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079B1 - 인산염 비함유 환원 표백 제제 - Google Patents

인산염 비함유 환원 표백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079B1
KR970001079B1 KR1019940020462A KR19940020462A KR970001079B1 KR 970001079 B1 KR970001079 B1 KR 970001079B1 KR 1019940020462 A KR1019940020462 A KR 1019940020462A KR 19940020462 A KR19940020462 A KR 19940020462A KR 970001079 B1 KR970001079 B1 KR 970001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bleaching
bleach
formulatio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0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132A (ko
Inventor
한스 트라버 라이너
Original Assignee
시바-가이기 에이지
베르너 발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가이기 에이지, 베르너 발데크 filed Critical 시바-가이기 에이지
Publication of KR950006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0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7/00Sulfur; Compounds thereof
    • C01B17/64Thiosulfates; Dithionites; Polythionates
    • C01B17/66Dithionites or hydrosulfites (S2O42-)
    • C01B17/665Stabilisation by additives subsequent to preparation; Dust prevention by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LDRY-CLEANING, WASHING OR 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 D06L4/00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 D06L4/30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using reduc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Pap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산염 비함유 환원 표백 제제
본 발명은 환원 표백용의 인산염 비함유 표백 제제, 친연 또는 합성 섬유재료 및 종이를 환원 표백시키기 위한 이의 적용방법 및 당해 방법으로 처리한 직물 섬유재료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면, 합성 폴리아미드 섬유 또는 양모를 포함하는 상이한 식물성 또는 동물성 섬유재료 또는 합성 섬유재료는 환원 표백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백제는 아디티온산나트륨(나트륨 하이드로설파이드)이다. 아디티온산나트륨은 수용액 속에서 신속하게 산화되므로, 표백제에 대해 완층작용 특성과 착물 형성 특성이 있는 안정화제를 가하는 것이 통례였다. 효과적인 표백 안정화제는 인 함유 화합물이다. 그러나, 이들 화합물의 결점은 물의 부영양화(eutrophication)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환원 표백 시스템 속에서 완충작용 특성과 착물물성 특성이 양호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생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다시 말해서 환경 기준에 부합되는 표백 안정제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놀랍게도, 한편으로는 인산염을 함유하지 않으며, 또한 환원 표백 시스템 속에서 대단히 효과적이고, 인 함유 화합물과는 달리 물의 부영양화를 야기시키지 않는 표백 안정화제가 본 발명에 의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원 표백제(a)와 시트르산 유도체(b1),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카복실산 또는 디카복실산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b2), 수용성 마그네슘(b3) 및 사봉산의 알칼리 금속염(b4)으로부터 선택된 표백 안정화제(b)를 포함하는, 인산염을 함유하지 않는 환원 표백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표백 제제의 성분(a)는 환원 표백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표백제, 전형적으로는 이산화황, 아황산 또는 산성화시킨 중아황산나트륨 용액이다. 그러나, 아디티온산(dithionous acid)의 염, 특히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성분(a)로서 유용한 아디티온산나트륨이 직물 기술에서 특히 중요하다.
특히 적합한 시트르산 유도체(b1)는 시트르산의 수용성 알칼리 금속염, 특히 리튬염, 칼륨염 또는 나트륨염이다. 나트륨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삼나트륨 시트레이트 2수화물이 바람직하다.
성분(b2)의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카복실산, 디카복실산 또는 트리카복실산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제조용 출발 단량체는 에틸렌성 카복실산 또는 이의 무수물이며, 이는 에틸렌성 불포화 지방족 라디칼,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메사콘산, 시트라콘산, 비닐아세트산, 비닐프로피온산, 크로톤산, 아코니트산, 알릴아세트산, 비닐옥시아세트산, 알릴옥시아세트산, α,β-디메틸(메트)아크릴산, 메틸렌말론산, 2-하이드록시(메트)아크릴산, α-할로아크릴산, α-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도글리콜산, β-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알릴옥시-3-하이드록시부타노산, 알릴옥시말론산, 알릴석신산 및 알릴말론산을 함유한다. 탄소수 3 내지 5의 모토카복시산,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2-할로(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산, α-시아노아크릴산, 크로톤산 및 비닐 아세트산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에틸렌성 불포화 디카복실산은 푸마르산, 말레산, 이타콘산, 메사콘산, 시트라콘산, 글루타콘산 및 메틸말론산이다. 이들 산의 바람직한 무수물을 말레산 무수물이다.
바람직한 중합된 카복실산은 폴리메타크릴산 또는 폴리아크릴산이고, 보다 특히는 아크릴산과 말레산의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분자량 범위는 2,000 내지 2,000,000,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800,000이다.
본 발명의 제제의 성분(b2)로서 유용한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자체가 공지된 방법으로, 적합하게는 60 내지 100℃의 온도 범위에서 촉매의 존재하에 통상적으로 적합한 단량체를 중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성분(b2) 제조용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자유 라디칼을 형성하는 개시제이다. 당해 반응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개시제의 예로는 대칭성 지방족 아조 화합물, 예를 들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2-메틸발레로니트릴), 1,1'-아조비스(1-사이클로헥사니트릴) 및 알킬 2,2'-아조비스이소부티레이트 ; 대칭성 디아실 퍼옥사이드, 예를 들어, 아세틸, 프로피오닐 또는 부티릴 퍼옥사이드, 벤조일 퍼옥사이드, 브롬, 니트로, 메틸 또는 메톡시에 의해 치환된 벤조일 퍼옥사이드 및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 대칭성 퍼옥시디카보네이트, 예를 들어, 디에틸, 디이소프로필, 디사이클로헥실 및 디벤질퍼옥시디카보네이트 ; 대칭성 퍼옥시디카보네이트, 예를 들어, 디에틸, 디이소프로필, 디사이클로헥실 및 디벤질퍼옥시디카보네이트 ; 3급-부틸 퍼옥토에이트, 3급-부틸 퍼벤조에이트 또는 3급-부틸페닐 퍼아세테이트 및 퍼옥시카바에이트, 예를 들어, 3급-부틸-N-(페닐퍼옥시)카바메이트 또는 3급-부틸-N-(2,3-디클로로- 또는 -4-클로로페닐퍼옥시)카바메이트를 들 수 있다. 추가의 적합한 퍼옥사이드는 3급-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3급-부틸퍼옥사이드, 쿠멘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쿠멘 퍼옥사이드 및 3급-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3급-부틸퍼옥사이드, 쿠멘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쿠멘 퍼옥사이드 및 3급-부틸퍼피발레이트이다. 추가의 적합한 화합물은 과황산칼륨이며, 이것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촉매는, 출발물질을 기준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중합반응은 불활성 대기중에서, 통상적으로 질소 대기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표백 제제에 사용되는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탄산나트륨과 같은 수용성 알칼리 금속염과 혼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분자량이 약 4500인 폴리아크릴산과 탄산나트륨과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성분(b2)으로서 글루콘산의 마그네슘염, 가장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 모노글루코네이트 또는 디글루코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 자체는 본 발명의 제제에, 바람직하게는 고형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글루코네이트는 또한 글루콘산과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산화마그네슘,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마그네슘으로부터 동일 반응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글루콘산 또는 이의 나트륨염은 수용성 마그네슘염과의 배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의 적합한 수용성 마그네슘은 아세테이트, 바람직하게는 설페이트 또는 이의 5수화물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클로라이드 또는 이의 6수화물이다. 마그네슘은 일반적으로 고형물로서, 바람직하게는 고형 염화마그네슘 6수화물의 형태로 가한다.
성분(b4)는 바람직하게는 사붕산칼륨,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붕산나트륨이다.
바람직한 환원 표백 제제는 아디티온산나트륨(a)과 시트르산 유도체(b)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한 표백 제제는 아디티온산나트륨(a)과 아크릴산과 말레산의 공중합체(b)를 포함한다.
필수 성분(a) 및 (b) 이외에, 본 발명의 표백 제제는 또한 임의 성분(c)으로서의 습윤제 및/또는 성분(d)로서의 형광 증백제를 포함한다.
적합한 습윤제 또는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도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니오-계면활성제), 특히 이들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전형적인 예는 알킬아릴모노설포네이트, 지방산 축합물, 단백질 분해물 또는 이의 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알킬 잔기의 탄소수가 12 내지 22인 알킬모노설포네이트 및 알킬벤젠모노설폰산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알킬렌 옥사이드,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옥사이드 및 알킬 잔기의 탄소수가 4 내지 12인 알킬 페놀의 중부가물, 바람직하게는 지방산 아미드, 보다 특히는 임의로 말단 캡핑된 지방 알콜이 있으며, 에틸렌 옥사이드와 지방 알콜의 중부가물이 특히 바람직하고, 이들 중부가물과 열거된 종류의 알킬모노설포네이트의 혼합물이 특히 중요하다. 이들 혼합물에서 특히 적합한 성분은 또한 실리콘 계면활성제이다.
습윤제는 특히 처리하고자 하는 섬유재료가 미처리 상태의 셀룰로즈이거나 바람직하게는 원면으로 이루어질 때 표백액에 가한다.
표백액에 소포제와 탈기제를 가할 수도 있다. 이들의 첨가는 표백액이 습윤제 및/또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때 특히 필요하다. 이들은 전형적으로 고급 알콜, 특히 이소옥탄올이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기재 소포제 및/또는 탈기제, 가장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오일 유제이다.
처리되는 물질에 특히 고도의 백색도를 부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스티릴류 및 스틸벤류에 속하며 전형적으로 디스티릴아릴렌, 디아미노스틸벤, 디트리아졸릴 스틸벤, 페닐벤족사졸릴 스틸벤, 스틸벤 나프토트리아졸 및 디벤족사졸릴 스틸벤인 형광 증백제를 또한 임의 성분으로서 표백액에 가한다. 바람직한 형광 증백제는 설폰산 그룹을 함유하는 디스티릴 비페닐 또는 비스(트리아지닐)아미노스틸벤 타입, 예를 들어, 설폰화 비스(스티릴) 비페닐 및 비스(트리아지닐)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염, 특히 칼륨염, 또는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염의 형태로 수득되는 비스(페닐아미노모르폴리노-s-트리아지닐)스틸벤디설폰산이다. 이들 형광 증백제는 바람직하게는 시판용의 약 20 내지 30중량%의 수성 액체 제제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이 표백 제제는 일반적으로 성분(a) 30 내지 80중량%, 성분(b) 20 내지 70중량%, 성분(c) 0 내지 10중량% 및 성분(d) 0 내지 10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표백 제제는 개개의 성분을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당해 혼합물을 볼 밀 속에서 동시에 분쇄하여 제조한다. 만일 출발물질의 과립 크기가 유사하면 분쇄 처리는 필요없다. 분쇄 처리공정은 순전히 기계적이다. 각각의 성분간의 화학적 반응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천연 또는 합성 섬유재료를 환원 표백시키기 위한 적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해 방법은 적어도 본 발명의 표백 제제를 포함하는 수성액으로 섬유재료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제를 사용하여 천연 또는 합성 섬유재료를 환원.표백시키기 위한 적용방법은 자체가 공지된 방법으로 수행한다. 여기에서의 특징은 다량의 액 속에서의 처리, 냉 패드-배취식 표백 공정 및 침수 표백공정을 사용한다는데 있다.
다량의 액에서는, 섬유재료를 승온에서 약 1 내지 3시간 동안, 약 1 : 10(지거에서) 내지 약 1 : 100(원치백에서)의 액체 대 물품 비로 처리하도록 한다. 처리 온도 범위는, 표준 조건, 다시 말해서 대기압하에서는 약 40 내지 14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이거나 소위 HT 조건(HT=고온)하에서는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40℃이다.
침지 표백처리는, 표백제의 농도가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적용 조건하에서 수행한다.
냉 패드-베취 표백법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재료를 패팅액에 침지시켜 함침시킨 다음, 집어내는데, 패딩액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20 내지 95℃이다. 함침은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수행한다. 함침된 화학물질은 그액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20 내지 95℃이다. 함침은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수행한다. 함침된 화학물질은 그 후 섬유재료에 작용하며, 처리시간, 온도 및 화학물질의 농도는 서로 직접 관련되어 있고, 선택된 조건은 섬유재료의 특성, 특히 사용되는 장치에 따라 결정된다. 그후, 합침되고 바람직하게는 권최된 물품을 실온(15 내지 30℃)에서 3 내지 24시간 동안 저장하는데, 이때 배치시간은 표백욕의 유형에 따라 결정된다. 그후 섬유재료를 먼저 90 내지 98℃의 뜨거운 물로 철저하게 세정한 다음, 따뜻한 물로 세정하고 최종적으로 찬물로 세정하며, 필요할 경우, 예를 들어, 아세트산으로 중화시키고, 제습처리한 다음,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150℃ 이하의 승온에서 건조시킨다.
이들이 장액(long liquor)인지, 침지액 또는 냉 패드-배취 표백액인지의 여부에 따라서 수성 표백액을 제시된 바와 같이 제형화한다.
다량의 표백액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수성 제제 1 내지 8g/ℓ,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g/ℓ, 습윤제 또는 계면활성제 0.5 내지 3g/ℓ,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g/ℓ, 소포제 또는 탈기제 0 내지 1g/ℓ,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g/ℓ 및 형광 증백제 0 내지 2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중량5를 포함한다.
침수 표백액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수성 제제 2 내지 10g/ℓ,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g/ℓ, 습윤제 도는 계면활성제 1 내지 5g/ℓ,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g/ℓ, 소포제 또는 탈기제 0 내지 2g/ℓ,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g/ℓ 및 형광 증백제 0 내지 2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중량%를 포함한다.
냉 패드-배취 표백액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수성 제제 20 내지 100g/kg,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g/kg, 습윤제 또는 계면활성제 2 내지 10g/kg,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g/kg, 소포제 또는 탈기제 0 내지 3g/k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g/kg 및 형광 증백제 0 내지 2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중량%를 포함한다.
비교적 소량의 본 발명의 제제와 그로 인한 각 표백액중의 소량의 성분(b)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한 표백 안정제가 금속이온봉쇄제로서 사용된 것이 아니라 다이티온산나트륨의 표백작용에 유리한 영향을 끼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음을 나타낸다.
처리하고자 하는 섬유재료는 전형적으로 성긴 물질, 사(yarn), 직물 또는 편물로서 존재하는 어떠한 형태일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식물성 또는 동물성 기원의 순수한 직물 셀룰로오스 섬유로부터 또는 합성 섬유, 또는 식물성, 동물성 및/또는 합성 섬유재료의 혼방물로부터 제조된 직물로 구성된다.
식물성 기원의 적합한 섬유는 특히 셀룰로즈성 섬유, 전형적으로 재생 셀룰로즈, 예를 들어, 비스코스 레이욘 또는 비스코스로부터 기원한 것, 천연 셀룰로즈, 예를 들어, 대마, 아마, 황마 및 저마, 특히 면화로부터 기원한 것이다. 동물성 기원의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양모 또는 견(絹)이다. 합성 섬유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특히 폴리에스텔 및 폴리아미드로 제조된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폴리아미드 섬유재료란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또는 폴리아미드 12와 같은 합성 폴리아미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순수한 폴리아미드 섬유 이외에,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와 폴리우레탄이 70 : 30의 비로제조된 트리코트 물질인 폴리우레탄과 폴리아미드의 혼방물 또한 적합하다. 기본적으로, 순수하거나 혼방한 폴리아미드 섬유 재료는 섬유, 사, 직물, 편물, 부직포 또는 카페트를 포함하는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처리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재료는, 예를 들어, 셀룰로즈 2차 아세테이트 및 셀룰로즈 트리아세테이트 섬유 및 바람직하게는 선형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같은 셀룰로즈 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는 산으로 개질시킬 수도 있고 테레프탈산과 에틸렌 클리콜을 축합시키거나 이소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과 1,4-비스(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을 축합시켜 수득할 수 있으며, 이외에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과 에틸렌 글리콜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지금까지 거의 직물산업에서만 독립적으로 사용되어온 선형 폴리에스테르 섬유재료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 글리콜로 구성되어 있다.
섬유재료는 또한 서로의 혼방물 또는 서로 다른 섬유와의 혼방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데, 전형적으로 폴리아크릴로니트릴/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면, 폴리에스테르/비스코스 및 폴리에스테르/양모 혼방물로서 사용될 수도 있으며 공지된 방법으로 배취방식 또는 연속적으로 염색 또는 날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면 또는 재생 셀룰로즈 직물 또는 면과 폴리에스테르와 혼방물 및 면과 폴리아미드의 혼방물이 특히 적절하다. 면직물 및 편물 제품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로 예비세척한 물질도 또한 적합한다. 가호한 면직물을 표백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표백은 가호제 제거 전에 또는 바람직하게는 가호제 제거 후에 실시한다.
본 발명의 표백 제제는 또한 후표백산화(과산화물) 표백에도 사용할 수 있다. 산화 과산화물 표백법으로 탁월한 증백효과가 수득된다는 것은 주지되어 있는 사실이지만, 특히 동물성 섬유재료를 표백하는 경우는 환원 후처리를 하지 않을 경우 표백 효과가 비교적 불안정하다. 처리 매질에 따라, 표백된 양모는 단시간내에 황변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정한 고유의 백색도를 수득하기 위해서라면 후속의 환원 표백처리가 불가피해진다. 또한, 이같은 후표백은 안정화 효과 뿐만 아니라 고유한 백색도의 실질적 증가에 영향을 끼친다.
본 발명의 제제로 처리한 섬유재료는 이의 고도의 백색도로 뚜렷이 구별된다. 본 발명의 표백 제제의 추가의 장점은 이것이 생태학적으로 허용할만하고 환경 규제에 부합한다는 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제는 종이 표백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따라서 추가로 종이를 표백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해 방법은 표백 처리를 위해 제조한 펄프를 적어도 본 발명의 표백 제제를 포함하는 수성액으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특히 폐지를 표백시키는데 적합하다.
당해 방법은 일반적으로 먼저 폐지를 스톡 처리 플랜트 속에서,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펄퍼(pulner)로 구성된 슐쩌 페이퍼테크(Sulzer Papertec)에서 시판하는 폐지 처리 플랜트 속에서, 고밀도 세정 처리하여 수행한다. 이어서, 홀(hole)과 슬롯(slot) 선별을 수행하고 중 성분과 경 성분으로부터의 정제 및 1차 세척을 수행한다. 이어서, 이렇게 제조한 종이를 분산시킨다. 당해 단계에서, 펄프를 균질화시킨다. 종이 섬유에 잔류하는 모든 인쇄 잉크를 완전히 제거한다. 표백 과정은 동시에 수행하는데, 본 발명의 표백 제제를 표백하고자 하는 펄프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펄프에 가한다.
종이, 특히 폐지를 표백시키기 위한 본 발명 방법으로 가장 큰 장점은 전체 폐지 처리 과정이 갑작스런 pH이 상승없이 중성 pH에서 수행된다는 점이다. 처리할 종이에 존재하는 형광 증백제는 본 발명의 표백방법으로 분해되지 않는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부와 %는 언제나 중량 단위이다.
실시예 1
본 발명 표백 제제의 제조
아디티온산나트륨 600g과 삼나트륨 시트레이트 2수화물 400g을 서로 혼합하고 혼합물을 볼 밀 속에서 분쇄시킨다. 용이하게 유동되는 미세한 미립자인 분말을 수득한다.
실시예 2
단일 단계 표백
액 순화를 일정하게 하면서, 조성이 다음과 같은 표백액으로 50℃에서 2시간 동안 아히바(Ahiba)염색기 속에서 미처리된 트리코트 직물을 처리한다 :
실시예 1의 표백 제제 5g/ℓ 및
폴리아크릴산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기본으로 하는 습윤제 0.5g/ℓ.
모직 트리코트를 처리후에 철저하게 세척한다. 표백 처리한 모직 트리코트는 양호한 백색도를 나타낸다.
실시예 3
조합 표백
제1단계(산화성 표백)에서, 미처리된 면 트리코트를 조성이 다음과 같은 표백액의로 95℃에서 30분 동안, 예를 들어, 아히바 염색장치 속에서 교반하면서 처리한다.
35% 과산화수소 6m/l,
폴리아크릴산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기본으로 하는 습윤제 0.5g/ℓ
마그네슘염 표백 안정화제 0.5g/ℓ 및
100% NaOH 3g/ℓ.
액 : 물품의 비는 1 : 20이다. 처리후, 표백시킨 트리코트를 철저하게 세척한다.
제2단계(환원 표백)의 표백 용액은 다음 성분들을 포함한다 :
실시예 1의 표백 제제 5g/ℓ 및
폴리아크릴산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기본으로 하는 습윤제 0.5g/ℓ.
처리는 실시예 2에 기개한 바와 같이 60℃에서 30분 동안 실시한다. 그후, 면 트리코트를 철저하게 세척한다. 이는 고도의 백색도를 나타낸다.
실시예 4
조합 표백
아마 직물을, 제1단계(산화성 표백)로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다음 조성의 용액으로 처리한다 :
차아염소산나트륨 3g/ℓ 및
폴리아크릴산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기본으로 하는 습윤제 1g/ℓ.
그후, 처리한 직물을 철저하게 세정한다.
제2단계(환원 표백)의 표백 용액은 조성이 다음과 같다 :
실시예 1의 표백 제제 5g/ℓ 및
폴리아크릴산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기본으로 하는 습윤제 0.5g/ℓ.
처리는 실시예 2에 기개한 것과 같이 수행한다. 처리시간은 2시간이고 온도는 50℃이다.
최종적으로, 표백시킨 아마 직물을 철저하게 세척한다. 고도의 백색도가 수득된다.
실시예 5
실험실내 실험
표백 처리를 위해 제조된 무수 폐지 펄프 15g을 아디티온산나트륨 60%와 삼나트륨 시트레이트 2수화물 40%를 포함하는 제제 0.006g과 물(고형물 함량 15%) 100ml로, 80℃의 온도에서 표백 중단 공정에서 각각 7분 및 20분 동안 처리한다.
다음과 같은 백색도「타피(Tappi)에 따름」가 수득된다 :
7분 동안 처리한 후 : 76.8
20분 동안 처리한 후 : 78.4

Claims (18)

  1. 환원 표백제(a)로서의 아디티온산의 염 30 내지 80중량%, 시트르산 유도체(b1),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카복실산 또는 디카복실산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b2), 수용성 마그네슘염(b3) 및 사붕산의 알칼리 금속염(b4)으로부터 선택된 표백 안정화제(b) 20 내지 70중량%, 습윤제(c) 0 내지 10중량% 및 형광 증백제(d) 0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인산염을 함유하지 않는 환원 표백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a)가 아디티온산나트륨인 표백 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성분(b1)이 시트르산의 수용성 알칼리 금속염인 표백 제제.
  4. 제3항에 있어서, 성분(b1)이 삼나트륨 시트레이트 2수화물인 표백 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성분(b2)가 폴리메타크릴산인 표백 제제.
  6. 제1항에 있어서, 성분(b2)가 아크릴산과 말레산의 공중합체인 표백 제제.
  7. 제1항에 있어서, 성분(b2)의 분자량이 2000 내지 2,000,000인 표백 제제.
  8. 제1항에 있어서, 성분(b2)가 수용성 알칼리 금속염과의 혼합물로서 사용되는 표백 제제.
  9. 제9항에 있어서, 수용성 알칼리 금속염이 탄산나트륨인 표백 제제.
  10. 제1항에 있어서, 성분(b3)이 글루콘산의 마그네슘염인 표백 제제.
  11. 제1항에 있어서, 성분(b4)가 사붕산나트륨인 표백 제제.
  12. 제1항에 있어서, 아디티온산나트륨(a)과 삼나트륨 시트레이트 2수화물(b)을 포함하는 표백 제제.
  13. 제1항에 있어서, 아디티온산나트륨(a)가 아크릴산과 말레산과의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표백 제제.
  14. 제1항에 있어서, 성분(a)와 (b)를 10 : 1 내지 1 : 2의 비율로 포함하는 표백 제제.
  15. 표백 처리를 위해 제조한 펄프를 적어도 제1항에 따르는 표백 제제를 포함하는 수성 액으로 처리함을 포함하여, 종이를 표백시키는 방법.
  16. 제15항에 따르는 방법으로 처리한 종이.
  17. 천연 또는 합성 섬유재료를 적어도 제1항에 따르는 표백 제제를 포함하는 수성 액으로 처리함을 포함하여, 천연 또는 합성 섬유재료를 환원 표백시키는 방법.
  18. 제17항에 따르는 방법으로 처리한 섬유재료.
KR1019940020462A 1993-08-20 1994-08-19 인산염 비함유 환원 표백 제제 KR970001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2492/93-8 1993-08-20
CH249293 1993-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132A KR950006132A (ko) 1995-03-20
KR970001079B1 true KR970001079B1 (ko) 1997-01-25

Family

ID=4235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0462A KR970001079B1 (ko) 1993-08-20 1994-08-19 인산염 비함유 환원 표백 제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547475A (ko)
EP (1) EP0639665A1 (ko)
JP (1) JP2648287B2 (ko)
KR (1) KR970001079B1 (ko)
CN (1) CN1111665A (ko)
BR (1) BR9403279A (ko)
CA (1) CA2130378A1 (ko)
FI (1) FI943792A (ko)
RU (1) RU2143022C1 (ko)
ZA (1) ZA9463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184B1 (ko) * 2000-08-16 2003-02-14 최중소 투명성이 우수한 환경친화적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제조방법
KR100389291B1 (ko) * 2000-12-30 2003-06-27 에쓰대시오일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의 제조 방법
KR20030084183A (ko) * 2002-04-25 2003-11-01 켐엔텍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WO2009074548A2 (en) * 2007-12-12 2009-06-18 Clariant International Ltd Storage stable solutions of optical brighteners
RU2713356C1 (ru) * 2019-05-15 2020-02-04 Сергей Борисович Врублевский Шихта для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отбеливателя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варианты)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7449C (ko) *
US2826478A (en) * 1955-07-19 1958-03-11 Rohm & Haas Method of bleaching mechanically-disintegrated wood pulp with hydrosulfite bleach containing an alkali metal citrate
DE1042165B (de) * 1955-10-26 1958-10-30 Hascher & Keim Fleckenentfernungsmittel
US2963395A (en) * 1958-03-31 1960-12-06 Crown Zellerbach Corp Process of bleaching lignocellulosic pulps
NL301295A (ko) * 1962-12-11
US3474037A (en) * 1966-11-14 1969-10-21 United States Borax Chem Stabilization of organic bleaching compositions
DE1546239A1 (de) * 1966-12-31 1969-11-27 Basf Ag Verfahren zum Bleichen
CH554848A (de) * 1967-10-03 1974-10-15 Ciba Geigy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neuer stilben-derivate.
DE2041566A1 (de) * 1970-08-21 1972-02-24 Basf Ag Gegen Selbstentzuendung stabilisierte Mischungen mit einem Gehalt an ueberwiegenden Mengen an Natriumdithionit
GB1382252A (en) * 1971-01-14 1975-01-29 Albright & Wilson Compositions containing dithionites
GB1496805A (en) * 1975-09-19 1978-01-05 Unilever Ltd Dithionite composition
DE2735816C3 (de) * 1977-08-09 1981-08-13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m Entschlichten und Bleichen von Textilgut
JPS57128768A (en) * 1981-02-02 1982-08-10 Kao Corp Reducing agent composition
JPS6225198A (ja) * 1985-07-25 1987-02-03 ユ−ホ−ケミカル株式会社 漂白洗浄剤組成物
US4729886A (en) * 1986-05-20 1988-03-08 Virginia Chemicals, Inc. Method of preparing reproducibly stable aqueous suspensions of sodium dithionite for woodpulp bleaching
US5169555A (en) * 1990-11-09 1992-12-08 Morton International, Inc. Pulp bleaching solution
DE4115575A1 (de) * 1991-05-13 1992-11-19 Brueggemann L Kg Bleichmitt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648287B2 (ja) 1997-08-27
CN1111665A (zh) 1995-11-15
FI943792A (fi) 1995-02-21
BR9403279A (pt) 1995-07-04
FI943792A0 (fi) 1994-08-17
RU94029671A (ru) 1996-06-20
US5547475A (en) 1996-08-20
EP0639665A1 (de) 1995-02-22
RU2143022C1 (ru) 1999-12-20
JPH0797598A (ja) 1995-04-11
CA2130378A1 (en) 1995-02-21
KR950006132A (ko) 1995-03-20
ZA946307B (en) 199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9681A (en)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AU698293B2 (en) Graft copolymers of unsaturated monomers and polyhydroxy compounds,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MXPA97008558A (en) Soluble copolymers in water, a process for your production and your
SK281057B6 (sk) Biologicky odbúrateľné polyméry, spôsob ich výroby a ich použitie
EP0814193B1 (en) Methods of bleaching a fiber material by using a stabilising (pretreatment) agent
CA2673923C (en) New composition and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fibre material
CZ343697A3 (cs) Kopolymery, rozpustné ve vodě, způsob jejich výroby i jejich použití
DE3426368A1 (de) Copolymerisate fuer wasch- und reinigungsmittel
CZ332394A3 (en) Graft co-polymers of unsaturated monomers and saccharides, process of their preparation and use
JPH0730359B2 (ja) ポリ−α−ヒドロキシアクリル酸の水溶性塩を含むストック溶液およびセルロース繊維材料の漂白方法
KR970001079B1 (ko) 인산염 비함유 환원 표백 제제
US4496472A (en) Process for bleaching cellulosic fibre materials using oligomers of phosphonic acid esters as stabilizers in alkaline, peroxide-containing bleaching liquors
US4539353A (en) Aqueous composition of polymaleic acid, surfactants and complexing agents, and its preparation and use as an assistant in the pretreatment of cellulose-containing fibre materials
JPH0881696A (ja) 多機能繊維助剤組成物
US3925008A (en) Method for simultaneously scouring and bleaching materials consisting of textile fibers
CN1302095C (zh) 用于纺织品应用的稳定性增强的过酸漂白体系
US5820636A (en) Continuous pretreatment of cellulosic textile material
US4515597A (en) Magnesium complexes of oligomeric phosphonic acid ester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stabilizers in alkaline, peroxide-containing bleach liquors
JP2872447B2 (ja) 泡立ちの少ない非シリコーン水性繊維助剤組成物、その製造法及び使用法
KR900007089B1 (ko) 액체 산화성 발호제 조성물
DE3211532A1 (de) Mittel zum waschen und faerbungsschonenden bleichen von textilien
JPH05302289A (ja) 漂白剤組成物及び漂白方法
DE1953519A1 (de) Textilbehandlungsmittel
US2845689A (en) Warp size containing dicyandiamide and a polyacrylate salt
US5704947A (en) Use of water-soluble polymers and polyhydroxymono- or dicarboxylates in the bleaching of text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