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750Y1 - 보온, 냉 포트용 주출마개 - Google Patents

보온, 냉 포트용 주출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750Y1
KR200162750Y1 KR2019970021577U KR19970021577U KR200162750Y1 KR 200162750 Y1 KR200162750 Y1 KR 200162750Y1 KR 2019970021577 U KR2019970021577 U KR 2019970021577U KR 19970021577 U KR19970021577 U KR 19970021577U KR 200162750 Y1 KR200162750 Y1 KR 200162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operation button
hinge
valve
easily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5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514U (ko
Inventor
박주웅
Original Assignee
박주웅
주식회사서울보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웅, 주식회사서울보온 filed Critical 박주웅
Priority to KR2019970021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750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5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5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7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목적 : 보온·냉 포트용 주출 마개에 관한 것우로서, 조작버튼의 조작이 용이하게 실현되게 하고, 제품의 조립이 용이하게 실현되도록 한다.
구성 : 조작버튼(60)의 노브(68)가 용기 몸체(4)의 손잡이(4a)쪽으로 연장되고, 그 조작버튼이 고정 슬로핑 힌지(66)를 축으로 회전되어서 가동 힌지(64)를 승강 동작되게 하므로서, 마개 몸체(20)에 스프링(40)을 개재하여 탄지된 마개 밸브체(30)가 용이하게 개폐되도록 한다. 밸브 커넥터(50)는 신출부(52)벽에 형성된 슬로핑 힌지(54)가 가압에 의해 밀려져 마개 밸브체의 가이드(32) 홈(36)에 결합되므로서 용이하게 조립되고, 조작버튼의 가동 힌지가 개방홈(56)의 개구쪽으로부터 끼워짐에 의해 용이하게 조립된다. 또한, 조작버튼은 고정 슬로핑 힌지가 가압에 의해 밀려져 마개 몸체(20)의 브라켓(28) 홈(26)에 결합됨에 의해 용이하게 조립된다. 상기한 마개 몸체는 용기 몸체의 주출구에 나사 결합방식으로 조립되고, 그상부에 마개 캡(70)이 커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효과 : 상기한 조작버튼은 용이 몸체의 손잡이쪽으로 연장된 노브에 의해 용이하에 개폐 조작된다. 또한,상기 조작버튼은 밸브 커넥터 및 마개 몸체와 용이하게 조립되고, 상기 밸브 커넥터는 마개 밸브체와 용이하게 조립되므로서, 결과적으로 제품의 조립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보온·냉 포트용 주출마개
본 고안은 내부에 담겨진 액체의 보온·보냉을 유지토록 하는 포트의 상부에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되게 설치되어서, 상기 액체의 주출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한 보온·냉 포트용 주출 마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보온·냉 겸용 포트는 용기 몸체의 내부에 보온 유리용기 또는 금속으로 된 2중 진공 용기를 설치하고, 그 주출구에 마개를 설치하여 밀폐시킴으로써, 그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가 보온 및 보냉 상태를 유지하도록 단열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주출구에 설치된 마개는 밀폐용 패킹을 구비하여 내부를 완벽하게 밀폐시켜 주는 것이며, 이것은 사용자에 의해 개폐된다.
위에서 언급된 기능을 갖는 주출 마개는 종래 여려 종류의 구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공보 평성 2-0973호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액체용기의 마개"가 개시되어 있다.
제4도에서 잘 보여진 바와 같이 상기한 액체용기의 마개(2)는 용 몸체(4)의 상부 주출구(6)에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되고, 패킹부재(8)에 의해 밀폐되게 설치되는 것이나, 중앙의 조작버튼(10)을 누르면 판부재(12)가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액유로(14)가 개방되고, 다시한번 더 눌러 주면 판부재(12)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면서 액유로(14)를 폐쇄시키는 푸시-풀 작동 방식의 것이 알려져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버튼 혹은 노브에 의해 액유로가 개폐되게 하는 방식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식의 포트에서, 전자의 경우는 조작버튼의 위치가 중앙에 높여져 있기 때문에 소위 원터치 작동이 불가능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 후자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쥐고서도 버튼이나 노브를 엄지손가락으로 조작하는 원터치 작동이 가능하지만,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 생산성이 낮은 결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조립 생산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원터치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보온·냉 포트용 주출 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주출 마개는 내측면에 가동힌지가 대향 돌출되고 외측면에는 슬로핑 힌지가 형성된 프레임을 보유하는 조작버튼과, 중심에 안내공의 형성되어 있고 그 주변 일측으로 상기 슬로핑 힌지가 축 지지되는 브라켓이 세워진 마개 몸체와, 상기 가동힌지로 끼워져 연결되는 개방홈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의 외측방에는 통상의 마개 밸브체를 연결시키기 위한 슬로핑 힌지가 돌출 형성된 밸브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개 몸체와 마개 밸브체 사이로 스프링이 개재되는 구성으로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주출 마개는 마개 몸체를 중심으로 그상측에 조작버튼이 위치하고 또 내측에는 밸브커넥터가 위치하여 상기 조작버튼과 마개 밸브체 사이를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주게 되고, 이러한 연결은 가동힌지와 개방홈의 일치, 그리고 슬로핑 힌지와 대응하는 홈 사이의 연결을 통해 간편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립 수공이 쉽게 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보온·냉 포트용 주출 마개의 전체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주출 마개가 포트의 주출구에 설치된 구조로 보인 일부 절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주출 마개의 작용 상태를 보인 일부 절개 단면도.
제4도는 종래 공지된 액체용기의 마개를 보인 일부 절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용기 몸체 6 : 주출구
20 : 마개 몸체 24 : 안내공
26,36 : 홈 28 : 브라켓
30 : 마개 밸브체 36 : 가이드
40 : 스프링 50 : 밸브 커넥터
52 : 신축부 54 : 슬로핑 힌지
56 : 개방홈 60 : 조작버튼
64 : 가동 힌지 66 : 고정 슬로핑 힌지
68 : 노브 70 : 마개 캡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도면과 동일한 본고안의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고자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주출 마개의 전체 구성을 분해 도시한 것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주출 마개가 포트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잘 표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출 마개는 용기 몸체(4)의 상부 주출구(6)에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마개 몸체(20)를 보유한다. 마개 몸체(20)는 하부 외주면에 돌기(22)가 형성되어서, 주출구(6)에 형성된 돌기(6a)와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조립된다.
마개 몸체(20)의 중앙에는 사각형상의 안내공(24)이 형성되어서, 마개 밸브체(30)의 가이드(32)가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마개 몸체(20)의 상면에는 힌지용 홈(26)이 형성된 브라켓(28)이 형성되어 있다.
마개 몸체(20)의 하부에 설치되는 마개 밸브체(30)는 스프링(40)을 개재하여 설치되어서, 하부 둘레에 끼워진 패킹부재(34)가 상기 스프링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밀려져 용기 몸체(4)의 주출구(6)에 밀착되어 완벽하게 차단시켜 주게 된다.
마개 몸체(20)의 안내공(24)에 슬라이드 결합된 마개 밸브체(30)의 가이드(32)는 밸브 커넥터(50)를 보유하여 조작버튼(60)과 연결된다. 여기서, 밸브 커넥터(50)는 가이드(32)의 측벽에 형성된 홈(36)으로, 신축부(52)벽에 형성된 슬로핑 힌지(54)가 가압에 의해 밀려져 끼움 결합되므로서, 상기 가이드(32)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되어서 고정된다. 밸브 커넥터(50)의 용이한 조립을 위해, 슬로핑 힌지(54)는 하부 일측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신축부(52)는 중앙이 절개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 밸브 커넥터(50)는 상부 측벽에 일측이 개구된 개방홈(56)을 보유하여 조작버튼(60)과 연결된다. 조작버튼(60)의 프레임(62) 내측벽에 형성된 가동 힌지(64)는 개방홈(56)의 개구로 부터 끼워져 조립된다.
이렇게 연결된 조작버튼(60)은 다시 마개 몸체(20)의 브라켓(28)에 형성된 홈(26)으로 프레임(62)의 외측 벽에 형성된 고정 슬로핑 힌지(66)가 가압에 의해 밀려지므로서 용이하게 결합된다. 고정 슬로핑 힌지(66)는 용이한 조립을 위해 하측 일부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조작버튼(60)은 용기 몸체(4)의 손잡이(4a)쪽으로 돌출된 노브(68)의 누름 동작시, 고정 슬로핑 힌지(66)를 축으로 가동 힌지(64)가 승강 동작되도록 조립된다. 한편, 마개 몸체(20)에는 스토퍼(20a)가 형성되어 있서 상기 조작버튼(60)의 하강 동작시 프레임(62)과 접촉되므로서, 조작버튼(60) 및 마개 밸브체(30)의 하강 길이를 제한하게 된다.
마개 몸체(20)의 둘레에는 마개 캡(70)이 끼움 결합되는데, 이것은 조작버튼(60)의 노브(68)가 삽입되는 구멍(72)을 보유하여 그 상부를 커버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구성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서 본 고안의 주출 마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주출 마개는 보통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 밸브체(30)가 스프링(40)의 탄성력을 받아 주출구(60)에 밀착되므로서, 용기 몸체(4)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완전히 차단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버튼(60)을 누르면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슬로핑 힌지(66)를 축으로 가동 힌지(64)측이 상승 동작된다.
그 결과로, 가동 힌지(64)에 연결된 밸브 커넥터(50)와 그 밸브 커넥터(50)에 연결된 마개 밸브체(30)가 스프링(40)의 힘을 이기고 상승되어서, 주출구(6)와 패킹부재(34)의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생겨서 액체의 주입 및 유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주출 마개는 조작버튼(60)의 노브(68)를 사용자가 해방시키면 스프링(40)의 탄성력이 다시 작용하여 용기의 내부를 차단시켜 주게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의한 보온·냉 포트용 주출 마개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즉, 본 고안은 조작버튼의 노브가 용기 몸체의 손잡이쪽으로 연장되고, 그 조작버튼이 고정 슬로핑 힌지를 축으로 원터치 방식 즉, 상기 노브를 누르거나 그 힘을 해소함에 따라 주출구의 개방 및 밀폐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버튼에 의해 승강 조작되는 마개 밸브체는 마개의 중앙에 위치된 조작버튼의 가동 힌지에 의해 균일한 힘으로 들어올려지고, 가이드가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드되므로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승강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밸브 커넥터의 신축부 벽에 형성된 슬로핑 힌지가 가압에 의해 밀려져 마개 밸브체의 가이드 홈에 결합되고, 조작버튼의 가동 힌지가 개방홈의 개구쪽으로부터 끼워지며, 또한 조작버튼의 고정 슬로핑 힌지가 가압에 의해 밀려져 브라켓에 끼움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출 마개는 나사나 핀과 같은 체결수단을 갖추지 않고도 각 부품의 조립작업을 행할 수 있어서 제품의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내측면에 가동힌지(64)가 대향 돌출되고 외측면에 슬로핑 힌지(66)가 형성된 프레임(62)을 보유하는 조작버튼(60)과, 중심에 안내공(2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주변 일측으로 상기 슬로핑 힌지(66)가 축 지지되는 브라켓(28)이 세워진 마개몸체(20)와, 상기 가동힌지(64)로 끼워져 연결되는 개방홈(56)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의 외측방에는 통상의 마개 밸브체(30)를 연결시키기 위한 슬로핑 힌지(54)가 돌출 형성된 밸브 커넥터(50)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개 몸체(20)와, 마개 밸브체(30) 사이로 통상의 스프링(40)이 개재되어 있는 구성으로 된 보온·냉 포트용 주출 마개.
KR2019970021577U 1997-08-06 1997-08-06 보온, 냉 포트용 주출마개 KR200162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577U KR200162750Y1 (ko) 1997-08-06 1997-08-06 보온, 냉 포트용 주출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577U KR200162750Y1 (ko) 1997-08-06 1997-08-06 보온, 냉 포트용 주출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514U KR19990008514U (ko) 1999-03-05
KR200162750Y1 true KR200162750Y1 (ko) 1999-12-15

Family

ID=19507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577U KR200162750Y1 (ko) 1997-08-06 1997-08-06 보온, 냉 포트용 주출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7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156B1 (ko) * 2015-01-27 2015-04-22 대림스타릿 주식회사 직물 염색에 사용되는 염료 보관 상자의 염료 인출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514U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843Y1 (ko) 액체용기 마개
KR200162750Y1 (ko) 보온, 냉 포트용 주출마개
KR200157153Y1 (ko)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압력패킹
KR200241106Y1 (ko) 물통뚜껑
KR0132916Y1 (ko) 보온병용 마개
JP3280848B2 (ja) 液体容器の蓋体構造
KR200177109Y1 (ko) 보온병용 마개구조
KR200292173Y1 (ko) 보온병용 마개
KR200186702Y1 (ko) 물통뚜껑
JPH0245162Y2 (ko)
JPH0628441Y2 (ja) 開閉機構付きキヤツプ
KR970005837Y1 (ko) 액체 보관용기 마개
KR200173355Y1 (ko) 진공 보온병용 뚜껑
KR970005838Y1 (ko) 액체 보관용기 마개
JPH1059436A (ja) クーラーボックス
JPH09215610A (ja) 液体容器の栓体
KR970004728Y1 (ko) 전기 보온 압력 밥솥
JPS592670Y2 (ja) 液体用注出栓
KR970001164Y1 (ko) 보온병용 마개
KR960002839Y1 (ko) 보온병의 개폐장치
KR890001197Y1 (ko) 냉장고 도아의 록킹(Locking)장치
JPH0219398Y2 (ko)
KR850003126Y1 (ko) 매개체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덮개장치
KR970004738Y1 (ko) 액체 보관용기 마개
JPH054204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