개 KR2004832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689U KR200483233Y1 (ko) 2015-08-25 2015-08-25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689U KR200483233Y1 (ko) 2015-08-25 2015-08-25 병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825U KR20170000825U (ko) 2017-03-07
KR200483233Y1 true KR200483233Y1 (ko) 2017-04-18

Family

ID=58412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689U KR200483233Y1 (ko) 2015-08-25 2015-08-25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2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571A (ko) 2021-07-14 2023-01-25 함수매 항균 기능을 갖는 병마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418B1 (ko) * 2020-08-07 2021-05-06 주식회사 미소지음 페트용기 뚜껑
KR20240027913A (ko) 2022-08-23 2024-03-05 주식회사 대산에스피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2593A (ja) * 2006-12-27 2008-07-17 Taisei Kako Co Ltd タンパーエビデント容器
JP2014218272A (ja) 2013-05-08 2014-11-20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4838Y2 (ja) * 1991-04-18 1997-08-20 株式会社プラスコ 容器のキャップ装置
JP2600418Y2 (ja) * 1993-06-18 1999-10-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乾燥剤収容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2593A (ja) * 2006-12-27 2008-07-17 Taisei Kako Co Ltd タンパーエビデント容器
JP2014218272A (ja) 2013-05-08 2014-11-20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571A (ko) 2021-07-14 2023-01-25 함수매 항균 기능을 갖는 병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825U (ko)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67845A1 (en) Child Resistant Lid and Packaging
EP2949596B1 (en) Container sealing device
US4747501A (en) Container closure method
US11535434B2 (en) Safety capsule for a container
KR200483233Y1 (ko) 병마개
KR101744846B1 (ko) 다목적 친환경캡
EP2663505B1 (en) Drink-through spout cap for a beverage bottle, set of a cover and such a drink-through spout cap, a drinking devic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preparing a drinking device
NO135744B (ko)
US20210107709A1 (en) Cap for a Drink Bottle or Similar Recipient
US20180208372A1 (en) Reservoir cap
ES1237189U (es) Tapón de cierre con bisagra extensible para envases
EP2674371A1 (en) Bottle cap for the conservation of substances to be kept separate until their use
ES1072702U (es) Tapon roscado.
EP2586721A1 (en) Cap, particularly for bottles and the like
ES1108635U (es) Mecanismo para tapar botellas o recipientes con bebidas
JP6971172B2 (ja) 注出容器
KR20180023213A (ko) 빨대 삽입형 병마개
CN106000501B (zh) 一种高密封性离心管
CN220866086U (zh) 瓶盖及瓶
KR200371205Y1 (ko) 이중격실 용기
JP3185665U (ja) 開栓具
KR102605913B1 (ko) 분리배출이 용이하고 개봉유무 확인이 가능하며 개봉 후 재사용이 용이한 병마개
AU2012100441A4 (en) Improved drink bottle cap
JP6932993B2 (ja) ヒンジキャップ
BR112018014156B1 (pt) Recipiente com borda resistente à abrasão, embalagem compreendendo o recipiente e sistema compreendendo uma pluralidade de embalag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