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129B1 - 램프(Ramp) 특성을 갖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램프(Ramp) 특성을 갖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129B1
KR970002129B1 KR1019940025115A KR19940025115A KR970002129B1 KR 970002129 B1 KR970002129 B1 KR 970002129B1 KR 1019940025115 A KR1019940025115 A KR 1019940025115A KR 19940025115 A KR19940025115 A KR 19940025115A KR 970002129 B1 KR970002129 B1 KR 970002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sistor
comparator
inverting input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375A (ko
Inventor
김온식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25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129B1/ko
Publication of KR960010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1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05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or switching of the light beam
    • B60Q2300/054Variable non-standard intensity, i.e. emission of various beam intensities different from standard intensities, e.g. continuous or stepped transitions of inten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램프(Ramp) 특성을 갖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의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에서의 삼각파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에의 전조등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로서, a도는 전조등 점등시 파형도, b도는 전조등 소등시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램프 발생부 20 : 삼각파 발생부
22, 31 : 비교기 30 : 제어부
R1 : 가변저항 R2∼R8 : 저항
TR : 트랜지스터 D1 : 다이오드
C1, C2 : 콘덴서
본 발명은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조등을 온/오프(ON/OFF)시키는 경우 전조등이 서서히 점등하게 함과 동시에 서서히 소등하게 하도록 한 램프 특성을 갖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SW1)와 전조등(HL1)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스위치(SW1)를 온 시키면 전조등(HL1)에 직류전원(B+)이 공급되어 전조등(HL1)이 광(light)을 발생시키며, 스위치(SW1)를 오프시키면 전조등(HL1)에 공급되던 직류전원(B+)이 차단되어 전조등(HL1)은 광발생을 중지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는 스위치(SW1)를 온/오프 시키는 경우 전조등(HL1)이 급작스럽게 점등 및 소등되므로, 갑작스런 눈부심에 기인하여 해당 차량의 운전자, 전방 차량의 운전자 및 보행자들에게 당황감 내지는 불안감을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조등을 온/오프 시키는 전조등이 서서히 점등되게 함과 동시에 서서히 소등되게 함으로써 차량 운전자 및 보행자들에게 불안감을 주지 않게 하도록 한 램프특성을 갖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의 구성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에서의 삼각파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에서의 전조등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로서 a도는 전조등 점등시에 파형도이고, b도는 전조등 소등시의 파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위치(SW2), 램프파(Ramp Wave) 발생부(10), 삼각파 발생부(20), 제어부(30) 및 전조등(HL2)을 구비하여 이루어 진다. 램프파 발생부(10)는 다이오드(D1), 가변저항(R1), 저항(R2, R3) 및 콘덴서(C1)로 연결구성되며 스위치(SW2)의 온/오프시에 제4b도와 같은 램프파를 발생하여 제어부(30)측에 인가한다. 삼각파 발생부(20)는 저항(R4∼R7), 콘덴서(C2) 및 비교기(22)로 연결구성되며, 제4도의 C와 같은 삼각파를 발생하여 제어부(30)측에 인가한다. 제어부(30)는 저항(R8), 비교기(31) 및 트랜지스터(TR)로연결 구성되며, 램프파 발생부(10)로부터 인가된 램프파와 삼각파 발생부(20)로부터 인가된 삼각파에 따른 전조등(HL2)을 점등 또는 소등 시킨다.
램프파 발생부(10)에 있어서, 스위치(SW2)가 온되면 직류전원(B+)으로부터 제4a도의 A와 같은 직류 전류가 스위치(SW2), 다이오드(D1) 및 가변저항(R1)을 통해 공급되어 콘덴서(C1)에 서서히 충전되므로, 비교기(21)의 비반전 입력단(+)에 제4a도의 B와 같은 램프파를 인가한다. 또한, 스위치(SW2)가 오프되며 제4b도의 A와 같이 직류전류가 차단되므로, 콘덴서(C1)에 충전된 전류가 방전되어 비교기(21)의 비반전 입력단(+)에 제4b도의 B와 같은 램프파를 인가한다. 또한, 가변 저항(R1)을 조절하여 램프파를 조절함으로써 전조등(HL2)의 점등 소요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삼각파 발생부(20)에 있어서, 비교기(22)의 반전입력단(-)에는 콘덴서(C2)의 전압이 인가되고, 비교기(22)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데, 비교기(22)의 출력단이 하이레벨로 되는 경우에는 수학식 1과같은 지준전압(VH)이 비교기(22)의 비반전 입력단(+)에 인가되고, 비교기(22)의 출력단이 로우레벨로 되는 경우에는 수학식 2와 같은 기준전압(VL)이 비교기(22)의 비반전 입력단(+)에 인가된다.
비교기(22)이 출력단이 제3도의 D와 같이 하이레벨로 되는 경우 콘덴서(C2)가 저항(R7)을 통해 인가된 전류를 충전하고, 콘덴서(C2)의 충전전압이 기준전압(VH)에도달하면 비교기(22)의 출력이 로우레벨로 되어 콘덴서(C2)가 충전전류를 방전한다. 다시, 콘덴서(C2)의 전압이 기준전압(VL)에 도달하면 비교기(22)의 출력이 하이레벨로 되어 콘덴서(C2)가 충전된다. 이와 같이 콘덴서(C2)가 충전/방전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제3도의 C와 같은 삼각파를 발생한다. 또한, 삼각파의 주파수는 저항(R7) 및 콘덴서(C2) 용량값에 반비례한다.
제어부(30)에 있어서, 비교기(31)는 램프파 발생부(10)로부터 비반전 입력단(+)에 인가된 램프파와 삼각파 발생부(20)로부터 반전입력단(-)에 인가된 삼각파의 레벨을 비교하여 비교결과 신호를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에 인가하고, 트랜지스터(TR)는 베이스단에 인가된 신호에 따라 전조등(HL2)을 제어한다. 스위치(SW2)를 온시킨 경우, 비교기(31)는 제4a도와 같이 램프파(B)와 삼각파(C)를 비교하여 트랜지스터(TR)측에 펄스파(F)를 출력하고, 트랜지스터(TR)는 베이스단에 하이레벨 신호가 인가되면 온되고 베이스단에 로우레벨 신호가 인가되면 오프되는 동작을 반복하여 전조등(HL2)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전조등(HL2)을 서서히 점등시킨다. 또한, 스위치(SW2)를 오프시킨 경우, 비교기(31)는 제4b도와 같이 램프파(B)와 삼각파(C)를 비교하여 트랜지스터(TR)측에 펄스파(F)를 출력하고, 트랜지스터(TR)는 베이스단에 하이레벨 신호가 인가되면 온되고 메이스단에 로우레벨 신호가 인가되면 오프되는 동작을 반복하여 전조등(HL2)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전조등(HL2)을 서서히 소등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전조등(HL2)을 점등시키기 위해 스위치(SW2)을 온시키면, 직류전원(B+)으로부터 제4a도의 A와 같은 전류가 다이오드(D1)와 가변저항(R1)을 통해 콘덴서(C1)에 인가되므로, 콘덴서(C1)가 전류를 충전하여 비교기(31)의 비반전 입력단(+)에 제4a도의 B와 같은 램프파를 출력한다. 이때, 삼각파 발생부(20)는 콘덴서(C2)의 반복적인 충전/방전 동작에 의해 제4a도의 C와 같은 삼각파를 발생하여 비교기(31)의 반전 입력단(-)에 출력한다. 비교기(31)는 비반전 입력단(+)에 인가된 램프파와 반전입력단(-)에 인가된 삼각파의 레벨을 비교하여 제4a도의 F와 같은 펄스파를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에 인가하고, 트랜지스터(TR)가 베이스단에 인가된 펄스파에 따라 온/오프 동작을 반복 수행하면서 전조등(HL2)에 전류가 서서히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조등(HL2)을 서서히 점등시킨다. 이때, 펄스파의 하이레벨 시간에 비례하여 전조등(HL2)이 서서히 점등한다.
또한, 전조등(HL2)을 소등시키기 위해 스위치(SW2)를 오프시키면 직류전원(B+)으로부터의 전류가 게4b도의 A와 같이 차단되므로, 콘덴서(C1)가 충전전류를 방전하여 비교기(31)의 비반전 입력단(+)에 제4b도의 B와 같은 램프파를 출력한다. 이때, 삼각파 발생부(20)는 콘덴서(C2)의 반복적인 충전/방전 동작에 의해 제4b도의 C와 같은 삼각파를 발생하여 비교기(31)의 반전 입력단(-)에 출력한다. 비교기(31)는 비반전 입력단(+)에 인가된 램프파와 방전입력단(-)에 인가된 삼각파의 레벨을 비교하여 제4b도의 F와 같은 펄스파를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에 인가하고, 트랜지스터(TR)가 베이스단에 인가된 펄스파에 따라 온/오프 동작을 반복 수행하면서 전조등(HL2)에 흐르는 전류가 서서히 차단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조등(HL2)을 서서히 소등시킨다. 이때, 펄스파의 하이레벨시간에 반비례하여 전조등(HL2)이 서서히 소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조등을 온/오프 시키는 경우 전조등이 서서히 점등되게 함과 동시에 서서히 소등되게 하므로, 급작스러운 점등/소등에 기인한 운전자 및 보행자의 당황감 내지는 불안감을 해소시킬 수 있어 차량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Claims (4)

  1.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에 있어서,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램프파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램프파 발생부 : 삼각파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삼각파 발생부 : 상기 램프파 발생부로부터의 램프파와 상기 삼각파 발생부로 부터의 삼각파에 따라 전조등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전조등을 서서히 점등시키거나 서서히 소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특성을 갖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파 발생부는 상기 스위치에 직렬접속된 다이오드 : 상기 다이오드에 직렬 접속된 가변저항 : 제1단자가 상기 가변저항기에 접속되고 제2단자가 접지된 제1저항 : 제1단자가 상기 가변저항기와 제1저항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충전 및 방전동작을 하는 콘덴서 : 제1단자가 상기 콘데서의 제1단자에 접속되고 제2단자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된 제2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특성을 갖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파 발생부는 비반전 입력단의 기준전압과 반전입력단의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 : 제1단자가 상기 비교기의 비반전입력단에 접속되고 제2단자가 접지된 제1저항 : 제1단자가 구동전원에 접속되고 제2단자가 상기 제1저항의 제1단자에 접속된 제2저항 : 상기 비교기의 비반전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접속된 제3저항 : 제1단자가 상기 비교기의 반전입력단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수행하는 콘덴서 : 제1단자가 상기 콘덴서의 제1단자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고, 제2단자가 상기 비교기의 출력단에 접속된 제4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특성을 갖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램프파 발생부로부터 비반전입력단에 인가된 램프파와 상기 삼각파 발생부로부터 반전입력단에 인가된 삼각파의 레벨을 비교하여 비교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 : 상기 비교기로부터의 신호를 전달하는 저항 : 베이스단이 상기 저항에 접속되고 에미터단이 접지되고 콜렉터단이 상기 전조등에 접속되어, 상기 비교부로부터 상기 저항을 통해 베이스단에 인가된 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어 상기 전조등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특성을 갖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
KR1019940025115A 1994-09-30 1994-09-30 램프(Ramp) 특성을 갖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 KR970002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115A KR970002129B1 (ko) 1994-09-30 1994-09-30 램프(Ramp) 특성을 갖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115A KR970002129B1 (ko) 1994-09-30 1994-09-30 램프(Ramp) 특성을 갖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375A KR960010375A (ko) 1996-04-20
KR970002129B1 true KR970002129B1 (ko) 1997-02-24

Family

ID=1939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115A KR970002129B1 (ko) 1994-09-30 1994-09-30 램프(Ramp) 특성을 갖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1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235B1 (ko) * 1999-09-28 2002-01-10 이원종 전자식 안정기의 소프트스탑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20141T3 (es) * 2016-04-01 2022-08-01 Mallinckrodt Pharmaceuticals Ireland Ltd Aparato y método para filtrar partículas líquidas de un ga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235B1 (ko) * 1999-09-28 2002-01-10 이원종 전자식 안정기의 소프트스탑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375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48684B1 (en) High voltage discharge lamp apparatus for vehicles
CN108882438B (zh) 驱动电路、车用灯具
JP2587718B2 (ja) 車輌用放電灯の点灯回路
JP6820909B2 (ja) 車両用灯具およびその点灯回路
JPH0766862B2 (ja) 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用安定器回路
US20150264754A1 (en) Vehicle lamp and vehicle lamp driving device
JPH10270190A (ja) 少なくとも1つの放電ランプの点灯方法及び回路装置
JP2004130869A (ja) 車両用灯具
JPH0732941A (ja) 自動車用照明装置の保護回路
US6351074B1 (en) Discharge lamp device for vehicle
KR970002129B1 (ko) 램프(Ramp) 특성을 갖는 차량용 전조등 제어회로
JP2001006891A (ja) 放電灯点灯回路
US5268616A (en) Vehicle instrument panel lamps, improved pulse width dimmer system therefor
US5334914A (en) Vehicle instrument panel lamps, pulse width dimmer system therefor
JPS5818235Y2 (ja) 調光装置
JP3384323B2 (ja) 放電灯装置
JP3348449B2 (ja) 放電灯点灯装置
JPS5855015B2 (ja) 輝度レベル調整装置
CN114704802B (zh) 汽车动态转向灯电路以及汽车动态转向灯系统
JP3091325B2 (ja) 車輛用照明装置
JPS60126718A (ja) 電圧補償負荷駆動装置
JPH0740517B2 (ja) 電球駆動回路
KR970002128B1 (ko) 차량속도에 따른 전조등밝기 제어회로
KR0166453B1 (ko) 전조등 자동 제어장치
KR880003057Y1 (ko) 자동차용 전자식 조광기(전자식rheost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