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32111A - 전자사진프로세스에 따라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프로세스에 따라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32111A
KR960032111A KR1019950045474A KR19950045474A KR960032111A KR 960032111 A KR960032111 A KR 960032111A KR 1019950045474 A KR1019950045474 A KR 1019950045474A KR 19950045474 A KR19950045474 A KR 19950045474A KR 960032111 A KR960032111 A KR 960032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antistatic
developing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5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8835B1 (ko
Inventor
사치오 사사키
Original Assignee
세키사와 다다시
후지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사와 다다시, 후지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사와 다다시
Publication of KR960032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8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6Eliminating residual charges from a reusable imaging member
    • G03G21/08Eliminating residual charges from a reusable imaging member using optical radi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6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potential of the developing electr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evelop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사진프로세스에 따라 토너 더러워짐이 적은 상을 형성할수 있는 상형성장치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균일한 대전, 노광, 현상과 사진의 각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사진프로세스가 구동되는 감광체상에서 실행함으로써 기록매체상에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감광드럼의 기동시에 현상기로부터의 토너부착을 방지하기 위해서 노광광학유니트로 감광드럼의 소정의 영역을 제전하고, 그때, 제전된 영역과 균일하게 대전된 영역과의 경제역역에 있어서 제전전위를 서서히 변화시키고, 그 경계영역내에 현상기가 위치하였을 때에, 현상바이어스의 온, 오프를 행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전자사진프로세스에 따라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형성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
제2도는 제1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형성장치의 제어계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3도는 제1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형성장치의 동작 시퀀스(sequence)를 도시하는 타이밍 챠트
제 4도는 제3도에 도시한 동작 시퀀스에 따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내용 없음

Claims (29)

  1. 균일한 대전, 노광, 현상 및 전사의 각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사진프로세스를 구동하는 감광체상에서 실행함으로써 기록매체상에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소정전위에서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를 제전하는 제전수단파, 감광체의 구동을 정지시킬 때에, 제전개시점에서 소정의 폭의 영역에 대하여 균일한 대전단과, 상기 현상공정이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전위분포가 얻게 되도록 상기 제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전제어수단과 상기 현상공정이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전위분포를 가지는 영역에 들어간 상태에서 현상공정에서 쓰여진 현상 바이어스를 끄기위한 바이어스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 장치.
  2. 균일한 대전, 노광, 현상 및 전사의 각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사진프로세스를 구동하는 감광체상에서 실행함으로써 기록매체상에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소정전위에서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를 제전하는 제전수단파, 감광체의 구동개시에서, 최종제전전위가 얻게 되돌록 상기 제전수단을 제어함과 동시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제전을 종료할 때, 소정의 폭의 영역에 대하여 최종제전전위와 균일한 대전의 전위와의 사이에서 변화하는 전위분포가 얻게 되도록 상기 제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전제어수단과 감광체의 구동개시후 상기 현상공정후의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전위분포를 가지는 영역에 들어간 상태에서 현상공정에 쓰이는 현상바이어스를 투입하기 위한 바이어스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지 제전제어수단은, 최정제전전위에서 균일한 대전의 전위까지 감소하는 전위분포를 얻도록 그 제전수단을 제어하도록 한 상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제어수단은, 최종제전전위에서 균일한 대전의 전위까지 증가하는 전위분포를 얻도록 그 제전수단을 제어하도록 한 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제전장치는 노광공정에서 쓰이는 광원을 포함하는 광학계를 공용하도록 한 성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제어수단은, 1돗트에 대응한 그 광원의 발광시간을 제어하는 발광시간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제어수단은, 1돗트에 대응한 그 광원의 발광시간을 제어하는 발광량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제어수단은, 그 전위분포를 얻는 영역에 있어서, 제전되는 돗트 면적을 정한 소정의 패턴에 따라 그 제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전면적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제전제어수단은 그 전위분포를 얻는 영역에 있어서, 제전되는 돗트면적이 증가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패턴에 따라 그 제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전면적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제전제어수단은, 그 전위분포를 얻는 영역에 있어서, 제전되는 돗트면적이 줄도록 배열된 복수의 패턴에 따라 그 제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전면적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전위분포를 얻는 영역은 현상공정에서 쓰이는 현상기의 현상제가 실질적으로 감광체와 접촉하고 있는 폭인 현상니프폭의 1/2에서 2배의 범위내의 폭에 대응하는 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분포를 얻는 영역은 그 현상니프폭에 해당하는 상형성장치.
  13. 균일한 대전, 노광, 현상 및 전사의 각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사진프로세스를 구동하는 감광체상에서 실행함으로써 기록매체상에 상(像)을 형성하는 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소정전위에서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를 제전하는 제전수단과, 감광체의 구동개시에서, 최종제전전위가 얻게 되도록 상기 제전수단을 제어함과 동시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제전을 종료할 때, 소정의 폭의 제1의 영역에 대하여 최정제전전위와 균일한 대전의 전위와의 사이에서 변화하는 전위분포가 얻게 되도록 상기 제전수단을 제어하는 제1의 제전제어수단과 감광체의 구동개시후, 상기 현상공정의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전위분포를 가지는 제1의 영역에 들어간 상태에서 현상공정에 쓰이는 현상 바이어스를 투입하기 위한 제1의 바이어스 제어수단과, 감광체의 구동을 정지시킬 때에, 제전개시점에서 소정의 폭 제2의 영역에 대하여 균일한 대전의 전위와 최종제전전위와의 사이에서 변화하는 전위상기 전위분포가 얻어지도록 상기 제전수단을 제어하는제2의 제전제어수단과, 상기 현상공정이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전위분포를 가지는 제2의 영역에 들어간 상태에서, 현상 공정에서 쓰이는 현상바이어스를 끄기 위한 제2의 바이어스 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제전제어수단은, 최정제전전위에서 균일한 대전의 위치까지 증가하는 전위분포를 얻도록 그 제전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2의 제전제어수단은 균일한 대전의 전위에서 최정제전전위까지 감소하는 전위분포를 얻도록 하고 그 제전수단을 제어하도록 한 상형성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수단은 노광공정에서 쓰인 광원을 포함하는 광학계를 공용하도록 한 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제전제어수단 및 제2의 제전제어수단의 적어도 한편은, 1돗트에 대응한 그 광원의 발광시간을 제어하는 발광시간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17. 균일한 대전, 노광, 현상 및 전사의 각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사진프로세스를 구동하는 감광체상에서 실행함으로써 기록매체상에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소정전위에서 균일한 대전된 제전을 제전수단과, 감광체의 구동을 정지시킬때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소정의 제전전위가 얻게 되도록 그 제전수단을 기동시키는 제전제어수단과, 상기 현상공정이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제전이 개시된 위치와 마찬가지로 대전된 영역의 경계를 포함한 소정의 영역내에 들어간 상태에서, 감광체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제어수단과, 상기현상공정이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그 소정의 영역에 들어간 상태에서, 현상공정에서 쓰인 현상바이어스를 소정의 압력에서 오프압력의 이에서 변화시키면서 끄기 위한 바이어스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18. 균일한 대전, 노광, 현상 및 전사의 각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사진프로세스를 구동하는 감광체상에서 실행함으로써 기록매체형상에서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소정전위에서 마찬가지로 대전된 감광체를 제전하는 제전수단과, 감광체의 구동개시에서, 소정의 제전단위가 얻게 되도록 상기 제전수단을 제어함과 동시에 , 소정의 타이밍으로 제전을 종료시키는 제어하는 제전제어수단과, 감광체의 구동개시후, 상기 현상공정의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제전이 종료한 위치와 마찬가지로 대전된 영역의 경계를 포함경계를 포함하는 소정의 압력 사이에서 변화시키면서 동작하기위한 바이어스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19. 청구항 17까지는 24기재의 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역은, 현상공정에서 쓰이는 현상기의 현상제가 실질적으로 감광체와 접촉하고 있는 폭인 현상니프폭의 1/2에서 2배의 범위내의 폭에 대응하는 상형성장치.
  20. 청구항 19 기재의 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역은, 그 현상니프폭에 대응하는 상형성장치.
  21. 균일한 대전, 노광, 현상 및 전사의 각 공정을 포함한 전자사진프로세스를 구동하는 감광체상에서 실행함으로써 기록매체상에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소정위치에서 마찬가지로 대전시킨 감광체를 제전하는 제전수단과, 감광체의 구동수단에서, 소정의 제전전위가 얻게 되도록 상기 제전수단을 제어함과 동시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제전을 종료시킨 제어하는 제1의 제전제어수단과, 감광체의 구동개시후, 상기 현상공정의 실행시키는 현상위치가 상기 제전이 종료한 위치와 마찬가지로 대전시킨 영역의 경계를 포함하는 제1의 영역내에 들어간 상태에서, 현상공정에서 쓰이는 현상바이어스를 오프압력과 소정의 압력 사이에서 변화시키면서 동작하기위한 제1의 바이어스 제어수단과, 감광체의 구동을 정지시킬 때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소정의제전전위가 얻게 되도록 그 제전수단을 기동시킨 제2의 제전제어수단과, 상기 현상공정이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그 제2의 영역에 들어간 상태에서, 현상공정에서 쓰인 현상바이어스를 소정의 압력에서 오프압력의 사이에서 변화시키면서 끄기 위한 제2의 바이어스 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영역 및 제2의 영역은 현상공정에서 쓰이는 현상기의 현상제가 실질적으로 감광체와 접촉하고 있는 폭인 현상니프폭의1/2에서 2배의 범위내의 폭에 대응하는 상형성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영역 및 제2의 영역은 그 현상니프폭에 대응하는 상형성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수단에 의해 제전되는 감광체 상의 영역폭이 그 상형성장치에 공급되게 될 기록매체의 최대폭 이상으로 설정된 상형성 장치.
  2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수단에 의해 제전되는 감광체 상의 영역폭이 그 상형성장치에 공급되게 될 기록매체의 최대폭 이상으로 설정된 상형성장치.
  2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수단에 의해 제전되는 감광체 상의 영역폭이 그 상형성장치에 공급되게 될 기록매체의 최대폭 이상으로 설정된 상형성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수단에 의해 제전되는 감광체 상의 영역폭이 그 상형성장치에 공급되게 될 기록매체의 최대폭 이상으로 설정된 상형성 장치.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수단에 의해 제전되는 감광체 상의 영역폭이 그 상형성장치에 공급되게 될 기록매체의 최대폭 이상으로 설정된 상형성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제전수단에 의해 제전되는 감광체 상의 영역폭이 그 상형성장치에 공급되게 될 기록매체의 최대폭 이상으로 설정된 상형성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45474A 1995-02-24 1995-11-30 전자사진프로세스에 따라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KR0178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3732695A JP3457083B2 (ja) 1995-02-24 1995-02-24 像形成装置
JP95-037326 1995-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111A true KR960032111A (ko) 1996-09-17
KR0178835B1 KR0178835B1 (ko) 1999-04-01

Family

ID=12494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5474A KR0178835B1 (ko) 1995-02-24 1995-11-30 전자사진프로세스에 따라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97013A (ko)
JP (1) JP3457083B2 (ko)
KR (1) KR0178835B1 (ko)
CN (1) CN1076491C (ko)
DE (1) DE19541335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804B1 (ko) * 1997-08-16 1999-11-01 윤종용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서 접촉대전방식의대전장치
JP2001350385A (ja) * 2000-06-02 2001-12-21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3744485B2 (ja) * 2002-11-05 2006-02-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2123186A (ja) * 2010-12-08 2012-06-28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5884437B2 (ja) * 2011-11-24 2016-03-15 株式会社リコー 光書込み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光書込み装置の制御方法
JP6010850B2 (ja) 2012-04-05 2016-10-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954052B2 (ja) * 2012-08-27 2016-07-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5028604A (ja) 2013-06-28 2015-02-1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CN110632834B (zh) * 2015-09-15 2021-10-08 佳能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
JP6562806B2 (ja) 2015-10-06 2019-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971269B2 (en) 2016-05-23 2018-05-15 Ricoh Company, Ltd. Discharging method for latent image bear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855297B2 (ja) 2017-03-22 2021-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9544A (en) * 1980-11-24 1982-03-16 Coulter Systems Corporation Digitally synthesized dynamic bias method and apparatus for toning control in developing latent electrophotographic images
US4664504A (en) * 1983-01-20 1987-05-12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4769676A (en) * 1986-03-04 1988-09-06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removing residual toner
US5036369A (en) * 1988-06-30 1991-07-30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H07129035A (ja) * 1993-06-23 1995-05-19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並びにこ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3015233B2 (ja) * 1993-10-15 2000-03-06 富士通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8137261A (ja) * 1994-11-04 1996-05-31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接触帯電手段の清掃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541335A1 (de) 1996-08-29
CN1076491C (zh) 2001-12-19
US5697013A (en) 1997-12-09
CN1150662A (zh) 1997-05-28
KR0178835B1 (ko) 1999-04-01
DE19541335C2 (de) 2003-04-30
JP3457083B2 (ja) 2003-10-14
JPH08234646A (ja) 199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0886B2 (ja) 画像形成装置
KR960032111A (ko) 전자사진프로세스에 따라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JPH01307770A (ja) 電子写真像形成装置の静電パラメータを制御する方法
KR102128420B1 (ko) 화상 형성 장치
US5832333A (en) Electrostatic recording apparatus and electrostatic recording method
JPH0513311B2 (ko)
JPS6420575A (en) Multicolor copying machine
JPH01269953A (ja) 電子写真装置
US5778289A (en) D.C. recharge to reduce cross contamination in the read IOI process
US5794106A (en) Erase before D.C. recharge in color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JPH04120568A (ja) 反転現像制御装置
JP2004170690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S551305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lor image
KR970016854A (ko) 폐토너 절감을 위한 감광드럼 전위 조절장치 및 방법
JPH06208300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トナー供給装置
JPH03293379A (ja) 画像形成装置
JPH10319689A (ja) 画像形成装置
KR950019984A (ko) 레이저빔 프린터의 현상바이어스 공급방법 및 그 장치
JPH041674A (ja) 複写装置
JPH096097A (ja) 画像形成装置の帯電装置
JPS6157977A (ja) 像形成装置
JPH0527526A (ja) 作像装置
JPH10247007A (ja) 画像形成装置の電源装置及び電力供給方法
JP2004029244A (ja) 画像形成装置
JPH0954528A (ja) 画像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