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557B1 -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557B1
KR102018557B1 KR1020170142996A KR20170142996A KR102018557B1 KR 102018557 B1 KR102018557 B1 KR 102018557B1 KR 1020170142996 A KR1020170142996 A KR 1020170142996A KR 20170142996 A KR20170142996 A KR 20170142996A KR 102018557 B1 KR102018557 B1 KR 102018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pressing
container
delete delete
heterogene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8229A (ko
Inventor
김이슬
조현대
김봉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142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5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제1 화장료를 구비한 제1화장료 저장부; 및 상기 제1화장료 저장부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며, 제2 화장료를 토출가능하게 구비하는 제2화장료 저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화장품 용기의 간편조작에 따라 이종 화장료 중 원하는 어느 한가지의 화장료만 사용하거나 또는 두가지의 화장료를 하나의 팁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혼합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화장료 사용 후 제2화장료를 필요한 만큼 토출하여 사용함으로써, 컨투어링 메이크업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형(제1화장료는 비비크림, 제2화장료는 하이라이터 또는 쉐딩 또는 블러셔 등)에 따라 얼굴 윤곽을 살리거나 입체감을 주도록 피부표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제1화장료로 크림제형 및 제2화장료로 에센스를 사용하거나, 제1화장료로 선케어제형 및 제2화장료로 쿨링제품을 사용하여 스킨케어와 피부보호용의 화장품 용기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Cosmetic case for two-type cosmetics}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종 화장료를 구비하되, 화장료 두가지 중 어느 한가지의 화장료만 사용가능하거나 또는 용기의 조작에 따라 두가지의 화장료를 하나의 팁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혼합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종 화장료의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고형, 액상 또는 겔상의 화장료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화장료 타입에 맞추어 이를 보관하는 화장품 용기도 다양하게 제조되고 있다.
또한, 화장료는 다양한 제품류로 분류되며, 고형화장료 및 액상 화장료인 스킨, 로션, 에센스, 오일, 글로스, 틴트, 액상 파운데이션, 액상 메이크업제 등은 대부분 각각 하나의 화장료 용기에 담겨져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화장품에 기능성을 추가한 제품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고, 이 기능성 화장료들을 섞어서 사용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별도의 용기에 각각 담긴 화장료를 손등이나 별도의 플레이트에서 혼합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시 귀찮고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이에, 두 가지 화장료를 하나의 용기 내에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혼합형 화장료 용기가 개발되고 있으나, 등록실용신안 제20-0469855호에 개시된 스포이드 결합형 분말 혼합 화장용기는 두가지의 액상화장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없는 구성이고, 등록실용신안 제20-0473968호에 개시된 펌핑부재와 누름버튼으로 이루어져 이종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할 수 화장품 용기는 이종 내용물을 누름버튼의 가압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출시켜야 하므로 가압력 조절이 어렵고 더욱이 사용하고자 하는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9855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396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 화장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간편조작에 따라 이종 화장료 중 어느 한가지의 화장료만 사용하거나 또는 두가지의 화장료를 하나의 팁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혼합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종 화장료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는,
제1 화장료를 구비한 제1화장료 저장부; 및
상기 제1화장료 저장부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며, 제2 화장료를 토출가능하게 구비하는 제2화장료 저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1화장료 저장부는,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제1화장료가 저장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2화장료 저장부는, 중공의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제2화장료가 구비된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누름부,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저면에 고정되게 구비된 롤링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내측으로 일정폭의 플렌지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면에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의 위측 내측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부에는 제1화장료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롤링팁 또는 제1화장료팁은 실리콘이나 엘라스토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 위쪽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누름동작에 의해 외부케이스 내외측으로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누름부의 하부 내측면에 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고, 스프링의 타단은 연결대의 후단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대의 전단에는 길이가 서로 다른 2개의 상하부 누름편이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상부 누름편은, 평시에는 외부케이스의 오목부내에 위치해있다가, 누름부의 상방향에서의 누름동작에 의해 누름부와 함께 하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외부케이스 측면에 형성된 홀의 위치에서 압축된 상태의 스프링이 이완되면서 홀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상부 누름편과 이격된채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누름편은 평시에 홀의 상부에 위치해 있다가, 홀의 하부로 이동하며 이완되는 스프링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 일정위치에는 스프링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측하부의 플렌지 사이에 압축스프링이 배치되어, 상기 누름부의 누름동작 및 누름 해제 동작에 따라 압축 및 압축해제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롤링팁은,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저면에서 롤링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의 간편조작에 따라 이종 화장료 중 원하는 어느 한가지의 화장료만 사용하거나 또는 두가지의 화장료를 하나의 팁을 이용하여 혼합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화장료 사용 후 제2화장료를 필요한 만큼 토출하여 사용함으로써, 컨투어링 메이크업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형(제1화장료는 비비크림, 제2화장료는 하이라이터 또는 쉐딩 또는 블러셔 등)에 따라 얼굴 윤곽을 살리거나 입체감을 주도록 피부표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에 제1화장료로 크림제형 및 제2화장료로 에센스를 사용하거나, 제1화장료로 선케어제형 및 제2화장료로 쿨링제품을 사용하여 스킨케어와 피부보호용의 화장품 용기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의 외부형태도,
도 2는 도 1의 개략 단면도와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의 외부형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개략단면도와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의 개략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의 외부형태도,
도 9는 도 8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8의 개략 단면도와 작동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의 외부형태도, 도 2는 도 1의 개략 단면도와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의 외부형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개략단면도와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의 개략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의 외부형태도, 도 9는 도 8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8의 개략 단면도와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화장료를 구비한 제1화장료 저장부; 및 제1화장료 저장부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며, 제2 화장료를 토출가능하게 구비하는 제2화장료 저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2)는 제1화장료 저장부(220)와 제2화장료 저장부(210)로 구성된 롤온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화장료 저장부(220)는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제1화장료(C1)가 저장구비되어 있다.
제2화장료 저장부(210)는 중공의 장방형 외부케이스(211), 외부케이스(211) 내부에 배치되며 제2화장료(C2)가 구비된 저장용기(231), 저장용기(231)의 상부에 결합되는 누름부(232), 저장용기(231)의 하부저면에 고정되게 구비된 롤링팁(2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외부케이스(211)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내측으로 일정폭의 플렌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일측면에는 홀(d)이 형성되어 있고, 홀(d)의 위측 내측면에는 오목부(211h)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케이스(211)의 하부에는 제1화장료팁(234)이 구비된다. 이때, 외부케이스의 상부 일정위치에는 제1화장료 저장부(22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개폐덮개가 구비될 수 있다.
누름부(232)는 외부케이스(211)의 상부 위쪽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누름동작에 의해 외부케이스 내외측으로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누름부의 하부 내측면에 스프링(232s)의 일단이 가로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고, 스프링의 타단은 연결대(232c)의 후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연결대의 전단에는 길이가 서로 다른 2개의 상하부 누름편(232a,232b)이 이격되게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부 누름편(232b)은 평시에는 외부케이스의 오목부(211h)내에 위치해있다가, 누름부의 상방향에서의 누름동작에 의해 누름부와 함께 하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외부케이스 측면에 형성된 홀(d) 위치에서 압축된 상태의 스프링(232s)이 이완되면서 홀(d) 외부로 약간돌출되게 된다. 상부 누름편(232b)과 이격된채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누름편(232a)은 평시에 홀(d)의 상부에 위치해 있다가, 홀(d)의 하부로 이동하며 이완되는 스프링에 의해 외부로 더욱 돌출되게 된다.
또한, 사용후 원상복귀하기 위해서는, 돌출되어 있는 하부 누름편(232a)을 누르게되면 연결대가 이동하면서 스프링(232s)이 압축되고, 동시에 상부 누름편(232b)이 홀(d)을 벗어나게 된다. 이때, 압축스프링(231s)이 압축해제 되면서 이완되므로, 누름부는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하부 누름편은 오목부(211h)내에 안착하게 된다.
또한, 저장용기(231)의 하부 일정위치에는 스프링 걸림돌기(231a)가 형성되고, 걸림돌기(231a)와 외부케이스(211) 내측하부의 플렌지 사이에 압축스프링(231s)이 배치되어, 누름부의 누름동작 및 누름 해제 동작에 따라 압축 및 압축해제가 반복된다.
이때, 누름부의 누름동작 및 압축스프링의 압축에 의해 롤링팁을 구비한 저장용기 하단이 외부케이스 하단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롤링팁(233)은 저장용기(231)의 하부저면에 롤링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피부에 대고 굴리면, 구르면서 내부의 화장료를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또한, 누름부(232)의 누름동작에 의해 누름부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저장용기(231)내에 구비된 제2 화장료(C2)에 하방향의 힘을 가하게 되고, 이와 같은 화장료에 미치는 하향력은 롤링팁(233)과 저장용기(231)의 하부저면 접촉부 사이로 제2화장료(C2)가 토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때, 롤링팁(233)과 저장용기(231)의 하부저면 접촉부 사이의 모세관 현상에 따라 화장료의 출입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롤링팁(233)을 통해 토출된 제2화장료(C2)는 단독사용도 가능하고, 외부케이스(211)의 하부에 구비된 제1화장료팁(234)에 함침된 제1화장료(C1)와 혼합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누름동작에 의해 롤링팁이 제1화장료팁 외부로 돌출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누른이후에도 롤링팁이 제1화장료팁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3)는 제1화장료 저장부(320)와 제2화장료 저장부(310)로 구성된 스크류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화장료 저장부(320)는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제1화장료(C1)가 저장구비되어 있다.
제2화장료 저장부(310)는 상부회동부(311), 상부회동부와 결합되며 제2화장료(C2)가 구비된 저장용기(312), 저장용기(312)의 하부에 구비된 토출팁(313)과 제1화장료팁(3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회동부(311)는 상부는 밀폐되고 하부는 개방된 통형상으로 내측 상부 중앙에는 외측에 스크류가 형성된 샤프트(311a)가 상부내면에 수직하게 일정길이로 고정구비된다.
저장용기(312)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저면에 토출팁(313)과 토출팁을 감싸도록 구성된 제1화장료팁(314)이 구비되고, 저장용기 내측 일정위치에는 걸림돌출부(312c)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돌출부의 하부에는 저장용기(312)의 내직경과 동일한 크기를 가진 누름판(312b)이 구비되고, 누름판(312b)의 상부에는 내측에 스크류가 형성된 회전지지봉이 수직하게 구비된다.
상부회동부(311)의 샤프트는 저장용기(312)의 회전지지봉에 나사결합하며, 상부회동부의 회동에 따라 회전지지봉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누름판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부에 있는 제2화장료(C2)를 하방향으로 밀어 토출팁(313)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4)는 제1화장료 저장부(420)와 제2화장료 저장부(410)로 구성된 펌핑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화장료 저장부(420)는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제1화장료(C1)가 저장구비되어 있다.
제2화장료 저장부(410)는 제1화장료 저장부(420)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 중앙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외부케이스(411), 외부케이스(411)의 내측에 고정결합하며 제2화장료(C2)가 구비된 저장용기(421), 저장용기(421)의 내측 상부에 탄성체로 연결된 누름부(432), 저장용기(421)의 하부에 연통되게 구비된 이동관(422)과 이동관(422) 하부에 형성되어 제2 화장료(C2)가 토출되는 노즐팁(423)과 노즐팁을 감싸도록 구성된 제1화장료팁(4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누름부(432)는 저장용기(421)의 상부와 외부케이스(411)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누름부(411)의 하부에는 누름판(434)이 누름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누름판(434)은 저장용기(421)의 내측상부에 탄성체(433s)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때 누름판의 직경은 저장용기의 내직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부(432)를 하방향으로 누름에 따라 누름판(434)은 누름압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면서 저장용기(421)의 내부에 있는 제2화장료(C2)를 하방향으로 밀게되고, 제2화장료는 이동관(422)을 거쳐 하부로 이동하여 노즐팁(423)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후, 누름부(432)의 누름압력을 해제하게되면, 저장용기(421)의 내측상부에 고정된 탄성체(433s)의 복원력에 의해 누름판은 상부로 끌어당겨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누름부는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도 8, 도 9 및 도 10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5)는 제1화장료 저장부(520)와 제2화장료 저장부(510)로 구성된 주사기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화장료 저장부(520)는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제1화장료(C1)가 저장구비되어 있다.
제2화장료 저장부(510)는 누름대(511), 누름대(511)의 누름판(512b)이 끼워져 결합하며 제2화장료(C2)가 구비된 저장용기(512), 저장용기(512)의 하부에 구비된 토출팁(513)과 토출팁을 감싸도록 구성된 제1화장료팁(5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누름대(511)는 상부에는 지지판(511a)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누름대에 수직으로 누름판(512b)이 구비된다. 이때 누름판의 직경은 저장용기(512)의 내직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대를 하방향으로 누름에 따라 누름판(512b)은 누름압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면서 저장용기(512)의 내부에 있는 제2화장료(C2)를 하방향으로 밀어 토출팁(513)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롤링팁, 노즐팁, 토출팁, 제1화장료팁 등의 외측에는 함침재가 그 위에 씌워지거나 접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롤링팁, 노즐팁, 토출팁, 제1화장료팁은 실리콘이나 엘라스토머를 가공하여 성형한 것일 수 있고, 이들 팁에 함침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엘라스토머는 화장료와의 반응성이 거의 없는 재질이다. 이와 같이 팁을 엘라스토머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종래 팁 재질이 화장료와 반응하여 부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제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함침재로는, 플로킹도 가능하고, 제1 화장료(C1)를 충분히 머금을 수 있고, 또한 제2 화장료(C2)를 외부로 투과시킬 수도 있으면서, 제1 화장료(C1)와 제2 화장료(C2)가 함유된 상태로 혼합될 수 있는 폴리우레탄 러버 또는 폴리우레탄폼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 함침재도 가능하고, 면, 스펀지 또는 솜의 형태로 이루어진 함침재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3,4,5: 화장품 용기 210,310,410,510: 제1화장료 저장부(520)
220,320,420,520: 제2화장료 저장부
211: 외부케이스
231: 저장용기
231a: 걸림돌기 231s: 압축스프링
232: 누름부 233: 롤링팁
232s: 스프링 232c: 연결대
232a: 상부 누름편 232b: 하부 누름편
211h: 오목부

Claims (21)

  1. 제1 화장료를 구비한 제1화장료 저장부; 및
    상기 제1화장료 저장부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며, 제2 화장료를 토출가능하게 구비하는 제2화장료 저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화장료 저장부는,
    중공의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제2화장료가 구비된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누름부,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저면에 고정되게 구비된 롤링팁을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 위쪽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누름동작에 의해 외부케이스 내외측으로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누름부의 하부 내측면에 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고, 스프링의 타단은 연결대의 후단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대의 전단에는 길이가 서로 다른 2개의 상하부 누름편이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장료 저장부는,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제1화장료가 저장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내측으로 일정폭의 플렌지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면에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의 위측 내측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부에는 제1화장료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팁 또는 제1화장료팁은 실리콘이나 엘라스토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누름편은,
    평시에는 외부케이스의 오목부내에 위치해있다가, 누름부의 상방향에서의 누름동작에 의해 누름부와 함께 하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외부케이스 측면에 형성된 홀의 위치에서 압축된 상태의 스프링이 이완되면서 홀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상부 누름편과 이격된채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누름편은 평시에 홀의 상부에 위치해 있다가, 누름부의 상방향에서의 누름동작에 의해 홀의 하부로 이동하며 이완되는 스프링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 일정위치에는 스프링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측하부의 플렌지 사이에 압축스프링이 배치되어, 상기 누름부의 누름동작 및 누름 해제 동작에 따라 압축 및 압축해제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팁은,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저면에서 롤링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70142996A 2017-10-31 2017-10-31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KR102018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996A KR102018557B1 (ko) 2017-10-31 2017-10-31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996A KR102018557B1 (ko) 2017-10-31 2017-10-31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033A Division KR20190049652A (ko) 2019-03-29 2019-03-29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KR1020190037031A Division KR20190049650A (ko) 2019-03-29 2019-03-29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KR1020190037032A Division KR102067958B1 (ko) 2019-03-29 2019-03-29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229A KR20190048229A (ko) 2019-05-09
KR102018557B1 true KR102018557B1 (ko) 2019-11-04

Family

ID=66546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996A KR102018557B1 (ko) 2017-10-31 2017-10-31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5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6209A1 (ko) * 2019-09-30 2021-04-08 주식회사 피프틴디그리즈 화장품 용기, 화장품 용기 세트 및 화장품 세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5467A (ja) 2002-08-05 2004-03-04 Bb Laboratories Inc 高粘度流動性化粧品を塗布するための化粧用具
KR200440599Y1 (ko) 2006-12-15 2008-06-19 (주)연우 도포수단이 구비된 샤프펜슬타입의 디스펜서 용기
JP2014046154A (ja) 2012-09-04 2014-03-17 Tokiwa Corp 化粧料塗布容器
JP2016527948A (ja) 2013-09-04 2016-09-15 エフエスコリア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ク 化粧品二液容器
KR200481972Y1 (ko) * 2016-01-26 2016-12-02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이액혼합 가능형 화장료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9607A (ko) * 2007-12-07 2009-06-11 변영광 토출이 용이한 액상화장품용기
KR100971764B1 (ko) * 2008-07-04 2010-07-26 김민기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보온병
KR200459837Y1 (ko) * 2009-12-15 2012-04-1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KR200469855Y1 (ko) 2012-10-05 2013-11-13 (주)아모레퍼시픽 스포이드 결합형 분말 혼합 화장용기
KR200473968Y1 (ko) 2013-02-14 2014-08-13 (주)아모레퍼시픽 이종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는 화장품 용기
KR101490709B1 (ko) * 2013-03-20 2015-02-06 주식회사 탭코리아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아이라이너 화장품용기
KR200479043Y1 (ko) * 2013-10-21 2015-12-14 (주)아모레퍼시픽 텐션부재를 구비한 액상 내용물 용기
KR101744387B1 (ko) * 2015-03-16 2017-06-07 (주)더페이스샵 화장용 도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5467A (ja) 2002-08-05 2004-03-04 Bb Laboratories Inc 高粘度流動性化粧品を塗布するための化粧用具
KR200440599Y1 (ko) 2006-12-15 2008-06-19 (주)연우 도포수단이 구비된 샤프펜슬타입의 디스펜서 용기
JP2014046154A (ja) 2012-09-04 2014-03-17 Tokiwa Corp 化粧料塗布容器
JP2016527948A (ja) 2013-09-04 2016-09-15 エフエスコリア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ク 化粧品二液容器
KR200481972Y1 (ko) * 2016-01-26 2016-12-02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이액혼합 가능형 화장료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229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939Y1 (ko) 고무배출패드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US7066674B2 (en) Applic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150296956A1 (en) Loose powder compact with compressible platform
US20070098485A1 (en) Discharge structure of the cosmetics brush
US20030129016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 product
KR200478584Y1 (ko)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 안전장치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JP2003189933A (ja) 化粧品その他の製品のためのアプリケータ・アセンブリ
US10477940B2 (en) Folder type cosmetic container
US20200397120A1 (en) Cosmetic container
KR200479315Y1 (ko) 금속 재질의 배출판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150118881A (ko) 가압형 분배 컨테이너
KR102018557B1 (ko)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KR200457811Y1 (ko) 액상 내용물을 분말상의 화장료를 향해 분무시키는 화장품 용기
KR102067958B1 (ko)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KR102324556B1 (ko) 화장품 용기
KR200492726Y1 (ko) 내용물 용기
KR20160085060A (ko) 탄성 바닥면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987650B1 (ko)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KR101889971B1 (ko) 펜슬형 화장품 용기
KR20160081290A (ko) 컴팩트타입 화장품 용기
KR20190049652A (ko)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KR101556364B1 (ko) 에멀전 형태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분사방식으로 토출하는 퍼프 착탈식 화장품 용기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190049650A (ko)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USRE38016E1 (en) Application unit for a lipstick-type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