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213A - 빨대 삽입형 병마개 - Google Patents

빨대 삽입형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213A
KR20180023213A KR1020160108150A KR20160108150A KR20180023213A KR 20180023213 A KR20180023213 A KR 20180023213A KR 1020160108150 A KR1020160108150 A KR 1020160108150A KR 20160108150 A KR20160108150 A KR 20160108150A KR 20180023213 A KR20180023213 A KR 20180023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bottle cap
bottle
ho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복
Original Assignee
김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복 filed Critical 김영복
Priority to KR1020160108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3213A/ko
Publication of KR20180023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0Caps or cap-like covers with membranes, e.g. arranged to be pier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50Caps or cap-like covers with membranes, e.g. arranged to be pier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부에 삽입공(25)이 형성되어 빨대(15)를 삽입할 수 있는 빨대(15) 삽입형 병마개(20)에 관한 것으로, 삽입공(25)의 외곽을 따라 병마개(20) 내측으로 돌출된 내관(內管)(26)이 형성되고, 내관(26) 말단부는 원반형 봉판(27)으로 폐합되되, 봉판(27) 외곽에 원형 유도홈(28)이 형성되어, 빨대(15)의 삽입시 유도홈(28)이 절개되면서 빨대(15)가 음료병(10) 내부로 투입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별도의 도구 없이도 간편하게 빨대(15)를 삽입할 수 있는 빨대(15) 삽입형 병마개(20)를 제공하면서도, 이종 소재의 적용 또는 별도 부품의 추가 구성 없이, 단일 소재를 적용하여 단발적 성형 공정만으로 병마개(20)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빨대(15) 삽입형 병마개(20)의 제조 단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이로써, 빨대(15) 삽입형 병마개(20)의 보급을 확대하고 관련 산업을 활성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빨대 삽입형 병마개{BOTTLE CAP WITH STRAW HOLE}
본 발명은 중심부에 삽입공(25)이 형성되어 빨대(15)를 삽입할 수 있는 빨대(15) 삽입형 병마개(20)에 관한 것으로, 삽입공(25)의 외곽을 따라 병마개(20) 내측으로 돌출된 내관(內管)(26)이 형성되고, 내관(26) 말단부는 원반형 봉판(27)으로 폐합되되, 봉판(27) 외곽에 원형 유도홈(28)이 형성되어, 빨대(15)의 삽입시 유도홈(28)이 절개되면서 빨대(15)가 음료병(10) 내부로 투입되는 것이다.
생수, 청량음료, 과채음료 또는 유제품 등 음료의 유통용 밀폐 용기로서, 수나사가 형성된 병구(甁口)에 암나사가 형성된 병마개(20)가 나사결합되는 음료병(10)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음료병(10)의 병마개(20)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관부(21)와 관부(21) 상단을 폐합하는 횡판(22)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합성수지제 암나사형 병마개(20)는 음료병(10)의 개봉은 및 재결합하여 밀봉함에 있어서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지 않을 뿐 아니라, 병마개(20) 자체의 제조는 물론, 음료 제조 공정에 있어서 병마개(20)와 음료병(10)의 최초 결합 작업 역시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음료병(10)에 빨대(15)를 투입함에 있어서는 병마개(20)를 완전히 분리한 후 병구에 빨대(15)를 단순 투입하게 되는 바, 빨대(15)가 병구에서 이탈되거나, 빨대(15)와 병구 사이로 음료가 누출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이에, 병마개(20)와 빨대(15)간의 긴밀한 결속을 유지하고 음료의 누출을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2013-53317호 및 특허 제1622732호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인 합성수지제 병마개(20)는 통상 1mm 내외의 상단부 두께를 가지는 바, 통상 0.1mm 내외의 관벽 두께를 가지는 빨대(15)를 삽입하여 관통할 수는 없다.
이에, 종래기술에서는 병마개(20) 상단에 빨대(15)의 직경과 근사한 통공을 관통 형성한 후, 이를 밀봉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빨대(15) 삽입형 병마개(20)를 제조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 예로서 공개특허 제2013-53317호 및 특허 제1622732호를 들 수 있다.
우선, 공개특허 제2013-53317호는 병마개(20)를 관통하는 통공을 형성한 후, 그 이면 즉, 병마개(20)의 내부면에 알루미늄 포일 등의 박막체를 부착하는 것으로, 기밀성은 유지하면서도, 빨대(15)의 삽입시 쉽게 파단되는 알루미늄 포일을 통하여, 빨대(15)의 용이한 투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나, 일단 병마개(20)를 성형한 후 병마개(20) 내부의 협소한 공간에 알루미늄 포일을 부착하여야 하는 바, 복잡한 공정이 필요하고, 제조 비용이 증액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알루미늄 포일 등의 박막체가 미세한 외부 충격에도 지나치게 쉽게 파단됨은 물론, 음료병(10) 내부 압력에 의한 파열 가능성이 상존하여 탄산음료 등의 용기로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특허 제1622732호에서와 같이, 병마개(20)를 관통하는 통공에 별도의 소형 뚜껑을 결합하여, 통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이 역시 소형 뚜껑을 별도로 제작하여 기 성형된 병마개(20)와 접합하는 등의 복잡한 공정이 소요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중심부에 삽입공(25)이 형성되어 빨대(15)를 삽입할 수 있는 빨대(15) 삽입형 병마개(20)에 있어서, 음료병(10)의 상단에 결합되는 병마개(20)의 횡판(22) 중심부에는 삽입공(25)이 형성되고, 삽입공(25)의 외곽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관체(管體)인 내관(26)이 형성되며, 내관(26)의 삽입공(25) 타측 단부는 원반형 봉판(27)으로 폐합되되, 내관(26) 말단부과 봉판(27)의 외곽부 사이에는 원형의 유도홈(28)이 요입 형성되어, 삽입공(25)으로 삽입된 빨대(15) 선단이 내관(26)을 따라 진입하여 봉판(27)을 내측으로 압박함에 따라 유도홈(28)이 절개되어 봉판(27)이 내관(26) 내주면에서 분리되고, 빨대(15)가 음료병(10) 내부로 투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형 병마개이다.
또한, 상기 유도홈(28)의 일부 구간에 봉판(27)과 내관(26)을 연결하는 연결부(29)가 형성되어, 빨대(15)의 압박으로 유도홈(28)이 절개됨에 있어서 연결부(29)에서의 절개가 억제되어, 빨대(15)의 음료병(10)내 진입시 연결부(29)에 의하여 봉판(27)과 내관(26)이 연결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형 병마개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별도의 도구 없이도 간편하게 빨대(15)를 삽입할 수 있는 빨대(15) 삽입형 병마개(20)를 제공하면서도, 이종 소재의 적용 또는 별도 부품의 추가 구성 없이, 단일 소재를 적용하여 단발적 성형 공정만으로 병마개(20)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빨대(15) 삽입형 병마개(20)의 제조 단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이로써, 빨대(15) 삽입형 병마개(20)의 보급을 확대하고 관련 산업을 활성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병마개(20) 내부에 형성된 내관(26)을 통하여, 삽입공(25)을 밀폐하는 봉판(27)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삽입된 빨대(15)가 내관(26)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빨대(15)의 불필요한 요동을 억제하고 빨대(15)의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부분절단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대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빨대 삽입 방식 설명도
도 6은 연결부가 형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6 실시예의 빨대 삽입 상태 저면 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 병마개(20)가 결합된 음료병(10)의 사용상태 외관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병마개(20)는 음료병(10) 상단 병구(甁口)에 결합되어, 음료병(10)을 밀봉하는 것으로, 병마개(20)의 평면상 중심부에는 삽입공(25)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25)에 빨대(15)가 삽입되어 빨대(15)가 병마개(20) 내부로 투입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 병마개(2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2의 발췌 확대부 및 도 3의 발췌 확대부에서와 같이, 음료병(10)의 상단에 결합되는 병마개(20)의 횡판(22) 중심부에는 삽입공(25)이 형성되고, 삽입공(25)의 외곽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관체(管體)인 내관(26)이 형성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병마개(20)는 외형상 여타의 합성수지제 암나사형 병마개(20)에서와 같이,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음료병(10) 상단 병구 외주면의 수나사에 결합되는 관부(管部)(21)와, 관부(21) 상단을 폐합하는 횡판(22)으로 구성되며, 횡판(22)의 평면상 중심부에 삽입공(25)이 형성되되, 삽입공(25) 형성부위의 횡판(22) 내부면에, 도면상 하측으로 도시된 음료병(10)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관(26)이 형성되는 것이다.
내관(26)은 그 내경이 삽입공(25)의 내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내관(26)의 음료병(10)측 말단에는 내관(26)을 폐합하는 원반형 판체인 봉판(27)이 형성되되, 봉판(27)과 내관(26)의 경계부에는 원형의 유도홈(28)이 요입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내관(26)의 삽입공(25) 타측 단부는 원반형 봉판(27)으로 폐합되되, 내관(26) 말단부과 봉판(27)의 외곽부 사이에는 원형의 유도홈(28)이 요입 형성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병마개(20)를 구성하는 관부(21), 횡판(22), 내관(26) 및 봉판(27)은 모두 동일한 소재로 구성됨은 물론, 성형 역시 단발적으로 진행된다.
즉, 관부(21), 횡판(22), 내관(26) 및 봉판(27)이 동일한 합성수지로 성형됨을 물론, 동일한 금형에 의하여 단발적인 사출성형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이는 도 4의 타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관(26) 말단에 봉판(27)이 형성되고, 봉판(27)과 내관(26)간 연결부(29)위에 V자형 유도홈(28)이 형성되는 구조를 통하여 달성되는 것이다.
이렇듯, 성형된 본 발명의 병마개(20)는 도 5에서와 같이, 삽입공(25)으로 삽입된 빨대(15) 선단이 내관(26)을 따라 진입하여 봉판(27)을 내측으로 압박함에 따라 유도홈(28)이 절개되어 봉판(27)이 내관(26) 내주면에서 분리되고, 빨대(15)가 음료병(10) 내부로 투입되는 방식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때 내관(26)은 빨대(15) 선단의 진입로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도 5의 하부 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빨대(15)가 음료병(10)에 투입된 후에는 내관(26)의 내주면이 빨대(15)의 외주면을 지지하면서, 빨대(15)가 불필요하게 요동되거나, 빨대(15)가 병마개(20)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 밖에도 내관(26)에 의하여 봉판(27)이 병마개(20)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바, 여타 구성에 비하여 충격에 취약한 봉판(27)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빨대(15)의 삽입에 의하여 유도홈(28)이 파단되면서 내관(26)으로부터 분리되는 봉판(27)은 도 5의 하부 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일부 파단되지 않는 부위에 의하여 내관(26) 하단부에 매달려 있을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봉판(27)이 내관(26)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도 있다.
이렇듯, 봉판(27)이 내관(26)에서 완전히 분리되면, 음료에 혼합되어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유도홈(28)의 일부 구간에 봉판(27)과 내관(26)을 연결하는 연결부(29)를 형성함으로써, 빨대(15)의 압박으로 유도홈(28)이 절개됨에 있어서 연결부(29)에서의 절개가 억제되어, 도 7에서와 같이, 빨대(15)의 음료병(10)내 진입에도 불구하고 연결부(29)에 의하여 봉판(27)과 내관(26)이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유도홈(28)의 연결부(29)는 유도홈(28) 일부 구간이 봉판(27) 및 내관(26)의 소재로 메워지는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유도홈(28)을 완전한 원형으로 요입 형성하지 않고, C자형으로 형성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10 : 음료병
15 : 빨대
20 : 병마개
21 : 관부
22 : 횡판
25 : 삽입공
26 : 내관
27 : 봉판
28 : 유도홈
29 : 연결부

Claims (2)

  1. 중심부에 삽입공(25)이 형성되어 빨대(15)를 삽입할 수 있는 빨대(15) 삽입형 병마개(20)에 있어서,
    음료병(10)의 상단에 결합되는 병마개(20)의 횡판(22) 중심부에는 삽입공(25)이 형성되고, 삽입공(25)의 외곽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관체(管體)인 내관(26)이 형성되며;
    내관(26)의 삽입공(25) 타측 단부는 원반형 봉판(27)으로 폐합되되, 내관(26) 말단부과 봉판(27)의 외곽부 사이에는 원형의 유도홈(28)이 요입 형성되어, 삽입공(25)으로 삽입된 빨대(15) 선단이 내관(26)을 따라 진입하여 봉판(27)을 내측으로 압박함에 따라 유도홈(28)이 절개되어 봉판(27)이 내관(26) 내주면에서 분리되고, 빨대(15)가 음료병(10) 내부로 투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형 병마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유도홈(28)의 일부 구간에 봉판(27)과 내관(26)을 연결하는 연결부(29)가 형성되어, 빨대(15)의 압박으로 유도홈(28)이 절개됨에 있어서 연결부(29)에서의 절개가 억제되어, 빨대(15)의 음료병(10)내 진입시 연결부(29)에 의하여 봉판(27)과 내관(26)이 연결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형 병마개.
KR1020160108150A 2016-08-25 2016-08-25 빨대 삽입형 병마개 KR20180023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150A KR20180023213A (ko) 2016-08-25 2016-08-25 빨대 삽입형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150A KR20180023213A (ko) 2016-08-25 2016-08-25 빨대 삽입형 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213A true KR20180023213A (ko) 2018-03-07

Family

ID=61688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150A KR20180023213A (ko) 2016-08-25 2016-08-25 빨대 삽입형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32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4515A1 (zh) * 2019-06-03 2020-12-10 彭晓峰 一种安全保护瓶的瓶盖
CN114129451A (zh) * 2020-09-03 2022-03-04 妈妈宝贝有限公司 具有防逆流功能的带吸管瓶盖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4515A1 (zh) * 2019-06-03 2020-12-10 彭晓峰 一种安全保护瓶的瓶盖
CN114129451A (zh) * 2020-09-03 2022-03-04 妈妈宝贝有限公司 具有防逆流功能的带吸管瓶盖
CN114129451B (zh) * 2020-09-03 2024-04-30 妈妈宝贝有限公司 具有防逆流功能的带吸管瓶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21117T3 (es) Envase combinado de copa y botella de vino
US9486754B2 (en) Wine and liquor aerator fitment
US9120604B2 (en) Drinking container with a drinking vessel and a drinking cap
BRPI0707541A2 (pt) material para embalar
KR20180023213A (ko) 빨대 삽입형 병마개
KR101515423B1 (ko) 첨가물 투입 병마개
ES2642885T3 (es) Sistema de cierre para recipientes y recipiente y proceso relacionados para la realización
JP4993542B2 (ja) ストロー刺し込み口付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KR200483233Y1 (ko) 병마개
US8631954B2 (en) Stopper for a container neck and a molding machine for molding a plastics material for the purpose of fabricating such a stopper
JP2019514795A (ja) 炭酸飲料の口部の変更
ES2269707T3 (es) Capsula de plastico para botellones.
US20160229578A1 (en) Carbonated soft drink finish modification
TWI568645B (zh) 容器塞之導氣構造
JP6587492B2 (ja) キャップ及びこのキャップを備えた容器
CN220466258U (zh) 盖子
KR20000015596U (ko) 도자기 병의 밀봉구조
WO2018130906A1 (es) Cierre para botellas
JP3111056B2 (ja) 密封栓
JP2018062382A (ja) ボトル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3047Y1 (ko) 플라스틱 병마개 및 속마개
JP2018062382A5 (ko)
US1402231A (en) Bung for barrels
CN116714892A (zh) 盖子
TW201736209A (zh) 塞體之防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